KR10159683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834B1
KR101596834B1 KR1020090064481A KR20090064481A KR101596834B1 KR 101596834 B1 KR101596834 B1 KR 101596834B1 KR 1020090064481 A KR1020090064481 A KR 1020090064481A KR 20090064481 A KR20090064481 A KR 20090064481A KR 101596834 B1 KR101596834 B1 KR 101596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pening
auger
closing memb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71A (ko
Inventor
오준환
이욱용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8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얼음보관함에서 취출되는 얼음이 토출되는 도중에 취출장치에 끼어 취출이 중단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얼음이 원활하게 섞이도록 하여 얼음끼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 취출구를 구비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얼음의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오거와; 상기 오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얼음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오거, 블레이드, 후크부, 개폐부재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얼음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얼음보관함 내부에서 얼음이 잘 섞여서 얼음끼리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식품 기타 저장물을 냉장보관 또는 냉동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가 장착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제빙완료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보관함 및 상기 얼음보관함과 연결되어 얼음을 얼음보관함 외부로 취출하는 디스펜서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를 구동시키면 상기 얼음보관함 내부에 마련되는 얼음취출장치가 동작을 하여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방향으로 보내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컵과 같은 용기에 얼음을 받아서 사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 얼음을 취출하는 경우에 얼음이 취출되는 도중에 얼음이 상기 얼음보관함의 일면과 얼음취출장치 사이에 끼어서 얼음이 취출되지 못 하는 잼(jam)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그 끼인 공간의 옆공간으로 얼음이 계속 취출되어 과도하게 얼음이 취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얼음보관함 내부에 얼음이 보관되는 경우, 얼음끼리 부착이 되어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져 얼음취출장치에 의하여 얼음이 취출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그리고, 얼음보관함 내에서 복수개의 얼음이 부착되어 큰 덩어리를 형성하게 된 경우에, 토출되지 못하고, 얼음의 취출을 방해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이 취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얼음 취출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 내부에 수용되는 얼음이 잘 섞이도록 하여 얼음끼리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 취출구를 구비하는 얼음보관함과;상기 얼음보관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오거와;상기 오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얼음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오거는 복수의 블레이드와;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회전축과;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 상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그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부와;그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한 얼음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부와; 그 측면에 형성되어 얼음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리세스처리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얼음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는 경우 그 접촉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거 회전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얼음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블레이드와 나머지 블레이드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거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얼음에 힘을 가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개폐부재의 가압작용이 해제되는 경우 개폐부재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폐쇄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작용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하향경사면을 형성하여 얼음을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작용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얼음의 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오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에는 개폐부재의 탄성복원을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얼음 취출구를 구비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얼음 보관함에 보관된 얼음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오거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오거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얼음을 가압하는 경우 그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얼음 취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에는 접촉된 얼음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후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호 형태의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거 회전시 얼음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 일부 블레이드는 나머지 블레이드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부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얼음 가압시 얼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을 고정시키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음보관함의 하면은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하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얼음이 취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얼음 취출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보관함 내부에 수용되는 얼음이 잘 섞이도록 하여 얼음끼리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얼음보관함의 두께가 보다 슬림하게 마련되어 종래기술보다 줄어든 얼음보관함에 두께만큼 저장실의 보관공간이 늘어나거나 또는 냉장고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3)이 마련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3)을 개폐하는 도어(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실(3)은 냉동실(4)과 냉장실(5)로 나뉘며, 상기 도어(10)도 상기 냉장실(5) 및 상기 냉동실(4)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0)로 나뉜다.
상기 냉동실(4)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내면에는 얼음을 제빙하기 위한 제빙기(13)가 장착되며, 상기 제빙기(13)의 하부에는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얼음보관 함(100)이 마련된다.
상기 얼음보관함(100)의 하부에는 얼음 취출구(102)가 마련되며, 상기 얼음 취출구(102)는 상기 도어(10)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미도시)와 연통된다.
상기 얼음 취출구(102)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펜서(미도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오거(2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오거(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오거(200)의 일측에는 상기 오거(20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오거(2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얼음 취출구(10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00)가 마련된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의 일부가 개방되는 사각통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형상이 사각통 형상에만 한정될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오거(200)는 상기 얼음보관함(10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얼음보관함(100)의 내부에는 상기 오거(200)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오거(200)방향으로 얼음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105)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05)은 상기 얼음보관함(10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오거(200)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마련되며, 그 경사면(105)의 연장선은 상기 오거(200)의 회전축(205)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거(200)는 그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205)과, 상기 회전 축(205)에 삽입되는 블레이드(2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21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05)은 상기 블레이드(210)의 후방에 마련되는 지지판(240)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블레이드(210)는 그 주위에 있는 얼음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특히,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에 놓여 있는 얼음을 하부로 밀어서 상기 개폐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300)가 밀려 개방작용을 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거(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블레이드(210)에 의하여 가압되는 얼음의 하방 이동에 의하여 하부로 밀리게 되며, 상기 블레이드(210)의 가압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개폐부재(300)는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300)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도4참조,304)가 마련되기 때문인데, 이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거(200)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면, 상기 지지판(240)에 고정된 회전축(205)에 복수의 블레이드(210)가 소정간격 이격된 배치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10)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면, 상기 회전축(205)과 결합하는 결합부(215)와, 상기 결합부(215)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20)가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220)의 단부에는 얼음과 점접촉하여 얼음을 포크처럼 찍을 수 있는 후크부(225)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225)는 상기 연장부(220)의 양단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220)의 단부에는 호 형태의 접촉부(230)이 마련되는데, 상기 접촉부(230)은 상기 개폐부재(300)의 단부와 접촉되는 면이다. 상기 접촉부(230)과, 상기 개폐부재(300)간의 접촉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후크부(225)와 타단부에 마련되는 후크부(225) 사이에는 얼음이 수용되도록 리세스 처리된 수용부(23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235)를 마련한 이유는 상기 후크부(225)의 회전궤적내에 얼음이 위치하도록 하여 얼음에 대한 가압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 일부 블레이드와 나머지 블레이드는 직교된 상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상기 수용부(235)에 위치하는 얼음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즉 도3에서 나타난 블레이드 중 오거(200) 전방에 병렬적으로 배치된 3개의 블레이드와, 그 3개의 블레이드 후방에 병렬적으로 놓여진 3개의 블레이드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거(2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우선 전방에 배치된 3개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얼음을 가압하여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얼음을 토출시킨다.
이후, 바로 후방에 배치된 블레이드도 전방에 배치된 블레이드 처럼 얼음을 가압하여 개폐부재 개방작용을 일으킨다. 따라서, 얼음이 단속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00)과 상기 오거(200)와의 결합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얼음보관함(100)의 후방에는 보관함본체(110)가 마련되며, 상기 보관함본체(110)에는 상기 오거(200)의 후면에 마련되는 연결축이 통과하는 통과홀(115)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115)을 통과한 상기 연결축은 상기 오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오거(200)의 후방에는 실링부재(140) 및 장착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재(300)는 상기 오거(300)의 일측에 배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얼음보관함(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오거(200)의 블레이드(21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개폐부재(300)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부재(300)의 일단에는 상기 얼음보관함(100)에 마련되는 고정축(미도시)에 삽입되는 결합부(31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310)의 전후에는 각각 그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편(31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00)가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300)의 결합부(310)에는 탄성부재(304)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304)는 상기 결합부(310)에 마련되는 고정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일단부는 상기 개폐부재(300)에 접촉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얼음보관함(100)에 접촉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얼음보관함(100)의 전방에는 투명한 재질의 제1커버부재(120)가 장착되며, 상기 제1커버부재(120)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오거(200) 및 상기 개폐부재(300)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커버부재(122)가 마련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00) 내부 하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105,106)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105,106)은 상기 오거(200)의 양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00)가 마련된 쪽에 형성되는 경사면(106)은 다른 쪽에 있는 경사면(105)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00)가 없는 부분 쪽의 경사면(105)의 경우, 상기 오거(200)방향으로 얼음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고, 이를 위하여 경사면(105)의 하단이 거의 상기 오거(200)의 회전축(205)보다 약간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개폐부재(30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경사면(106)은 얼음을 오거(200)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오거(200)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얼음 취출구(102)방향을 향하는 얼음을 안내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경사면(105,106)의 상단부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30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경사면(106)과 상기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재(300)의 상면간에 유사한 경사각도를 갖게 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얼음 취출구 (102)방향으로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평소에는 상기 개폐부재(300)의 단부는 상기 블레이드(210)에 접촉하고 있고,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은 상향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얼음보관함(100) 내부와 얼음 취출구(120) 사이가 연통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오거(200)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210)의 후크부(225)가 얼음(I)을 눌러서 아래로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300)도 눌리게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이 하향경사 상태가 되므로, 얼음이 상기 얼음 취출구(102)로 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거(2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얼음보관함(100)내부에 있는 얼음의 위치가 변경되는 효과가 있어서 얼음이 서로 맞붙어 결빙되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6은 상기 오거(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여기서는 연장부(220)가 세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블레이드(210)가 서로 동일한 배치가 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제1실시예의 오거에 의하여 토출되는 얼음보다 작은 얼음을 토출시키되, 얼음이 일정시간간격을 두고 천천히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7과 같이 블레이드(210)의 배치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비틀려지게 되어블레이드 최외각의 윤곽이 테이퍼 형상이 되게 할 수 도 있다.
도8 내지 도10은 상기 블레이드(21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10a)의 중심에는 회전축(도2참조, 205)가 결합되는 결합부(215a)가 마련되고, 외측으로는 연장부(220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25a)는 상기 연장부(220a)의 일단에 마련되되 뭉툭한 낫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20a)의 최외각 테두리에는 상기 개폐부재(300)와 접촉하는 접촉부(230a)가 마련된다.
도9에서는 다른 형태의 블레이드(210b)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8의 블레이드(210a)와의 차이점은 후크부(225a)가 있던 자리에, 얼음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분리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돌출부(225b) 및 그 돌출부(225b) 사이의 홈(226b)이 있다는 것이다.
도10은 또 다른 형태의 블레이드(210c)를 개시한 것이다. 여기서의 블레이드(210c)는 도9에서 도시한 블레이드(210b)와는 달리, 사다리꼴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를 취하는 이유는 상기 얼음에 힘을 가하는 부분(C)의 형상이 일직선 형태를 띠게 함으로써 그 부분(C) 전체가 얼음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보관함(100) 내부에 얼음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거(200)의 블레이드(210)와 상기 개폐부재(300)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얼음 취출구(102)와 상기 얼음보관함(100) 간에 연통이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이 상향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얼음이 상기 얼음 취출구(102)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디스펜서(미도시)에 있는 레버(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거(200)가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0)와 접촉하고 있는 블레이드(210)는 얼음을 누르고, 눌린얼음이 상기 개폐부재(3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이 하향경사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얼음이 상기 개폐부재(300)의 상면을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얼음 취출구(102)로 떨어져서 디스펜서(미도시)로 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10)는 얼음과 얼음 사이를 움직이기 때문에, 얼음과 얼음 사이를 가르는 역할을 할 뿐더러, 서로 부착되어 있는 얼음의 결합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얼음덩어리가 형성된 후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디스펜서(미도시)의 레버(미도시)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더이상 상기 블레이드(210)는 얼음을 가압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300)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복귀되어, 다시 블레이드(210)와 접촉을 하여 상기 얼음 취출구(102)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도13와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거(200)가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개시한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도어(10)의 후방에 상기 제빙기(13)와 얼음보관함(1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얼음보관함(1100)의 하부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300)가 마련된다.
그리고, 블레이드(210)를 구비하는 오거(200)는 상기 도어(10)의 후방을 향하여 소정각도만큼 상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얼음보관함(1100)의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1110)에는 상기 오거(200)가 설치되는 설치공(1120)이 형성되고, 상기 오거(200)는 상기 설치공(1120)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오거(200)의 후방에는 구동장치(280)가 마련된다.
여기서도 상기 오거(2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210)가 얼음을 누르고 이 얼음이 상기 개폐부재(300)를 눌러서 상기 개폐부재(300)를 개방시킨다.
그리하여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30)방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거(200)와 개폐부재(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서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15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도 상기 오거(200)가 얼음보관함(2100)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도 상기 오거(200)가 설치되는 설치공(2120)이 마련되고, 상기 오거(200)의 후방에는 구동장치(280)가 마련된다.
다만 그 경사방향이 상기 도어(10)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소정각도만큼 위로 올라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어(10) 후면에 장착되는 각종 장치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오거(200)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서 기재하였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오거(200)와 개폐부재(3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함 및 블레이드가 장착된 오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오거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얼음보관함 및 블레이드가 장착된 오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가 장착된 오거와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6과 7은 블레이드의 다양한 장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내지 도10은 블레이드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서 개폐부재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에서 개폐부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1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중 얼음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15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얼음보관함 200: 오거
210: 블레이드 240: 캠면
250: 블레이드 300: 개폐부재

Claims (16)

  1. 얼음 취출구를 구비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오거와;
    상기 오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얼음 취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거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그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부와;
    그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한 얼음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부와;
    그 측면에 형성되어 얼음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리세스처리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거 회전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얼음이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일부의 블레이드와 나머지 블레이드는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 상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얼음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는 경우 그 접촉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호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얼음에 힘을 가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는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에 의한 개폐부재의 가압작용이 해제되는 경우 개폐부재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폐쇄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작용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하향경사면을 형성하여 얼음을 하방으로 안내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작용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얼음의 토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오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타단부에는 개폐부재의 탄성복원을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얼음 취출구를 구비하는 얼음보관함과;
    상기 얼음보관함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얼음 보관함에 보관된 얼음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오거와;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오거가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얼음을 가압하는 경우 그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얼음 취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에는 접촉된 얼음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후크부가 마련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와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호 형태의 접촉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회전시 얼음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 일부 블레이드는 나머지 블레이드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에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얼음 가압시 얼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을 고정시키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보관함의 하면은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하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64481A 2009-07-15 2009-07-15 냉장고 KR10159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81A KR101596834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81A KR101596834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71A KR20110006871A (ko) 2011-01-21
KR101596834B1 true KR101596834B1 (ko) 2016-02-23

Family

ID=4361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481A KR101596834B1 (ko) 2009-07-15 2009-07-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07B1 (ko) 2017-05-17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44B1 (ko) * 2005-04-20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의 얼음 엉김 방지 구조
US7797961B2 (en) * 2006-12-07 2010-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KR20090060045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71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85B1 (ko) 아이스 메이킹 장치
KR101639405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101631322B1 (ko) 냉장고
EP3290832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7571619B2 (en) Refrigerator
KR20000034275A (ko) 냉장고의 제빙기어셈블리 및 이빙방법
US20110067429A1 (en) Refrigerator
KR20160090517A (ko) 냉장고
EP2730864A2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er with flexible ice mold and method for harvesting ice
KR101969588B1 (ko) 얼음보관함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20080020126A (ko) 냉장고
JPH09178316A (ja) 冷蔵庫
KR101596834B1 (ko) 냉장고
KR101565416B1 (ko) 냉장고
KR20080016370A (ko) 냉장고
KR101637351B1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100565603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565415B1 (ko) 냉장고
KR101714443B1 (ko)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KR100525416B1 (ko) 통돌이 방식 아이스뱅크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20080020900A (ko) 냉장고
KR100397248B1 (ko) 냉장고의 얼음투출 제어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