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83B1 - 얼음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얼음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83B1
KR102301483B1 KR1020140143711A KR20140143711A KR102301483B1 KR 102301483 B1 KR102301483 B1 KR 102301483B1 KR 1020140143711 A KR1020140143711 A KR 1020140143711A KR 20140143711 A KR20140143711 A KR 20140143711A KR 102301483 B1 KR102301483 B1 KR 10230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lade
blades
crushed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684A (ko
Inventor
박시준
박정철
노용연
김도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얼음이 분쇄된 상태로 토출되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에는 상기 얼음을 분쇄하거나 통얼음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분쇄장치{ICE CRU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얼음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을 분쇄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얼음분쇄장치에는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분쇄날이 구비된 분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얼음분쇄장치에 유입되고, 분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분쇄날에 의해서 분쇄된다.
제빙기로부터 얼음분쇄장치로 얼음이 공급되면 분쇄된 형태의 조각 얼음 또는 가루 얼음만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다.
즉, 얼음분쇄장치에서는 항상 얼음이 분쇄된 형태로 공급되므로, 분쇄되지 않은 얼음을 사용자에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얼음 저장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고, 결국 기구적으로 복잡하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386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시키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시킬 수 있는 얼음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얼음을 분쇄할 경우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얼음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얼음이 분쇄된 상태로 토출되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및 제2 블레이드는,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반대면에 톱니날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분쇄되어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얼음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된 톱니날과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형성된 톱니날에 번갈아가며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및 제2 블레이드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 형상의 기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은 인접한 회전축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상기 얼음이 분쇄되어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조각 얼음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상기 얼음이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통얼음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인접한 블레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시키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얼음을 분쇄할 경우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통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는 얼음 저장부(100), 토출부(4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100)에는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100)는 상기 얼음의 유입을 위하여 제빙기(도시되지 않음)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저장부(100)는 상기 제빙기로부터 상기 얼음을 전달받고 상기 토출부(400)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얼음 저장부(100)는 일 측면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100)에는 하우징(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00)는 상기 얼음 저장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 상태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얼음을 분쇄하지 않고 통얼음 상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출부(400)에는 상기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얼음을 분쇄하지 않고 통얼음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450, 460)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50, 4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을 이루는 복수의 회전축(410, 4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50, 460) 및 상기 복수의 회전축(410, 4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100)의 개방된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100)로부터 상기 얼음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얼음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100)로부터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축(410, 420)은 적어도 두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축(410) 및 제2 회전축(420)이 제공되나 상기 회전축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50, 460)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50, 460)는 상기 제1 회전축(410)에 장착되는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에 장착되는 제2 블레이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450)는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축(410)에는 상기 제1 블레이드(4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1 회전축(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420)에도 상기 제2 블레이드(4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2 회전축(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4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2 블레이드(4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사이를 지나치며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450)와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4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사이와, 상기 제2 블레이드(4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브라켓(4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00)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에는 커버(5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의 일측은 상기 구동부(300)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커버(5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300)와 상기 커버(500)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축(410)과 상기 제2 회전축(420)은 상기 구동부(300)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 중 어느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축(410)은 상기 구동부(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축(42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기어(430, 440)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3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에는 각각 톱니 형상의 제1 기어(430) 및 제2 기어(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430) 및 상기 제2 기어(440)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00)를 통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될 때, 상기 제1 기어(430) 및 상기 제2 기어(440)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1 회전축(410) 및 상기 제2 회전축(42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블레이드(4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블레이드(4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상기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구동과 상기 얼음을 분쇄하지 않고 통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구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통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얼음을 분쇄하여 조각 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구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얼음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1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조각 얼음을 토출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450)는 도 5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얼음은 양방향으로 가압되게 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형성된 톱니날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얼음은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 사이에서 조각 얼음으로 분쇄되고, 상기 조각 얼음은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 사이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서로 반대면에 상기 톱니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얼음을 분쇄하는 구동에서는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형성된 톱니날이 상기 얼음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은 상기 제1 블레이드(450)에 형성된 톱니날과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형성된 톱니날에 번갈아가며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얼음을 분쇄할 때, 상기 제1 블레이드(450) 및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형성된 상기 톱니날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얼음분쇄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 통얼음을 토출시키는 경우의 구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분쇄되지 않은 통얼음을 토출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구동부(300)에 의하여 상기 제1 블레이드(450)는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블레이드(4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블레이드(450)에서 상기 톱니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상기 제2 블레이드(360)에서 상기 톱니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얼음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얼음은 분쇄되지 않은 통얼음 상태로 상기 제1 블레이드(450)에 의해 상기 제2 블레이드(4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블레이드(460)에 의해 상기 제1 블레이드(4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쇄된 조각 얼음 또는 분쇄되지 않은 통얼음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분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얼음을 분쇄하여 토출시키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얼음을 분쇄할 경우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얼음분쇄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얼음 저장부 200: 하우징
300: 구동부 400: 토출부
410: 제1 회전축 420: 제2 회전축
430, 440: 톱니 형상의 기어 450: 제1 블레이드
460: 제2 블레이드 470: 브라켓
500: 커버

Claims (10)

  1. 얼음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얼음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얼음이 분쇄된 상태로 토출되거나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제2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및 제2 블레이드는,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반대면에 톱니날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분쇄되어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얼음은 상기 제1 블레이드에 형성된 톱니날과 상기 제2 블레이드에 형성된 톱니날에 번갈아가며 분쇄되는 얼음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및 제2 블레이드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얼음분쇄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브라켓이 구비되는 얼음분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회전축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 형상의 기어에 의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축은 인접한 회전축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얼음분쇄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두 개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얼음분쇄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 분쇄되어 조각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조각 얼음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사이로 토출되는 얼음분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이 통얼음 상태로 토출되는 경우에 상기 통얼음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중 인접한 블레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얼음분쇄장치.
KR1020140143711A 2014-10-22 2014-10-22 얼음분쇄장치 KR102301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711A KR102301483B1 (ko) 2014-10-22 2014-10-22 얼음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711A KR102301483B1 (ko) 2014-10-22 2014-10-22 얼음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84A KR20160047684A (ko) 2016-05-03
KR102301483B1 true KR102301483B1 (ko) 2021-09-15

Family

ID=5602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711A KR102301483B1 (ko) 2014-10-22 2014-10-22 얼음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446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얼음 파쇄 및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696A (ko) * 2006-10-24 2008-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KR101600854B1 (ko) * 2009-10-12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69588B1 (ko) * 2012-06-20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보관함을 구비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61B1 (ko) * 2006-12-3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84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0741B2 (en) Refrigerator having transmission assembly
US7762485B2 (en) Swinging paper chip distributing mechanism at paper outlet of shredder
KR102301483B1 (ko) 얼음분쇄장치
JP4514234B2 (ja) 粉砕機
CN106582953A (zh) 一种生活垃圾破碎机
KR101081094B1 (ko) 얼음 공급장치의 파쇄기구
JP4955933B2 (ja) 油圧ショベル用の廃棄物等の破砕機
JP2010255899A (ja) 砕氷機
JP2010094079A (ja) 米飯成形装置
JP5714286B2 (ja) 破砕機のハンマ
US760010A (en) Stamping-mill.
CN203525807U (zh) 粒断机及在该粒断机中使用的粒断刀
US300429A (en) Machine for thrashing peas
JP6402478B2 (ja) 製氷機の撹拌機構及び製氷機
KR200362953Y1 (ko) 착즙기
US247311A (en) Nathaniel clim
US390998A (en) tunstill
JP2011088043A (ja) 破砕機
US120274A (en) Improvement in cultivators
CN207427875U (zh) 一种高效草料粉碎机
CN101376118A (zh) 用于促进处理其中的粉碎材料的粉碎机和粉碎方法
US277543A (en) Rotary crusher
JP2017100063A (ja) 擂潰式固形化装置及び排出構造
US1188464A (en) Grain-cutting machine.
US206996A (en) Improvement in grinding-m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