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40A - 아이스 머신 - Google Patents

아이스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40A
KR20200075440A KR1020180164111A KR20180164111A KR20200075440A KR 20200075440 A KR20200075440 A KR 20200075440A KR 1020180164111 A KR1020180164111 A KR 1020180164111A KR 20180164111 A KR20180164111 A KR 20180164111A KR 20200075440 A KR20200075440 A KR 20200075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ell
nozzle
tra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염승섭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440A/ko
Priority to EP19901004.2A priority patent/EP3899385A4/en
Priority to CN201980083326.6A priority patent/CN113242951A/zh
Priority to US17/299,266 priority patent/US11747068B2/en
Priority to PCT/KR2019/017448 priority patent/WO2020130473A1/en
Publication of KR2020007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얼음이 응결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셀은 크기가 작은 제1셀과, 상기 제1셀보다 크기가 큰 제2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부와, 상기 제2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이스 머신{Ice machine}
본 발명은 아이스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아이스 머신에 관한 것이다.
주방 싱크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아이스 머신은 통상적으로 직냉 사이클을 적용하여 투명빙을 만들고, 얼음을 만드는 제빙부가 상단에 위치하고 이빙과정으로 통해 하단의 저빙부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빙부에서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얼음만을 제조해왔는데,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다.
한편 제빙부에서 다양한 크기의 얼음 형상을 제조할 수 있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의 트레이에 의해서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제조할 수는 있지만, 특정 크기를 가진 얼음이 만빙이 될 경우, 제빙부에서 생산되는 얼음 전체를 얼리지 못하기 때문에, 얼음 생산이 중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하나의 트레이에서 생산하는 경우에 얼음의 크기에 따라서 제빙이 완료되는 시점이 다르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제빙완료가 되는 얼음의 제빙 완료 시점에 이빙을 시키면 보다 큰 크기의 얼음의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아이스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 급수순환 제빙방식의 아이스 머신에서 단종(single shape)의 형상을 가진 얼음을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에서 다종(multi-shape)의 얼음을 제공하도록 하는 아이스 머신을 제공한다.
1개의 트레이에서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제빙하는 구역을 구성하여 증발기를 복수 개 구비하고, 복수 개의 노즐부를 구비해서, 독립 제빙/이빙 시스템을 구성한 아이스 머신을 제공한다.
저장 탱크에 공급되 물을 펌프를 통해 저온으로 유지하는 트레이에 분사하여 제빙하는 제빙 방식에서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제빙/이빙/저빙할 수 있는 아이스 머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종의 얼음을 제빙하기 위해서는 단종 또는 복수 종의 증발관을 트레이에 부착하여 빙점 이하의 온도로 트레이를 냉각시키고, 펌프 및 밸브 등을 이용해서 제어한다.
한편 제빙이 완료된 후 이빙을 위한 핫 개스 사이클(hot-gas cycle) 적용시 단수 및 복수 개의 핫 개스 라인(hot-gas line)을 구성하여 얼음을 이빙한다. 5. 복수 개의 얼음 저장구역별로 만빙여부를 확인하여 만빙이 발생하면 제빙시 만빙된 트레이 방향에 추가 얼음이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얼음이 응결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셀은 크기가 작은 제1셀과, 상기 제1셀보다 크기가 큰 제2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부와, 상기 제2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을 제공한다.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물과 상기 제2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섞이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에 안내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는 상기 제1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2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펌프에는 상기 제1노즐부에 분기되는 유로와 상기 제2노즐부에 공급되는 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고, 각 유로를 개폐하는 쓰리웨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셀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는 제1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아이스 빈에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제1만빙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만빙 센서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제1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셀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는 제2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아이스 빈에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제2만빙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만빙 센서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제2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셀에서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제1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셀에서 얼음이 완성되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트레이를 이용하되, 다른 크기를 가지는 얼음을 함께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얼음의 사용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머신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내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또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또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은 각 얼음 크기별로 배리어를 설치하여 분사된 물과 이빙된 얼음이 분리되게 한다. 얼음의 용적이 적은 트레이 내의 얼음이 제빙완료가 되면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변경해서, 제빙완료가 된 증발기 쪽으로는 차가운 냉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빙분리막으로 하나의 트레이의 다양한 얼음을 구분해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머신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머신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일측에는 손잡이(22)가 마련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의 손잡이(22)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측면을 절개한 상태에서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기계실(12)이 마련된다. 상기 기계실(12)에는 냉동 사이클 중에 하나의 구성요소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0)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90)는 냉매를 압축해서, 최종적으로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기계실(12)은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 마련되어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압축기(90)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되면서 차가워지는 증발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부(30)는 관의 형태로 마련되어서, 트레이(32)에 접촉한다. 상기 증발기(30)의 내부를 통과하는 차가워진 냉매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32)가 차가워지고, 차가워진 상기 트레이(32)에 물이 접하면 물이 얼음으로 변환된다.
상기 증발부(30)는 꼬불꼬불하게 꼬인 형태로 마련되어서, 상기 트레이(32)에 마련된 복수 개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2)는 복수 개의 얼음이 생성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2)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셀(321)과 상기 제1셀(321)보다 크기가 큰 제2셀(322)이 마련된다.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은 하나의 트레이(32)에 마련된다.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은 서로 크기를 달리해서, 각각의 셀에 형성된 얼음에 의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얼릴수 있다.
상기 트레이(32)의 하측에는 상기 트레이(32)를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40)가 마련된다. 상기 노즐부(40)는 상측 방향으로 물을 분사해서, 상기 트레이(32)의 각각의 셀에 물을 뿌리게 된다.
상기 노즐부(40)는 상기 제1셀(321)을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부(42)와 상기 제2셀(322)을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부(44)가 구비된다. 두 개의 노즐부는 각각 상측으로 분사되지만, 위치가 달라서 서로 다른 셀을 향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2)의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의 사이에는 격벽(38)이 마련된다. 상기 격벽(38)은 상기 제1노즐부(42)에서 분사되는 물과 상기 제2노즐부(44)에서 분사되는 물이 섞이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격벽(38)은 상기 트레이(32)에서 상기 제1셀(321)에서 낙하되는 얼음과 상기 제2셀(322)에서 낙하되는 얼음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격벽(38)은 상기 트레이(32)의 하단부터 상기 노즐부(4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서, 상기 트레이(32)의 중간 부위를 가로지르게 마련된다. 상기 노즐부(40)는 한쪽이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트레이(32)에서 낙하되는 얼음은 상기 노즐부(40)의 일측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40)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부(40)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5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 탱크(5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노즐부(42)와 상기 제2노즐부(44)로 각각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50)에는 드레인 관(54)이 배치되어서, 상기 저장 탱크(50)의 수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상기 드레인 관(54)을 통해서 물이 상기 저장 탱크(5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54)은 상기 저장 탱크(50)의 내부에 일정 높이 만큼 솟게 마련된 관의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저장 탱크(50)의 내부 수위가 상기 드레인 관(54)의 높이 보다 높아지면, 상기 드레인 관(54)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저장 탱크(50)의 수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는다.
상기 저장 탱크(50)에서 공급되는 물은 펌프(70)에 의해서 상기 노즐부(40)로 안내된다.
상기 저장 탱크(50)의 하부에는 제1아이스 빈(80)과 제2아이스 빈(86)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서 공급되는 얼음이 각각의 아이스 빈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이스 빈(80)은 상기 제1셀(3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아이스 빈(86)은 상기 제2셀(3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저장된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상기 제1아이스 빈(80) 또는 상기 제2아이스 빈(86)에 접근해서 얼음을 퍼갈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54)은 상기 제1아이스 빈(80)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하부까지 연장되어서, 상기 드레인 관(54)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제1아이스 빈(80)의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제1아이스 빈(80)에는 상기 제1셀(321)에서 공급된 얼음이 만빙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1만빙 센서(8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아이스 빈(86)에는 상기 제2셀(322)에서 공급된 얼음이 만빙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2만빙 센서(88)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만빙 센서(82) 또는 상기 제2만빙 센서(88)는 발광부 또는 수광부를 포함해서, 얼음이 일정 높이 이상 적재된 경우에는 각각의 아이스 빈에 얼음이 만빙된 것으로 감지하고, 일정 높이 이상 적재되지 못한 경우에는 만빙이 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각각의 아이스 빈에 만빙된 경우에는 추가적인 얼음이 공급될 필요가 없는 상태인 반면, 만빙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적인 얼음이 공급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만빙 센서(82) 및 상기 제2만빙 센서(88)에서 감지된 만빙에 관련된 정보는 제어부(100)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펌프(70)는 두 개의 유로에 대해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펌프(71)와 제2펌프(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펌프(70) 또는 상기 제1펌프(71)와 상기 제2펌프(72)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부(40)에서는 물을 상방향으로 토출하고, 상기 노즐부(40)는 상기 저장 탱크(50)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각의 펌프가 구동되지 않으면 물이 사이 저장 탱크(50)에서 상기 노즐부(40)로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각각의 펌프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노즐부(40)에서는 물이 분사되지 못하고, 상기 트레이(32)에 물이 공급되지 못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압축기(90)를 구동해서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증발기(30)가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투웨이 밸브((112)와 쓰리웨이 밸브(46)에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어해서, 각각의 밸브의 유로가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는 얼음이 어는 과정에 냉매의 이동을 설명한 계통도이고, 도 5b는 저장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90)에서 냉매가 압축되면, 응축기(120)에서 냉매가 응축된다. 팽창 밸브(130)를 통과하면서 냉매가 기화되고, 제1증발기(142)와 제2증발기(144)에서 냉매가 외부와 열교환되면서 외부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42)는 상기 제1셀(321)에 냉기를 공급해서 상기 제1셀(321)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증발기(144)는 상기 제2셀(322)에 냉기를 공급해서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얼음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투 웨이 밸브(112)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압축기(90)에서 압축된 뜨거운 냉매는 상기 응축기(120)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는 뜨꺼워지고,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도 함께 온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제1셀(321) 또는 상기 제2셀(322)에 부착된 부위가 녹게 되면서, 얼음이 상기 제1셀(321) 또는 상기 제2셀(322)로부터 떨어져서 각각의 아이스 빈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 탱크(50)에는 안내관(60)에 의해서 상기 펌프(70)에 연결된다. 상기 안내관(60)을 통해서 상기 저장 탱크(50)의 물은 상기 펌프(7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펌프(7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1노즐부(42)에 분기되는 유로(62)와 상기 제2노즐부(44)에 공급되는 유로(64)로 분기될 수 있다. 두 개의 유로가 분기되는 부분는 각 유로(62, 64)를 개폐하는 쓰리웨이 밸브(46)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70)가 구동되더라도, 상기 쓰리웨이 밸브(46)가 어떤 유로를 개방하느냐에 따라서 상기 제1노즐부(42) 또는 상기 제2노즐부(44)에 물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노즐부(42)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제1셀(321)을 향해서, 상기 제1셀(321)이 온도가 낮으면 물이 닿으면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노즐부(44)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제2셀(322)을 향해서, 상기 제2셀(322)이 온도가 낮으면 물이 닿으면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셀(321)은 상기 제1증발기(142)가 접촉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제1증발기(142)에서 냉기를 공급하면, 상기 제1셀(321)의 온도가 하강된다. 상기 제2셀(322)은 상기 제2증발기(144)가 접촉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제2증발기(144)에서 냉기를 공급하면, 상기 제2셀(322)의 온도가 하강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기(90)가 구동되고, 상기 제1노즐부(42)와 상기 제2노즐부(44)에서 물이 공급되어서,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셀(321)에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46)는 상기 제1노즐부(42)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62)를 차단한다. 상기 제2셀(322)에 비해서 상기 제1셀(321)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기 제1셀(321)에는 상기 제2셀(322)에 비해서 얼음이 빨리 얼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셀(321)에 얼음이 완성된 후에도 상기 제2노즐부(44)를 통해서 상기 제2셀(322)로 물을 공급해서,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완성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90)를 구동한다.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펌프(70)의 구동을 중지해서, 상기 제1노즐부(42)는 물론 상기 제2노즐부(44)로 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투 웨이 밸브(46)에서 유로를 개방하도록 해서, 상기 압축기(90)에 의해서 압축된 뜨거운 냉매가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공급되도록 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서 얼음이 낙하하면서, 각각 상기 제1아이스 빈(80)와 상기 제2아이스 빈(86)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만빙 센서(82)에서 상기 제1아이스 빈(80)에 얼음이 만빙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112)에서 상기 유로(62)를 차단한다. 반면에 상기 제2만빙 센서(88)에서 상기 제2아이스 빈(86)에 얼음이 만빙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112)에서 상기 유로(64)를 차단한다. 따라서 각각의 노즐부로 물이 공급되지 못하고, 각각의 셀에 얼음이 생성되지 않아서 추가적인 얼음이 아이스 빈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6은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a는 얼음이 어는 과정에 냉매의 이동을 설명한 계통도이고, 도 6b는 저장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6b는 도 5b와 동일하고, 도 6a는 도 5a와 유사한 점이 있는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응축기(120)를 통과한 냉매는 두 개의 팽창밸브(132, 134)로 안내되도록 쓰리웨이 밸브(126)가 구비된다.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팽창 밸브(132)로 냉매를 안내하면, 냉매가 상기 제1증발기(142)로 공급되면서 상기 제1증발기(142)가 배치되는 상기 제1셀(321)에 얼음이 생성될수 있다. 반면에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팽창 밸브(134)로 냉매를 안내하면, 냉매가 상기 제2증발기(144)로 공급되면서 상기 제2증발기(144)가 배치되는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생성될수 있다.
상기 제1셀(321)에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46)에서 상기 제1노즐부(42)에 공급되는 유로를 차단해서, 상기 제1노즐부(42)를 통해서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상기 팽창 밸브(132)로 냉매가 이동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제1증발기(142)에 추가적인 냉매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펌프(70)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팽창 밸브(132, 134)로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를 모두 차단한다.
상기 트레이(32)에 얼려진 얼음을 아이스 빈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투 웨이 밸브(112)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압축기(90)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응축기를 거치지 않고 안내된다.
한편 상기 제1만빙 센서(82)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46)에서 상기 제1노즐부(42)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냉매가 상기 팽창 밸브(132)로 이동되는 유로를 차단한다.
도 7은 또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a는 얼음이 어는 과정에 냉매의 이동을 설명한 계통도이고, 도 7b는 저장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7a는 도 5a와 동일하고, 도 7b는 도 5b와 유사한 점이 있는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 탱크(50)에 저장된 물은 안내관(60)을 통해서 상기 제1펌프(72)와 상기 제2펌프(74)로 각각 안내된다. 상기 제1펌프(72)와 상기 제2펌프(74)로 안내된 물은 각각의 유로(62, 64)를 통해서 각각의 노즐부(42, 44)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셀(321)에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1펌프(72)의 구동을 중지한다. 반면에 상기 제2셀(322)에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2펌프(74)의 구동을 중지한다.
상기 제1만빙 센서(82)에서 상기 제1아이스 빈(80)에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제1펌프(72)의 구동을 중지한다.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투 웨이 밸스(112)에서 유로를 개방해서, 상기 압축기(90)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안내되어서, 상기 트레이(32)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도 8은 또 변형된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a는 얼음이 어는 과정에 냉매의 이동을 설명한 계통도이고, 도 8b는 저장 탱크에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도 7b와 동일하고, 도 8a는 도 6a와 동일하다.
상기 제1셀(321)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1펌프(72)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상기 제1증발기(142)로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를 차단한다.
상기 제2셀(322)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2펌프(74)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상기 제1증발기(142)로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냉매가 이동되는 유로를 모두 차단한다. 상기 제2셀(322)은 상기 제1셀(321)에 비해서 얼려지는 얼음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 동시에 얼음을 얼리기 시작하면, 상기 제2셀(322)에 늦게 얼음이 완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제1셀(321)에는 이미 얼음이 생성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셀(321)과 상기 제2셀(322)에 얼음을 아이스 빈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투 웨이 밸브(112)에서 상기 압축기(90)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제1증발기(142)와 상기 제2증발기(144)로 바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제1만빙 센서(82)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쓰리웨이 밸브(46)에서 상기 제1노즐부(42)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쓰리웨이 밸브(126)에서 냉매가 상기 팽창 밸브(132)로 이동되는 유로를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캐비닛 20: 도어
30: 증발부 40: 노즐부
42: 제1노즐부 44: 제2노즐부
50: 저장 탱크 70: 펌프
72: 제1펌프 74: 제2펌프
80: 제1아이스 빈 82: 제1만빙 센서
86: 제2아이스 빈 88: 제2만빙 센서
90: 압축기

Claims (1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얼음이 응결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셀은 크기가 작은 제1셀과, 상기 제1셀보다 크기가 큰 제2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부와, 상기 제2셀에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물과 상기 제2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물이 섞이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에 안내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노즐부와 상기 제2노즐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제2노즐부에 물을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상기 제1노즐부에 분기되는 유로와 상기 제2노즐부에 공급되는 유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마련되고, 각 유로를 개폐하는 쓰리웨이 밸브를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셀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는 제1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스 빈에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제1만빙 센서를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빙 센서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제1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셀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저장하는 제2아이스 빈을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이스 빈에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제2만빙 센서를 포함하는 아이스 머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만빙 센서에서 만빙이 감지되면, 상기 제2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셀에서 얼음이 완성되면, 상기 제1노즐부에서 상기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셀에서 얼음이 완성되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머신.
KR1020180164111A 2018-12-18 2018-12-18 아이스 머신 KR20200075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11A KR20200075440A (ko) 2018-12-18 2018-12-18 아이스 머신
EP19901004.2A EP3899385A4 (en) 2018-12-18 2019-12-11 ICE MACHINE
CN201980083326.6A CN113242951A (zh) 2018-12-18 2019-12-11 制冰机
US17/299,266 US11747068B2 (en) 2018-12-18 2019-12-11 Ice machine
PCT/KR2019/017448 WO2020130473A1 (en) 2018-12-18 2019-12-11 Ice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11A KR20200075440A (ko) 2018-12-18 2018-12-18 아이스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40A true KR20200075440A (ko) 2020-06-26

Family

ID=7110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111A KR20200075440A (ko) 2018-12-18 2018-12-18 아이스 머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47068B2 (ko)
EP (1) EP3899385A4 (ko)
KR (1) KR20200075440A (ko)
CN (1) CN113242951A (ko)
WO (1) WO20201304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30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7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5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053A (ko) * 2020-04-21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867444B2 (en) * 2021-07-01 2024-01-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inless clear ice maker for recycling water used to make clear ice
US20230027053A1 (en) * 2021-07-21 2023-01-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ear ice making systems and methods
KR20230132177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130A (en) * 1984-03-13 1985-03-19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making machine
DE19538026A1 (de) 1995-10-12 1997-04-17 Josef Hobelsberger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Eisstücken
JP2001194037A (ja) 2000-01-07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JP4590713B2 (ja) 2000-10-20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2002162137A (ja) 2000-11-21 2002-06-07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JP3781767B2 (ja) * 2005-09-06 2006-05-31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KR101452762B1 (ko) 2007-12-18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43976B1 (ko) 2012-11-14 2014-09-23 주식회사 동양매직 얼음 정수기
US20170003062A1 (en) * 2015-07-02 2017-01-05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Multi-evaporator sequencing apparatus and method
EP3485207B1 (en) 2016-07-15 2022-09-0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JP2018105522A (ja) 2016-12-22 2018-07-05 ホシザキ株式会社 自動製氷機
KR20180080021A (ko)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제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30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7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WO2023171965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7068B2 (en) 2023-09-05
EP3899385A4 (en) 2022-08-31
WO2020130473A1 (en) 2020-06-25
EP3899385A1 (en) 2021-10-27
US20220034570A1 (en) 2022-02-03
CN113242951A (zh)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5440A (ko) 아이스 머신
KR100547341B1 (ko) 냉장고
KR10164737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93508A1 (en) Refrigerator including high capacity ice maker
CN106152701B (zh) 喷淋式制冷设备及控制方法
KR20090066099A (ko) 냉장고용 제빙 장치
US8572999B2 (en) Refrigerator
KR20120012234A (ko) 급속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
US8448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EP2320175B1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621235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1576687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584273B1 (ko)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KR20060007245A (ko) 냉장고의 제빙 제어 장치
KR100584272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0584270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845151B1 (ko) 제빙기
JP6028216B2 (ja) 冷蔵庫
EP2097695B1 (en) Refrigerator
KR100519304B1 (ko) 냉장고
KR20200072122A (ko) 아이스 머신
US1142192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