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249Y1 -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 Google Patents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249Y1
KR200280249Y1 KR2020020010169U KR20020010169U KR200280249Y1 KR 200280249 Y1 KR200280249 Y1 KR 200280249Y1 KR 2020020010169 U KR2020020010169 U KR 2020020010169U KR 20020010169 U KR20020010169 U KR 20020010169U KR 200280249 Y1 KR200280249 Y1 KR 200280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refrigerant
water
ma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김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석 filed Critical 김봉석
Priority to KR202002001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24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각얼음을 생산하는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저온저압의 냉매(기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를 응축시켜 고온고안의 냉매(액체)로 만드는 응축기와, 냉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저장하는 리시버와, 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무화상태로 공급하는 팽창밸브, 무화상태의 냉매가 기체로 변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의 냉동싸이클로 구성되는 냉동장치로 얼음을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와는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조각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이 형성되는 제빙기 본체와; 상기 냉방장치의 증발기에 해당하며, 상기 제빙기 본체 상부의 제빙실 내측 상부에 수직상으로 현설되는 하나 이상의 제빙판으로 구성되는 제빙유니트와; 상기 제빙기 본체의 제빙실 하부 중심에 위치한 채 제빙유니트의 하방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분쇄칼날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평상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서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얼려진 후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분쇄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한쌍의 쇄빙롤러로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제빙실 하부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방 수실과; 상기 전,후방 수실의 수중에 침수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빙유니트의 상방측에 설치되어 제빙판의 상단 양측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전,후방 수중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Ice maker}
본 고안은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는 어선에서 어획한 물고기를 냉동상태 내지 저온상태로 보관 및 운반할 때 또는 수산시장 등에서 수산물의 판매를 위하여 판매대에 저온상태로 진열할 때 사용되는 조각얼음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양어업을 하는 대형어선의 경우에는 선박 자체에 냉동장치를 시설하고 있지만 근해에서 조업하는 소형어선의 경우에는 어선 자체에 냉동장치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소형어선의 경우에는 어획된 물고기를 장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조각얼음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안전하게 보관 운반하고 있으며, 특히 어선에서 수확된 물고기를 위탁판매하는 각 항구의 수산시장이나 또는 각 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수산시장 및 도서지역에 산재해 있는 시장 등에서 물고기를 판매할 목적으로 판매대에 진열할 때에는 주로 조각얼음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조각얼음은 위와 같이 수산물을 냉동 또는 저온상태로 보관 및 운반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아이스크림과 같은 빙과류 제조업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조각얼음을 많이 사용하는 대형의 수산시장이나 빙과류 제조업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조각얼음을 생산하고 있으나 상기한 빙과류 제조업체 등에서 조각얼음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궤짝과 같은 크기의 큰 얼음덩어리를 생산한 다음 그 큰 얼음덩어리를 쇄빙기로 작게 분쇄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조각얼음을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큰 크기의 얼음덩어리를 생산하는 냉동장치를 구비하지 못하는 소규모 업체에서는 조각얼음을 직접적으로 생산하지 못하고 대형의 제빙공장으로부터 공급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대형의 제빙공장에서 조각얼음을 공급받을 경우에는 물류비가 반드시 소요되며, 운반거리가 멀면 멀수록 물류비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조각얼음을 사용하는 소규모 업체를 비롯하여 각 도서지역에 산재해 있는 시장의 생선가게에서는 물류비가 추가된 공급가로 조각얼음을 납품받게 되기 때문에 비교적 비싼 가격으로 조각얼음을 공급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각얼음을 많이 사용하는 소규모 업체는 물론이고 각 도서지역의 시장에서 생선가게를 운영하는 업자들에게 비교적 싼 가격으로 조각얼음을 생산 및 공급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업체나 업자들 스스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조각얼음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단은,
저온저압의 냉매(기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를 응축시켜 고온고안의 냉매(액체)로 만드는 응축기와, 냉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저장하는 리시버와, 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무화상태로 공급하는 팽창밸브, 무화상태의 냉매가 기체로 변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의 냉동싸이클로 구성되는 냉동장치로 얼음을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하부에는 조각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이 형성되어 있는 제빙기 본체와;
상기 냉방장치의 증발기에 해당하며, 상기 제빙기 본체 상부의 제빙실 내측 상부에 수직상으로 현설되는 하나 이상의 제빙판으로 구성되는 제빙유니트와;
상기 제빙기 본체의 제빙실 하부 중심에 위치한 채 제빙유니트의 하방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분쇄칼날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평상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서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얼려진 후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분쇄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한쌍의 쇄빙롤러로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제빙실 하부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방 수실과;
상기 전,후방 수실의 수중에 침수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빙유니트의 상방측에 설치되어 제빙판의 상단 양측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전,후방 수중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후방 수실 각각의 상부는 제빙유니트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전,후방 수실로 유입되게 하는 무수히 많은 타공과 제빙유니트에서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이 한쌍의 쇄빙롤러를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는 전,후방 타공경사판으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번,후방 타공경사판 각각의 하단부분에는 제빙유니트에서 떨어지는 물이 안내통로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홈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냉동장치에는 제빙유니트의 전,후측 제빙판에 얼려있는 얼음을 탈빙시키기 위하여 리시버의 내상부에 존재하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제빙유니트의 전,후측 제빙판에 공급하는 쿨가스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빙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제빙유니트와 쇄빙롤러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빙유니트의 제빙판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빙기 본체 2 : 냉동장치
3 : 제빙유니트 3a,3b : 전,후측 제빙판
4a,4b : 한쌍의 쇄빙롤러 5a,5b : 전,후방 수실
6 : 판상의 얼음 7a,7b : 전,후방 수중펌프
8a,8b : 물감지센서 11 : 제빙실
12 : 얼음저장실 21 : 냉매공급라인
22 : 냉매회수라인 23 : 쿨가스공급라인
24,25,26 : 전자밸브 31 : 냉매순환관
41 : 구동모터 42 : 구동축
43 : 구동기어 44 : 연동기어
45 : 연동축 46a,46b : 분쇄칼날
72a,72b : 물공급관 73a,73b : 물분사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빙기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제빙유니트와 쇄빙롤러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빙유니트의 제빙판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제빙기 본체를, 2는 냉동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빙기 본체(1)는 상부의 제빙실(11)과 하부의 얼음저장실(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장치(2)는 기존의 냉동싸이클로 구성되는데, 냉동싸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응축기, 리시버 등의 구성요소는 상기 냉동장치(2)에 장착되어 있는 한편, 냉동싸이클의 구성요소 중 팽창밸브로부터 저온저압의 무화상태의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작용으로 주위의 차갑게 냉각시키는 증발기의 구성요소를 대신하는 제빙유니트(3)는 상기 제빙기 본체(1)의 제빙실(11)에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유니트(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빙판으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제빙실(11) 내부의 전,후 양측에 각기 복수개가 한조를 이루는 전,후측 제빙판(3a)(3b)으로 형성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 상기한 전,후측 제빙판(3a)(3b)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면서 수직상으로 현설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전,후측 제빙판(3a)(3b)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장치(2)의 냉매공급라인(21) 및 냉매회수라인(22)에 연결되는 냉매순환관(31)이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전,후측 제빙판(3a)(3b)으로 구성되는 제빙유니트(3)는 제빙기 본체(1)의 제빙실(11)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빙실(11)의 하부에는 그 중심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쇄빙롤러(4a)(4b)와, 상기 한쌍의 쇄빙롤러를 기준하여 그 전,후측에 전,후방 수실(5a)(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쇄빙롤러(4a)(4b)는 서로 수평상으로 마주하게 설치된 채 각기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빙기 본체(1)의 일측 외부에 구동모터(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42)과 이 구동축에 축착된 구동기어(43)에 치합되는 연동기어(44)가 축착된연동축(45)을 수평상으로 설치한 다음 상기 일측 쇄빙롤러(4a)는 구동기어(42)에 설치하고 타측 쇄빙롤러(4b)는 연동기어(45)에 설치하므로서 상기한 일측 쇄빙롤러(4a)는 구동축(42)과 같은 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반면, 타측 쇄빙롤러(4b)는 연동축(45)과 같은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쇄빙롤러(4a)(4b) 외주면 각각에는 톱니와 같이 생긴 분쇄칼날(46a)(46b)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있는데, 일측 쇄빙롤러(4a)의 분쇄칼날(46a)들과 타측 쇄빙롤러(4b)의 분쇄칼날(46b)들은 서로 어긋난 상태 즉, 일측 분쇄칼날(46a)들은 타측 분쇄칼날(46b)들 사이에 진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판상의 얼음을 잘게 분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쇄빙롤러(4a)(4b)가 설치된 구동축(42) 및 연동축(45) 각각의 양단에는 베어링(47)을 축설하여 제빙실(11)의 좌,우 양측의 지지대에 구동축 및 연동축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빙실(11)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전,후방 수실(5a)(5b)은 그 상방에 설치된 제빙유니트(3)에서 탈빙되는 판상의 얼음(6)이 한쌍의 쇄빙롤러(4a)(4b)로 떨어지게 하는 안내통로(51)가 형성되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전,후방 수실(5a)(5b)의 상부는 제빙유니트(3)에서 탈빙되어 떨어지는 판상의 얼음(6)이 안내통로(51)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 제빙유니트(3)의 전,후측 제빙판(3a)(3b)에서 얼음을 얼릴 때 또는 탈빙할 때 떨어지는 물이 전,후방 수실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타공(52)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는 타공판(52)으로 형성하며, 또 경사진 타공판(52)의 하부에는 상기 타공판(52)으로 떨어진 물이 타공(52)을 통해 수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받아주는 홈통(54)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상기 타공판(53)으로 떨어진 물이 밑으로 흘러서 안내통로(51)를 통해 얼음저장실(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 수실(5a)(5b) 각각의 내부에는 전,후방 수중펌프(7a)(7b)가 물속에 침수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후방 수중펌프(7a)(7b)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제빙유니트(3)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후방 수중펌프(7a)(7b) 각각의 배출구(71a)(71b)에는 물공급관(72a)(72b)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물공급관들의 타단은 전,후측 제빙판(3a)(3b) 상방에 설치된 물분사관(73a)(73b)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한 물분사관들 각각은 전,후측 제빙판(3a)(3b)들 각각의 상방 양측을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유니트(3)의 전,후측 제빙판(3a)(3b)들은 상기 물분사관에서 분사된 물이 상측에 분사된 직후부터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동안 얼려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또한 전,후측 제빙판(3a)(3b)들은 그 양측에 10∼30mm 정도의 두께로 얼음을 얼려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빙유니트(3)의 전,후방 제빙판(3a)(3b) 양측에 얼음이 소정의 두께로 얼려졌을 때에는 얼을을 탈빙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냉방장치(2)와 냉매순환관(31)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라인(21)에는 별로의 쿨가스공급라인(23)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쿨가스공급라인(23)은 냉동장치(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리시버(도시 없음)의 내상부에 존재하는 기체상태의 냉매(대략 40℃ 내외의 기체상태의 냉매 : 이하 쿨가스라 함)를 전,후방 제빙판(3a)(3b) 각각의 냉매순환관(31)에 공급하여 상기한 전,후반 제빙판들이 쿨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얼려있는 얼음을 탈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라인(21)과 냉매순환관(31)을 순환한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회수라인(22) 및 쿨가스를 공급하는 쿨가스공릅라인(23) 각각에는 냉매 및 쿨가스의 공급 및 회수를 제어하는 전자밸브(24)(25)(26)들이 각각 장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방 수실(5a)(5b) 각각에는 저장된 물이 적정수위 이하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보충수 공급관(55)을 통해 물을 보충시키도록 하는 물감지센서(8a)(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빙기 본체(1)의 전면 중간부분으로서 얼음저장실(12)의 전면 상부에는 그 얼음저장실(12)에 저장된 조각얼음을 인출할 수 있는 개폐문(13)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얼음저장실(12)의 일측 하부에는 드레인관(14)을 설치하여 얼음저장실에 고이게 되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얼음을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쿨가스공급라인(23)에 장설되어 있는 전자밸브(26)는 잠그고, 냉매공급라인(21) 및 냉매회수라인(22)에 장설된 전자밸브(24)(25)들은 열어 놓고 냉동장치(2)를 가동시켜 주면 냉동장치(2)의 팽창밸브를 거친 냉매가 냉매공급라인(21)을 통해 제빙유니트(3)를 구성하고 있는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냉매순환관(31)을 순환하면서 외부의 열을 빼앗는 열교환작용을 한 다음 냉매회수라인(22)으로 회수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냉매의 순환작동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빙유니트(3)의 전,후방 제빙판(3a)(3b)들이 외부의 열을 빼앗는 열교환작용으로 얼음을 얼려줄 수 있는 정도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장치가 동작하여 제빙실(11)내의 전,후방 수실(5a)(5b)에 설치되어 있는 전,후방 수중펌프(7a)(7b)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 수중펌프(7a)(7b)가 작동하게 되면 전,후방 수실(5a)(5b)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물공급관(72a)(72b)을 통해 펌핑 공급되어 물분사관(73a)(73b)으로 보내지며, 상기 물분사관들 각각은 분사공을 통해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상단을 향해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물분사관(73a)(73b)에서 분사되는 물은 전,후측 제빙판(3a)(3b)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그 양측의 상단으로 분사되는 직후부터 얼기 시작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동안 완전히 얼게 되며, 상기 물분사관(73a)(73b)에서 계속적으로 분사됨에 따라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양측에는 얼음이 점차로 두꺼워지게 되는데, 상기 냉동장치(2)는 제빙유니트(3)를 구성하고 있는 전,후측 제빙판(3a)(3b) 양측에 얼음이 10∼30mm 정도의 두께로 얼려줄 수 있는 냉동용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유니트(3)의 전,후측 제빙판(3a)(3b)은 그 양측에 얼음이 상기와 같은 소정의 두께로 얼때까지 열교환작동을 계속하여 진행하게 되므로서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양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얼음(6)이 얼려지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제빙유니트(3)의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양측에 얼음이 소정의두께로 얼게 되는 시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다시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장치가 동작하여 냉매공급라인(21)의 전자밸브(24)를 닫아주는 한편 쿨가스공급라인(26)의 전자밸브(26)를 열어주며, 이에 따라 냉동장치(2)에 설치되어 있는 팽창밸브에서는 냉매의 공급이 차단되는 반면에 리시버의 상부에 연결된 쿨가스공급라인(23)을 통해 쿨가스가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리시버 내부에는 액체상태의 냉매와 기체상태의 냉매가 공존하고 있으며, 액체상태의 냉매는 리시버의 내저부측에 존재하여 냉동장치(2)의 냉동작동시 팽창밸브로 이송되는 한편 기체상태의 냉매인 쿨가스는 리시버의 내상부측에 존재하여 팽창밸브쪽으로는 이송되지 않고 쿨가스공급라인(26)을 통해서만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공급라인(21)의 전자밸브(24)가 폐쇄되면 제빙유니트(3)는 제빙작동을 정지함과 동시 쿨가스공급라인(23)을 통해서 공급되는 쿨가스에 의하여 탈빙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즉, 쿨가스공급라인(23)을 통해 공급되는 쿨가스가 전,후측 제빙판(3a)(3b) 각각의 냉매순환관(31)으로 공급 순환하게 되면 상기 전,후측 제빙판(3a)(3b)들은 쿨가스의 온도(대략 40℃)에 의해 가열되므로서 그 양측에 얼어붙어 있던 판상의 얼음(6)은 탈빙되면서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와 때를 같이하여 콘트롤장치가 구동모터(41)를 구동시키고 있게 되므로서 전,후측 수실(5a)(5b) 상부의 경사진 타공판(53)으로 떨어짐과 동시 미끄러지면서 안내통로(51)로 이동되는 판상의 얼음(6)은 도 5와 같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쇄빙롤러(4a)(4b)의 분쇄칼날(46a)(46b)에 의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쇄되면서 얼음저장실(12)로 떨어져 저장되는 것이다.(도 5 참조)
상기에서 제빙유니트(3)의 탈빙작동은 전,후측 제빙판(3a)(3b)들이 교대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후측 제빙판(3a)(3b)들이 동시에 탈빙작동이 진행될 경우에는 전,후측 제빙판(3a)(3b)에서 탈빙되는 판상의 얼음(6)들이 동시에 안내통로(51)로 떨어지게 되어 양측에서 떨어지는 판상의 얼음(6)들이 안내통로(51) 상방에서 서로 엉키면서 한쌍의 쇄빙롤러(4a)(4b)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후측 제빙판(3a)(3b)들이 교대로 탈빙작동을 하게 되면 안내통로(51) 상방에서 판상의 얼음(6)들이 엉키는 사례를 없앨 수 있게 되어 탈빙된 판상의 얼음(6)을 한쌍의 쇄빙롤러(4a)(4b)가 쇄빙작동을 원활히 수행하여 조각얼음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빙유니트(3)의 전,후측 제빙판(3a)(3b) 양측에 얼려있던 판상의 얼음(6)을 교대로 탈빙하고 한쌍의 쇄빙롤러(4a)(4b)로 쇄빙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장치가 동작하여 쿨가스공급라인(23)의 전자밸브(26)는 폐쇄시키고 냉매공급라인(21)의 전자밸브(24)는 개방시켜서 냉동장치(2)가 다시 얼음을 얼려주는 냉동작동을 재차 개시하도록 함과 동시 전,후반 수중펌프(7a)(7b)를 펌핑작동시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판상의 얼음(6)을 재차 생산하는 제빙작동을 반복한 다음 판상의 얼음의 생산이 완료되면 또다시 탈빙작동 및 쇄빙작동을 되풀이하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조각얼음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조각얼음을 자동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냉동장치의 작동시켜 제빙기 본체의 제빙실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얼음을 제조한 다음 탈빙하여 작은 조각으로 분쇄시키는 일련의 제빙작동과 탈빙작동 및 쇄빙작동이 순차적으로 반복진행되면서 조각얼음이 생산할 수 있으므로 조각얼음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제빙기 본체와 냉동장치를 소형화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 업체에서도 조각얼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조각얼음을 많이 사용하는 업소에 비교적 싼 가격으로 조각얼음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저온저압의 냉매(기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를 응축시켜 고온고안의 냉매(액체)로 만드는 응축기와, 냉매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저장하는 리시버와, 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무화상태로 공급하는 팽창밸브, 무화상태의 냉매가 기체로 변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증발기의 냉동싸이클로 구성되는 냉동장치로 얼음을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하부에는 조각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얼음을 생산하는 제빙실이 형성되어 있는 제빙기 본체와;
    상기 냉방장치의 증발기에 해당하며, 상기 제빙기 본체 상부의 제빙실 내측 상부에 수직상으로 현설되는 하나 이상의 제빙판으로 구성되는 제빙유니트와;
    상기 제빙기 본체의 제빙실 하부 중심에 위치한 채 제빙유니트의 하방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분쇄칼날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평상으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서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얼려진 후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분쇄하는 한쌍의 쇄빙롤러와;
    상기 제빙유니트에서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을 한쌍의 쇄빙롤러로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제빙실 하부의 전,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전,후방 수실과;
    상기 전,후방 수실의 수중에 침수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빙유니트의 상방측에 설치되어 제빙판의 상단 양측에서 물을 분사시키는 물분사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전,후방 수중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수실 각각의 상부는 제빙유니트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전,후방 수실로 유입되게 하는 무수히 많은 타공과 제빙유니트에서 탈락되는 판상의 얼음이 한쌍의 쇄빙롤러를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는 전,후방 타공경사판으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번,후방 타공경사판 각각의 하단부분에는 제빙유니트에서 떨어지는 물이 안내통로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홈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장치에는 리시버의 내상부에 존재하는 기체상태의 냉매인 쿨가스를 제빙유니트의 전,후측 제방판에 공급하여 각 제빙판에 얼려있는 판상의 얼음을 탈빙시키기 위한 쿨가스공급라인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KR2020020010169U 2002-04-04 2002-04-04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KR200280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69U KR200280249Y1 (ko) 2002-04-04 2002-04-04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69U KR200280249Y1 (ko) 2002-04-04 2002-04-04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249Y1 true KR200280249Y1 (ko) 2002-06-29

Family

ID=7312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69U KR200280249Y1 (ko) 2002-04-04 2002-04-04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2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KR100600867B1 (ko) * 2003-11-27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52974B1 (ko) 2016-03-24 2016-09-01 구봉석 얼음 배출 장치
KR20200127699A (ko) 2019-05-03 2020-11-11 구봉석 제빙기
KR102315449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쇄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314A (ko) * 2002-10-24 2004-04-30 김봉석 제빙장치
KR100600867B1 (ko) * 2003-11-27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52974B1 (ko) 2016-03-24 2016-09-01 구봉석 얼음 배출 장치
KR20200127699A (ko) 2019-05-03 2020-11-11 구봉석 제빙기
KR102315449B1 (ko) * 2021-07-29 2021-10-21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쇄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762B1 (ko) 냉장고
KR101476452B1 (ko) 냉장기구를 위한 얼음제조 시스템
US9074804B2 (en) Refrigerator
US8408023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US20100031675A1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ice making of refrigerator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479462Y1 (ko) 드럼식 제빙기
US8453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US8448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KR20100137637A (ko)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572999B2 (en) Refrigerator
JP4437706B2 (ja) 海水シャーベット氷の製氷システム
CN101206092A (zh) 冰箱
KR200280249Y1 (ko)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1552059B1 (ko) 가루얼음 제조장치
CN102997528A (zh) 冷藏库
US4292816A (en) Ice making apparatus
KR100519304B1 (ko) 냉장고
US20200033041A1 (en) Apparatus for making fine ice with salinity
KR20170003707U (ko) 가루얼음 제빙기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CN220153052U (zh) 制冰机及制冷设备
KR100846889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0565607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