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07U - 가루얼음 제빙기 - Google Patents

가루얼음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07U
KR20170003707U KR2020160002080U KR20160002080U KR20170003707U KR 20170003707 U KR20170003707 U KR 20170003707U KR 2020160002080 U KR2020160002080 U KR 2020160002080U KR 20160002080 U KR20160002080 U KR 20160002080U KR 20170003707 U KR20170003707 U KR 20170003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tank
drum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Priority to KR2020160002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707U/ko
Publication of KR20170003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빙드럼의 일시 정지시 제빙수조내 원료수의 잔수를 남기지 않도록 하는 가루얼음 제빙기가 개시된다.
이 가루얼음 제빙기는, 냉각사이클부(A)와, 제빙드럼(1)과, 제빙드럼이 회전,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와, 제빙수조부(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제빙드럼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4)와, 소정 형상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제빙기 함체(5); 및 구동부를 포함하고, 바닥면이 제빙수조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반원곡면을 이루고, 이 반원곡면의 중심부에는 배수부를 설치하고, 이 배수부에 근접하여 펌프로서 원료수가 공급되는 급수부; 및 상기 급,배수부에 의하여 공급,배출되는 원료수를 집수,저장하는 보조수조;를 포함한다.
이 가루얼음 제빙기는 제빙수조내의 원료수 잔수발생을 방지하여 제빙수조의 위생생, 청결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가루얼음 제빙기{SNOW ICE MAKER}
본 고안은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정지상태에서 제빙수조내에 원료수의 잔수(殘水) 발생을 방지한 가루얼음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루얼음 제빙기는 원료수조의 내부에 원통상의 제빙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료수조내에서 제빙드럼의 일부가 침지되도록 설치되며, 제빙드럼의 내부에 냉동사이클(얼음을 얻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가 냉매배관에 의해 접속된 냉매순환계, 이하 냉각사이클부라고 함)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각과 동시에 제빙드럼이 회전하면서 제빙드럼의 표면에 얼음을 성장시키고, 이렇게 성장, 형성(結氷)된 얼음층에 미세간격을 두고 접촉되는 수평상의 칼날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제빙드럼 표면의 얼음을 칼날이 긁어내면서 얼음저장고로 혹은 용기에 담아 음용하는 드럼식 가루얼음 제빙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드럼식 가루얼음 제빙기는 등록공고된 실용신안 제1993-0000306호, 공개특허 제2006-0059632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자는 열전달 효율 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후자는 균일한 제빙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고, 이를 개선한 기술로 등록특허 제0821558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드럼 구조를 개량한 등록특허 제0878589호, 등록특허 제0809928호, 등록특허 제0825980호, 공개실용 제1999-0022144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제빙기등의 유체탱크(이하 제빙수조라고도 함)는 그 내벽면에 스크레치가 형성되지 않도록 최대한 매끄럽게 제작하여 원료수조 내벽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종래 알려진 대부분의 드럼식 제빙기에서 드럼이 침지되는 제빙수조는 회전중일지라도 제빙드럼이 작동하지 않거나 제빙작동이 정지상태에서는 제빙수조내 불필요한 원료수가 남아있을 필요가 없음에도 종래 제빙드럼내에는 원료수가 남아있게 되어 순수한 제빙수인 경우에는 물 때가 제빙수조내에 끼이게 되고, 원료수인 경우에는 증발에 의하여 원료가 찌꺼기로 남아있게 되어 제빙수조내부가 불결해지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원료수가 제빙드럼의 제빙이 일시 멈추어져 회전작동이 정지중인 상태에서 즉시 잔수를 배출하도록 하여 제빙수조내 물 때 및 원료등의 증발에 따른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루얼음 제빙기를 구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제빙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고, 이 제빙드럼의 저면에 위치한 제빙수조에서 외주면이 회전 접촉하고, 이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 결빙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를 구비하며, 가루얼음 출빙부, 이 출빙부의 하방은 개방부, 출빙부와 개방부를 제외한 배면, 양측면, 바닥 전체가 내부를 커버하는 소정 형상의 외부함체로 이루어지고, 제빙드럼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제빙수조의 일측을 축점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서 소정 폭(a)으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승하강하는 편심부; 상기 제빙수조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급수부; 및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로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로서 회전하도록 하되, 이 편심휠의 일측구간은 요부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를 형성하여 요부와 접촉하는 제빙수조의 일측은 하강하고, 돌부를 접촉하는 제빙수조의 타측은 상승하도록 하는 편심휠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이 편심휠의 축핀으로 제빙수조 타측이 상,하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편심휠과의 사이에 적어도 1단 이상의 링크부재, 축핀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제빙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고, 이 제빙드럼의 저면에 위치한 제빙수조에서 외주면이 회전 접촉하고, 이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 결빙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를 구비하며, 가루얼음 출빙부, 이 출빙부의 하방은 개방부, 출빙부와 개방부를 제외한 배면, 양측면, 바닥 전체가 내부를 커버하는 소정 형상의 외부함체로 이루어지고, 제빙드럼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조는,
바닥면이 제빙수조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반원곡면을 이루고, 이 반원곡면의 중간부에 근접하여 펌프로서 원료수가 공급,배출되는 급,배수관; 및 상기 급,배수관에 의하여 공급,배출되는 원료수를 집수,저장하는 보조수조;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급,배수관중 급수관에는 펌핑부재를 설치하고, 이 급수관에 근접하여 배수관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이 일시적으로 정지중인 상태에서 제빙수조내의 원료수를 보조수조로 배출토록 하여 일시 저장시키고, 제빙구동이 개시되면 다시 원료수를 제빙수조내로 펌핑,공급토록 하여 제빙작동이 없는 시간에는 원료수가 제빙수조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빙수조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하여 청결성이 보장된 제빙수조를 제공하며, 물은 물론 여러 가지 음료용 원료분말이 포함된 음료수의 경우 제빙작동이 없는 시간에도 제빙수조내에서 저장되어 있도록 함에 따른 내부 증발에 따른 원료가루등의 물질로 인하여 제빙수조가 비위생적으로 되는 점을 개선한 가루얼음 제빙기를 제공한다.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가루얼음 제빙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1실시예의 단면도 및 작용단면도이고,
도 4내지 도 5b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를 비우기 위한 작동을 구현하는 편심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6, 도 7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의 핀심작동구조의 다양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들이다.
도 8, 도 9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2실시예의 단면도 및 작용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가루얼음 제빙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압축기(A1), 응축기(A2), 팽창밸브(A3), 증발기(A4)가 하나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면서 냉매를 순차적으로 순환시켜 증발기(A4)를 통하여 외부열을 뻬앗아 증발기(A4) 주위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냉각사이클부(A)를 기본으로 하고, 물과 접촉되는 제빙드럼(1)의 내부에서 외부의 열을 빼앗아 얼음을 형성하는 드럼방식의 제빙기이다. 상기 도면중 도 1a,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제빙기 역시 제빙드럼(1)이 제빙수조부(2)의 원료수에 접촉하면서 제빙드럼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을 칼날부(4)를 통하여 긁어내는 가루얼음 제빙기를 기본구성으로 한다.
냉각사이클부(A)은 제빙드럼(1) 내부에 냉매를 공급하여 제빙드럼(1)의 외주면을 냉각시킨다. 냉각사이클부(A)은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원료수가 회전하면서 그 표면에 얼음(I)을 형성한다.
냉각사이클부(A)는 압축기(A1)와, 응축기(A2)와, 팽창부(A3)와,증발기(A4)를 포함한다. 압축기(A1)는 냉매를 압축시킨다.
압축기(A1)는 제빙드럼(1)에서 저온저압으로 배출되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응축기(A2)는 압축기(A1)를 거쳐 압축된 냉매가 응축된다. 응축기(A2)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된 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킬 수 있다.
팽창부(A3)는 응축기(A2)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제빙드럼(1)의 내부에서 증발되도록 공급한다. 팽창부(A3)는 응축에 의해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로 팽창시켜 제빙드럼(1)의 내부에 공급한다. 이때, 제빙드럼(1)의 내부에는 냉매를 분사시키는 노즐과 이 노즐에 이르도록 파이프타입의 증발기(A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빙드럼(1)의 냉각은 냉각사이클부(A)의 팽창부(A3)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공급되는 증발기(A4)가 제빙드럼(1)의 내부 중심에서 분사용 노즐등에서 분사되도록 설치된 것에 의하여 제빙드럼(1) 외주면에서 제빙수를 결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빙수조부(2)는 원료공급부(3)의 원료수조에서 연장된 원료수가 담겨진다. 제빙수조부(2)의 원료수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소정의 깊이로 접촉되도록 침지상태를 유지한다. 제빙수조부(2)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회전하면서 접촉하도록 제빙드럼(1)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원료수공급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료 공급수조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칼날부(4)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정면 출빙부 직하방에서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제빙드럼(1)이 회전됨에 따라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된 칼날부(4)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결빙되는 얼음(I)을 긁어낼 수 있다. 제빙드럼(1)의 회전은 알려진 동력전달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부함체(도시생략)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콤팩트한 제빙기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대략 출빙부의 정면에는 투시창이 형성됨과 아울러 설빙이 낙하되는 직하방 공간은 개방부를 이루고, 설빙을 담는 용기(컵)은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며, 바닥에는 턴테이블이 구동되는 받침구조를 설치하거나 생략한 소형의 가루얼음 제빙기를 구현한다. 통상 알려진 소형 정수기 혹은 가정용 정수기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는 정육면체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는 제빙드럼(1)의 일측에 구동모터와 감속기등으로 회전축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빙드럼(1)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는 종래 선출원된 드럼 제빙기(실용신안 출원제20-02015-0002301호)의 구성과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중 도 2와 도 3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1실시예의 단면도 및 작용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b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를 비우기 위한 작동을 구현하는 편심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6, 도 7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의 핀심작동구조의 다양한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들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1실시예의 제빙수조부(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부(2)는 제빙수조(21)의 일측을 축점(23)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서 소정 폭으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승하강하는 편심부(20)를 구비한다. 제빙수조(21)의 중간부에는 펌핑부재(25)로서 공급,펌핑되는 급수부(24)를 형성하고, 제빙수조(21)의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부(22)를 형성한다. 이러한 급수부(24)의 하단은 보조수조(26)내 원료수를 펌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배수부(22)는 보조수조(26)와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급수부(24)와 배수부(22)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로 실시한다.
한편, 상기 편심부(2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0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201)로서 회전하도록 하되, 이 편심휠(201)의 일측구간은 요부(201a)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201b)를 형성하여 요부(201a)와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일측은 하강하고, 돌부(201b)를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타측은 상승하도록 하는 편심된 편심휠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편심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편심부(20)는 도 5a,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조(21)의 축점(23)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203)로서 회동하는 편심휠(201)을 설치하고, 편심휠(201)과 제빙수조(21)와의 사이에 축핀(205)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핀(205)에 의한 편심구동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7과 같이 다단 연결되는 축핀(205)와 링크부재(204),(206)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부(2)는 제빙수조(21)의 일측을 축점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서 소정 폭으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승하강하는 편심부(20)를 구비한다. 제빙수조(21)의 중간부에는 급수부(24) 및 제빙수조(21)의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부(22)로 이루어진다. 급수부(24)와 배수부(22)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로 실시한다.
한편, 상기 편심부(2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0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201)로서 회전하도록 하되, 이 편심휠(201)의 일측구간은 요부(201a)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201b)를 형성하여 요부(201a)와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일측은 하강하고, 돌부(201b)를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타측은 상승하도록 하는 편심된 편심휠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편심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편심부(20)는 도 5a,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조(21)의 축점(23)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203)로서 회동하는 편심휠(201)을 설치하고, 편심휠(201)과 제빙수조(21)와의 사이에 축핀(205)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핀(205)에 의한 편심구동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7과 같이 다단 연결되는 축핀(205)와 링크부재(204),(206)로도 실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8, 도 9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2실시예의 단면도 및 작용설명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2실시예의 제빙수조부(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부(2)는 제빙수조(21)의 일측을 축점(23)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21)의 타측에서 소정 폭으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승하강하는 편심부(20)를 구비한다. 이 제빙수조(21)의 바닥은 일측이 곡면부(21a)를 형성하고, 타측은 수평면(21b)를 형성할 수 있다. 곡면부(21a)의 형성은 편심부(20)의 편심작동시 잔수의 완전배출을 위하여 구현되며, 그 배치구조 및 배치 설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빙수조(21)의 중간부에는 펌핑부재(25)로서 공급,펌핑되는 급수부(24)를 형성하고, 제빙수조(21)의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부(22)를 형성한다. 이러한 급수부(24)의 하단은 보조수조(26)내 원료수를 펌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배수부(22)는 보조수조(26)와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급수부(24)와 배수부(22)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로 실시한다.
한편, 상기 편심부(2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0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201)로서 회전하도록 하되, 이 편심휠(201)의 일측구간은 요부(201a)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201b)를 형성하여 요부(201a)와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일측은 하강하고, 돌부(201b)를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타측은 상승하도록 하는 편심된 편심휠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편심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편심부(20)는 도 5a,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조(21)의 축점(23)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203)로서 회동하는 편심휠(201)을 설치하고, 편심휠(201)과 제빙수조(21)와의 사이에 축핀(205)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핀(205)에 의한 편심구동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7과 같이 다단 연결되는 축핀(205)와 링크부재(204),(206)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부(2)는 제빙수조(21)의 일측을 축점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서 소정 폭(a)으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승하강하는 편심부(20)를 구비한다. 제빙수조(21)의 중간부에는 급수부(24) 및 제빙수조(21)의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부(22)로 이루어진다. 급수부(24)와 배수부(22)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로 실시한다.
한편, 상기 편심부(20)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203)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201)로서 회전하도록 하되, 이 편심휠(201)의 일측구간은 요부(201a)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201b)를 형성하여 요부(201a)와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일측은 하강하고, 돌부(201b)를 접촉하는 제빙수조부(2)의 타측은 상승하도록 하는 편심된 편심휠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편심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수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편심부(20)는 도 5a,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빙수조(21)의 축점(23)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203)로서 회동하는 편심휠(201)을 설치하고, 편심휠(201)과 제빙수조(21)와의 사이에 축핀(205)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핀(205)에 의한 편심구동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7과 같이 다단 연결되는 축핀(205)와 링크부재(204),(206)로도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드럼과 제빙수조의 작동구조를 알 수 있는 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부(2)는 곡면부(21a)로 좌,우 양측에 대칭적인 반원형 제빙수조(21)로 이루어진다. 이 제빙수조(21)에는 축점(23)이 없다. 즉, 제빙수조(21)의 가운데에 펌핑부재(25)를 구비한 급수부(24)를 설치하여 보조수조(26)내에서 원료수를 펌핑가능하게 하고, 특히, 반원곡면형인 본 고안 제빙수조(21) 중심부에는 배수부(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급수부(24)의 펌핑에 따른 펌핑부재(25)의 작동구조는 일반적인 제어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빙수조(21) ,급수부(24) ,배수부(22) 및 펌핑부재(25)의 배치 및 구조의 설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 반원곡면형의 제빙수조(21) 바닥에서 펌핑부재(25)로서 펌핑되는 원료수가 보조수조(26)내에서 펌핑,공급되는 급수부(24)를 형성하고, 제빙수조(21)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배수부(22)를 통하여 원료수의 완전한 배출이 가능하여 진다. 급수부(24)의 하단은 보조수조(26)내 원료수를 펌핑하는 위치에 연결되고, 배수부(22)는 보조수조(26)와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급수부(24)와 배수부(22)는 파이프 혹은 호스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원료수의 전부 배출이 이루어진 상태는 제빙수조부(2)를 청소한다든가 제빙작동이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펌핑부재(25)를 펌핑,구동하여 보조수조(26)내 원료수를 끌어올려 원료수의 수위를 유지 가능할 것이다. 혹은 원료수를 배출하고 난 경우에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부에 설비된 원료수조을 통하여 원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가루얼음 용기(컵)이 낙하위치에 위치하면 수작업으로 구동부를 스위칭하여 제빙드럼(1)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빙드럼(1)이 제빙수조(21)에 침지상태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빙드럼(1)내측에 가해진 냉각사이클부(A)의 순환냉매로 인하여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결빙되므로 제빙드럼(1) 외측의 칼날부(4)에 의하여 소정량의 설빙이 낙하되어 용기에 일정량이 용기에 담겨진다. 이러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제빙후 곧바로 원료수를 배출시켜 원료수가 소정시간 저장됨에 따른 제빙드럼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 냉각사이클부, A1: 압축기,A2: 응축기,A3: 팽창밸브, A4:증발기,
1: 제빙드럼, 2: 제빙수조부, 4: 칼날부, 6:구동부, 20:편심부,
21:제빙수조, 21a,:곡면부,21b:수평면, 22:배수부, 23:축점, 24:급수부,
25:펌핑부재, 26:보조수조, 201:편심휠(偏心wheel),201a:요부, 201b:돌부,
203:구동모터, 205:축핀, 204,206:링크부재,

Claims (5)

  1.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제빙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고, 이 제빙드럼의 저면에 위치한 제빙수조에서 외주면이 회전 접촉하고, 이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 결빙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를 구비하며, 가루얼음이 출빙되는 출빙부를 형성하되 내부를 외부함체로 커버하고, 상기 제빙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제빙수조의 일측을 축점으로 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서는 편심구동하여 상,하동되는 편심부;
    상기 제빙수조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펌핑부재로서 원료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에 대향하는 바닥측에 설치되는 배수부;
    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바닥측의 축점을 기준으로 타측 바닥에 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편심휠이 접촉되어 상,하동 가능하게 하고, 이 편심휠은 그 일측구간은 요부를 이루고, 나머지 구간은 돌부를 형성하여 제빙수조의 타측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을 기준으로 타측에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이 편심휠에 형성된 축핀이 제빙수조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하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상기 편심휠과의 사이에 적어도 1단 이상의 링크부재, 축핀으로 연결되어 제빙수조의 타측이 상,하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5.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제빙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고, 이 제빙드럼의 저면에 위치한 제빙수조에서 외주면이 회전 접촉하고, 이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 결빙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를 구비하며, 가루얼음이 출빙되는 출빙부를 형성하되 내부를 외부함체로 커버하고, 상기 제빙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조는,
    바닥면이 제빙수조의 원주면에 대응하는 반원곡면을 이루고, 이 반원곡면의 중심부에는 배수부를 설치하고, 이 배수부에 근접하여 펌프로서 원료수가 공급되는 급수부; 및
    상기 급,배수부에 의하여 공급,배출되는 원료수를 집수,저장하는 보조수조;
    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KR2020160002080U 2016-04-18 2016-04-18 가루얼음 제빙기 KR201700037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80U KR20170003707U (ko) 2016-04-18 2016-04-18 가루얼음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80U KR20170003707U (ko) 2016-04-18 2016-04-18 가루얼음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07U true KR20170003707U (ko) 2017-10-26

Family

ID=6040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80U KR20170003707U (ko) 2016-04-18 2016-04-18 가루얼음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7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81B1 (ko)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102163810B1 (ko) * 2020-03-04 2020-10-08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81B1 (ko)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WO2021080104A1 (ko) * 2019-10-22 2021-04-29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US11982482B2 (en) 2019-10-22 2024-05-14 Ermacdang Device for processing ice for ice be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e beer
KR102163810B1 (ko) * 2020-03-04 2020-10-08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462Y1 (ko) 드럼식 제빙기
KR101793054B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20180002613A (ko) 청정 응축기를 유지하기 위해 역전 응축기 팬 모터를 가진 제빙기
KR101696860B1 (ko)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상수 포집 방법
KR20090109416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US8572999B2 (en) Refrigerator
KR101552613B1 (ko) 드럼 제빙기의 냉동유 회수장치
KR20170003707U (ko) 가루얼음 제빙기
CN101846423B (zh) 制冰装置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1642298B1 (ko) 눈꽃빙수 제빙기
KR101662748B1 (ko) 냉매누설 방지 드럼구조를 갖는 제빙기
KR101552059B1 (ko) 가루얼음 제조장치
US4292816A (en) Ice making apparatus
JP6767097B2 (ja) 製氷機
KR200481300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200481000Y1 (ko) 가루얼음 제빙기
CN204865057U (zh) 一种液体冷冻浓缩装置
JP5253944B2 (ja) 自動製氷機
KR20090030689A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KR20090128906A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200280249Y1 (ko) 조각얼음제조용 제빙기
KR200481028Y1 (ko) 가루얼음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