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81B1 -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81B1
KR102087581B1 KR1020190131522A KR20190131522A KR102087581B1 KR 102087581 B1 KR102087581 B1 KR 102087581B1 KR 1020190131522 A KR1020190131522 A KR 1020190131522A KR 20190131522 A KR20190131522 A KR 20190131522A KR 102087581 B1 KR102087581 B1 KR 10208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ice
unit
supply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102019013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81B1/ko
Priority to US17/594,988 priority patent/US11982482B2/en
Priority to PCT/KR2020/006135 priority patent/WO20210801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2Freezing surface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일면 상부에는 한 쌍의 설치대가 수평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종단면에 각각 샤프트가 형성되고, 샤프트들이 각각 설치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외주면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빙부; 샤프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설치대에 설치되고,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빙부의 하측의 설치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제빙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저장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저장부; 설치대들 사이 및 제빙부와 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맥주를 저장하고 낙하시키는 공급부;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종단이 제빙부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분쇄부를 포함하되, 맥주는 공급부로부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고, 제빙부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맥주와 접촉되고, 맥주 얼음층이 제빙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분쇄부는 맥주 얼음층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을 분쇄하면서 제빙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Ice processing equipment for ice beer and methods of making ice beer}
본 발명은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하고 얼음을 이용하여 맥주를 시원하면서 맛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제 맛을 잃어버리기 쉽다. 예를 들어, 맥주의 경우,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소비자는 맥주 속에 있는 향미 성분을 제대로 음미하기 어려운 반면에, 온도가 높으면 고유의 청량감이 소비자에게 제공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맥주를 시원하게 마셔야 맥주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맥주가 미지근하면 맥주 거품이 많이 발생되고, 맥주가 지나치게 차면 맥주 거품이 발생되지 않아, 소비자는 미각이 마비되어 맥주의 맛을 싱겁게 느껴질 수 있다. 특히, 생맥주는 4℃ 내지 6℃의 온도에서 최적의 맛과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고정 판매대가 설치된 레스토랑, 호프집 등과 같은 판매점을 통해 생맥주를 음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판매되는 생맥주는 생맥주 공급통에 저장된 상태에서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용기(예를 들어, 맥주컵, 맥주잔 등)에 담겨져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소비자는 시원하게 냉각된 생맥주를 음용하고자 하기에,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도록 맥주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맥주는 공급통에 저장된 상태로 통체로 냉장고에 저장되어 공급통과 함께 냉각된다. 냉각된 공급통의 생맥주는 탄산가스통에 압축된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생맥주가 저장된 공급통이 통체로 냉장고에 저장되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냉장고가 필요하게 되고, 생맥주의 냉각 시간도 장시간 필요하여 전력 사용에 따른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생맥주를 담고자 하는 용기는 냉장고에서 냉각되지만, 실온에서는 용이하게 온도가 상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얼음을 필요로 할 때 바로 생성하고 분쇄함으로써 가공하여, 가공된 얼음을 맥주를 담은 용기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얼음을 준비하여 용기에 담긴 맥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일면 상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한 쌍의 설치대가 수평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몸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종단면에 각각 샤프트가 형성되고, 샤프트들이 각각 설치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한 쌍의 설치대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외주면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빙부; 샤프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설치대에 설치되고,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빙부의 하측의 설치대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제빙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저장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된 저장부; 설치대들 사이 및 제빙부와 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맥주를 저장하고 낙하시키는 공급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종단이 제빙부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분쇄부;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들 사이에서 설치대들을 연결하고, 분쇄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분쇄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된 컵에 맥주가 채워지고, 컵은 분쇄부와 유도부의 아래에서 분쇄부와 유도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분쇄부의 일종단면에는 제빙부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분쇄부의 일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 쐐기형의 복수 개의 분쇄 가이드들이 형성되며, 분쇄 가이드의 일종단과 제빙부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제빙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맥주 얼음층의 두께보다 작으며, 맥주는 공급부로부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고, 제빙부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저장 공간의 맥주와 접촉되고, 맥주 얼음층이 제빙부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분쇄 가이드들은 각각 맥주 얼음층에 접촉되어 분쇄 가이드의 폭에 대응하는 형태로 맥주 얼음층을 제빙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맥주 얼음층은 분쇄부와 유도부 사이로 유도되어 분쇄부를 따라 낙하하며 컵에 담긴 맥주의 위에 채워지며, 제빙부에서 분쇄 가이드에 의해 맥주 얼음층이 분리된 부분은 다시 저장부의 저장 공간에 삽입되어 맥주와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켜 맥주 얼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저장 공간은 제빙부 및 공급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공급부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공급 저장부; 및 설치대들 사이 및 제빙부와 몸체 사이에서 저장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공급 저장부가 위치될 때 공급 저장부의 하면을 개방하는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되, 공급 저장부의 하면이 공급 제어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맥주는 공급 저장부로부터 공급 제어부를 통해 저장 공간을 향하여 낙하되어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저장부는 공급 제어부로부터 분리되면, 공급 저장부의 하면은 폐쇄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저장 공간의 내측면은 제빙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얼음 가공 장치는, 공급부에 대응하도록 공급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저장 공간의 상면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공급부로부터 낙하된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급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으로부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은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는 맥주의 유량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제빙부는 맥주와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맥주 얼음층을 저장부로부터 몸체, 공급부 및 분쇄부 순으로 대응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은, (a) 용기가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되는 단계; (b) 맥주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의 일부에 채워지는 단계; 및 (c) 얼음이 분쇄되어 맥주가 공급된 용기의 나머지 일부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얼음이 필요로 할 때 바로 생성되고 분쇄되어, 맥주를 담은 용기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2) 얼음이 준비되어 용기에 담긴 맥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는 몸체(101), 제빙부(102), 구동부(103), 저장부(104), 공급부(105), 분쇄부(106) 및 유도부(107)를 포함하고, 맥주와 함께 혼합될 수 있도록 얼음을 생성하고 분쇄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얼음은 맥주를 결빙한 상태로 가공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결빙한 상태로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물로부터 가공된 얼음은 맥주뿐 아니라 소다수, 생수, 주스 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에 공급되어 혼합될 수 있다.
몸체(1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101)는 테이블 또는 작업대의 상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몸체(101)의 일면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11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대(111)들은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설치대(111)들의 상면은 몸체(10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빙부(10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종단면의 중앙에는 각각 샤프트(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빙부(102)는 설치대(111)들 사이에 위치되고, 샤프트(121)들은 각각 설치대(111)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빙부(102)는 설치대(111)들 사이에 양종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12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빙부(102)는 냉각되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빙부(102)의 내부에는 냉각 장치(미도시 됨)이 설치될 수 있고, 냉각 장치는 몸체(101)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미도시 됨)에 연결되고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103)는 샤프트(121)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설치대(111)에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부(103)는 샤프트(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103)는 샤프트(1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빙부(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몸체(101)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는 구동부(10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저장부(104)는 제빙부(102)의 하측의 설치대(111)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저장부(104)는 설치대(111)들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저장 공간(14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저장 공간(141)은 저장부(1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부(102)의 일부는 저장 공간(141)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141)에 삽입될 수 있다.
공급부(105)는 설치대(111)들 사이 및 몸체(101)와 제빙부(102)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101)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급부(105)는 몸체(101)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몸체(101)의 일면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급부(105)는 맥주를 저장하고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맥주는 공급부(105)로부터 낙하되어 저장부(104)를 향하고, 설치대(111)들 사이 및 몸체(101)와 제빙부(10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 이후에 저장 공간(141)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맥주가 저장 공간(141)에 유입되어 소정의 수위를 형성할 때, 제빙부(102)의 일부는 맥주에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킨다. 여기서, 맥주는 얼음으로 형성되어 제빙부(102)의 외주면에 맥주 얼음층(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부(105)는 공급 저장부(151) 및 공급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저장부(151)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는 개폐될 수 있되,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가 폐쇄되면 맥주는 공급 저장부(151)에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반면에,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가 개방되면, 공급 저장부(151)에 저장된 맥주는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급 제어부(153)는 설치대(111)들 사이 및 몸체(101)와 제빙부(102) 사이에서 저장 공간(14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저장부(151)는 공급 제어부(153)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급 제어부(153)에 결합될 수 있고, 공급 제어부(153)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공급 저장부(151)가 공급 제어부(153)의 상면에 위치될 때,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는 개방되고, 맥주는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 및 공급 제어부(153)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부(104)를 향하여 낙하되고 저장 공간(141)에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공급 저장부(151)가 공급 제어부(153)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는 폐쇄되고, 맥주는 공급 저장부(151)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분쇄부(106)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111)들 사이에서 제빙부(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여기서, 제빙부(102)는 몸체(101)와 분쇄부(106) 사이에 위치된다.
분쇄부(106)의 일종단은 제빙부(102)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분쇄부(106)의 일종단과 제빙부(10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제빙부(1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맥주 얼음층(10)의 두께보다 작다. 맥주 얼음층(10)이 외주면 상에 형성된 제빙부(102)가 회전될 때, 분쇄부(106)는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조각 형태로 생성하고 제빙부(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조각 형태로 제빙부(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쇄부(106)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설치대(111)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테이블 또는 작업대 상에 위치된 용기(1)에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는 설치대(111)들 사이 및 분쇄부(106)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을 자연스럽게 수집할 수 있다.
유도부(107)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111)들을 연결하면서 분쇄부(106)에 대응되면서 분쇄부(106)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유도부(107)와 분쇄부(106)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분쇄부(106)가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조각 형태로 분쇄하면서 제빙부(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부(106)를 따라 낙하되면서 분쇄부(106)와 유도부(107) 사이를 통과한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되어 조각 형태를 갖는 상태에서 분쇄부(106)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유도부(107)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107)는 조각 형태로 분쇄된 맥주 얼음층(10)을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공급부(105)의 공급 저장부(151)에는 맥주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공급 저장부(151)는 맥주를 저장한 상태에서 공급 제어부(153)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급 제어부(153)에 결합된다. 여기서, 맥주는 공급 저장부(151)로부터 공급 저장부(151)의 하면 일부 및 공급 제어부(153)를 통해 저장부(104)의 저장 공간(141)을 향하여 낙하된다. 맥주는 저장 공간(141)에 유입되고, 저장 공간(141)에서 맥주의 수위는 점점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빙부(102)의 일부는 저장 공간(141)에 삽입되고 저장 공간(141)에 유입된 맥주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부(102)의 외주면은 영하의 온도를 갖기에, 맥주는 제빙부(102)에 접촉되어 결빙되어, 맥주 얼음층(10)이 제빙부(1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빙부(102)는 구동부(103)에 의해 샤프트(12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맥주 얼음층(10)이 저장부(104)로부터 몸체(101), 공급부(105) 및 분쇄부(106) 순으로 대응하도록 제빙부(102)의 회전(도 2의 화살표 참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제빙부(102)의 외주면 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빙부(102)의 회전으로 인해, 맥주 얼음층(10)과 분쇄부(106)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쇄부(106)는 제빙부(102)의 회전력과 조합하여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조각 형태로 생성하고 제빙부(1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시킨다.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부(106)를 따라 낙하되면서 분쇄부(106)와 유도부(107) 사이를 통과한다. 이러한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설치대(111)들의 하측에서 분쇄부(106)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용기(1)에 수집될 수 있고, 일부를 맥주를 담은 용기에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빙부(102)의 회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제빙부(102)에서 맥주 얼음층(10)이 분리된 부분은 다시 저장부(104)의 저장 공간(141)에 삽입되어 맥주와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에서 제빙부(102)는 일부를 공급부(105)로부터 저장부(104)에 공급된 맥주에 지속적으로 접촉시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하고, 분쇄부(106)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제빙부(102)에 형성된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용기(1)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맥주로부터 생성된 얼음은 필요로 할 때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분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는 필요로 한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하여 맥주를 저장한 용기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는 몸체(301), 제빙부(302), 구동부(303), 저장부(304), 공급부(305), 공급 유도부(306), 분쇄부(307) 및 유도부(308)를 포함하고, 맥주와 함께 혼합될 수 있도록 얼음을 생성하고 분쇄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얼음은 맥주를 결빙한 상태로 가공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결빙한 상태로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물로부터 가공된 얼음은 맥주뿐 아니라 소다수, 생수, 주스 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에 공급되어 혼합될 수 있다.
몸체(3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301)는 테이블 또는 작업대의 상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몸체(301)의 일면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대(31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대(311)들은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설치대(311)들의 상면은 몸체(30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빙부(30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종단면의 중앙에는 각각 샤프트(3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빙부(302)는 설치대(311)들 사이에 위치되고, 샤프트(321)들은 각각 설치대(311)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빙부(302)는 설치대(311)들 사이에 양종단면의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32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빙부(302)는 냉각되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빙부(302)의 내부에는 냉각 장치(미도시 됨)이 설치될 수 있고, 냉각 장치는 몸체(301)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미도시 됨)에 연결되고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303)는 샤프트(321)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설치대(311)에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부(303)는 샤프트(3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구동부(303)는 샤프트(32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빙부(3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몸체(301)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는 구동부(30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저장부(304)는 제빙부(302)의 하측의 설치대(311)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저장부(304)는 설치대(311)들 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에는 저장 공간(34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빙부(302)의 일부는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341)에 삽입될 수 있다.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은 제빙부(302)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여기서, 제빙부(302)의 일부 외주면과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실시예의 저장 공간(141)에 공급된 맥주와 동일한 양으로 저장 공간(341)에 맥주가 공급된 상태에서, 맥주는 제 1 실시예의 저장 공간(141)보다 저장 공간(341)에서 높은 수위를 형성할 수 있고, 제빙부(302)의 일부가 저장 공간(3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빙부(302)는 맥주와의 더 넓은 접촉면적을 갖게 되고 안정적으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에는 배출홀(343)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홀(343)은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의 중앙에 형성된다.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 유입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배출홀(343)을 통해 저장 공간(34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은 제빙부(302)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출홀(343)이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의 중앙에 형성되기에,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 유입되어 배출홀(343)을 향하도록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343)을 통해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이 저장 공간(341)으로 유입되는 맥주의 유량의 20% 내지 50%일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배출홀(343)은 형성될 수 있다. 맥주가 저장 공간(341)에 공급된 상태에서, 맥주는 저장 공간(341)로부터 흘러넘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우선적으로 저장 공간(341)에 유입된 맥주는 우선적으로 배출홀(34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지속적으로 맥주가 저장 공간(341)에 공급되는 경우, 오래 전에 저장 공간(341)에 공급된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맥주가 저장 공간(341)에 공급되지 않은 경우,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서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서 상대적으로 신선한 상태로 저장되어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맥주는 배출홀(343)을 통과한 이후에 별도로 수집될 수 있다.
공급부(305)는 설치대(311)들 사이 및 몸체(301)와 제빙부(302)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301)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급부(305)는 몸체(301)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몸체(301)의 일면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공급부(305)는 맥주를 저장하고 하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맥주는 공급부(305)로부터 낙하되어 설치대(311)들 사이 및 몸체(301)와 제빙부(30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305)는 공급 저장부(351) 및 공급 제어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저장부(351)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는 개폐될 수 있되,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가 폐쇄되면 맥주는 공급 저장부(351)에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반면에,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가 개방되면, 공급 저장부(351)에 저장된 맥주는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급 제어부(353)는 설치대(311)들 사이 및 몸체(301)와 제빙부(302)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공급 저장부(351)는 공급 제어부(353)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급 제어부(353)에 결합될 수 있고, 공급 제어부(353)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공급 저장부(351)가 공급 제어부(353)의 상면에 위치될 때,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는 개방되고, 맥주는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 및 공급 제어부(353)를 통해 배출되어 낙하될 수 있다. 한편, 공급 저장부(351)가 공급 제어부(353)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는 폐쇄되고, 맥주는 공급 저장부(351)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공급 유도부(306)는 공급부(305)에 대응하도록 공급부(305)의 하측에 위치되어 저장 공간(341)의 상면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맥주는 공급부(305)로부터 낙하되어 공급 유도부(306)로 공급되고, 공급 유도부(306)를 통해 저장 공간(341)에 유입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저장 공간(341)의 내측면이 제빙부(302)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경우, 본 실시예의 저장 공간(341)은 제빙부(30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공급부(305)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맥주는 공급부(305)로부터 낙하될 때 저장 공간(341)에 유도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공급 유도부(306)는 공급부(305)로부터 낙하된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 공간(341)으로 유도하여, 맥주를 안정적으로 저장 공간(341)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맥주가 저장 공간(341)에 유입되어 소정의 수위를 형성할 때, 제빙부(302)의 일부는 맥주에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킨다. 여기서, 맥주는 얼음으로 형성되어 제빙부(302)의 외주면에 맥주 얼음층(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쇄부(307)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311)들 사이에서 제빙부(3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여기서, 제빙부(302)는 몸체(301)와 분쇄부(307) 사이에 위치된다.
분쇄부(307)의 일종단면에는 복수 개의 분쇄 가이드(371)들이 제빙부(302)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분쇄 가이드(371)들은 분쇄부(307)의 일종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제빙부(302)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분쇄 가이드(371)의 일종단과 제빙부(30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제빙부(3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맥주 얼음층(10)의 두께보다 작다. 맥주 얼음층(10)이 외주면 상에 형성된 제빙부(302)가 회전될 때, 분쇄 가이드(371)들은 각각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분쇄 가이드(371)의 폭에 대응하는 조각 형태로 생성하고 제빙부(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조각 형태로 제빙부(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쇄부(307)를 따라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설치대(311)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테이블 또는 작업대 상에 위치된 용기(1)에 수집될 수 있고, 분쇄 가이드(371)와의 접촉을 통해 생성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1)는 설치대(311)들 사이 및 분쇄부(307)의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을 자연스럽게 수집할 수 있다.
유도부(308)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311)들을 연결하면서 분쇄부(307)에 대응되면서 분쇄부(307)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즉, 유도부(308)와 분쇄부(307)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분쇄부(307)가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조각 형태로 분쇄하면서 제빙부(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부(307)를 따라 낙하되면서 분쇄부(307)와 유도부(107) 사이를 통과한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되어 조각 형태를 갖는 상태에서 분쇄부(307)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유도부(308)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308)는 조각 형태로 분쇄된 맥주 얼음층(10)을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공급부(305)의 공급 저장부(351)에는 음료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공급 저장부(351)는 맥주를 저장한 상태에서 공급 제어부(353)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급 제어부(353)에 결합된다. 여기서, 맥주는 공급 저장부(351)로부터 공급 저장부(351)의 하면 일부, 공급 제어부(353) 및 공급 유도부(306)를 통해 저장부(304)의 저장 공간(341)을 향하여 유도된다. 맥주는 저장 공간(341)에 유입되고 배출홀(34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공간(341)에서 맥주의 수위는 점점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빙부(302)의 일부는 저장 공간(341)에 삽입되고 저장 공간(341)에 유입된 맥주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부(302)의 외주면은 영하의 온도를 갖기에, 맥주는 제빙부(302)에 접촉되어 결빙되어, 맥주 얼음층(10)이 제빙부(3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빙부(302)는 구동부(303)에 의해 샤프트(32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맥주 얼음층(10)이 저장부(304)로부터 몸체(301), 공급부(305) 및 분쇄부(307) 순으로 대응하도록 제빙부(302)의 회전(도 4의 화살표 참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맥주 얼음층(10)은 제빙부(302)의 외주면 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빙부(302)의 회전으로 인해, 맥주 얼음층(10)과 분쇄부(307)의 분쇄 가이드(371)들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쇄부(307)의 분쇄 가이드(371)들은 제빙부(302)의 회전력과 조합하여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일정한 조각 형태로 생성하고 제빙부(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시킨다.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분쇄부(307)를 따라 낙하되면서 분쇄부(307)와 유도부(107) 사이를 통과한다. 이러한 조각 형태의 맥주 얼음층(10)은 설치대(311)들의 하측에서 분쇄부(307)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용기(1)에 수집될 수 있고, 일부를 맥주를 담은 용기에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빙부(302)의 회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제빙부(302)에서 맥주 얼음층(10)이 분리된 부분은 다시 저장부(304)의 저장 공간(341)에 삽입되어 맥주와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에서 제빙부(302)는 일부를 공급부(305)로부터 저장부(304)에 공급된 맥주에 지속적으로 접촉시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하고, 분쇄부(307)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제빙부(302)에 형성된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맥주 얼음층(10)을 분쇄하여 용기(1)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맥주로부터 생성된 얼음은 필요로 할 때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분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300)는 필요로 한 얼음을 용이하게 가공하여 맥주를 저장한 용기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용기가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용기는 냉장고에 저장된 상태에서 영하의 온도로 냉각되고, 영하의 온도는 -20℃ 내지 -25℃이다. 여기서, 용기는 냉각되어 시원한 상태로 이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용기는 유리로 이루어지되, 손잡이를 갖는 컵 또는 손잡이를 갖지 않는 컵일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의 입구(즉, 맥주가 유입되는 부분)는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용기의 입구를 통해 맥주 및 얼음은 용기에 공급되어 담겨질 수 있다.
이어서, 맥주가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2 단계는 용기가 냉장고로부터 분리되어 냉장고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기의 일부에만 맥주가 담기되, 맥주는 용기의 부피에 대하여 85% 내지 95%를 차지할 때까지 용기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맥주는 맥주 공급통으로부터 배출되어 용기에 공급된다. 맥주는 용기에 공급될 때 냉각되어 시원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얼음이 분쇄되어 용기에 공급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용기는 영하의 온도 하에 냉각되어 맥주를 공급받아 담은 상태이다. 얼음은 맥주로부터 생성되고, 분쇄되어 0.5㎜ 내지 5㎜의 크기의 입자 형태를 갖는다. 얼음은 분쇄된 상태에서 일부만을 맥주를 담은 용기의 나머지 일부에 공급되어, 맥주와 조합하여 용기에 가득 담길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얼음은 앞서 언급된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 300)에 의해 생성되고, 분쇄된 상태로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100, 300)로부터 맥주를 담은 용기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S103 단계를 통해 얼음은 용기에 공급된 상태에서 맥주와 조합하여 맥주를 더욱더 시원하게 하고, 전체적으로 입자 형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맥주는 맥주로부터 생성된 얼음과 혼합된 상태로 용기에 담겨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는 맥주를 음용할 때 시원하면서도 진한 맥주의 맛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 제조 방법에 따른 얼음 맥주에 대한 관능시험이 실시되었다. 여기서, 실시예는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 제조 방법에 따른 얼음 맥주이고, 비교예 1은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된 용기에 분쇄된 얼음이 공급된 상태에서 맥주가 공급되어 제조된 얼음 맥주이며, 비교예 2는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되었고 얼음이 공급되지 않는 용기에 담긴 맥주이다. 여기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용기에 담긴 맥주는 동일한 양, 온도 및 종류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우선, 용기가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되었다.
이어서, 맥주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의 일부를 채웠다.
이어서, 얼음이 분쇄되어 맥주로 채워진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의 나머지 일부를 채웠다.
비교예 1
우선, 용기가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되었다.
이어서, 얼음이 분쇄되어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의 일부를 채웠다.
이어서, 맥주가 얼음으로 채워진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의 나머지 일부를 채웠다.
비교예 2
우선, 용기가 영하의 온도 하에서 저장되어 냉각되었다.
이어서, 맥주가 용기에 채워졌다.
관능시험은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맥주의 맛 및 청량감에 대하여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여기서, 점수 및 평가 기준은 표 1과 같은 9점 채점법을 이용되었고, 평가 결과는 표 2에 표시되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청량감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7 8.5 8.6
비교예 1 7.9 7.5 7.7
비교예 2 3.4 3.2 3.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분쇄된 얼음이 공급된 용기의 맥주인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맛, 청량감 및 종합적 선호도가 얼음이 공급되지 않는 용기의 맥주인 비교예 2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즉, 분쇄된 얼음은 맥주의 맛과 청량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는 비교예 1과 달리 맥주보다 얼음을 용기에 나중에 공급함으로써, 비교예 1보다 더 좋은 맛과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얼음 맥주 제조 방법은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도의 얼음 맥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얼음 가공 장치
101, 301: 몸체
102, 302: 제빙부
103, 303: 구동부
104, 304: 저장부
105, 305: 공급부
306: 공급 유도부
106, 307: 분쇄부
107, 308: 유도부

Claims (10)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일면 상부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한 쌍의 설치대(311)가 수평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몸체(301);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종단면에 각각 샤프트가 형성되고, 샤프트들이 각각 설치대(31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된 한 쌍의 설치대(311)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외주면은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제빙부(302);
    샤프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설치대(311)에 설치되고,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빙부(302)의 하측의 설치대들(311) 사이에 위치되고, 상면에는 제빙부(30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저장 공간(341)이 오목하게 형성된 저장부(304);
    설치대들(311) 사이 및 제빙부(302)와 몸체(301)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301)의 상부에 설치되고, 맥주를 저장하고 낙하시키는 공급부(305);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들(311) 사이에 위치되어 일종단이 제빙부(302)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분쇄부(307);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설치대들(311) 사이에서 설치대들(311)을 연결하고, 분쇄부(307)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분쇄부(307)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유도부(308)를 포함하되,
    영하의 온도 하에서 냉각된 컵에 맥주가 채워지고, 컵은 분쇄부(307)와 유도부(308)의 아래에서 분쇄부(307)와 유도부(308)의 사이에 위치되고,
    분쇄부(307)의 일종단면에는 제빙부(302)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분쇄부(307)의 일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 쐐기형의 복수 개의 분쇄 가이드들(371)이 형성되며,
    분쇄 가이드(371)의 일종단과 제빙부(30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은 제빙부(3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맥주 얼음층(10)의 두께보다 작으며,
    맥주는 공급부(305)로부터 저장 공간(341)으로 공급되고, 제빙부(302)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저장 공간(341)의 맥주와 접촉되고, 맥주 얼음층(10)이 제빙부(30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며, 분쇄 가이드(371)들은 각각 맥주 얼음층(10)에 접촉되어 분쇄 가이드(371)의 폭에 대응하는 형태로 맥주 얼음층(10)을 제빙부(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맥주 얼음층은 분쇄부(307)와 유도부(308) 사이로 유도되어 분쇄부(307)를 따라 낙하하며 컵에 담긴 맥주의 위에 채워지며,
    제빙부(302)에서 분쇄 가이드(371)에 의해 맥주 얼음층(10)이 분리된 부분은 다시 저장부(304)의 저장 공간(341)에 삽입되어 맥주와 접촉되어 맥주를 결빙시켜 맥주 얼음층(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저장 공간은 제빙부 및 공급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공급부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공급 저장부; 및
    설치대들 사이 및 제빙부와 몸체 사이에서 저장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면에 공급 저장부가 위치될 때 공급 저장부의 하면을 개방하는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되,
    공급 저장부의 하면이 공급 제어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맥주는 공급 저장부로부터 공급 제어부를 통해 저장 공간을 향하여 낙하되어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공급 저장부는 공급 제어부로부터 분리되면, 공급 저장부의 하면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저장 공간의 내측면은 제빙부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얼음 가공 장치는,
    공급부에 대응하도록 공급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저장 공간의 상면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공급부로부터 낙하된 맥주를 공급받아 저장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급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저장 공간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으로부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은 저장 공간으로 공급되는 맥주의 유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가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31522A 2019-10-22 2019-10-22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10208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22A KR102087581B1 (ko) 2019-10-22 2019-10-22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US17/594,988 US11982482B2 (en) 2019-10-22 2020-05-08 Device for processing ice for ice be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e beer
PCT/KR2020/006135 WO2021080104A1 (ko) 2019-10-22 2020-05-08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522A KR102087581B1 (ko) 2019-10-22 2019-10-22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317A Division KR102163810B1 (ko) 2020-03-04 2020-03-04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581B1 true KR102087581B1 (ko) 2020-03-11

Family

ID=6980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522A KR102087581B1 (ko) 2019-10-22 2019-10-22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2482B2 (ko)
KR (1) KR102087581B1 (ko)
WO (1) WO20210801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3973A (zh) * 2020-09-02 2021-02-02 蓝杰 一种生鲜用方形冰块压碎装置
WO2021080104A1 (ko) * 2019-10-22 2021-04-29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20220130858A (ko) * 2021-03-19 2022-09-27 한수민 자외선 발생기가 장착된 눈꽃 맥주 제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991A (ko) * 2016-03-24 2017-10-12 유영민 프런트 헤드형 얼음 분말 제조 장치
KR20170003707U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가루얼음 제빙기
KR101816476B1 (ko) * 2017-03-22 2018-02-21 김용관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8911C2 (de) * 1991-03-19 1994-05-26 Schill Maja Masch Feineiserzeuger
EP1792128A2 (en) * 2004-09-09 2007-06-06 Freeze Solutions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forming
KR100996126B1 (ko) * 2008-04-26 2010-11-23 (주)스노위즈 조각얼음용 제빙장치
DE102011017038A1 (de) * 2011-04-14 2012-10-18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erbeneis
KR200474562Y1 (ko) * 2014-04-10 2014-09-26 김성민 제빙기 물받이 개폐 장치
KR101620560B1 (ko) * 2014-06-11 2016-05-12 고선욱 슬러시 맥주 거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22062B1 (ko) * 2019-03-25 2021-03-02 김민경 커피 및 맥주 빙수 생성장치
KR102087581B1 (ko)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991A (ko) * 2016-03-24 2017-10-12 유영민 프런트 헤드형 얼음 분말 제조 장치
KR20170003707U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가루얼음 제빙기
KR101816476B1 (ko) * 2017-03-22 2018-02-21 김용관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104A1 (ko) * 2019-10-22 2021-04-29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US11982482B2 (en) 2019-10-22 2024-05-14 Ermacdang Device for processing ice for ice be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e beer
CN112303973A (zh) * 2020-09-02 2021-02-02 蓝杰 一种生鲜用方形冰块压碎装置
CN112303973B (zh) * 2020-09-02 2021-11-26 蓝杰 一种生鲜用方形冰块压碎装置
KR20220130858A (ko) * 2021-03-19 2022-09-27 한수민 자외선 발생기가 장착된 눈꽃 맥주 제빙기
KR102473489B1 (ko) * 2021-03-19 2022-12-01 한수민 자외선 발생기가 장착된 눈꽃 맥주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104A1 (ko) 2021-04-29
US11982482B2 (en) 2024-05-14
US20220307751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81B1 (ko)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JP5826264B2 (ja) フレーバード氷を連続的又は半連続的に生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5553744A (en) Bottled-water dispenser with ice maker and crusher
US6481238B1 (en) Keg server
US20190024028A1 (en) Beverage maker
US20110076375A1 (en) Alcohol infused ice cube apparatus and methods
CN104654698A (zh) 冰盒及使用其粉碎冰的方法
KR101502287B1 (ko) 수평 드럼형 제빙 장치
CN104654696B (zh) 冰盒及使用其传送冰的方法
KR20200001547U (ko) 개량된 액체냉각기
KR102163810B1 (ko)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20210047807A (ko)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US2240769A (en) Mean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ice
US8240155B2 (en) Method of presenting beer
US9938127B2 (en) Beverage system ice maker and ice and water reservoir
KR102150375B1 (ko) 얼음 맥주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그릇 준비 장치
GB2287306A (en) Ice making machine
KR102222062B1 (ko) 커피 및 맥주 빙수 생성장치
AU2018100137A4 (en) Refrigerated Self-Contained Pressurised Tank for Dispensing Gas Infused Cold Beverages
US210074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everage dispensing
KR100555216B1 (ko) 생맥주 판매 장치
KR200274983Y1 (ko) 냉온 유지를 위한 중 용량 용기
KR102344165B1 (ko)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JPH10229823A (ja) ソフトアイスドリンクの製造装置
KR200245507Y1 (ko) 냉장 보관박스의 안개 토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