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76B1 -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 Google Patents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76B1
KR101816476B1 KR1020170036297A KR20170036297A KR101816476B1 KR 101816476 B1 KR101816476 B1 KR 101816476B1 KR 1020170036297 A KR1020170036297 A KR 1020170036297A KR 20170036297 A KR20170036297 A KR 20170036297A KR 101816476 B1 KR101816476 B1 KR 10181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draft beer
gas
draft
sl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관
Original Assignee
김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관 filed Critical 김용관
Priority to KR102017003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2/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은 소비자가 생맥주를 따라 마시는 용기인 맥주잔을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 상기 맥주잔에 따라 마실 생맥주를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 보관 단계(S200); 및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슬러시를 형성하는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에서 상기 맥주잔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되고,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에서 냉장 보관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MANUFACTURING METHOD FOR SLUSH BEER AND SLUSH BEER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는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생맥주 냉각기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혼합된 생맥주를 냉각시킨 상태로 취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생맥주를 컵에 따를 때 발생하는 거품은 발효과정이나 인공적으로 첨가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러한 거품은 맥주가 공기와 닿아 빨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산화탄소가 더이상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맥주의 거품은 맥주를 마실 때 입술과 혀끝에 닿는 느낌이 맥주의 맛을 더 좋게 느끼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맥주에서의 거품은 그 맛을 위하여 꼭 필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어 모든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여기고 있다.
한편, 생맥주는 발효시킨 맥주를 숙성시킨 후 살균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지 않고, 필터를 사용하여 효모를 걸러낸 맥주를 일컫는데, 이러한 생맥주는 온도를 항상 차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생맥주 영업점 등에서는 맥주탱크에 저장된 맥주를 탄산가스로 이송하여 최종적으로 맥주코크를 통해 배출시키기 전에 냉각기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차가운 상태의 맥주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맥주코크를 통해 생맥주를 인출할 때 맥주와 함께 거품이 맥주 위에 얹어지게 되는데, 상기 거품은 맥주와 대기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맥주에 녹아있는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 맥주의 청량감과 풍미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준다.
최근 들어, 상기 생맥주와 거품을 슬러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보편화되고 있는데, 종래의 경우 제조된 슬러시 형태의 거품의 입자가 너무 크고 거칠어 마시기 불편하고, 슬러시 형태로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거품의 탄산이 날아간 상태라 거품의 맛이 싱겁고, 녹으면서 맥주와 섞이게 되면 맥주가 싱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러시 형태로 제조된 거품이 너무 단단(hard)하여, 맥주와 슬러시 거품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사용자가 맥주를 마시는 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20560호(2016년 05월 04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2-0034118호(2002년 05월 08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147100호(2016년 12월 22일 공개)
본 발명은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는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은 소비자가 생맥주를 따라 마시는 용기인 맥주잔을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 상기 맥주잔에 따라 마실 생맥주를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 보관 단계(S200); 및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슬러시를 형성하는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에서 상기 맥주잔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되고,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에서 냉장 보관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이다.
상기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에서 형성되는 슬러시는 생맥주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의 생맥주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된 맥주잔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생맥주의 일부가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하고, 상기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된 일부 생맥주가 얼음 알갱이 입자 형태의 슬러시로 형성되며, 상기 슬러시가 맥주잔 상부의 맥주 표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는 생맥주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되,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는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 상기 생맥주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된 가스공급수단; 상기 생맥주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를 공급받아 냉각하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경유하여 냉각된 생맥주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된 가스저장통; 상기 가스저장통에 저장된 가스를 상기 공급노즐로 공급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인가하도록 된 가스공급관; 상기 가스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저장통에 저장된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생맥주에 공급하도록 된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상기 레귤레이터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무를 조절하도록 된 가스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슬러시 맥주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은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 맥주 보관 단계(S200) 및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한다.
1.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
상기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는 소비자가 생맥주를 따라 마시는 용기인 맥주잔을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맥주잔은 공지된 맥주잔을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맥주잔으로는 통상적으로 소비자가 맥주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유리컵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맥주잔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할 수 있는데, 상기 맥주잔의 표면 온도가 -19℃를 초과하거나 7시간을 초과하여 냉동 보관되는 경우에는 생성되는 슬러시의 입자가 거칠어 부드러운 식감의 슬러시가 생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맥주잔의 표면 온도가 -17 미만이거나 5시간 미만으로 냉동 보관되는 경우에는 생맥주의 표면에 충분한 슬러시가 생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맥주 보관 단계(S200)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는 상기 맥주잔에 따라 마실 생맥주를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는 생맥주 공급장치에서 냉장 보관될 수 있는데,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에서 냉장 보관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1)는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2)과,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서 배출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된 가스공급수단(3)과,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를 공급받아 냉각하는 냉각기(4)와, 상기 냉각기(4)를 경유하여 냉각된 생맥주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공급노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서 배출되는 생맥주가 상기 가스공급수단(3)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주입받아 포화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기(4)를 경유하여 상기 공급노즐(5)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냉각기(4)를 경유하여 상기 공급노즐(5)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일 수 있다.
상기한 공급노즐(5)에는, 상기 생맥주의 배출유무를 조절하도록 된 맥주개폐밸브(5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공급노즐(5)을 통해 생맥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1)에서, 상기한 가스공급수단(3)은,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된 가스저장통(31)과, 상기 가스저장통(31)에 저장된 가스를 상기 공급노즐(5)로 공급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인가하도록 된 가스공급관(32)과, 상기 가스공급관(32)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저장통(31)에 저장된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생맥주에 공급하도록 된 레귤레이터(regulator)(33)와, 상기 레귤레이터(33)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무를 조절하도록 된 가스개폐밸브(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를 상기 공급노즐(5)을 통해 배출할 때에는, 상기 가스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상기 생맥주로 가스를 공급한 상태에서 공급하고, 상기 공급노즐(5)을 통해 외부로 상기 생맥주의 공급이 불필요할 때에는, 상기 가스개폐밸브(34)를 폐쇄하여 상기 생맥주로의 가스의 공급을 제한하여, 미공급되는 생맥주의 과도한 가스포화를 방지하여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귤레이터(33)를 통해 상기 가스저장통(31)에 저장된 고압의 가스를 설정된 압력으로 균일하게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스공급관(32)은, 상기 생맥주저장통(2)과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를 포화시킴은 물론, 상기 생맥주저장통(2)의 내부에 가스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생맥주저장통(2)의 내부에 저장된 생맥주를 상기 공급노즐(5)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압력을 형성하도록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가스공급수단(3)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서 생맥주가 인가받아, 상기 냉각기(4) 및 상기 공급노즐(5)을 경유하여 외부로 공급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1)에서, 상기 가스개폐밸브(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6)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7)을 통해 개폐하도록 된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서 상기 냉각기(4)로 이송되는 생맥주연결관(8)에 구비되며 상기 생맥주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된 감지센서(9)를 통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수단(7)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가스개폐밸브(34)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생맥주연결관(9)에서 생맥주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7)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스개폐밸브(34)를 개방하여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생맥주연결관(9)에서 생맥주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7)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스개폐밸브(34)를 폐쇄하여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서, 생맥주의 과도한 가스포화를 방지하여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노즐(5)에 구비된 상기 맥주개폐밸브(51)가 개방되어 생맥주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는,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을 유지되며; 상기 맥주개폐밸브(51)가 폐쇄되어 생맥주가 외부로의 공급이 중지될 때에는,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이 중지된다.
따라서, 미공급되는 생맥주의 과도한 가스포화를 방지하여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1)에서, 상기한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낙하 또는 미도시된 펌프에 의해 상기 생맥주연결관(9)을 통해 상기 냉각기(4)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32)은 상기 생맥주연결관(9)에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연결관(9)의 내부에서 생맥주와 가스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공급수단(3)에서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의 포화를 방지하게 되어 신선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는, 상기 생맥주연결관(9)에서의 생맥주 및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일방향체크밸브(21)가 구비되어,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 저장된 생맥주의 상기 생맥주연결관(9)으로의 공급을 유지하고 역류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생맥주 공급장치(1)에서, 상기 생맥주연결관(9)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맥주저장통(2)에서 생맥주가 공급되는 생맥주공급관(22)과, 상기 가스공급관(32)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1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10)을 통해 상기 생맥주저장통(2)과 상기 가스공급관(32)에서 생맥주와 가스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수단(10)은, 상기 가스공급관(32)의 단부가 일단에 체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는 '관(管;pipe)' 형상의 내관(12)과, 상기 내관(12)을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생맥주공급관(22)이 결합하여 생맥주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생맥주연결관(9)의 종단이 체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외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관(11)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고 상기 외관(12)을 통해 생맥주를 공급받아 상기 생맥주연결관(9)을 공급하여 생맥주와 가스를 혼합하게 된다.
상기한 내관(11)의 내외주면의 내외경과 상기 외관(12)의 내주면의 내경은, 상기 생맥주연결관(9)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관(11)에서 상기 생맥주연결관(9)으로 공급되는 가스와, 상기 외관(12)에서 상기 생맥주연결관(9)으로 공급되는 생맥주가 싸이클론형상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도록 되어 생맥주와 가스의 혼합에 따른 포화를 더욱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
상기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는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슬러시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이고, 상기 온도 범위의 생맥주는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된 맥주잔에 따라질 수 있는데,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가 상기 온도 범위의 맥주잔 표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작고 부드러운 얼음 알갱이 입자 형태의 슬러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맥주 또는 생맥주의 어는점은 함유되어 있는 알코올 도수에 따라 -18 내지 -2℃의 온도 범위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의 생맥주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된 맥주잔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생맥주의 일부가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하고, 상기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된 일부 생맥주가 작고 부드러운 얼음 알갱이 입자 형태의 슬러시로 형성되며, 상기 슬러시는 비중 차이에 의해 상기 생맥주, 즉 맥주잔 상부의 맥주 표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맥주잔을 -18℃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3℃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실시예 1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맥주잔을 -17℃의 온도에서 7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4℃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실시예 2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맥주잔을 -19℃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2℃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실시예 3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맥주잔을 -2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2℃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비교예 1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맥주잔을 -22℃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5℃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비교예 2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
맥주잔을 -1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3℃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비교예 3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
맥주잔을 -1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보관하였고, 생맥주 공급장치(1)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생맥주의 온도를 -1℃로 유지하였으며, 이후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비교예 4에 따른 슬러시 맥주를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의 슬러시 형성 상태, 부드러움, 향(탄산향),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관능평가 중에서 향(탄산향)은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른 후 20분이 경과한 후의 탄산맛의 유지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슬러시 형태 부드러움 향(탄산향)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1 양호 8.4 8.5 8.4
실시예 2 양호 8.5 8.3 8.4
실시예 3 양호 8.4 8.4 8.4
비교예 1 불량(입자거침) 5.6 5.4 5.5
비교예 2 불량(입자거침) 5.3 5.2 5.2
비교예 3 불량(입자적음) 5.2 5.0 5.0
비교예 4 불량(입자적음) 5.1 5.1 5.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의 슬러시 형성 상태가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따른 슬러시 맥주는 슬러시의 입자가 거칠고 딱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3과 비교예 4에 따른 슬러시 맥주는 맥주잔 또는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가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와 비교하여 부드러움, 향(탄산향),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슬러시 맥주가 맥주잔과 맥주의 온도를 최적의 범위로 조절하여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맥주의 향이 오래 지속되면서 아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맛볼 수 있으며 맥주 본연의 탄산맛을 그대로 유지하고 슬러시 토핑으로 시원한 맥주를 음미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공급장치 2 : 생맥주저장통
21 ; 일방향체크밸브 22 : 생맥주공급관
3 : 가스공급수단 31 : 가스저장통
32 : 가스공급관 33 : 레귤레이터
34 : 가스개폐밸브 4 : 냉각기
5 : 공급노즐 51 : 맥주개폐밸브
6 : 전원공급부 7 : 제어수단
8 : 감지센서 9 : 생맥주연결관
10 : 연결수단 11 : 내관
12 : 외관

Claims (4)

  1. 소비자가 생맥주를 따라 마시는 용기인 맥주잔을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
    상기 맥주잔에 따라 마실 생맥주를 일정한 온도로 냉장 보관하는 맥주 보관 단계(S200); 및
    상기 생맥주를 맥주잔에 따라 슬러시를 형성하는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맥주잔 냉동 보관 단계(S100)에서 상기 맥주잔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되고,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에서 냉장 보관되는 생맥주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이며,
    상기 맥주 공급 및 슬러시 형성 단계(S300)에서 형성되는 슬러시는 생맥주 공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2 내지 -4℃ 온도 범위의 생맥주가 -17 내지 -19℃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냉동하여 보관된 맥주잔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생맥주의 일부가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하고, 상기 빙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된 일부 생맥주가 얼음 알갱이 입자 형태의 슬러시로 형성되며, 상기 슬러시가 맥주잔 상부의 맥주 표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맥주의 표면에 슬러시가 형성되고,
    상기 맥주 보관 단계(S200)는 생맥주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되,
    상기 생맥주 공급장치는 생맥주가 저장된 생맥주저장통; 상기 생맥주저장통에서 배출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된 가스공급수단; 상기 생맥주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를 공급받아 냉각하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를 경유하여 냉각된 생맥주를 외부로 공급하도록 개폐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된 가스저장통; 상기 가스저장통에 저장된 가스를 상기 공급노즐로 공급되는 생맥주에 가스를 인가하도록 된 가스공급관; 상기 가스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저장통에 저장된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생맥주에 공급하도록 된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상기 레귤레이터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유무를 조절하도록 된 가스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공급관은, 상기 생맥주저장통과 연결되어, 상기 생맥주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를 포화시키고, 상기 생맥주저장통의 내부에 가스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생맥주저장통의 내부에 저장된 생맥주를 상기 공급노즐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압력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가스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상기 생맥주저장통에서 생맥주가 인가받아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공급노즐을 경유하여 외부로 공급되고,
    상기 가스개폐밸브는,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하도록 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되, 생맥주저장통에서 상기 냉각기로 이송되는 생맥주연결관에 구비되며 상기 생맥주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감지데이터를 공급받아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연산하여 상기 가스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생맥주연결관에서 생맥주의 이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스개폐밸브를 개방하여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생맥주연결관에서 생맥주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가스개폐밸브를 폐쇄하여 가스의 생맥주로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하고,
    상기 생맥주저장통에는, 생맥주연결관에서의 생맥주 및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일방향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생맥주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의 상기 생맥주연결관으로의 공급을 유지하고 역류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생맥주저장통에서 생맥주가 공급되는 생맥주공급관과, 상기 가스공급관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스공급관의 단부가 일단에 체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는 관 형상의 내관과, 상기 내관과 간격을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하면서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생맥주공급관이 결합하여 생맥주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생맥주연결관의 종단이 체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의 내외주면의 내외경과 상기 외관의 내주면의 내경은, 생맥주연결관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에서 상기 생맥주연결관으로 공급되는 가스와, 상기 외관에서 상기 생맥주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생맥주가 싸이클론형상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36297A 2017-03-22 2017-03-22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KR10181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97A KR101816476B1 (ko) 2017-03-22 2017-03-22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97A KR101816476B1 (ko) 2017-03-22 2017-03-22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76B1 true KR101816476B1 (ko) 2018-02-21

Family

ID=6152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97A KR101816476B1 (ko) 2017-03-22 2017-03-22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7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581B1 (ko)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WO2020111388A1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50375B1 (ko) * 2019-06-19 2020-09-01 김진희 얼음 맥주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그릇 준비 장치
KR102163810B1 (ko) * 2020-03-04 2020-10-08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20210066107A (ko) 2019-11-28 2021-06-07 정성욱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102314234B1 (ko) *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KR20220010148A (ko) 2020-07-17 2022-01-25 심연승 맥주의 탄산가스 방출 방지 슬러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1244B1 (ko) * 2023-04-03 2023-10-19 (주)위벨롭먼트 살얼음 맥주 공급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736A (ja) * 2005-03-24 2006-10-0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発泡飲料注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736A (ja) * 2005-03-24 2006-10-0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発泡飲料注出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88A1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292996B2 (en) 2018-11-27 2022-04-05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verage maker
KR102150375B1 (ko) * 2019-06-19 2020-09-01 김진희 얼음 맥주 제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그릇 준비 장치
KR102087581B1 (ko) * 2019-10-22 2020-03-11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WO2021080104A1 (ko) * 2019-10-22 2021-04-29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US11982482B2 (en) 2019-10-22 2024-05-14 Ermacdang Device for processing ice for ice be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ce beer
KR20210066107A (ko) 2019-11-28 2021-06-07 정성욱 살얼음맥주 생성수단을 구비한 생맥주 인출장치
KR102163810B1 (ko) * 2020-03-04 2020-10-08 김진희 얼음 맥주용 얼음 가공 장치 및 얼음 맥주 제조 방법
KR20220010148A (ko) 2020-07-17 2022-01-25 심연승 맥주의 탄산가스 방출 방지 슬러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4234B1 (ko) * 2020-09-08 2021-10-19 이정민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KR102591244B1 (ko) * 2023-04-03 2023-10-19 (주)위벨롭먼트 살얼음 맥주 공급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76B1 (ko) 슬러시 맥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슬러시 맥주
US9497978B2 (en)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nitrogen-charged coffee
JP4988968B1 (ja) 爽快な泡の穀類分解物含有発泡性飲料
CN110234596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CN104853655B (zh) 用于制备发泡食品的一次性组件、系统和方法
US20090261485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rbonated water
CN106133464A (zh) 用于真空冷却饮料的系统和方法
CN110234593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JP2003514553A (ja) 飲 料
KR101825875B1 (ko) 생맥주 공급장치
CN110234597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US7281392B2 (en) Beverage-cooling device
CN110234594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KR101741126B1 (ko) 아이스 생맥주 및 그 제조방법
US109540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nd distributing a flushing gas to a packaging container
KR101341654B1 (ko) 맥주크림 제조장치
KR102314234B1 (ko) 거품을 억제하며 생맥주를 따르는 장치
US11510421B2 (en) Apparatus for making texture controlled edible ice products instantly
JP6165521B2 (ja) 容器入り穀類分解物含有発泡性飲料の製造方法
JP2005343488A (ja) ビール供給装置
JP2021019533A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非発泡性中間液凍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809070U (zh) 一种带冷却功能的倒酒装置
JP2013013391A (ja) 泡持ち向上剤
KR101576399B1 (ko) 탄산 식혜의 제조방법
TWM258267U (en) Cool and icy drinks ma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