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00Y1 - 가루얼음 제빙기 - Google Patents

가루얼음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00Y1
KR200481300Y1 KR2020160000552U KR20160000552U KR200481300Y1 KR 200481300 Y1 KR200481300 Y1 KR 200481300Y1 KR 2020160000552 U KR2020160000552 U KR 2020160000552U KR 20160000552 U KR20160000552 U KR 20160000552U KR 200481300 Y1 KR200481300 Y1 KR 20048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tank
drum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Priority to KR2020160000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컵 분량의 가루얼음을 반복하여 출빙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제빙드럼내 제빙용 잔수를 남기지 않도록 한 가루얼음 제빙기가 개시된다.
이 가루얼음 제빙기는, 냉각사이클부(A)와, 제빙드럼(1)과, 제빙드럼이 회전,접촉하는 제빙수조(2)와, 제빙수조(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3)와, 제빙드럼의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4)와, 소정 형상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제빙기 함체(5); 및 구동부를 포함하고, 제빙수조(2)는 제빙드럼(1)의 하측이 보다 넓게 원료수와 침지,접촉하도록 제빙드럼(1)에 침지되는 원주면의 길이(l)에 대응하도록 하방 내측에서 저면으로 소정높이(b)로 제빙드럼(1)의 바닥면(21) 하측이 반원형 곡면을 형성한 집수부(21a)를 형성하고, 제빙수조(2)의 일측에서 공회동하는 축점(23), 제빙수조(2)의 타측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축점을 기준으로 소정각도(a)로 상,하동시키는 편심부(20)를 포함한다.
이 가루얼음 제빙기는 제빙수조내의 원료수가 잔수상태에서 장시간 수용됨을 방지하고, 원료수조의 분리탈거가 용이토록 하여 원료수조의 청결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가루얼음 제빙기{SNOW ICE MAKER}
본 고안은 한 컵 분량의 가루얼음(snow-ice,雪氷,이하 가루얼음이라 함)을 반복하여 출빙(出氷)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제빙드럼(製氷Drum)내에 제빙용 잔수(殘水)를 남기지 않도록 한 가루얼음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루얼음 제빙기는 원료수조의 내부에 원통상의 제빙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료수조내에서 제빙드럼의 일부가 침지되도록 설치되며, 제빙드럼의 내부에 냉동사이클(얼음을 얻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가 냉매배관에 의해 접속된 냉매순환계, 이하 냉각사이클부라고 함)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각과 동시에 제빙드럼이 회전하면서 제빙드럼의 표면에 얼음을 성장시키고, 이렇게 성장, 형성(結氷)된 얼음층에 미세간격을 두고 접촉되는 수평상의 칼날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제빙드럼 표면의 얼음을 칼날이 긁어내면서 얼음저장고로 혹은 용기에 담아 음용하는 드럼식 가루얼음 제빙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드럼식 가루얼음 제빙기는 등록공고된 실용신안 제1993-0000306호, 공개특허 제2006-0059632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자는 열전달 효율 상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후자는 균일한 제빙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단점이 있고, 이를 개선한 기술로 등록특허 제0821558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드럼 구조를 개량한 등록특허 제0878589호, 등록특허 제0809928호, 등록특허 제0825980호, 공개실용 제1999-0022144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제빙기등의 유체탱크(이하 제빙수조라고도 함)는 그 내벽면에 스크레치가 형성되지 않도록 최대한 매끄럽게 제작하여 원료수조 내벽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빙수조 내부에 구조물이 설치될 경우 그 구조물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므로, 제빙기등의 설계시 제빙수조의 내부에는 가급적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런데, 상기 제빙수조의 내부에 외형이 크고 복잡한 기구적인 타입의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수위감지장치의 외측면에 이물질이 용이하게 끼이게 되어 정수를 오염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빙수조 내부와 수위감지장치가 보다 자주 청소되어야 했다. 또한, 크기가 증가되어 제빙기의 배치설계가 커지는 단점도 있었다.
상기 기구적인 타입의 수위감지장치는 플로트가 승강할 수 있는 구조, 제빙수조에 결합 고정시키는 구조 등이 복잡하므로, 수위감지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 단가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정전용량 센서는 제빙수조의 외벽면에 설치되므로, 제빙수조 주위의 습도 및 이물질 등의 영향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다.아울러 종래 알려진 대부분의 드럼식 제빙기에서 드럼이 침지되는 제빙수조는 고정상태이거나 바닥이 평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회전중일지라도 공기중에 노출되는 드럼면에 의하여 불필요한 냉각을 하게 되어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빙기의 제빙수조가 갖는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료수가 저장되고 제빙드럼이 회전하는 제빙드럼의 드럼면이 근접하는 제빙수조내 접촉,침지되는 부분이 보다 넓게 침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빙드럼 외측으로 낭비되는 냉각면을 줄여 냉각효율을 보다 높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료수가 장시간 저장됨에 따른 제빙드럼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빙수조 배수장치를 구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함과 동시에 본 고안은 대기압에 의한 무동력의 제빙수조 수위가 조절 가능한 제빙수조의 수위조절수단을 같이 구현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함과 동시에 본 고안은 대기압에 의한 무동력의 제빙수조의 수위조절수단이 간단히 탈거가 이루어져 제빙수조의 불필요한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가 이를 분리해내어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빙기의 원료수 공급수단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냉각사이클부와; 상기 냉각사이클부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는 제빙드럼과; 상기 제빙드럼의 외주면이 회전중 접촉하는 제빙수조와; 상기 제빙수조에 제빙수를 공급하기는 원료수조와;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 및 전면으로 설빙이 출빙되는 출빙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의 하방은 개방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와 개방부를 제외한 배면, 양측면, 바닥 전체는 내부를 커버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제빙기 외부함체; 및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제빙드럼의 하측이 보다 넓게 원료수와 침지,접촉하도록 제빙드럼의 침지되는 원주면에 대응하도록 하방 내측에서 저면으로 소정높이(b)로 제빙드럼의 바닥면 하측을 타원형 곡면으로 낮게 곡면 형성되는 집수부;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제빙수조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회동하는 제1축점; 및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수조의 제1축점을 기준으로 소정각도(a)로 경사지면서 상,하동하도록 일부구간은 요부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돌부를 형성한 편심휠로서 편심,승강하는 편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편심부에 근접하여 펌프로서 원료수가 공급되는 급수관; 상기 축점에 대향하는 위치의 제빙수조 타측에 형성된 배수관; 및 상기 급수관,배수관에 의하여 공급,배수되는 원료수를 2차적으로 집수하는 보조수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바닥면 일측에는 축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는 상기 축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이 편심휠의 축핀으로 제빙수조 타측이 상,하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기 편심부는,
상기 제빙수조의 바닥면 일측에는 축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수조의 타측에는 상기 축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편심휠을 설치하고, 편심휠과의 사이에 적어도 1단 이상의 링크부재와,축핀으로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원료수가 저장되고 제빙드럼이 회전하는 제빙드럼의 드럼면이 근접하는 제빙수조내 접촉,침지되는 부분을 보다 넓게 침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빙드럼 외측으로 낭비되는 냉각면을 줄여 냉각효율을 보다 개선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원료수가 장시간 저장됨에 따른 제빙드럼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대기압에 의한 무동력의 제빙수조 수위가 조절 가능한 제빙수조의 수위조절수단을 강구함에 더하여 제빙드럼의 제빙수조내 침지면을 확장하여 냉각효율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대기압에 의한 무동력의 제빙수조의 수위조절수단이 간단히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빙수조의 세척이 용이한 제빙기의 원료수 공급수단을 제공하고, 원료수가 장시간 저장됨에 따른 제빙드럼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가루얼음 제빙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전체 구성을 알 수 있는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의 구조를 다양한 예를 통하여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내 원료수를 비우기 위한 작동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이고,
도 5a, 도 5b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에 대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원료공급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원료수조의 단면도이고,
도 8a,8b,8c는 가루얼음 제빙기의 관체부의 유로통공의 사이즈별 단면도들이고,
도 9는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어봉의 일부 절단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 가루얼음 제빙기의 유로 차단상태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 가루얼음 제빙기의 유로 개방상태의 작용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가루얼음 제빙기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전체 구성을 알 수 있는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의 구조를 다양한 예를 통하여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압축기(A1), 응축기(A2), 팽창밸브(A3), 증발기(A4)가 하나의 냉각사이클을 이루면서 냉매를 순차적으로 순환시켜 증발기(A4)를 통하여 외부열을 뻬앗아 증발기(A4) 주위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냉각사이클부(A)를 기본으로 하고, 물과 접촉되는 제빙드럼(1)의 내부에서 외부의 열을 빼앗아 얼음을 형성하는 드럼방식의 제빙기이다. 상기 도면중 도 1a,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 제빙기 역시 제빙드럼(1)이 제빙수조(2)의 원료수에 접촉하면서 제빙드럼 외주면에 형성된 얼음을 칼날부(4)를 통하여 긁어내는 가루얼음 제빙기를 기본구성으로 한다.
냉각사이클부(A)은 제빙드럼(1) 내부에 냉매를 공급하여 제빙드럼(1)의 외주면을 냉각시킨다. 냉각사이클부(A)은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원료수가 회전하면서 그 표면에 얼음(I)을 형성한다.
냉각사이클부(A)는 압축기(A1)와, 응축기(A2)와, 팽창부(A3)와,증발기(A4)를 포함한다. 압축기(A1)는 냉매를 압축시킨다.
압축기(A1)는 제빙드럼(1)에서 저온저압으로 배출되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응축기(A2)는 압축기(A1)를 거쳐 압축된 냉매가 응축된다. 응축기(A2)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된 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킬 수 있다.
팽창부(A3)는 응축기(A2)를 통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제빙드럼(1)의 내부에서 증발되도록 공급한다. 팽창부(A3)는 응축에 의해 액체 상태인 냉매를 저온저압의 기체 상태로 팽창시켜 제빙드럼(1)의 내부에 공급한다. 이때, 제빙드럼(1)의 내부에는 냉매를 분사시키는 노즐과 이 노즐에 이르도록 파이프타입의 증발기(A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상기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는 제빙드럼(1)과, 상기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회전중 접촉하는 제빙수조(2)와, 상기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기는 원료공급부(3)와,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4)와, 전면으로 설빙이 출빙되는 출빙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의 하방은 개방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와 개방부를 제외한 배면, 양측면, 바닥 전체는 내부를 커버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제빙기 외부함체(5)와,구동부로 이루어진다(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많이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함).
제빙드럼(1)의 냉각은 냉각사이클부(A)의 팽창부(A3)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공급되는 증발기(A4)가 제빙드럼(1)의 내부 중심에서 분사용 노즐등에서 분사되도록 설치된 것에 의하여 제빙드럼(1) 외주면에서 제빙수를 결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빙수조(2)는 원료공급부(3)의 원료수조(30)에서 연장된 원료수가 담겨진다. 제빙수조(2)의 원료수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소정의 깊이로 접촉되도록 침지상태를 유지한다. 제빙수조(2)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회전하면서 접촉하도록 제빙드럼(1)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본 고안 제빙수조(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수공급부(3)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료 공급수조와 달리 사용자가 쉽게 분리,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칼날부(4)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정면 출빙부 직하방에서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제빙드럼(1)이 회전됨에 따라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접촉된 칼날부(4)는 제빙드럼(1)의 외주면에 결빙되는 얼음(I)을 긁어낼 수 있다. 제빙드럼(1)의 회전은 알려진 동력전달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부함체(5)의 출빙부의 정면에는 투시창이 형성됨과 아울러 설빙이 낙하되는 직하방 공간은 개방부를 이루고, 설빙을 담는 용기(컵)은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며, 바닥에는 알려진 턴테이블이 구동되는 받침구조를 별도 설치함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턴테이블을 갖지 않는 소형의 가루얼음 제빙기를 구현한다. 통상 알려진 소형 정수기 혹은 가정용 정수기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는 정육면체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는 제빙드럼(1)의 일측에 구동모터와 감속기등으로 회전축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구체적 구성과 부호는 생략함). 이러한 제빙드럼(1)의 회전을 위한 구성은 종래 선출원된 드럼 제빙기(실용신안 출원제20-02015-0002301호)의 구성과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에 적용된 제빙수조(2)를 첨부 도면 도 3a 내지 도 3d에서 도시하는 바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2)는 하방 내측에서 저면으로 소정높이(b)로 제빙드럼(1)의 하측이 바닥면(21)보다 낮게 형성된 집수부(21a)를 형성한다. 집수부(21a)는 하방을 향하여 원형 곡면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집수부(21a)는 제빙드럼(1)의 침지면의 길이(l)을 연장하여 드럼 외주면에서 공기중에 불필요하게 발산되는 냉기를 보다 줄일 수 있고, 특히 드럼외주면에 원료수의 진동시에도 무관하게 충분한 침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수조(2)는 상기 제빙수조(2)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회동하는 축점(23)과, 상기 제빙수조(2)의 타측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을 기준으로 소정각도(a)로 경사지게 상,하동되도록 일부구간은 요부(201a)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돌부(201b)를 형성한 편심휠(201)로서 편심,승강하는 편심부(20)를 포함한다.
제빙수조(2)는 편심부(20)에 근접하여 펌프(25)로서 원료수가 공급되는 급수관(24)과,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의 제빙수조(2) 타측에 형성된 배수관(22) 및 급수관(24),배수관(22)에 의하여 공급,배수되는 원료수를 2차적으로 집수하는 보조수조(2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편심부(20)는 제빙수조(2)의 바닥면(21) 일측에는 축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수조(2)의 타측에는 상기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편심휠(201)로 편심, 회동하는 가변축점(도시생략)을 형성하여 구동모터(203)로서 편심휠(201)을 구동하여 축핀(205)과 연결된 제빙수조(2)로 상,하동하는 편심부(20)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편심부(20)는 제빙수조(2)의 바닥면(21) 일측에는 축점(23)을 형성하고, 상기 제빙수조(2)의 타측에는 상기 축점(23)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동모터(203)로서 회동하는 편심휠(201)을 설치하고, 편심휠(201)과의 사이에 적어도 1단 이상의 링크부재(204)와,축핀(205)(206)으로 연결된 편심부(20)로 실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4a, 도 4b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편심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른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빙수조(2)의 작동은 제빙수조(2)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회동하는 축점(23)을 기준으로 제빙수조(2)의 타측 하방에 형성되고 소정각도(a)로 상,하동시키도록 편심부(20)로서 달성된다.
이 편심부(20)의 편심작동은 일부구간이 요부(201a)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돌부(201b)를 형성한 편심휠(201)이 축점(23)의 대향위치에서 편심작동하므로서 제빙수조(2)가 승강하게 뙨다. 도 4a는 편심부(20)의 편심휠(201)의 돌부(201b)가 제빙수조(2)의 하부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정상 제빙중인 경우이다.
도 4b는 제빙수조(2)의 하부에 접촉하는 편심휠(201)의 요부(201a)가 접촉한 상태로서 제빙수조(2)가 소정각도(a)로 기울어져 경사를 이룬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제빙수조(2)의 원료수 전부가 배수관(22)으로 배수되는 상태이다. 도면상 오차가 있으나 소정각도(a)의 범위가 더 벌어지면 원료수의 전부 배출이 가능하여 제빙수조(2)내 잔수가 전혀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원료수의 전부 배출이 이루어진 상태는 제빙수조(2)를 청소한다든가 제빙작동이 일시 정지한 상태에서 원료수조 일체의 관체(302)를 탈거하는 경우에 필요할 것이다.
이후, 다시 제빙작동을 개시하고자 하면, 도 4a의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25)를 펌핑,구동하여 보조수조(26)내 원료수를 끌어올려 원료수의 수위를 유지 가능할 것이다. 혹은 원료수를 버리고 난 경우에는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상부애 설비된 원료수조(30)을 통하여 원료수를 공급할 수 있다(이에 대한 구성 및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한편,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편심부(20)는 도 5a,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a에서 도시하는 편심부(20)는 구동모터(203)의 회전축(부호생략)에 축핀(205)가 편심위치에 형성된 편심휠(201)로 실시 할 수 있다. 이 경우 편심부(20)의 작동은 단지 구동모터(203)의 회동만으로도 축점(23)을 기준으로 이에 대향하는 위치의 가상의 축점,즉, 편심부(20)를 통하여 소정각도(a)로 상하동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5b에서 도시하는 편심부(20)는 구동모터(203)의 회전축(부호생략)에 제1링크부재(204)를 연결하고, 여기에 축핀(205)를 편심 연결함과 동시에 반대쪽에 제2링크부재(206)를 연결하고, 반대쪽에 축핀(205)을 연결(소정비율의 링크연결 비율은 설명을 생략함)하여 회전하는 제1링크부재(204)에 의하여 제빙수조(2)를 소정각도(a)로 상하동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편심부(20)의 작동은 구동모터(203)의 회동으로도 축점(23)에 대응하는 반대위치의 가상의 축점,즉, 편심부(20)를 통하여 소정각도(a)로 상하동함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원료공급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원료수조의 단면도이고, 도 8a,8b,8c는 가루얼음 제빙기의 관체부의 유로통공의 사이즈별 단면도들이고, 도 9는 가루얼음 제빙기의 제어봉의 일부 절단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료공급부(3)는 원료수조(30)와, 제어봉(31),조립관체(32))로 구분한다.
즉, 원료공급부(3)는 소정형상의 덮개(308)로서 복개(覆蓋)되는 원료수 저장용 원료수조(30)를 이루고, 이 원료수조(30)의 바닥측에는 관체부(302)가 하향 연장된다.
원료수조(30)는 내부에 원료수 수용공간을 이루는 수조부(301)와, 이 수조부(301)에서 연장된 관체부(302)로 이루어지고, 이 수조부(301)와 관체부(302) 일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분리시에는 일체로 분리,조립등 탈거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관체부(302)는 파이프상의 유로를 이루되 그 입구측에 보다 광폭의 입구를 이룸과 동시에 제1재치부(306)를 이루고, 이 보다 낮은 위치에 관경이 좁아짐과 동시에 제2재치대(307)을 형성하며, 이 제1,제2재치대(306)(307)의 중심부를 따라 제1유로(303)를 이루도록 한다.
즉,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체부(302)에는 관체부(302)의 내부유로를 원료수조(30)의 바닥측 제1유로(303)의 내주면을 따라 높이를 달리함과 동시에 관경을 달리하는 제1재치부(306)와 제2재치부(307)를 형성하고, 관체부(302)의 하단에 다시 좁아진 제2유로(305)을 형성한다. 제2유로(305)의 외주면에는 나선부(304)를 형성 할 수 있다.
특히, 이 관체부(302)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에 밸브시트(321)가 나사맞춤 조립되는 조립식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관체부(302)는 그 하단에서 나사맞춤으로 조립되는 조립관체(32)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조립관체(32)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그 내측에 나선부(323)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직경이 좁아져 제2유로(305)와 관통하는 유로통공(322)을 형성한 진다. 특히, 첨부 도면 도 8a 내지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관체(32)는 원료수에 따라 다양한 직경(a,b,c)의 조립관체(32)로 실시할 수 있다. 이 조립관체(32)는 상기 관체부(302)의 나선부(304)에 나선부(323)가 대응하여 나사맞춤으로 조립,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관체부(302)와 조립관체(32)의 구성은 이러한 조립구조가 아닌 나선부(304)(323) 없는 일체형 밸브시트(도시생략)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원료수조(30)의 바닥측 제1,제2유로(303,305)의 하방에 유로통공(322)를 형성한 밸브시트(321)를 나선부(304)(323)없이 일체로 밸브시트를 구현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봉(31)을 설명한다. 이 제어봉(31)은 중심을 이루는 밸브스템(312)의 하단 종방향 소정구간에는 비교적 좁은 제2간격유지부(317)를 이루고, 밸브스템(312)의 종방향 중간부의 소정구간에는 비교적 넓게 제1간격유지부(316)를 형성하고, 이 제2간격유지부(316)의 소정위치에는 횡방향으로 펼쳐진 걸림부(314)를 형성한다. 밸브템(312)의 하단부에는 분리,결합가능한 개폐밸브(311)를 형성하고,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집어 돌리기 위한 파지부(315)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봉(31)은 관체부(302)의 제1유로(303)상에 제1간격유지부(316)가 위치함과 아울러 제2유로(305)상에는 제2간격유지부(317)가 위치하면서 원료수의 공급 유로를 형성한다. 즉, 제2간격유지부(317)의 일정구간는 관체부(302)의 제2유로(305)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이 보자 넓게 확산된 형태의 제1간격유지부(316)는 이에 대응하는 관경의 제1유로(303)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제1,제2간격유지부(316)(317)들은 제어봉(31)의 안정적인 상,하 높이에 따른 유로 공급을 위하여 그 폭을 조절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어봉(31)의 제1간격유지부(316) 소정위치에는 제1간격유지부(316)보다 길게 걸림부(3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봉(31)의 수직방향의 회전 작동시 유동없는 작동을 구현된다. 즉, 상단에 형성된 파지부(315)를 직각방향으로 회전하면 제어봉(31)은 제1재치부(306)에 혹은 제2재치부(307)에 놓임과 동시에 그 높이를 달리함과 동시에 중심의 위치가 유동하지 않고 상,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유로통공(322)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314)는 관체부(302)의 제1재치부(306)에서는 걸려져 재치되지만, 직각회전하여 제2재치부(307)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14)의 회전 걸림 작동은 제어봉(31)의 높이를 소정의 단차(段差,높이의 차이,c)로 올리고 내림에 따라 하단의 유로통공(322)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314)는 상기 밸브스템(312)의 중간부에서 수평방향 양측으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제2재치부(306,307)에 선택적으로 재치(載置)되어 유로통공(流路通空,322)을 개폐할 수 있다.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의 특징중 하나는, 첨부 도면 도 8a 내지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관체(32)의 유로통공(322)의 직경을 다양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음에도 있다.이러한 이유는 원료수의 농도가 짙은 경우 유로통공(322)을 넓힐 필요가 있고, 단지 제빙용수인 경우에는 비교적 좁은 유로통공으로 할 수 있다. 이 조립관체(32)는 상기 관체부(302)의 나선부(304)에 나선부(323)가 대응하여 나사맞춤으로 조립,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직경(a,b,c)의 조립관체(32)로 실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0a는 본 발명 가루얼음 제빙기의 유로 차단상태의 작용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 가루얼음 제빙기의 유로 개방상태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가루얼음 제빙기의 개폐작동은 도 10a,1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봉(31)의 걸림부(314)가 제1재치부(306)에서 제2재치부(307)에 내려앉은 상태에서는 도 10a와 같이 제어봉(31)의 밸브스템(312)의 하단 개페밸브(313)이 유로통공(322)를 차단하여 원료수조(301)내 원료수 하방 배출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후 도 1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봉(31)의 파지부(315)를 잡아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1재치부(306)에 올려놓으면 제어봉(31) 및 밸브스템(312) 전체는 상방으로 소정의 단차(c)로 높아져 유로통공(3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개방작동으로 원료수는 제1유로(303)을 지나 제2유로(305)를 거쳐 유로통공(322)를 통과하여 하방 제빙수조(2)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가루얼음 용기(컵)이 낙하위치에 위치하면 수작업으로 구동부를 스위칭하여 제빙드럼(1)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제빙드럼(1)이 제빙수조(2)에 침지상태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빙드럼(1)내측에 가해진 냉각사이클부(A)의 순환냉매로 인하여 제빙드럼(1)의 외주면이 결빙되므로 제빙드럼(1) 외측의 칼날부(4)에 의하여 소정량의 설빙이 낙하되어 용기에 일정량이 용기에 담겨진다. 이러한 본 고안 가루얼음 제빙기는 원료수가 저장되고 제빙드럼이 회전하는 제빙드럼의 드럼면이 근접하는 제빙수조내 접촉,침지되는 부분(l)을 보다 넓게 침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빙드럼 외측으로 낭비되는 냉각면을 줄여 냉각효율을 보다 개선하게 되며, 제빙후 곧바로 원료수를 배출시켜 원료수가 소정시간 저장됨에 따른 제빙드럼내 물때등의 이물질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가루얼음을 용기에 담는 과정이 끝나 제어봉(31)의 파지부(315)를 회전시켜 걸림부(314)를 낮게 재치함으로써 원료수의 공급 유로가 차단됨과 아울러 냉각사이클부(A) 및 제빙드럼(1) 구동수단의 구동을 오프시킴으로써 모든 제빙작동이 멈추게 되어 전기적인 전력의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원료수조의 잔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제빙수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원료수조의 수위차로 인하여 제빙수조의 급수가 공급,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작동의 일시적 정지후 잔수 발생이 거의 없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위생성이 강조되는 최근의 분위기에 부응하고 특히, 잦은 청소를 위하여 간단히 탈거함이 간편한 제빙기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 냉각사이클부, A1: 압축기,A2: 응축기,A3: 팽창밸브, A4:증발기, 1: 제빙드럼, 2: 제빙수조, 3:원료공급부, 4: 칼날부, 5:외부함체, 6:구동부, 20:편심부, 21:바닥면, 21a:집수부, 23:축점,24:급수관, 25:펌프, 26:보조수조, 201:편심휠(偏心wheel),201a:요부, 201b:돌부, 203:구동모터, 205:축핀, 204:링크부재, 205,206:축핀, 30:원료수조, 31:제어봉, 32:조립관체, 301:수조부, 302:관체부, 303:제1유로, 304:나선부, 305:제2유로, 306:제1재치부, 307:제2재치부, 308:덮개, 309:재치대, 311:개폐밸브, 312:밸브스템, 314:걸림부, 315:파지부, 316,317:제1,제2간격유지부, 321:밸브시트, 322:유로통공, 323:나선부,

Claims (5)

  1. 냉각사이클부(A);
    상기 냉각사이클부(A)의 증발냉매가 원통형의 드럼 내측에서 드럼 외주면을 결빙시키는 제빙드럼;
    상기 제빙드럼의 외주면이 회전중 접촉하는 제빙수조;
    상기 제빙수조에 원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부;
    상기 제빙드럼의 전면측 외주면에 설치되어 외주면에 결빙된 얼음을 긁어내는 칼날부;
    전면으로 설빙이 출빙되는 출빙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의 하방은 개방부를 이루고, 이 출빙부와 개방부를 제외한 배면, 양측면, 바닥 전체는 내부를 커버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제빙기 외부함체; 및
    상기 제빙드럼의 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공급부는,
    원료수조의 소정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원료수 공급 제1,제2유로를 형성하고, 이 제1유로의 입구부 내측에 제1재치부를 형성하고, 이 제1재치부 보다 낮은 위치에 소정의 단차(c)를 갖고 제2재치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유로통공을 형성한 밸브시트로 이루어진 관체부; 및
    상기 관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밸브스템과, 이 밸브스템의 하단에는 개폐밸브와, 상기 밸브스템의 중간부에는 제1유로에 대응하는 폭의 제1간격유지부와, 상기 제1간격유지부의 폭 보다 길게 양측으로 형성하는 걸림부와, 상기 제1간격유지부의 하측으로 제2유로에 대응하는 제2간격유지부와, 상기 밸브스템의 상단에서 수평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파지부로 이루어진 제어봉;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수조는,
    상기 제빙드럼의 하측 원주면에 대응하도록 바닥면의 소정높이(b)로 타원형 곡면을 형성한 집수부;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어 편심,회전하도록 일측구간은 요부를 이루고, 나머지는 돌부를 형성한 편심휠을 상기 제빙수조의 일측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빙수조의 일측을 축점으로 타측에서 소정각도(a)로 상,하동되어 상기 제빙수조가 경사지게 작동하는 편심부;
    상기 제빙수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원료수를 공급시키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펌프(P);
    상기 제빙수조의 축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배수관;및
    상기 급,배수관의 하방에 설치되어 원료수를 집수,저장하는 보조수조;
    를 포함하는 가루얼음 제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0552U 2016-01-30 2016-01-30 가루얼음 제빙기 KR20048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52U KR200481300Y1 (ko) 2016-01-30 2016-01-30 가루얼음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52U KR200481300Y1 (ko) 2016-01-30 2016-01-30 가루얼음 제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24U Division KR200481000Y1 (ko) 2016-04-14 2016-04-14 가루얼음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00Y1 true KR200481300Y1 (ko) 2016-09-09

Family

ID=5695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52U KR200481300Y1 (ko) 2016-01-30 2016-01-30 가루얼음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84B1 (ko) * 2022-10-06 2022-11-25 주식회사 구현테크 드럼 제빙기의 제빙장치와 제빙방법
KR102524948B1 (ko) * 2022-10-06 2023-04-25 주식회사 구현테크 드럼 제빙기의 제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690U (ko) * 2010-03-05 2011-09-15 최범준 부동전
KR101474546B1 (ko) * 2014-02-05 2014-12-30 주식회사캐로스 위생관리가 용이한 얼음 분말 제조장치
US20150126780A1 (en) * 2013-11-01 2015-05-07 Dmso Solutions, Llc Dmso purification
KR200479462Y1 (ko) * 2015-04-10 2016-02-16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드럼식 제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690U (ko) * 2010-03-05 2011-09-15 최범준 부동전
US20150126780A1 (en) * 2013-11-01 2015-05-07 Dmso Solutions, Llc Dmso purification
KR101474546B1 (ko) * 2014-02-05 2014-12-30 주식회사캐로스 위생관리가 용이한 얼음 분말 제조장치
KR200479462Y1 (ko) * 2015-04-10 2016-02-16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드럼식 제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84B1 (ko) * 2022-10-06 2022-11-25 주식회사 구현테크 드럼 제빙기의 제빙장치와 제빙방법
KR102524948B1 (ko) * 2022-10-06 2023-04-25 주식회사 구현테크 드럼 제빙기의 제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054B1 (ko) 가루얼음 제빙기
EP3183517B1 (en) An ice ma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EP3292356B1 (en) Ice maker with reversing condenser fan motor to maintain clean condenser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84482B1 (ko) 위생성이 향상된 드럼식 제빙기
CN105980796A (zh) 制冰冷冻器的清洁
KR200479462Y1 (ko) 드럼식 제빙기
KR200481300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101515604B1 (ko) 눈꽃얼음 제조장치
KR200481000Y1 (ko) 가루얼음 제빙기
JP5793281B2 (ja) 油水分離装置
KR102116726B1 (ko) 관리가 용이하고 위생성이 개선된 드럼 제빙기의 원료수 공급구조
KR20100002897A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제빙기 및 그 제빙기의 청소방법
KR200480759Y1 (ko) 가루얼음 제빙기
KR101994181B1 (ko) 드럼 제빙기의 원료수 정량 공급구조
KR20170003707U (ko) 가루얼음 제빙기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20190032785A (ko) 드럼 제빙기
KR200481028Y1 (ko) 가루얼음 제빙기
JP2002013848A (ja) 自動製氷装置
KR102084981B1 (ko) 드럼식 제빙기
CN115727596A (zh) 冷藏冷冻装置
KR102524948B1 (ko) 드럼 제빙기의 제빙장치
KR102524581B1 (ko) 드럼 제빙기의 원료공급 개폐장치
CN220624478U (zh) 一种用于商用制冰机的溢排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