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5599A -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5599A
KR20040035599A KR10-2003-7015619A KR20037015619A KR20040035599A KR 20040035599 A KR20040035599 A KR 20040035599A KR 20037015619 A KR20037015619 A KR 20037015619A KR 20040035599 A KR20040035599 A KR 2004003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stack
assembly
peeling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224B1 (ko
Inventor
스미스배리존
아센시오레오폴드에스코베도
보스처잔
Original Assignee
아이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투리아나 드 징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투리아나 드 징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아이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A2002/00079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97170A2/en
Publication of KR2004003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Abstract

캐소드로부터 아연을 박리하기 위한 가동 아연박리장치는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는 박리어셈블리, 및 박리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한다. 박리어셈블리는 캐소드의 각각으로부터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측면박리기,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로부터 박판의 박리를 완성하기 위한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면박리기는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박리장치는 아연박판을 스태킹하기 위한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 및 캐소드 클리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아연은 전해법에 의해 정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형적인 공정에 있어서, 많은 캐소드판이 별개의 전해조내로 각각 삽입된다. 전해조는 아연을 포함하는 화학용액을 함유하고 있다. 전해조에 전계가 가해지고, 전해조내에 캐소드가 잠겨있는 높이까지 캐소드에 아연이 성막된다. 아연은 캐소드상에 박판 또는 카운트를 형성한다.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는 캐소드의 "용액높이"에 위치하는데, 그 높이 아래로 캐소드가 아연용액내에 잠겨있다. 캐소드에 성막된 아연을 거둬들이기 위해서는,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분리시켜야 한다.
이러한 분리는 아연박판 박리기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전형적이다. 전형적으로, 캐소드는 전해조로부터 빼내어진 후 아연박리기로 옮겨져,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한다. 그후, 박리된 아연박판이 수집되고 저장되는 동안, 캐소드는 전해조로 돌아가 전해공정을 다시 거친다.
이러한 아연박리기는, 시간이 갈수록, 캐소드를 물리적으로 손상시켜 전해공정에서 계속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게 한다. 캐소드는 전해공정에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캐소드가 긴 수명을 갖는다면 가장 경제적이다. 캐소드가 더 빈번하게 교체되어야 하면 할수록 제조자는 더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캐소드의 침식, 스크래칭 및 다른 손상은 아연 제조자에게는 계속되어온 해결과제이다.
또한, 전해공정은 전해조내의 캐소드와 애노드의 쌍 사이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동작한다. 캐소드상에 아연을 성막시키는 것은 캐소드와 애노드의 사이의 전기전위이다. 그러한 전기도금은 캐소드 및 애노드가 깨끗하고 표면 불순물이 없을 때 가장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캐소드의 표면상의 먼지는 전기전류에 영향을 주어 캐소드상의 아연의 도금을 먼지 영역에서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연 제조자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캐소드를 깨끗하게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는 문제도 갖고 있다.
아연 제조자 및 그 종업원에게 또다른 해결과제는 캐소드로부터 아연을 거둬들일 때 발생되는 상당한 양의 소음이다. 캐소드 자체, 그로부터 박리되는 아연박판, 및 아연박판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장치는 모두 금속제이다. 따라서, 이것들이 서로 반복 접촉하게 될 때, 많은 양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어떤 아연 추출 플랜트는 캐소드로부터 아연을 박리하기 위해 고정설비를 갖는다. 그러한 고정설비는 더 큰 플랜트에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경우에 더 큰 고정설비의 비용은 문제가 안된다. 또한, 전형적으로, 아연 추출 공정에 이용가능한 상당한 양의 공간이 있는 경우에 고정설비가 적합하다. 고정설비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캐소드는 고정 박리설비의 입력단으로 공급되고 그후 기계의 여러 파트를 통하여 이동되는데, 그동안 아연박판은 박리되고 캐소드는 고정설비의 출력단으로운반된다.
그러나, 고정 아연박판박리설비를 갖는 것이 경제적이지 못한 경우가 있다. 또한, 아연 제조자는 고정설비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제한된 공장면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전해조의 다양한 다른 그룹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그러한 전해조에 인접한 캐소드를 박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동 아연박리시스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나다 특허 제2,178,776호에는 가동 자동화 캐소드 박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수직으로 걸려있는 복수의 캐소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지지프레임을 따른 직선이동을 위해 장착된 운반대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박리메카니즘을 더 포함한다. 박리메카니즘은 단일의 피봇가능한 박리 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어셈블리는 각각의 캐소드의 각각의 면을 위한 한쌍의 박리날을 제공하는데, 박판의 최상부 코너에서 아연박판 바로 밑을 웨징한다. 그후 박리날은 아연박판 아래 캐소드를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여,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고 그것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한다. 그후 아연박판은 수용용기내로 이동되고, 수용용기가 꽉찼을 때, 스택은 다른 장소로 이동되어 리프트 트럭에 의해 실려 운반된다. 제트 스프레이 헤드는 박리 암 어셈블리를 운반하는 운반대에 제공된다. 제트 스프레이 헤드의 목적은 아연박판 및 그것들이 박리된 후의 알루미늄 캐소드에 물을 뿌려 그것들을 클리닝하려는 것이다. 제트 스프레이 헤드는 캐소드 위에 매달려있고, 45°각도로 아래로 물을 뿌린다.
그러나, 캐나다 특허 제2,178,776호에 개시된 시스템은 많은 결함을 갖는다. 첫째로, 캐소드의 각각의 면은 캐소드의 전체 수직 길이를 횡단하는 단일의 박리날에 의해 박리된다. 그러한 박리방법은 알루미늄 캐소드를 불필요하게 침식시켜서 그 수명을 제한한다.
둘째로, 워터 스프레이는 캐소드를 클리닝함에 있어서 물을 뿌리는 그 자체만이 특히 효과적이다. 이것은 캐소드에 들러붙어 있는 임의의 불순물과 관련하여 더 그렇다. 그러한 먼지는 물이 흘러도 들러붙어 있으려는 경향이 있다. 셋째로, 그 디바이스는 박리된 박판용 수용용기의 본질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고 불편하다.
미국특허 제5,269,897호에는 전해법에 의해 알루미늄판에 성막된 아연을 박리하기 위한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설비는 코팅된 캐소드용 저장영역, 스크래핑영역, 및 아연이 박리된 캐소드용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캐소드는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다음 영역으로 계속적으로 옮겨진다. 스크래핑영역은 캐소드로부터 성막된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를 분리시키는 수평으로 작용하는 측면피어서, 및 아연박판의 모두를 박리하기 위한 수직으로 작용하는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부에지는 아연박판 아래 처음 삽입되는 측면피어서에 의해 분리된다. 그후 피어서의 헤드는 조절되어 상부에지의 나머지가 분리될 때 더이상 캐소드에 기대지 않아서, 피어서와 캐소드의 사이의 접촉을 감소시키고 캐소드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에는 박리장치를 통하여 캐소드가 운반되는 고정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미국특허 제5,269,897호에 개시된 디바이스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또는 고정시스템의 비용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본원발명은 금속 제조 및 추출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아연의 추출 및 제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과 연관되어 사용되는 전형적인 캐소드의 측면도;
도 2는 가동 아연박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가동 아연박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가동 아연박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캐소드 지지프레임 단부도;
도 5는 가동 아연박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태커 어셈블리 단부도;
도 6은 명확을 위하여 박리장치의 상세가 제거된 스태커 어셈블리의 후방도;
도 7은 동작시의 스크래핑 디바이스가 도시된 도;
도 8은 측면박리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취한, 측면박리기의 길이방향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I-XI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2는 도 8의 XII-XII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3은 측면박리기의 암의 평면도;
도 14는 박리기의 암이 제거된 측면박리기 테이블의 부분 평면도; 및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따라서,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는데 효과적인 가동 아연박리장치가 필요하다. 본원발명의 기계장치는 동작동안 캐소드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연박리 공정동안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축되고 박리 후에 캐소드를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축되고 공간 효율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일형태에 따라,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하고,
박리어셈블리는 캐소드의 각각으로부터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를 분리시키도록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의 캐소드를 가로질러 이동가능한 측면박리기, 및 각각의 상기캐소드로부터 박판의 박리를 완성하도록 측면피어서의 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면박리기는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
박판이 박리될 때 아연박판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박판캐리어로서, 박판캐리어에서 운반된 아연박판으로부터 스택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는 스태커 어셈블리에 아연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박판캐리어;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 박판캐리어, 및 스태커 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하면,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캐소드 클리너가 캐소드 지지프레임상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클리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클리너;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을 더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서,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의 캐소드가 도시되어 있다. 캐소드(10)는 알루미늄판(12), 지지봉(14), 및 운반고리(16)를 포함한다. 알루미늄판(12)은 50-60인치의 길이, 30-32인치의 폭, 및 0.25인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판(12)이 전해조내에 담겨지고 아연박판(17)이 알루미늄판(12)의 양면에 생성된다.
캐소드(10)는 유전체영역(18)도 포함한다. 유전체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유전체영역(18)에는 아연이 부착되지 않는다. 알루미늄판(12)은 좌우측에지(20 및 22) 및 최하측에지(24)를 갖는다. 바람직한 형태의 캐소드에 있어서, 좌우측에지(20 및 22)도 유전체로 코팅되어 있지만, 최하측에지(24)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전해공정동안 최하측에지(24)는 아연으로 코팅되지만, 좌우측에지(20 및 22)는 그렇지 않다. 결과적으로 아연박판의 전반적인 형상은 V형상이다. 최하측에지(24)뿐만 아니라 알루미늄판(12)의 양평면은 아연박판(17)으로 성막되지만, 좌우측에지(20 및 22)는 그렇지 않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캐소드(10)로부터 아연박판(17)을 박리할 때 제 1 단계는 전해조로부터 다수의 캐소드(10)를 빼내어 캐소드 지지프레임(26)에 놓는 것이다.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의 크기, 형상, 및 위치는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정해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은 디바이스의 일측의 연속적인 노치빔(28), 및 새들 또는 노치가 형성된 타측의 일련의 이격된 직립빔(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수의 캐소드(10)가 직립빔(3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로 사이드로딩되도록 한다.
노치빔(28) 및 직립빔(30)은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31)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 모두에 대한 베이스로서 역할한다.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에 캐소드(10)를 로딩하기 위해서, 그래버(도시되지 않음)는 전해조로부터 캐소드(10)를 리프팅하는데 사용된다. 그래버는 각각의 캐소드(10)의 운반고리(16)를 움켜잡는다. 캐소드(10)는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에 15개 1조로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빔(28) 및 직립빔(30)의 노치의 크기 및 간격은 지지봉(14)의 일단이 노치빔(28)의 노치에 안착되고 타단이 직립빔(30)의 노치에 안착되도록 정해져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캐소드(10)가 제위치에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소드 지지프레임(26)에는 30개의 캐소드 슬롯이 있다. 캐소드(10)는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에 로딩될 때, 1슬롯씩 건너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된 캐소드(10)가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에 이미 있어도, 박리되려는 새로운 캐소드(10)가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에 로딩될 수 있고, 박리된 캐소드(10)는 이후에 즉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캐소드(10)를 1슬롯씩 건너 캐소드 지지프레임(26)에 로딩함으로써,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의 내외로 캐소드(10)를 로딩하는데 사용되는 노동력 및 기계장치에 대해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발명은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의 다른 구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요구되는 것은 박리동안 캐소드를 적합하게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캐소드(10)는 박리어셈블리(32)에 의해 박리된다. 박리어셈블리(32)는 측면박리기(34) 및 수직 스크래핑 디바이스(36)를 포함한다. 측면박리기(34)는 박리기 운반대(38)에 의해 운반되고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스크래핑 디바이스 운반대(39)에 의해 운반된다. 양 운반대(38 및 39)는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된 2개의 운반대레일(40 및 42)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운반대(38 및 39)의 이동은 하나의 운반대레일상에서 이뤄지거나 2개 이상의 운반대레일상에서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공간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운반대(38)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할 필요를 고려한 것이 2개의 운반대레일 구성이기 때문에 그러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박리기(34)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그것들을 적합하게 이동시키는 임의의 운반대 어셈블리에 의해 운반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박리기(34)와 스크래핑 디바이스(36)가 별개라면(즉, 스크래핑 디바이스가 박리기를 트레일링하면), 단일의 운반대 등의 구성보다 2개의 운반대 구성(운반대 어셈블리와 같은 운반대(38, 39))이 바람직한데, 더 작은 디바이스에 대하여 가능하기 때문이다.
박리어셈블리(32)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운반대(38)가 각각의 걸려있는 캐소드에 인접한 위치로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을 따라 이동하고, 측면박리기(34)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36)가 순차적으로 각각의 캐소드(10)를 박리한다. 각각의 캐소드(10)에 대하여, 박리의 제 1 단계는 측면박리기(34)에 의해 수행된다.
측면박리기(34)의 디자인은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측면박리기는 테이블(22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옮겨질 수 있게 장착된 2개의 동일한 수평 암(224 및 2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암은 후방 액추에이팅 수압실린더(227)에 연결되어 있고 전방단부는 수직 테이퍼에지(229)를 형성하는 웨지-형상 박리기 헤드(228)이다. 박리기(34)는 암(224 및 225)이 캐소드(10)의 각각의 면에 하나씩 위치하는 방식으로 캐소드 지지프레임(26)내의 캐소드 중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박리기(34)는 캐소드(10)에 부착된 아연박판(17)의 상부에지의 높이에 암(224 및 225)의 테이퍼에지(229)가 있도록 그러한 높이에 위치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227)의 로드는 단부가 암(224 및 225)에 연결되어 있는 횡단헤드(23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는 테이블(226)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채널(232)을 따라 옮겨질 수 있는 하부 융기부(231)를 갖는다. 암(224 및 225)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테이블(226)은 또한 길이방향의 고정가이드(233) 및 자유로이 회전하는 후방 롤러(234)를 갖는다.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여 암을 구동시키는 2개의 측면푸시로드가 테이블(226)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푸시로드의 각각은 그 일단(236)과 고정점에 링크된 로드(235)로 이루어져 있고, 타단은 인접하는 암에 맞대어 지지된 자유로이 회전하는 롤러(237)를 갖는다. 로드(235)에 작용하는 것은 실린더(238)이고, 그 작용으로 암(224 및 225)이 서로 접근하게 된다.
도 8, 도 9, 도 14, 및 도 15에서 테이블(226)의 전방부가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에는, 그 상부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지지대(240)가 장착되는 오프셋 또는 슬롯(239)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40)는 슬롯(239)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지만 약간 더 짧은 길이를 갖는 플랫 피스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러한 피스는 지지대(240)의 폭보다 더 큰 길이의 2개의 횡단 디바이더(241)에 의해 그 상부에 있어서 제한된다. 횡단면로부터 시작하여, 지지대(240)는 슬롯(239)의 더 짧은 벽에 맞대어 지지된 압축스프링(243)을 하우징하는 2개의 대향하는 블라인드 드릴-홀(242)을 갖는다. 이것들은 지지대(240)용 센트럴라이징 엘리먼트로서 역할한다.
지지대(240)의 상부면은 2개의 중간슬롯(244)을 갖는데, 그 각각은 지지대(240)의 길이방향측 중 일측으로 통한다. 이들 2개의 중간슬롯(244)은 지지대(24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약간 어긋나 있다. 이들 슬롯(244)의 각각은 센트럴라이저(245)를 갖는다. 각각의 센트럴라이저는 슬롯(244)의 폭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지만 그것들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고 직사각 외형을 갖는 분명히 플랫인 피스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로 향한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센트럴라이저(245)는 슬롯(244)의 반대편 벽에 맞대어 지지된 압축스프링(247)을 하우징하는 블라인드 드릴-홀을 갖는다. 그 더 넓은 면 사이에, 센트럴라이저(245)는 또한 암(224 및 225)의 분리를 조절하기 위해 자유로이 회전하는 롤러(249; 도 10 및 도 11)를 장착하기 위한 드릴-홀(248)을 갖는다.
또한, 센트럴라이징 피스(245)의 위치는 지지대(240)의 횡단측면내에 형성된 개구부(251)를 관통하여 테이블내의 슬롯(239)을 제한하는 벽내에 형성된 홀 또는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는 스레딩로드(250)의 수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암을 함께 이동시키는 역할을 맡은 로드(235)에 작용하는 실린더(238)가 지지대(240)의 디바이더(241)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224 및 225)의 인접하는 측면 및 하부면은 자유로이 회전하는 롤러(249)를 하우징하는 오프셋 또는 오목단차부(252)를 갖고 있어, 이들 오프셋의 외부 수직벽(253)을 롤러(249)용 롤링 트랙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오프셋(252)은 섹션(254)을 따라 폭이 변화하여서, 롤러(249) 사이의 분리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에지(229)가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49)는 마주보는 암의 트랙에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암(224 및 225)이 캐소드에 작용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개의 암은, 암의 전방측(229)이 알루미늄판(12) 위로 위치하게 될 때까지 실린더(238)가 액추에이팅함이 없이, 그 알루미늄판의 에지에, 각각의 면에 하나의 암이 옮겨지기 시작한다. 그후, 실린더(238)가 액추에이팅되고 암(224 및 225)이 함께 이동하여 에지(229)가 캐소드의 표면상에 지지된다. 암(224 및 225) 사이의 분리의 최대 거리는 스레딩로드(250)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위치로 진행하여, 암의 전방측(229)은 캐소드(10)상에 성막된 아연박판을 스크래핑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진행동안, 롤러(249)가 그것이 지지되는 트랙(253)의 램프(254)에 도달할 때, 암(224 및 225)은 이들 암의 전방측(229)이 캐소드(10)의 표면에 더이상 기대지 않는 방식으로 약간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롤러(249)는 에지(229)가 아연박판의 아래에 들어간 후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헤드(228)를 이동 또는 편향시키는 이동 또는 편향 엘리먼트로서 역할한다. 그 순간부터, 암(224 및 225)이 신속하게 전진할 수 있어, 캐소드의 표면을 스크래칭함이 없이 아연박판(17)이 떼어내지게 된다. 캐소드를 따라 암이 전진하는 동안의 특정 순간(원하는데로 조정될 수 있음)에, 실린더(238)의 작용은 차단될 수 있고, 그로써 스프링(247)은 피스(245)에 대하여 푸싱하여, 암(224 및 225)이 분리되게 한다.
스프링(243 및 247) 때문에, 블레이드가 캐소드 너머로 벗어나기 시작할 때에도, 캐소드 너머에서 암(224 및 225)의 셀프-센터링은 달성된다.
암(224 및 225)을 센터링하고 그것들을 함께 더 가까이 이동시키는 시스템으로, 캐소드에 정확히 작용될 수 있어, 아연성막의 상부를 박리하고, 캐소드의 침식 또는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아연박판(17)의 상부에지(56 및 58)가 알루미늄판(12)으로부터 자유로이 되고 나면, 측면박리기(34)는 그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하고, 운반대(38)는 캐소드 지지프레임(26)을 따라 이동하여 측면박리기(34)가 후속 캐소드(10)에 대하여 동작하게 한다. 그러는 동안,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측면박리기(34)를 트레일링하도록 운반대(39)에 의해 운반된다.
측면박리기(34)가 이미 작용한 캐소드(10) 바로 위에 스크래핑 디바이스(36)가 있게 되는 위치로 운반대(39)가 이동했을 때,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소드(10)로부터 아연박판(17)을 완전히 박리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공정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아연박판(17)의 상부에지(56 및 58)는 측면박리기(34)에 의해 알루미늄판(12)으로부터 이미 멀리 향해 있다. 그때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그렇게 생성된 넓은 틈내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크래핑 디바이스(36)는, 아연박판의 각각의 측면에 대하여 하나씩, 2개의 스크래핑 암(60 및 62) 및 2개의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를 포함한다. 스크래핑 암(60 및 62)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크래핑 헤드(64 및 66)의 선단은 아연박판(17)의 분리된 상부에지(56 및 58)의 아래로 들어간다. 스크래핑 암(60 및 62)이 더 아랫방향으로 전진할 때,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는 아연박판(17)의 내부 부분과 접촉하여 아연박판(17)을 알루미늄판(12)으로부터 떼어낸다. 스크래핑 암(60 및 62)은 전체 아연박판(17)이 알루미늄판(12)으로부터 자유로이 박리될 때까지 아랫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는 아랫방향으로 전진할 때 알루미늄판(12)에 기대거나 접촉조차 않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결정은 스크래칭 또는 스코어링에 의해 알루미늄판(12)이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러한 위치결정은 상부에지(56 및 58)가 측면박리기(34)에 의해 알루미늄판(12)으로부터 이미 분리되어 넓은 틈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는 헤드(64 및 66)가 알루미늄판(12)과 접촉함이 없이 아연박판(17)과 맞대어 박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는 아연박판(17)과 접촉하는 라운딩에지(68 및 70)를 가지므로 아연박판의 흠집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핑 헤드(64 및 66)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헤드(64 및 66) 내부의 스테인레스 스틸 브러시(72 및 7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스틸 브러시(72 및 74)는 스크래핑 헤드(64 및 66)가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여 아연박판(17)을 박리할 때 캐소드를 브러싱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다. 브러시(72 및 74)는 아연박판(17)이 박리될 때 헤드(64 및 66)의 에지(68 및 70)를 트레일링하여 알루미늄판(12)을 브러싱한다. 스크래핑 디바이스(36)가 다시 올려져 다음의 캐소드(10)를 박리할 준비를 할 때, 브러시(72 및 74)는 알루미늄판(12)을 다시 브러싱한다. 브러시(72 및 74)는 브러시(72 및 74)의 각각의 하나가 알루미늄판(12)의 하나의 측면을 브러싱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래핑 헤드(64 및 66)는 알루미늄판(12)의 전체 폭을 따라 뻗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2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첫째로, 아연박판(17)을 따라 균등하게 힘이 발휘된다면 박리가 가장 효율적으로 완성될 수 있어, 박판이 흠집나거나 비틀릴 가능성이 감소된다. 둘째로, 헤드(64 및 66)의 내부에 장착된 브러시(72 및 74)는 알루미늄판(12)을 따라 쭉 뻗어있어, 알루미늄판(12)을 더 철저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아연박판(17)을 박리하는 웨징력은 브러시에 대한 안착력을 제공하여 클리닝 접촉이 우수하게 됨을 인식할 것이다.
소정 이유로 상기 박리어셈블리가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박리어셈블리가 본원발명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캐소드(10)로부터 아연박판(17)을 박리하는데 효과적이도록 베이스프레임(3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박리어셈블리(32)를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것이다. 캐소드가 캐소드 지지프레임(26)상에 있을 때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10)를 박리하도록 박리어셈블리(32)는 디바이스가 놓여있는 플로어(7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캐소드 지지프레임(26)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야 한다.
아연박판(17)은 캐소드(10)로부터 박리된 후에, 아연박판이 박리될 때 아연박판(17)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된 박판캐리어(78)에 떨어진다. 박판캐리어(78)는 한쌍의 구동샤프트(82)에 결합되어 동작되는 컨베이어벨트(80)를 포함하는데, 샤프트는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벨트(80)를 구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된 아연박판(17)은 "V" 또는 "타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박판(17)이 컨베이어벨트(80)와 접촉할 때, 박판(17)은 컨베이어벨트(80)의 이동에 의해 옆으로 엎어져 스태커 어셈블리(84)를 향하여 운반되는데, 스태커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되어 있다.
컨베이어벨트(80)가 박판(17)을 스태커 어셈블리(84)로 운반할 때, 박판(17)은 핀치롤러(86)를 통과함으로써 평평하게 된후 스태킹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치롤러(86)는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되어 있고, 컨베이어벨트(80)의 단부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컨베이어벨트(80)의 바로 위에 있다. 핀치롤러(86)는 아연박판(17)이 스태커 어셈블리(84)로 향하여 가게 하고, 동시에, 그것들이 컨베이어벨트(80)에 의해 스태커 어셈블리(84)로 운반될 때 아연박판(17)을 평평하게 한다(즉, V-형상 아연박판의 "V"를 클로징한다).
박판캐리어(78)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조가 바람직하지만 본원발명에 요구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오히려, 스태커 어셈블리(84)로 아연박판(17)을 이송하기 위한 임의의 박판캐리어(78)는 박판이 박리될 때 아연박판(17)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면 충분할 것이다.
스태커 어셈블리(84)는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텀-업 스태킹 방법에 의해 스택(88)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은 플로어 공간을 절약하여 디바이스가 더 작은 풋프린트를 갖도록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탑-다운 스태킹에 있어서는, 아연박판(17)이 스택의 최상부까지 운반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컨베이어벨트(80)가 스택의 최상부로 대각선 윗방향으로 박판을 운반하기 위해 더 뻗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플로어 공간이 더 많이 사용된다. 대조적으로, 바텀-업 스태킹에서는, 아연박판(17)을 스택(88)의 최하부로 운반하는 것만이 필요하여, 컨베이어벨트(80)의 요구되는 길이를 단축하고 박리장치의 전반적인 풋프린트를 더 작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태킹 어셈블리는 아래로부터 스택(88)을 움켜잡도록 고리부(94 및 96)를 갖는 한쌍의 암(90 및 92) 형태의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한다. 또한, 스태킹 어셈블리는 암(90 및 92) 및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된 리프팅 메카니즘(9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텀-업 스태킹을 수행하기 위해서, 암(90 및 92)은 리프팅 메카니즘(98)에 의해 리프팅되는 스택(88)을 움켜잡는다. 그후 컨베이어벨트(80)에 의해 스태커 어셈블리(84)로 아연박판(17)이 더 운반되고, 그후, 리프팅 메카니즘(98)이 내려지고, 암(90 및 92)이 열려 추가되는 아연박판(17) 위에 스택(88)을 풀어놓고, 암(90 및 92)이 추가되는 아연박판(17)의 아래에서 다시 닫힘으로써, 스택(88)은 추가되는 아연박판(17) 위에 놓인다. 따라서, 추가되는 아연박판(17)은 스택(88)에 추가된다.
스태킹의 이러한 방법은 탑-다운 스태킹 방법보다 소음이 덜할 것인데, 그 이유는, 탑-다운 스태커에서는, 추가되는 박판이 현존 스택 위로 소리를 내면서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추가되는 아연박판 위에 스택이 놓인(떨어지는 것이 아님) 후, 최근 추가된 박판을 포함하는 스택이 다시 들어올려진다.
또한, 암(90 및 92)은 베이스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가능한 스태커 샤프트(10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암(90 및 92)과 함께, 회전가능한 스태커 샤프트(100)는 플로어(76)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서 수직 스태킹 축 둘레로 대략 180°까지 스택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택 회전기로서 역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스태커 샤프트(100)는 스택(88) 위의 일지점에서 베이스프레임(31)과 결합되어서, 샤프트(100)가 회전할 때, 플로어(76)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서 스택(88)은 회전된다.
전형적으로, 스택(88)은 더 많은 박판(17)이 스택(88)에 추가됨에 따라 그 폭을 따라 불균등한 높이로 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박판(17)의 닫힌 단부가 위치하는 스택(88)측은, 더 많은 박판(17)이 추가됨에 따라, 열린 단부가 있는 스택측과는 다른 높이로 될 것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전해공정동안, 아연은 캐소드(10)의 최하부로 다소 향하여 흐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판(17)이 스택(88)에 추가될 때, 그것은 점점 더 한쪽으로 기울어져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나, 스택(88)이 반만큼 완성될 때 스택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택(88)은 균형잡히어 더 안정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디바이스는 스택 회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된 스택 회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디바이스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스택 제거 스테이션(10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암(90 및 92)은 암(90 및 92)이 완성된 스택(88)을 스택 제거 스테이션(1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택 제거 스테이션(102)으로 및 그로부터 베이스프레임(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음 스택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스택(88)은 스택 제거 스테이션(102)에 놓여져 제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를 갖는다. 제 1 리프트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는 리프트 트럭의 포크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할로우쌍(104 및 106)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개의 리프트 트럭 액세스를 갖는 것은 플로어 공간이 제한되는 경우에 로딩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비좁은 공간에서는, 리프트 트럭이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에 접근할 자리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제거될 스택(88)에 리프트 트럭이 도달할 수 있는 또다른 루트를 형성한다. 리프트 트럭이 디바이스의 단부 또는 디바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스택(88)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2개의 할로우쌍(104 및 106)이 서로에 대략 직각으로 위치결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박판(17)의 형상으로 인하여, 스택(88)은, 평면도로 볼때, 더 넓은 치수 및 더 좁은 치수를 갖는 것이 전형적이다. 더 큰 안정성을 위하여, 리프트 트럭은 더 넓은 치수가 포크를 가로지르고 더 좁은 치수가 그것들에 평행하게 스택(88)을 리프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암(90 및 92)은 제 1 할로우쌍(104)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위치와 제 2 할로우쌍(106)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스택을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는데,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로부터 각을 이뤄 옮겨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위치가 90°만큼 서로 각을 이뤄 옮겨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스택(88)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스택 제거 스테이션(102)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스케일(110)을 더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택 제거 스테이션이 플랫폼(112)을 포함하고, 스케일은 스택(88)에 작용하는 중력이 스케일(110)에 전달되도록 플랫폼(112)의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스케일(110)을 갖는 것은 품질제어 목적으로 유용하여서, 아연 제조자는 스택(88)의 무게에 어떤 변동이 있는지 분간할 수 있고, 재고제어 목적으로는, 제조자가 제조되고 있는 아연의 양 및 재고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정보를 제조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조자의 재고 및 품질제어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 스케일(110)이 접속되어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다.
박리장치를 이동가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31)은 플로어에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위치결정되어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휠(116)의 일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116) 중 적어도 2개는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수압 또는 전기 전력원 등의 이동전력원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또는 원한다면,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어기는 산업기계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유형의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제어기(12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바이스의 이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다수의 전력원을 포함)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원은 박리어셈블리, 스태킹 어셈블리, 박판캐리어, 및 스택 회전기에 접속되어 동작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수압펌프(1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수압펌프(120)는 휠(116)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완전히 개시할 목적으로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디바이스에 다양하게 수정이 이뤄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이들 변형예 중 일부는 앞에서 논의되었고 다른 일부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력원은 전기모터 등 수압펌프 이외의 전력원일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플로어-공간-효율적이고, 박리되는 캐소드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캐소드를 효과적으로 클리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가동 아연박리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Claims (33)

  1.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하고,
    박리어셈블리는 캐소드의 각각으로부터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를 분리시키도록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의 캐소드를 가로질러 이동가능한 측면박리기,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로부터 박판의 박리를 완성하도록 측면피어서의 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면박리기는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은 플로어에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휠의 일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일세트는 적어도 2개의 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전력원에 접속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박리기는 캐소드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제 1 박리기헤드 및 캐소드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2 박리기헤드를 포함하고, 제 1 박리기헤드는 제 1 박리기 암에 의해 운반되고, 제 2 박리기헤드는 제 2 박리기 암에 의해 운반되고, 측면박리기는 제 1 및 제 2 박리기헤드가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제 1 및 제 2 박리기헤드를 편향시키도록 위치결정된 편향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어셈블리는 측면박리기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운반하는 운반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운반대 어셈블리는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플로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캐소드가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있을 때 측면박리기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가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캐소드 지지프레임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대레일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운반대레일은 운반대 어셈블리를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 및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로 아연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박판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박판캐리어는 아연박판이 박리된 후에 아연박판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박판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아연박판의 스택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은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 및 박판캐리어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스택을 움켜잡도록 한쌍의 암을 포함하는 스택 그래스퍼, 및 스택을 리프팅하고 그것을 추가되는 아연박판 위에 놓도록 한쌍의 암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리프팅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태커 어셈블리 및 스태커 어셈블리로 아연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박판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박판캐리어는아연박판이 박리된 후에 아연박판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스태커 어셈블리는 박판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아연박판의 스택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스태커 어셈블리는 플로어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서 스택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택회전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은 스태커 어셈블리, 박판캐리어, 및 스택회전기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회전기는 수직 스태킹 축 둘레로 대략 180° 스택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회전기는 스택을 움켜잡아 플로어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서 스택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그래스퍼는 스택을 움켜잡도록 고리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스택 제거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하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스택 그래스퍼가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로부터 스택 제거 스테이션으로 스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박리장치는 스택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스택 제거 스테이션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스케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태커 어셈블리 및 스태커 어셈블리로 아연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박판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박판캐리어는 아연박판이 박리된 후에 아연박판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스태커 어셈블리는 박판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아연박판의 스택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박리장치는 스택 제거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스태커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하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스택 그래스퍼가 스태커 어셈블리로부터 스택 제거 스테이션으로 스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5.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
    박판이 박리될 때 아연박판을 수용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박판캐리어로서, 박판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아연박판으로부터 스택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는 스태커 어셈블리에 아연박판을 이송하기 위한 박판캐리어;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 박판캐리어, 및 스태커 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스택 그래스퍼 및 리프팅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리프팅 메카니즘은 베이스프레임 및 스택 그래스퍼에 결합되어 있고, 리프팅 메카니즘은 스택을 리프팅하고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에 이송된 추가되는 아연박판 위에 스택을 놓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그래스퍼는 스택을 움켜잡도록 고리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어셈블리는 캐소드의 각각으로부터 아연박판의상부에지를 분리시키도록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의 캐소드를 가로질러 이동가능한 측면박리기,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로부터 박판의 박리를 완성하도록 측면피어서의 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면박리기는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업 박리어셈블리는 측면박리기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운반하는 운반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운반대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운반대 어셈블리는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플로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측면박리기 및 스크래핑 디바이스가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스택 제거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하고, 스택 그래스퍼는 플로어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스택 그래스퍼가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로부터 스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스택 제거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바텀-업 스태커 어셈블리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스택 그래스퍼를 포함하고, 스택 그래스퍼는 플로어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베이스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스택 그래스퍼가 스태커 어셈블리로부터 스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박리장치는 스택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스택 제거 스테이션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스케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2.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장치는
    플로어를 따라 박리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박리동안 캐소드를 지지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정해져 있는 캐소드 지지프레임;
    캐소드로부터 아연박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어셈블리로서,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박리어셈블리가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박리하게 하는 박리어셈블리;
    베이스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캐소드 지지프레임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캐소드 클리너가 캐소드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각각의 캐소드를 클리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클리너;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어 있고 박리어셈블리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어셈블리는 캐소드의 각각으로부터 아연박판의 상부에지를 분리시키도록 캐소드 지지프레임내의 캐소드를 가로질러 이동가능한 측면박리기, 및 각각의 상기 캐소드로부터 박판의 박리를 완성하도록 측면박리기의 방향에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래핑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측면박리기는 아연박판과 캐소드의 사이에 들어가는 즉시 캐소드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되어 있고, 캐소드 클리너는 스크래핑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는 각각의 상기 아연박판이 캐소드로부터 박리될 때 각각의 상기 캐소드를 클리닝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클리너는 제 1 브러시 및 제 2 브러시를 포함하고, 제 1 브러시는 스크래핑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캐소드의 일면을 클리닝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고, 제 2 브러시는 스크래핑 디바이스에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캐소드의 반대면을 클리닝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 디바이스는 캐소드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제 1 스크래핑 헤드 및 캐소드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2 스크래핑 헤드를 포함하고, 캐소드 클리너는 제 1 스크래핑 헤드에 장착된 제 1 브러시 및 제 2 스크래핑헤드에 장착된 제 2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플랫폼을 포함하고, 스케일은 플랫폼상의 스택의 힘이 스케일에 전달되도록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제거 스테이션은 플랫폼을 포함하고, 스케일은 플랫폼상의 스택의 힘이 스케일에 전달되도록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그래스퍼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스택은 스택 제거 스테이션에서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1 위치에 놓일 수도 있고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1 위치와 각을 이뤄 옮겨진 제 2 위치에 놓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는 포크 리프트 트럭의 포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스택 제거 스테이션내의 한쌍의 할로우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는 서로 대체로 직각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그래스퍼는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스택은 스택 제거 스테이션에서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1 위치에 놓일 수도 있고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 1 위치와 각을 이뤄 옮겨진 제 2 위치에 놓일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는 포크 리프트 트럭의 포크를 수용하도록 상기 스택 제거 스테이션내의 한쌍의 할로우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프트 트럭 액세스 및 제 2 리프트 트럭 액세스는 서로 대체로 직각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장치.
KR1020037015619A 2001-05-30 2002-05-29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KR100864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349,394 2001-05-30
CA002349394A CA2349394C (en) 2001-05-30 2001-05-30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PCT/CA2002/000790 WO2002097170A2 (en) 2001-05-30 2002-05-29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599A true KR20040035599A (ko) 2004-04-29
KR100864224B1 KR100864224B1 (ko) 2008-10-17

Family

ID=416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619A KR100864224B1 (ko) 2001-05-30 2002-05-29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402088A2 (ko)
JP (1) JP4202909B2 (ko)
KR (1) KR100864224B1 (ko)
CN (1) CN100570012C (ko)
AU (1) AU2002302267B2 (ko)
BR (1) BR0210051A (ko)
CA (1) CA2349394C (ko)
EA (1) EA005101B1 (ko)
MX (1) MXPA03010798A (ko)
NO (1) NO20035261L (ko)
PL (1) PL207124B1 (ko)
ZA (1) ZA2003092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26B1 (ko) * 2013-06-19 2014-10-27 세일정기 (주)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7306B (zh) * 2011-11-09 2015-06-17 上海力富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锌空气电池锌电极还原再生用的锌粉电解自动刮粉装置
CN102888627B (zh) * 2012-10-26 2015-05-20 盐城市电子设备厂 电解锰阴极板锰剥离高频振打装置
CN104562095A (zh) * 2014-12-24 2015-04-29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种板剥片机组
MX2017000941A (es) * 2016-02-25 2018-02-09 Lefevre Yves Maquina de arrancado de catodos.
CN105926008B (zh) * 2016-05-30 2018-03-06 河南豫光冶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化锌片阴极板剥片机
CN106222705B (zh) * 2016-08-31 2018-06-19 三门三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阴极锌板的剥离装置
JP6637868B2 (ja) * 2016-10-19 2020-01-29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電着金属の積層方法及び積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6151B2 (en) * 1977-06-28 1979-12-13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US4131531A (en) * 1977-06-29 1978-12-26 Mitsubishi Kinzoku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deposited metal from cathode sheets
US4310433A (en) * 1980-09-02 1982-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fatted liquid soap skin cleansing compositions
ES2020729A6 (es) * 1990-08-01 1991-09-01 Asturiana De Zinc Sa Instalacion para desprender la capa de zinc depositada por electrolisis sobre catodos planos y catodo utilizado.
CA2178776C (en) * 1996-06-11 2001-01-02 Victor E. Robi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tripping of zinc sheets from aluminum cathode base pl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26B1 (ko) * 2013-06-19 2014-10-27 세일정기 (주)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309279B (en) 2005-02-23
BR0210051A (pt) 2004-08-17
NO20035261D0 (no) 2003-11-27
JP4202909B2 (ja) 2008-12-24
KR100864224B1 (ko) 2008-10-17
AU2002302267B2 (en) 2007-09-20
CN100570012C (zh) 2009-12-16
PL364393A1 (en) 2004-12-13
CA2349394C (en) 2009-09-01
MXPA03010798A (es) 2005-03-07
EA200301316A1 (ru) 2004-06-24
JP2004537648A (ja) 2004-12-16
NO20035261L (no) 2003-11-27
EP1402088A2 (en) 2004-03-31
CN1527891A (zh) 2004-09-08
EA005101B1 (ru) 2004-10-28
CA2349394A1 (en) 2002-11-30
PL207124B1 (pl)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0007T3 (es) Método y aparato de decapado para retirar una capa metálica electrodepositada de una placa catódica
KR100864224B1 (ko)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KR100871963B1 (ko) 전극판 반송 장치의 후크
KR100520404B1 (ko) 알루미늄음극기판으로부터아연판을자동으로박리하는방법및장치
US6797133B2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CN111424292B (zh) 铜电解阴极洗涤剥片工艺及其阴极洗涤剥片机组
US4447308A (en) Electrode brushing apparatus
AU2002302267A1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CN106521611A (zh) 具有自动剥挂系统的电镀设备
JP2008169409A (ja) 電解精製された金属板の洗浄装置
CN101010451B (zh) 用于处理金属板的装置和方法
JPH08175659A (ja) 陰極板の自動搬送処理装置
US20050000797A1 (en) Mobile zinc cathode stripping system
US6565722B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multilayered immersion coating
AU712612B2 (en) An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metal from a cathode
JPH07188967A (ja) 電解精錬用電極板の整備装置
JPS62188792A (ja) 電解溶着金属を分離する方法と装置
MXPA99008899A (en) Device for surface treatment by immersion
JPH0410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