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326B1 -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326B1
KR101455326B1 KR1020130070096A KR20130070096A KR101455326B1 KR 101455326 B1 KR101455326 B1 KR 101455326B1 KR 1020130070096 A KR1020130070096 A KR 1020130070096A KR 20130070096 A KR20130070096 A KR 20130070096A KR 101455326 B1 KR101455326 B1 KR 10145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deposited metal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plate
chi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세일정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정기 (주) filed Critical 세일정기 (주)
Priority to KR102013007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박리장치는 전착금속이 부착된 음극판의 양면에서 협착하여, 상기 음극판에서 밀착되게 활주하면서 전착금속판을 박리하는 한 쌍의 치즐부재와; 상기 치즐부재에 의하여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의 경사진 면을 눌러주는 스윙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즐부재는 협착판과; 상기 협착판의 단부에 장착되는 박리나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스윙롤러부재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서 회동하는 스윙로드와; 상기 스윙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롤러에 의하여 음극판에서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이 평편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DEVICE FOR SEPARATING METAL DEPOSIT FROM A CATHODE}
본 발명은 음극판에 형성된 전착금속을 박리하는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판에서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음극판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란 전기분해를 말하는 것으로 전해액에 전류를 통함으로써 액속에 전리되어 존재하는 이온이 음,양의 전극으로 이동되면서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혹은 금속이 전착되는 등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특히 순도가 높은 금속을 추출 정제하는 전해 제련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해 제련은 전해액이 수납된 전해조 내부에 다수의 대형 극판을 침지시킨 후 전기분해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즉, 전해조에 배설된 다수의 극판에는 음극과 양극이 교호되게 연결된 후 통전됨으로써 전해액 속에서 이온화된, 이를 테면 Zn2+ , Cu2+ 등이 상기 극판 중 음전류가 인가되는 음극판으로 이동되어 전착되면서 순도가 높은 아연 혹은 구리 등이 전착되는 환원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판과 인접하여 교차 배설된 양극판에서는 양이온의 생성, 산소의 발생 등 산화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해액 속에 존재하는 일정량의 금속이온이 전기분해작용에 의해 상기 음극판에 전착되면 크레인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상기 음극판을 이송하여 전착된 금속을 박리하게 된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10-2010-0077415)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10-2010-0077416) 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특2001-0105291)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음극판에는 전착금속이 전착되어 있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판)에는 전착금속이 전착되게 되는데, 도면의 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은 요부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음극판(3)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착금속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착금속은 박리장치에 의하여 전착금속판(5)으로 박리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박리장치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판(3)의 양면에 치즐부재(20)가 장착되는데, 상기 치즐부재(20)는 협착판(23)과 상기 협착판(23)의 단부에 장착되는 박리나이프(25)로 구성된다.
전착금속이 부착된 음극판(3)의 양면에서 협착하도록 한 쌍의 치즐부재(20)가 위치하고, 상기 음극판(3)의 상부면에서 하부로 밀착되게 활주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착금속판(5)을 박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면에서 박리된 전착금속판(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을 이루게 되어, 운반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박리되는 상기 전착금속판(5)의 두께에 따라서 둥그런 원호 형상으로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판(3)에서 박리되는 전착금속판(5)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음극판(3)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는 전착금속이 부착된 음극판의 양면에서 협착하여, 상기 음극판에서 밀착되게 활주하면서 전착금속판을 박리하는 한 쌍의 치즐부재와; 상기 치즐부재에 의하여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의 경사진 면을 눌러주는 스윙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롤러부재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서 회동하는 스윙로드와; 상기 스윙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즐부재는 협착판과; 상기 협착판의 단부에 장착되는 박리나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극판은 정지된 상태이고, 상기 치즐부재는 상기 음극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면서 전착금속판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치즐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승강판에서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극판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양 측면에는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판이 추가로 장착되어,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은 상기 지지판 상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지지판 상부 면에 위치하는 전착금속판을 하방으로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극판의 하부에는 절단나이프가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 음극판의 하단면에 부착된 전착금속판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롤러에 의하여 음극판에서 박리되는 전착금속판이 평편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절단나이프에 의하여 전착금속판이 2등분 되어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특히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전착금속판이 더욱더 평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음극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는 치즐부재(20)와 스윙롤러부재(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즐부재(2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서, 전착금속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3)의 양면에서 협착할 수 있고, 협착판(23)과 상기 협착판(23)의 단부에 장착되는 박리나이프(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협착판(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60)에 장착되어서, 상하로 승강하는 상기 승강판(60)에 의하여 상기 치즐부재(20)도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극판(3)은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치즐부재(20)의 상기 박리나이프(25)가 상기 전착금속판(5)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협착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60)이 하강하면, 상기 박리나이프(25)에 의하여 상기 전착금속판(5)이 박리되게 된다.
만약 상기 치즐부재(20)가 고정되면, 상기 음극판(3)이 상승하면서 전착금속판(5)을 박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윙롤러부재(30)는 지지축(33)과 스윙로드(35) 및 롤러(3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33)은 상기 승강판(60)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60)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윙로드(35)는 상기 지지축(33)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롤러(37)는 상기 스윙로드(35)의 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롤러(37)는 원통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전착금속판(5)의 가로의 폭을 전부 눌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판(3)의 하부에는 절단나이프(50)가 장착되는데, 상기 절단나이프(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판(3)의 하단면에 전착된 천착금속판(5)을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의 작동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착금속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3)의 양면에서 상기 치즐부재(20)가 협착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6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박리나이프(25)는 상기 음극판(3)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전착금속판(5)을 상부에서 하부로 박리하고, 이와 같이 박리되는 상기 전착금속판(5)은 상기 롤러(37)에 의하여 수평으로 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박리나이프(25)가 상기 음극판(3)의 하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절단나이프(50)가 상승하여서 상기 음극판(3)의 하단면에 부착된 전착금속판(5)을 절단하여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등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판(3)의 하단부에서 이격된 양측 부위에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판(40)이 추가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치즐부재(20)에 의하여 박리되는 전착금속판(5)은 상기 지지판(40) 상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37)는 상기 지지판(40) 상부 면에 위치하는 전착금속판(5)을 하방으로 눌러주어서 더욱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3: 음극판,
5: 전착금속판, 20: 치즐부재,
23: 협착판, 25: 박리나이프,
30: 스윙롤러부재, 33: 지지축,
35: 스윙로드, 37: 롤러,
40: 지지판, 50: 절단나이프,
60: 승강판

Claims (8)

  1. 전착금속이 부착된 음극판(3)의 양면에서 협착하여, 상기 음극판(3)에서 밀착되게 활주하면서 전착금속판(5)을 박리하는 한 쌍의 치즐부재(20)와; 상기 치즐부재(20)에 의하여 박리되는 전착금속판(5)의 경사진 면을 눌러주는 스윙롤러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롤러부재(30)는 지지축(33)과; 상기 지지축(33)에서 회동하는 스윙로드(35)와; 상기 스윙로드(35)의 단부에 장착되는 롤러(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부재(20)는 협착판(23)과; 상기 협착판(23)의 단부에 장착되는 박리나이프(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3)은 정지된 상태이고, 상기 치즐부재(20)는 상기 음극판(3)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면서 전착금속판(5)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3)은 상기 치즐부재(20)를 승강시키는 승강판(6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3)은 상기 승강판(60)에서 활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3)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양 측면에는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판(40)이 추가로 장착되어, 박리되는 전착금속판(5)은 상기 지지판(40) 상부 면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37)는 상기 지지판(40) 상부 면에 위치하는 전착금속판(5)을 하방으로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3)의 하부에는 절단나이프(50)가 추가로 장착되어, 상기 음극판(3)의 하단면에 부착된 전착금속판(5)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KR1020130070096A 2013-06-19 2013-06-19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KR10145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96A KR101455326B1 (ko) 2013-06-19 2013-06-19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96A KR101455326B1 (ko) 2013-06-19 2013-06-19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326B1 true KR101455326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096A KR101455326B1 (ko) 2013-06-19 2013-06-19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3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83B1 (ko) 2016-05-10 2017-03-23 세일정기 (주) 음극판 박리 장치
KR20180084429A (ko) 2017-01-17 2018-07-25 세일정기 (주) 음극판 연마 장치.
KR101888951B1 (ko) 2017-05-23 2018-08-16 세일정기 (주) 전착금속 중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착금속의 중량측정방법
CN108588765A (zh) * 2018-08-15 2018-09-28 株洲优瑞科有色装备有限公司 一种剥板机组
WO2022198370A1 (zh) * 2021-03-22 2022-09-29 江西瑞林装备有限公司 电解阴极附着沉积可延展金属剥片开口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291A (ko) * 1998-11-27 2001-11-28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KR20040035599A (ko) * 2001-05-30 2004-04-29 아이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JP2009215598A (ja) * 2008-03-10 2009-09-24 Mesco Inc 析出金属板の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JP2013515849A (ja) * 2009-12-23 2013-05-09 江西瑞林装▲備▼有限公司 陰極板用剥離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291A (ko) * 1998-11-27 2001-11-28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음극으로부터 금속석출물을 분리하는 기구
KR20040035599A (ko) * 2001-05-30 2004-04-29 아이스코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가동 아연캐소드박리시스템
JP2009215598A (ja) * 2008-03-10 2009-09-24 Mesco Inc 析出金属板の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JP2013515849A (ja) * 2009-12-23 2013-05-09 江西瑞林装▲備▼有限公司 陰極板用剥離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783B1 (ko) 2016-05-10 2017-03-23 세일정기 (주) 음극판 박리 장치
KR20180084429A (ko) 2017-01-17 2018-07-25 세일정기 (주) 음극판 연마 장치.
KR101888951B1 (ko) 2017-05-23 2018-08-16 세일정기 (주) 전착금속 중량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착금속의 중량측정방법
CN108588765A (zh) * 2018-08-15 2018-09-28 株洲优瑞科有色装备有限公司 一种剥板机组
WO2022198370A1 (zh) * 2021-03-22 2022-09-29 江西瑞林装备有限公司 电解阴极附着沉积可延展金属剥片开口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326B1 (ko) 음극판의 전착금속 박리장치
NO20056119L (no)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metal oxides
CN101270486B (zh) 电解淀积金属剥离方法及该方法使用的造弯装置
ZA200808360B (en) Cathodes for aluminium electrolysis cell with non-planar slot design
EP2122787A4 (en) CONTACT BAR FOR RECOVERY PANEL
EP2077342A3 (en) Set of Parts for Positioning Electrodes in Cells for the Electrodepositing of Metals
WO2013160160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olytischen abscheiden eines abscheidemetalls auf einem werkstück
CN201132859Y (zh) 阴极剥离装置
JP4267014B2 (ja) 電着金属の剥取装置
ATE527398T1 (de) Zelle zur elektrogewinnung von metallen mit elektrolytreiniger
KR101718783B1 (ko) 음극판 박리 장치
KR101045938B1 (ko) 음극판의 금속 박리장치.
CN104264186B (zh) 一种处理银电解残极的方法
CN104185695A (zh) 从阴极移除金属的方法
WO2012175803A3 (en) Permanent cathode and a method for treating the surface of a permanent cathode
KR101879633B1 (ko) 음극판 박리 장치
KR20150101590A (ko) 롤러 클리닝장치
CL2004001020A1 (es) Equipo de control de depositacion catodica perimetral, comprende perfiles guia catodos energizables mediante conductores electricos insertos en sentido longitudinal del perfil, fijados en lados opuestos de una estructura soportante de material aislan
CN102947491B (zh) 用于将剥离金属沉积片固定到一起的方法和装置
JP2012167340A (ja) 電着金属の剥離装置
JP5807615B2 (ja) 電気コバルト板の曲がり矯正方法
ES489994A1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separacion electrolitica de metales
CN207793450U (zh) 一种微蚀液铜回收系统中电解槽中的阴极板
CN204661843U (zh) 一种阳极板
EA00301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садка, создаваемого при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ом рафинировании или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м извлечении метал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