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590A - 롤러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90A
KR20150101590A KR1020140023063A KR20140023063A KR20150101590A KR 20150101590 A KR20150101590 A KR 20150101590A KR 1020140023063 A KR1020140023063 A KR 1020140023063A KR 20140023063 A KR20140023063 A KR 20140023063A KR 20150101590 A KR20150101590 A KR 2015010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using
shaft
blad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409B1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2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40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클리닝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클리닝장치{APPARATUS FOR CLEANING ROLLER}
본 발명은 롤러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일측에 배치되어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롤러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 자동차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강판은 표면에 아연계의 금속 및 금속 합금을 도금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표면의 외관을 우수하게 유지시킨다. 특히, 강판 표면의 도금작업은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연속적인 도금작업이 가능한 수평셀(LCC-H; Liquid Cushion Cell-Horizontal)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이용한 황산욕 도금에는 불용성 전극이 사용되며, 이 전극은 대체로 1500 ~ 2000mm의 길이를 갖도롤 형성되어 약 200A/dm의 전류밀도, 도금셀당 50KA 전류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고전류 밀도의 조업이 가능하여 합금 도금이 용이하다.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도금전극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강판이 진행하며, 강판과 도금전극 사이에는 대략 9mm 정도의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액노즐을 통해 강판과 도금전극 사이의 간격으로 도금용액이 공급된다.
도금전극의 양측으로는 강판에 도금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스틸 재질의 높은 경도로 구성된 도금롤과 도금롤이 설치된 강판의 반대쪽으로 강판을 대략 4 ~ 5kg/cm2의 압하력으로 도금롤에 밀착되어 강판을 이송시키는 백업롤이 설치된다. 도금전극 및 도금전극의 전후에 배치된 도금롤과 백업롤에 둘러싸여 도금용액이 충진됨에 따라 도금공정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공간인 도금셀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강판이 도금롤과 백업롤 사이에서 접촉하여 도금롤 및 백업롤이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도금셀에서는 도금롤을 통해 음극의 도금전류가 강판에 공급되게 하여 표면이 미려하고 색상이 우수한 도금제품의 생산을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반면, 장시간 연속 도금작업시, 도금전류에 의해 도금롤에 자장이 형성되어 자화됨으로써 도금롤에 이물이 부착되며, 이로 인해 도금강판은 도금롤 이물마크인 굴곡 형상 불량인 덴트(dent) 품질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금롤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여 강판의 품질 결함을 방지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4758호. 2011. 06. 27.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롤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도금롤의 표면 관리하여 강판의 품질 결함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 클리닝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는 이송부재;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축을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승강축이 상기 돌출부의 정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와 맞닿는 작동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블레이드가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후방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부재의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축이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과 상기 롤러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한 이송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와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링축;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링축을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링축과 상기 이송축을 연결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블록; 하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록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고정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터링; 및 상기 리미터링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승강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푸싱롤러;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푸싱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롤브라켓; 및 상기 롤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빔; 및 일측이 상기 고정빔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빔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블레이드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도금롤을 향해 이송시킴으로써 도금롤에 부착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의 승강은 도금롤의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도금롤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도금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평셀 타입의 전기도금장치(1)는 도금전극(3)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강판(S)이 진행되고, 도금용액(7)은 강판(S)과 도금전극(3)의 사이의 정압노즐(5)로부터 공급된다. 도금롤(8)이 강판(S)과 접촉하여 회전됨으로써 도금롤(8)을 통해 음극의 도금전류가 강판(S)에 인가되며, 도금롤(8)이 설치된 강판(S)의 반대쪽에는 백업롤(9)이 설치되어 강판(S)이 도금롤(8)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표면이 미려하고 색상이 우수한 도금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금공정을 장시간 계속할 경우, 도금롤(8)과 강판(S)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강판(S)의 칩(Chip)이나 스케일(Scale)과 같은 이물(6)이 도금롤(8)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후물재 작업시 강판(S)의 에지부에 발생되는 덴드라이드(Dendraite)가 도금롤(S)의 표면에 침작되는 결함이 발생한다. 즉, 강판(S)과 밀착, 접촉되는 도금롤(8)의 표면 상태는 직접적으로 도금 강판(S)의 표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도금롤(8) 표면의 결함이 발생한 상태에서 장시간 연속 도금작업시 제품 표면결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금롤(8)의 표면 이물(6)을 제거가능한 롤러 클리닝장치(도 2의 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의 상부에 배치된다.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과 맞닿아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10)를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20)들과 연결되어 블레이드(10)가 도금롤(8)의 표면을 향해 위치시키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또한,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클리닝유닛(20) 및 구동유닛(40)이 각각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한 하우징(50)을 더 포함하며, 하우징(50)의 상부에는 실린더로드(65)가 연결되어 실린더(60)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로드(65)는 하우징(50)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롤러 클리닝장치(100)는 도금롤(8)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도금롤(8)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고정빔(80)과 고정빔(80)에 지지되어 고정빔(80)을 따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85) 및 일측이 슬라이딩 하우징(85)에 연결되며, 타측이 실린더(60)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88)과 슬라이딩 하우징(85) 사이에는 메인블록(8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하우징(85)은 고정빔(8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스크류축(82)에 연결되어 스크류축(82)의 회전에 의해 고정빔(8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클리닝유닛(20)과 구동유닛(40)은 하우징(50)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하우징(50)은 실린더(60) 및 실린더로드(65)를 통해 도금롤(8)을 향해 승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은 슬라이딩 하우징(85)과 연결되어 고정빔(80)을 따라 도금롤(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후술하는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은 도금롤(8)의 이물을 제거하는 블레이드(25)를 구비하며, 구동유닛(40)은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을 도금롤(8)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가능한 이송부재(30) 및 이송부재(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70)를 포함한다.
클리닝유닛(20)은 도금롤(8)의 폭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클리닝유닛(20)의 하단부에는 도금롤(8)에 부착되는 이물(6)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25)가 각각 구비된다. 블레이드(25)는 도금롤(8)의 중심을 기준을 향해 배치되며, 각각의 클리닝 유닛(20)은 도금롤(8)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내부공간(52)을 가지며, 이송부재(30)는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에 배치된다. 각각의 이송부재(30)는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34)들 및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32)를 가진다.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와 돌출부(34)를 교대로 형성되며, 함몰부(32)와 돌출부(34)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송부재(30)는 클리닝유닛(20)과 대응되는 복수로 구비되며, 예를 들어 도금롤(8)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 이송부재(30a, 30c),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이송부재(30a, 30c)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이송부재(30b)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중앙 이송축(31)과 축결합되어 함께 회전가능하며, 각각의 이송축(31)들은 하우징(50)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부재(30)의 하부에는 클리닝유닛(20)이 위치한다. 클리닝유닛(20)은 하단부에 도금롤(8)과 접촉하는 블레이드(25)와 블레이드(25)의 상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27), 고정부재(27)에 연결되는 승강축(35)을 포함한다. 그리고 클리닝유닛(20)은 승강축(35)의 상단에 롤브라켓(37)이 연결되며, 푸싱롤러(38)는 롤브라켓(3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승강축(35)은 하우징(50)의 바닥면(52)에 형성된 삽입홀(53)에 각각 삽입되며, 승강축(35)과 고정부재 사이에는 가이드링(29)이 고정설치된다. 가이드링(29)은 하우징(50)의 외측에 위치하며, 삽입홀(5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클리닝유닛(20)은 롤브라켓(37)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3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36)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송부재(3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푸싱롤러(38)는 이송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 및 돌출부(3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푸싱롤러(38)가 이송부재(30)의 돌출부(34) 상에 위치할 경우, 승강축(35) 및 블레이드(25)는 함께 하강하며, 푸싱롤러(38)가 함몰부(32) 상에 위치할 경우, 승강축(35) 및 블레이드(25)는 함께 승강한다. 한편, 고정부재(27)의 전방에는 블레이드 커버(28)가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25)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6)이 강판(S)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롤러(70)는 블레이드(25)의 일측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후방 블레이드(25c)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금롤(8)와 맞닿아 도금롤(8)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75)은 구동롤러(70)와 축결합되어 구동롤러(70)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구동축(75)의 상부에는 링축(90)이 배치된다. 베어링블록(76)은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구동축(75)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링축(90)은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방 이송부재(30c)의 이송축(31c)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축(72)의 하단부는 베어링블록(76)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하우징(50)의 바닥면(52)에 형성된 관통홀(71)에 삽입되어 지지링(79)에 의해 지지된다.
리미터링(74)은 고정축(72) 상에 고정설치되며, 하우징(50)의 바닥면(52) 하부에 위치한다. 제1 탄성부재(77)는 리미터링(74)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롤러(7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동롤러(70)는 도금롤(8)과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가능하며, 제1 탄성부재(77)의 완충력을 통해 도금롤(8)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벨트(92)는 구동축(75)과 링축(90)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풀리(99)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링축(90)은 구동롤러(70)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7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축(90)과 후방 이송축(31c) 및 후방 이송축(31c)과 중앙 이송축(31b), 그리고 중앙 이송축(31b)과 전방 이송축(31a) 또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풀리(99)가 고정설치되어 각각 제2 내지 제4 벨트(93, 94, 95)에 연결됨으로써 함께 회전 가능하다.
즉, 각각의 이송축(31)이 회전함으로써 이송축(31)과 대응되는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중앙 이송부재(30a, 30b, 30c)는 함께 회전함으로써 푸싱롤러(38)는 이송부재(30)의 함몰부(32) 및 돌출부(34)를 따라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재(30)는 각각 네 개의 함몰부(32)와 돌출부(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송부재(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 및 중앙 이송부재(30c, 30b)는 약 22.5도 어긋나도록 배치각(θ1)을 가진다. 중앙 이송부재(30b)와 전방 이송부재(30a) 또한, 후방 및 중앙 이송부재(30c, 30b)의 배치각(θ1)과 등각 배치되며, 각각의 이송부재(30)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한다.
따라서, 후방 승강축(35c)에 연결되는 후방 블레이드(25c)를 시작으로 중앙 블레이드(25b), 전방 블레이드(25a)는 순차적으로 도금롤(8)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한편, 도금롤(8)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롤러(70)의 회전방향은 변화함으로써 회전 방향이 반대일 경우, 전방 블레이드(25a)를 시작으로 후방 블레이드(25c)를 향해 순차적으로 도금롤(8)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하강한 블레이드(25)는 롤브라켓(27)과 하우징(50)의 바닥면(52)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부재(36)의 탄성력을 통해 상승함으로써 이송부재(30)의 돌출부(34)로부터 함몰부(32)를 향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블레이드(25) 및 구동롤러(70)는 도금롤(8)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며, 구동축(75) 및 승강축(35)이 각각 삽입되는 하우징(50)의 바닥면(52)은 도금롤(8)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롤러 클리닝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하우징(85)에 연결되는 하우징(50)은 고정빔(80)을 따라 함께 이동 가능함으로써 도금롤(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금롤(8)의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5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상부에 연결된 실린더(60)를 구동하여 실린더로드(65)를 하강함으로써 하우징(50) 및 하우징(50)에 연결되는 블레이드(25)는 함께 하강하여 도금롤(8)의 상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금롤(8)의 표면과 전방 블레이드(25a)의 이격거리(l)는 전방 블레이드(25a)에 연결되는 전방 푸싱롤러(38a)가 전방 이송부재(30a)의 함몰부(32a) 상에 위치('대기위치')할 경우, 함몰부(32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부(34a)의 정점의 거리와 같도록 배치된다. 이와 함께, 구동롤러(70)는 도금롤(8)과 맞닿아 함께 회전함으로써 이송부재(30)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 블레이드(25c)는 도금롤(8)과 맞닿는 작동위치에 놓이며, 동시에 중앙 및 전방 블레이드(25b, 25a)는 도금롤(8)로부터 이격된다.
구동롤러(70)의 구동축(75)과 각각의 벨트(92, 93, 94, 95)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의 이송축(31)들은 구동축(7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블레이드(25c)는 도금롤(8)로부터 이격되며, 중앙 및 전방 블레이드(25b, 25a)가 순차적으로 도금롤(8)에 맞닿아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5)는 도금롤(8)의 중심을 향해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도금롤(8)을 향해 승강하므로, 도금롤(8)은 블레이드(25)의 두께와 대응되는 면 접촉이 이루어져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6)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도금롤(8)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블레이드(25)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도금롤(8)을 향해 이송시킴으로써 도금롤(8)에 부착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블레이드(25)의 승강은 도금롤(8)의 회전력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복수의 블레이드(25)가 도금롤(8)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블레이드(25)의 피로도를 최소화하여 도금공정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수평셀 도금장치 3 : 도금전극
5 : 정압노즐 7 : 도금용액
8 : 도금롤 9 : 백업롤
20 : 클리닝유닛 25 : 블레이드
30 : 이송부재 31 : 이송축
32 : 함몰부 34 : 돌출부
35 : 승강축 36 : 제2 탄성부재
37 : 롤브라켓 38 : 푸싱롤러
40 : 구동유닛 50 : 하우징
60 : 실린더 65 : 실린더로드
70 : 구동롤러 75 : 구동축
77 : 제1 탄성부재 80 : 고정빔
85 : 슬라이딩 하우징 90 : 링축

Claims (13)

  1.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일측에 상기 롤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롤러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가능한 블레이드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클리닝유닛들; 및
    상기 클리닝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의 표면과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들의 정점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는 이송부재;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함께 이동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와 접촉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가능한 승강축을 구비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승강축이 상기 돌출부의 정점에 위치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롤러와 맞닿는 작동위치를 가지는, 롤러 클리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 블레이드가 상기 작동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후방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부재의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를 가지는, 롤러 클리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정점까지의 거리는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축이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과 상기 롤러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롤러 클리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이송부재와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한 이송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와 맞닿아 함께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이송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더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이송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링축;
    상기 구동축과 상기 링축을 연결하는 제1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링축과 상기 이송축을 연결하는 제2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축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블록;
    하단부가 상기 베어링블록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지지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축 상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터링; 및
    상기 리미터링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롤러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승강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승강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부재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한 푸싱롤러;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푸싱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롤브라켓; 및
    상기 롤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바닥면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로드;
    상기 실린더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리닝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빔; 및
    일측이 상기 고정빔에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빔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롤러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롤러 클리닝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송부재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는, 롤러 클리닝장치.
KR1020140023063A 2014-02-27 2014-02-27 롤러 클리닝장치 KR10162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ko) 2014-02-27 2014-02-27 롤러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ko) 2014-02-27 2014-02-27 롤러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90A true KR20150101590A (ko) 2015-09-04
KR101620409B1 KR101620409B1 (ko) 2016-05-12

Family

ID=5424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063A KR101620409B1 (ko) 2014-02-27 2014-02-27 롤러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4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94B1 (ko) * 2015-04-27 2016-07-21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클리닝장치
KR101696118B1 (ko) * 2015-12-22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박판 제조장치
KR102580369B1 (ko) * 2023-04-24 2023-09-18 조정선 내구성이 향상된 엔진 풀리 클리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909B1 (ko) 2002-09-13 2010-03-2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 제조공정의 전도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94B1 (ko) * 2015-04-27 2016-07-21 주식회사 포스코 롤 클리닝장치
KR101696118B1 (ko) * 2015-12-22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박판 제조장치
KR102580369B1 (ko) * 2023-04-24 2023-09-18 조정선 내구성이 향상된 엔진 풀리 클리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409B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3355B2 (ja) 表面処理装置
KR101620409B1 (ko) 롤러 클리닝장치
CN110139949B (zh) 小型零件的电镀装置
KR101641594B1 (ko) 롤 클리닝장치
JP5865958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100843944B1 (ko) 도금 설비의 강판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02863B1 (ko) 롤 클리닝장치 및 롤 클리닝방법
KR101602859B1 (ko) 롤러 클리닝장치
JP6117891B2 (ja) 表面処理装置
KR101593586B1 (ko)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및 수평셀 전기도금방법
RU239891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металл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в частности, электролизом
JP6403612B2 (ja) ロッドめっき装置の給電装置
CN211497848U (zh) 一种导条轮片导向装置
KR20140000086A (ko)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CN103298980B (zh) 用于平面基板的单面电解处理的设备
JP2013019018A (ja) 電極板のハンガーバー研磨装置、および、電極板のハンガーバー研磨装置を備えた電極板搬送装置
CN102296336A (zh) 一种改善电镀均匀性的太阳能电池片电镀设备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JP4755729B1 (ja) 電気メッキ装置
JP6342538B2 (ja) 表面処理装置
KR101266455B1 (ko) 도금롤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KR100376595B1 (ko) 도금용 음극 장치
KR101620411B1 (ko) 롤러 클리닝장치
KR101607915B1 (ko) 피도금물 이송용 캐리어
CN212655875U (zh) 一种对金属工件表面电镀均匀的电镀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