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492A -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492A
KR20040034492A KR1020030072059A KR20030072059A KR20040034492A KR 20040034492 A KR20040034492 A KR 20040034492A KR 1020030072059 A KR1020030072059 A KR 1020030072059A KR 20030072059 A KR20030072059 A KR 20030072059A KR 20040034492 A KR20040034492 A KR 2004003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membrane
hollow fiber
casing
cylind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8602B1 (ko
Inventor
나카마츠오사무
오타니히로시
구모이치로우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01D63/022Encapsulating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31Two or more types of hollow fibres within one bundle or within one potting or tube-she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벽부재가 케이싱통으로부터 박리되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가의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은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potting layers),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보유하고,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킨 중공막 모듈이다.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중공사막을 사용하여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혈액투석에 사용되거나 또는 하배수 등의 물의 정화에 사용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예컨대 혈액투석에 중공사막(반투막)을 사용한 중공사막 모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은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및 이 중공사막 다발이 각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potting layers)을 갖고, 투석액을 입구포트로부터 출구포트를 향하여 케이싱통 내로 유통시키는 동시에, 혈액을 출구포트측으로부터 입구포트측을 향하여 중공사막 내로 유통시켜 혈액투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일본실용공고 평7-37700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4불소화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케이싱통 내에 이 케이싱통의 길이보다 약간 긴 중공사막 다발을 삽입통과시키고, 삽입통과한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를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고분자재료로 포팅(potting)하여 고정한 후, 그 포팅단부를 예리한 나이프로 절단하여 포팅단면에 중공사막을 개구시키고, 개구부 전체를 포위하는 헤더가 피착됨으로써 얻어진다. 이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는 포팅부가 격벽으로 되지만, 포팅단부를 절단할 때, 격벽에 이것을 케이싱통으로부터 벗겨내고자 하는 힘이 가해져, 케이싱통이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중,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4불화에틸렌 등의 난접착성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격벽이 케이싱통으로부터 박리되거나 빠져나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케이싱통과는 별개의 통체로 이루어진 중공사막 다발 지지기구를 설치하고, 이 중공사막 다발 지지기구를 케이싱통의 내벽에 접합시키는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기구는 중공사막 다발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격벽의 박리나 빠져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격벽이 케이싱통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더라도 박리되면, 예컨대 혈액투석용인 경우 투석액과 혈액이 혼합되어 정상적인 투석작용이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불량품으로서 폐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케이싱통과는 별개로 중공사막 다발 지지기구를 제작하여 미리 케이싱 내에 배치하여 둘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증가나 조립공정수의 증가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의 제조비용의 상승이 초래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포팅단부의 절단 시에 격벽이 케이싱통으로부터 박리되거나 빠져나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렴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은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및 이 중공사막 다발이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을 갖고,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斜交)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중공사막 모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의 바람직한 한 개의 양태는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중공사막 모듈이다. 이 경우, 케이싱통의 일단부의 헤더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로 하고, 타단부의 헤더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한 개의 양태는 일단부에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중공사막 모듈이다. 이 경우, 케이싱통의 일단부의 헤더에 설치된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처리액의 입구포트로 하고, 타단부의 헤더에 설치된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처리액의 출구포트로 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배플통의 슬릿이 케이싱통의 통축을 나선축으로 하는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연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릿을 배플통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하거나, 그 복수개의 슬릿을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등배하여 둘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혈액투석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중공사막 모듈을 나타내는 계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처리액 출구포트측의 어느 한 단부를 나타내는 계략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중공사막 모듈의 처리액 출구포트측의 어느 한 단부에 있어서, 격벽(potting layer) 및 중공사막 모듈을 제거한 상태의 단부를 나타내는 계략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플통의 전개도이다.
우선,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혈액투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중공사막 모듈은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1)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2)를 구비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4불소화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케이싱통(3), 이 케이싱통(3)에 내장된 다수의 중공사막(반투막)을 한 방향(케이싱통(3)의 통축방향)으로 정돈하여 이루어진 중공사막 다발(4), 및 이 중공사막 다발(4)이 각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3)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실리콘 또는 에폭시 등의 고분자재료(다시 말하면, 2액 혼합경화형 고분자 접착제)를 포팅하여 이루어진 격벽(5, 6)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케이싱통(3)의 타단부에는 피처리액인 혈액의 입구포트(7)를 구비한 헤더(8)가 끼워 부착되어 있고, 그 반대측의 일단부에는 혈액의 출구포트(9)를 구비한 헤더(10)가 끼워 부착되어 있다. 이들 헤더(8, 10)도 또한 케이싱통(3)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처리액의 출구포트(2)측의 어느 한 단부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격벽(6)에는 케이싱통(3)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11)을 구비한 배플통(12)이 내재되어 있다. 이 경우, 배플통(12)을 케이싱통(3)의 일부로 하여 일체성형하여 내재시킬 수도 있다.
이 배플통(12)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또는 에폭시 등의 고분자재료를 포팅할 때에 격벽(6)에 내재되지만, 이 예에서는 배플통(12)의 헤더(8)측의 일부가격벽(6)에 내재되고, 그 내재된 부분에 있어서 슬릿(11) 내로 포팅재가 들어가 있다.
도 3은 상기 배플통(12)의 구성의 이해를 위해서 도 2에 나타낸 케이싱통(3)의 출구포트(2)측의 단부를 격벽(6) 및 중공사막 다발(4)을 제거하고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 2와 도 3에 있어서는 케이싱통(3)의 단부를 처리액의 출구포트(2)측에 대해서 표시하였지만, 케이싱통(3)의 입구포트(1)측의 단부도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혈액투석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처리액인 투석액을 입구포트(1)로부터 출구포트(2)를 향하여 케이싱통(3) 내로 유통시키는 동시에, 피처리액인 혈액을 헤더(8)의 입구포트(7)로부터 헤더(10)의 출구포트(9)를 향하여 중공사막안을 유통시킴으로써 혈액투석을 행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배플통의 그 전체 부분을 격벽에 내재시킬 수 있다. 단, 상술한 예와 같이, 헤더측의 일부가 격벽에 내재되고 나머지 부분이 케이싱통 내로 노출되게 하여 두면, 슬릿의 형상이나 배치 등을 적절하게 고안함으로써 케이싱통 안을 유통하는 처리액의 정류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배플통은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에서 케이싱통과 일체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케이싱통과는 별개로 성형된 배플통을 용착 등에 의해서 케이싱통에 단단히 고착시킬 수 있으면, 제조비용이 높아지게는 되지만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플통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은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듯이, 격벽에 내재되는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하여, 들어가는 포팅재의 양을 증가시키면 박리강도가 향상되므로 가장 좋지만, 일정 폭의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통의 통축을 나선축으로 하는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연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슬릿의 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6개~12개 정도로 하는 것이 케이싱통의 성형성이나 기계적 강도 및 처리액의 정류작용 등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슬릿을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분산배치하여 있지만, 케이싱통의 통축을 축으로 하여 나선모양과 같이 연장된 1개의 슬릿을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복수개의 슬릿을 형성한 경우, 이들은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등배되어 있어도 좋고, 임의의 간극으로 비등배되어 있어도 좋다. 요컨대, 슬릿은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좋다. 단, 입구포트(1)의 바로 아래에는 슬릿이 존재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입구포트(1)로부터 유입된 처리액이 직접 중공사막에 충돌하기 않도록 배려한 것이고, 중공사막형 투석기에서는 주지의 구성이다
또한,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직행하는 슬릿은 사출성형 금형의 구조상 케이싱통과 일체 성형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배플통을 별개부품으로 하여 제작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상승이 초래되므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이 아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플통(12)을 전개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슬릿(11)의 사교각도 θ는 케이싱통(3) 통축방향으로 정돈되어 있는 중공사막과 중공사막 사이에 처리액인 투석액이 케이싱통(3)의 둘레방향에서 균일하게 케이싱통(3) 내부로 침입하여 지나도록 θ=15~6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θ=30~45°로 하는 것이 케이싱통의 성형성이나 기계적 강도 및 처리액의 정류작용 등의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통축에 대해 사교되는 방향은 왼쪽 기울어짐이거나 오른쪽 기울어짐의 어느 쪽도 특별히 큰 유의차는 없다. 또한, 배플통(12)의 뒤쪽 부분의 중공사막의 개수, 즉 슬릿(11)과 대면하지 않은 중공사막의 개수를 적게 함으로써 처리액이 케이싱통(3)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조장할 수 있다.
또한, 입구포트(7)로부터 유입하여 오는 처리액을 정류하여 중공사막 다발에 거의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의한 유체해석 등에 의해서 각각의 슬릿의 폭치수 W를 0.5mm~3mm의 범위로 개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격벽에 내재시키면, 격벽에 그것을 케이싱통으로부터 벗겨내고자 하는 힘이 가해졌을 때, 그 힘이 둘레방향으로 분산되어 케이싱통으로부터 격벽이 박리되거나 빠져나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에 추가하여 처리액의 정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는, 처리액의 흐름과 피처리액의 흐름이 향류하게 되어 있지만, 동일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케이싱통(3)의 일단부의 헤더(10)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9)를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로 하고, 반대로 타단부의 헤더(8)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7)를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중공사막의 외측에 피처리액을 유통시켜서, 중공사막 내로 처리액이 유통되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피처리액을 입구포트(1)로부터 출구포트(2)를 향하여 케이싱통(3) 내로 유통시키는 동시에, 처리액을 헤더(8)의 입구포트(7)로부터 헤더(10)의 출구포트(9)를 향하여 중공사막 내를 유통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에 사용되는 중공사막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아크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셀룰로오스, 트라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사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고 소63-17464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듯이, 케이싱통의 내부에 중공사막 다발을 케이싱통의 통축방향을 따라서 장전하고,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를 케이싱통의 양 개구부에 있어서 포팅재로 접착밀봉하여 격벽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싱통에 내재되어 있는 배플통의 사교슬릿은 케이싱통의 통축에 평행하지 않으므로, 중공사막 다발을 장전할 때, 중공사막이 슬릿으로부터 튕겨져 나오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중공사막 다발을 원활하게 장전할 수 있다. 게다가, 장전 후에도 중공사막 다발을 흐트러짐 없이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격벽은 그 경화 후에 그 외단부를 예리한 나이프로 절단하고, 포팅재로 이루어진 격벽의 단면에 중공사막을 개구시켜 그것을 표면으로 노출시킨다. 그 후, 케이싱통의 양 단부에 매니폴드를 형성하기 위한 헤더를 각각 초음파 접착 등으로 접합하여,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와 같이 혈액투석용으로서 사용하는 것 외에 하배수의 정화나, 음료수의 제조, 및 연료전지의 가습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하여 왔듯이,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혈액투석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피처리액이 혈액이고, 그리고 처리액이 투석액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하배수의 정화나 음료수의 제조, 또는 연료전지의 가습장치 등에 사용하는 경우는 처리액이 원래의 오염된 물이나 공기이고, 피처리액이 정화된 깨끗한 물이나 공기에 상당한다.
실시예
본 발명자들은 도 1에 나타내는 혈액투석용 중공사막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재질을 CISSO(주) 제품의 랜덤코폴리머계 폴리프로필렌(품명:칫소폴리프로 XK4644)로 하고, 중공사막 다발로는 일본특허공개 2001-170172호 공보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술폰을 사용하였다. 중공사막의 실개수는 9400개이고, 포팅재로는 니폰폴리우레탄(주) 제품의 우레탄수지(품명: KC399/N4223)를 사용하여 약 80G의 원심력 하에서 격벽을 형성하고,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를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시켰다. 이 때, 배플통에 형성된 사교슬릿의 사양은 CD-adapco JAPAN Co., Ltd. 제품의 유체해석소프트(품명: STAR-CD)를 사용하여 해석한 결과를 모아서 도 4에 나타내었듯이, 슬릿수 n=6, θ=30°, 슬릿폭 W1=1.3mm, W2=1.6mm, W3=0.9mm의 나선형상으로 하였다. 각 슬릿은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등배하고, 사교방향은 오른쪽 기울어짐으로 하였다. 또한, 배틀통은 케이싱통의 일부로 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즉, 배플통과 케이싱통의재질을 동일한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격벽을 예리한 나이프로 절단하고, 포팅재 단면에 중공사막을 개구시켜, 그것을 표면으로 노출시켰다. 이 때, 격벽이 빠져나오지 않고, 평활하고 깨끗한 단면을 얻을 수 있었다. 그 후, 케이싱통의 양 단부에 매니폴드를 형성하기 위한 헤더를 각각 초음파접착으로 접합하여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과 마찬가지로, 케이싱통의 재질을 폴리프로필렌으로 하고, 동일한 내용으로 중공사막 모듈을 제작하였다. 단, 배플통에 형성된 슬릿의 사양은 θ=0°으로 하여 케이싱통의 통축과 평행하게 하였다. 그 외, 슬릿수 n=6, 슬릿폭 W1=1.3mm, W2=1.6mm, W3=0.9mm로 하고, 각각의 슬릿을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등배하는 등 실시예에 가능한 한 가깝게 하였다. 이 모듈을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팅하여 격벽을 형성하고, 형성된 격벽을 예리한 나이프로 절단하였더니, 격벽은 케이싱통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중공사막 다발에 손상을 주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케이싱통의 재질을 폴리스티렌으로 한 것을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으로 제작하였다. 단, 배플통의 형상은,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소57-227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는 포트 바로 아래에만 배플판이 구비되어 있는 중공사막 모듈로 하였다. 이것을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과 성능을 비교평가한 결과, 하기 표 1의 결과를 얻었고, 실시예의중공사막 모듈 쪽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능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2
요소 제거율(ml/min) 190 188
인 제거율(ml/min) 130 125
β2-MG 제거율(ml/min) 60 58
또한, 상기 용질의 제거율 측정방법은 소화57년 9월 발행, 일본 인공장기학회편, 혈액투석기 성능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행하였다. 그 중에서 측정방법이 2종류 있지만, 본 실험은 TMP 0mmHg를 기준으로 하였다. 제거율은 이하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제거율
여기서, CBi: 모듈 입구측 농도, CBo: 모듈 출구측 농도, QB: 모듈 공급액량(ml/min)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에서는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케이싱통 내에 그 케이싱통의 길이보다도 약간 긴 중공사막 다발을 삽입통과시키고, 삽입통과한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를 고분자재료로 포팅하여 격벽으로 한후, 포팅단부를 예리한 나이프로 절단하여 포팅단면에 중공사막을 개구시켰을 경우에, 격벽에 그것을 케이싱통으로부터 벗겨내고자 하는 힘이 가해져도 그 힘을 둘레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격벽이 케이싱통으로부터 박리되거나 빠져나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은 그 때문에 상술하듯이 혈액투석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외에, 하배수의 정화나 음료수의 제조, 연료전지의 가습장치 등의 폭넓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및 이 중공사막 다발이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을 갖고,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2.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3.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4. 일단부에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5. 일단부에 피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피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케이싱통, 이 케이싱통에 내장된 중공사막 다발, 이 중공사막 다발이 그 중공사막 다발의 양 단부에 있어서 케이싱통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격벽, 상기 케이싱통의 일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입구포트를 구비한 헤더, 및 상기 케이싱통의 타단부에 설치된 처리액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헤더를 가지며, 또한 상기 격벽에 케이싱통의 통축에 대해서 사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구비한 배플통을 내재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릿이 케이싱통의 통축을 나선축으로 하는 나선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연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릿이 배플통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슬릿이 배플통의 둘레방향으로 등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투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슬릿의 사교각도 θ가 15~60°이고, 슬릿의 수가 6~12개이고, 각각의 슬릿의 폭치수 W가 0.5mm~3mm의 범위에서 개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20030072059A 2002-10-16 2003-10-16 중공사막 모듈 KR100818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1530 2002-10-16
JPJP-P-2002-00301530 2002-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92A true KR20040034492A (ko) 2004-04-28
KR100818602B1 KR100818602B1 (ko) 2008-04-01

Family

ID=3208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059A KR100818602B1 (ko) 2002-10-16 2003-10-16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23339B2 (ko)
EP (1) EP1415703B1 (ko)
KR (1) KR100818602B1 (ko)
CN (1) CN100377767C (ko)
CA (1) CA2444922C (ko)
DE (1) DE60333154D1 (ko)
ES (1) ES2347542T3 (ko)
HK (1) HK1062420A1 (ko)
TW (1) TWI3067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111B2 (ja) 2006-09-19 2013-08-14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
TW200927273A (en) * 2007-09-13 2009-07-01 Applied Process Technology Inc Water treatment bioreactor using polyester hollow filaments
US7871520B2 (en) * 2007-12-18 2011-01-18 Milton Roy Company High-temperature membrane distillation
MX2012009683A (es) * 2010-02-22 2012-09-07 Asahi Kasei Medical Co Ltd Dispositivo medico y dispositivo medico de membrana de fibra hueca.
KR101282060B1 (ko) * 2010-12-31 2013-07-0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용 분리 장치
KR101402399B1 (ko) 2011-12-28 2014-06-11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BR112014022656B1 (pt) * 2012-03-15 2021-04-13 Toray Industries, Inc. Módulo de membrana de fibra oca tipo cartucho
KR101510643B1 (ko) 2013-07-30 2015-04-10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아가미용 멤브레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산소 분리 장치
KR101518840B1 (ko) 2013-07-30 2015-05-13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아가미용 모듈형 멤브레인 장치
CN106103349A (zh) * 2013-12-02 2016-11-09 东丽株式会社 水处理方法
TWI653063B (zh) 2017-12-18 2019-03-11 大陸商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血液透析器及其製造方法
KR102598949B1 (ko) * 2018-08-20 202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가습기
CN109125833B (zh) * 2018-09-28 2020-12-15 东莞科威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真空式丝膜组装装置
CN112108011A (zh) * 2020-09-29 2020-12-22 杭州富阳万博空分设备有限公司 一种精密过滤器密封外壳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9426A (en) * 1976-03-19 1980-08-26 Organon Teknika B.V. Dialysis device
CA1132914A (en) 1978-03-20 1982-10-05 Bert S. Bodnar Method of potting the ends of a bundle of hollow fibers positioned in a casing
US4425234A (en) * 1979-07-30 1984-01-10 Hospal Ltd. Hollow fiber separatory device
JPS61222510A (ja) * 1985-03-28 1986-10-03 Nitto Electric Ind Co Ltd 中空糸膜モジユ−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04804A (ja) * 1986-03-04 1987-09-09 Daicel Chem Ind Ltd 中空糸膜モジユ−ル
JPS634809A (ja) * 1986-06-23 1988-01-09 Mitsubishi Rayon Co Ltd 中空糸濾過モジユ−ル
JPH0737700Y2 (ja) * 1990-01-17 1995-08-30 テルモ株式会社 中空糸型液体処理装置
SE502103C2 (sv) * 1991-08-01 1995-08-14 Gambro Dialysatoren Filterenhet för överföring av massa och/eller värme innehållande hålrumsfibrer
US6702944B2 (en) * 2000-07-07 2004-03-09 Zenon Environmental Inc. Multi-stage filtration and softening module and reduced scaling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7767C (zh) 2008-04-02
US20040074833A1 (en) 2004-04-22
HK1062420A1 (en) 2004-11-05
ES2347542T3 (es) 2010-11-02
DE60333154D1 (de) 2010-08-12
CA2444922A1 (en) 2004-04-16
CN1496754A (zh) 2004-05-19
US7223339B2 (en) 2007-05-29
EP1415703A2 (en) 2004-05-06
EP1415703A8 (en) 2004-08-25
EP1415703B1 (en) 2010-06-30
KR100818602B1 (ko) 2008-04-01
TWI306777B (en) 2009-03-01
CA2444922C (en) 2009-09-08
EP1415703A3 (en) 2004-08-25
TW200408438A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602B1 (ko) 중공사막 모듈
US6565747B1 (en) Spiral wound type separation membrane element
EP2796185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casing tube used for same
KR100519690B1 (ko) 개선된 미공성 막 여과 조립체
EP1323462B1 (en) Filtering device with associated sealing design and method
JP2016518209A (ja) 酸素供給器モジュール、酸素供給器、及び製造方法
JP6728171B2 (ja) 統合された機能を伴う膜カートリッジ
JP2007185593A (ja) 中空糸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269780A (zh) 膜分离装置
JP4207741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EP1359993B1 (en) Hollow fiber membrane cassette
KR100711834B1 (ko) 침지형 분리막 모듈
EP2872240B1 (en) Aeration diffuser for pressurized membrane module
JP2004524140A5 (ko)
AU2002236864A1 (en) Hollow fiber membrane cassette
JP2836791B2 (ja) 中空糸束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カートリッジケース
KR101889109B1 (ko)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20160111892A (ko)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JP4436477B2 (ja) 濾過膜モジュール
JPH05161832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分離方法
JP2000237549A (ja) 中空糸膜ユニット及び膜分離装置
JPS6330482Y2 (ko)
JPH0615019B2 (ja) ▲ろ▼過方法
JP2006055205A (ja) 中空糸型血液浄化器
JP2006082035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