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109B1 -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109B1
KR101889109B1 KR1020130103081A KR20130103081A KR101889109B1 KR 101889109 B1 KR101889109 B1 KR 101889109B1 KR 1020130103081 A KR1020130103081 A KR 1020130103081A KR 20130103081 A KR20130103081 A KR 20130103081A KR 101889109 B1 KR101889109 B1 KR 10188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piping
hea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5547A (ko
Inventor
김진민
박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109B1/ko
Priority to US14/915,199 priority patent/US20160207002A1/en
Priority to EP13892414.7A priority patent/EP3040111A4/en
Priority to CN201380079260.6A priority patent/CN105531018A/zh
Priority to PCT/KR2013/011190 priority patent/WO2015030310A1/ko
Publication of KR2015002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9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spirally wound, coiled tubes or spirally wound, coiled and joined bands or w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하우징(housing)부 내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부, 및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및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는 산기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Apparatus of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은 수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나선형 산기 장치(aerator)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module)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membrane)을 이용하여 물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이 정수 또는 공업 용수, 재 이용수, 하폐수 처리 등의 수처리 기술에 이용되고 있다. 정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분리막으로 중공사 막을 이용하는 기술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한 모듈(module) 또는 여과 장치는 중공사 다발을 헤더(header)에 고정시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사막 모듈은 침지식 또는 가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가압식의 경우 유체 순환을 위한 별도의 유체 순환 설비가 요구되지만 생산수 처리 능력이 상대적으로 탁월한 이점이 있다.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는 여과 또는 정수 기술에서, 케이크층(cake layer)과 같이 중공사막 표면에 발달하는 오염을 해결하는 방법이 주요한 기술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공사막에 대해 공기를 공급하여 오염 물질들이 중공사 막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중공사막의 보다 효과적인 세정을 위해, 공기를 불어넣어 오염 물질을 떨어지게 하는 산기(aeration) 효과를 보다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출원은 중공사막 모듈의 중심부에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산기(aeration)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우징(housing)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부; 및 상기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시한다.
상기 중공사막부는 다수의 중공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들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상기 배관 몸체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의 이격 부분을 지나 상기 헤더(header)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헤더부로 수집된 여과수를 상기 상부 헤더부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헤더부로 상기 여과수들이 취수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시한다.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이송 배관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나선형 형상을 이루게 감긴 상기 배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관 몸체 부분들의 높이가 낮아지는 나선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는 산기 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상기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관 몸체 부분들의 높이가 낮아지는 나선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출원은 중공사막 부분의 중심부에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산기(aeration)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에 적용된 산기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에 기재된 기술은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는 다소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상호 간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부 및 산기부 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형태 또는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중공사막을 이용하는 여과 장치를 이루는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공사막 모듈은 하우징부(housing: 100), 헤더부(header: 210, 230) 및 중공사막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공사막부(300)에 산기를 위한 기포(271)들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주입 배관부(270)을 포함하는 산기부(aerator)를 도입할 수 있다.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되는 중공사막부(300)는 중공사막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중공사막들이 배열되어 묶음 다발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중공사막부(300)를 구성하는 중공사막은 수처리 또는 정수 처리가 요구되는 피처리수 또는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사막들은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폴리에테르케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공사막부(300)는 헤더부(210, 230)에 일 단부 또는 양 단부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중공사막부(30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상부 헤더부(210) 및 하부 헤더부(230)가 하우징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헤더부(210) 및 하부 헤더부(230)가 체결된 하우징부(100) 내부에 중공사막부(300)가 위치하고, 하우징부(100) 내부에 처리될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원수는 중공사막부(300)를 이루는 중공사막들에 여과될 수 있다. 중공사막부(300)를 투과한 여과수 또는 정수는 중공사막부(300)에 연결된 상부 헤더부(210) 또는 하부 헤더부(230)로 수집될 수 있다. 상하부 헤더부들(210, 230)은 여과수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헤더부(210) 및 하부 헤더부(230)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통수 가능한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헤더부(210) 및 하부 헤더부(230)는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한 그 재질에 제한은 없다. 일 예로서, 상부 헤더부(210) 및 하부 헤더부(230)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아크릴 수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변성 PPE(Poly Phenylene Ether) 수지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헤더부(230)로 수집된 여과수를 상부 헤더부(210)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250)는,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 내부에 상부 헤더부(210)와 하부 헤더부(230)를 연결하는 배관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이송 배관부(250)는 하우징부(100) 내부 중심부에서 위치할 수 있다. 이송 배관부(250)가 하우징부(100) 내부에 위치하므로, 하부 헤더부(230)로부터 상부 헤더부(210)로 여과수를 이송하기 위한 별도의 통수관을 하우징부(100) 외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우징부(100)의 외관이 보다 단순하게 설계될 수 있어, 중공사막 모듈의 설치나 중공사막 모듈을 포함하는 정수 또는 여과 설비 시스템(system)을 구성하는 데 복잡한 배관 설비를 생략할 수 있다. 중공사막부(300)의 양단에서 여과수를 집수할 수 있으므로, 여과수의 취수 생산량을 유효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중공사막부(300)에 성장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하우징부(100) 내에 산기 장치 또는 산기부를 구성하는 공기주입 배관부(270)을 설치할 수 있다. 공기주입 배관부(270)를 포함하는 산기부는 중공사막부(300)에 공기를 불어넣어 오염 물질을 떨어지게 하는 산기(aeration)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될 수 있다. 공기주입(air blowing)으로 발생되는 기포(271)는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배관 몸체(273)에 구비된 기공(275)들을 통해 하우징부(100) 내의 중공사막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기포(271)들은 중공사막부(300) 주위에서 폭기 또는 산기 작용을 하며, 이에 유발된 유체 유동에 의해 중공사막부(300)에 발생된 오염 물질을 중공사막부(300)로부터 떨어져 나와 제거될 수 있다. 오염 물질은 여과된 결과의 농축수 또는 오염수로 하우징부(100)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공기주입 배관부(270)는,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형상으로 배관 몸체(273)가 감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관 몸체(273)는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에 반대되는 배관 몸체(273)의 끝단 부분(277)이 나선형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이러한 끝단 부분(277)의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아지는 형상, 예컨대, 원추 형상을 이루는 나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배관 몸체(273)가 감겨 이루어지는 나선형 형상을 가지는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측 평면도(top view), 도 5는 측면도(side view) 및 도 6은 바닥 평면도(bottom view)이다. 도 3 내지 도 6에 제시된 공기주입 배관부(270)는 원추 형상을 이루게 감긴 나선형 형상을 보여주지만, 나선 중심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에서의 배관 몸체(273) 부분들의 위치가 상호 간에 차이가 나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공기주입 배관부(270)는 하부 헤더부(230)에 인근하게 위치하고 기공(275)들이 상부 헤더부(210) 쪽으로 향하게 열린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공(275)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포(271)들은 하우징부(100) 하단 부분에서 상단 부분으로 이동되며 중공사막부(300)의 오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공기주입 배관부(270)는 하부 헤더부(230)에 접착제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높은 산기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서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배관 몸체(273)는 하우징부(100) 내의 중간 부분 또는 상단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관 몸체(273)가 하우징부(100) 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경우, 기공(275)들은 상 하 모두로 열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배관 몸체(273)가 하우징부(100) 내의 상단 부분에 인근하게 위치할 경우, 기공(275)들은 하부의 하부 헤더부(210)에 향하게 열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관 몸체(273)들이 다수 개 층층이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되어 산기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배관 몸체(273)를 따라 구비된 기공(275)들은 상호 간에 균일한 이격 간격을 가지거나 일정 패턴(pattern)을 가지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기공(275)은 대략 2mm 내지 15mm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기공(275)들은 상호 간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이격 간격, 예컨대, 대략 20 mm 내지 100mm의 이격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기공(275)들은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에서 멀어질수록, 즉,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이격 간격이 점차 작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공(275)들은 가장자리부에서는 대략 60 mm 내지 100mm의 이격 간격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서는 대략 20 mm 내지 60mm의 이격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심부로 갈수록 기공(275)들의 이격 간격이 좁아지며 기공(275)들의 밀도가 증가되어, 중공사막부(300)의 중심부에 기포(271)을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여 상대적으로 우세한 산기 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공(275)들은 하나씩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여러 개가 묶음(group)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배관 몸체(273)는 나선형 형상을 이루므로, 하나의 배관 몸체(273)로도 하우징부(100) 내의 바닥 부분 전체를 커버(cover)하도록 도입될 수 있다. 배관 몸체(273)의 하나의 주입 입구로 주입된 공기 흐름(air flow)은 배관 몸체(273) 내부를 흘러, 배관 몸체(273) 곳곳에 구비된 기공(275)들로 흘러들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배관 몸체(273)로도,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 내에 설치된 중공사막부(300) 전체에 대해 기포(271)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나선형으로 감긴 배관 몸체(273)는 하우징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배관 몸체(273)은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끝단 단부(277)가 중심부에 위치하게 감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 내에 배관 몸체(273)는, 배관 몸체(273)의 끝단 단부(도 3의 277)가 하우징부(100) 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배관 몸체(273) 부분들의 높이가 낮아지는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부(10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들에도 유효하게 기포(271)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산기 작용에 의한 오염 제거를 보다 유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공기주입 배관부(270)의 배관 몸체(273)는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 있으므로, 개개의 중공사막들 또는 묶음 다발 형태를 이루는 중공사막들의 다발은 배관 몸체(273)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의 이격 부분을 지나 하부 헤더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관 몸체(273) 부분들이 중공사막들 사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기공(275)들 또한 중공사막들 사이 중간 중간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기포(271)들이 개개의 중공사막들에 보다 유효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기 작용의 효과를 보다 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중공사막부(300)의 양단에서 여과수를 집수하는 방식으로 중공사막 모듈을 설명하고 있지만, 중공사막부(300)의 어느 한 단부, 예컨대, 상단부에 체결된 상부 헤더부(210)만 여과수를 집수하는 방식에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와 처리된 농축수 등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거나 또는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 배관, 회수 배관 또는 순환 배관들이 연결되는 펌프(pump)와 같은 구동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과수를 취수하기 위한 배관 또는 펌프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100) 내에 하단 부분의 측부에 원수 공급을 위한 포트(port: 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대향되는 상단 부분의 측부에 농축수 배출을 위한 포트 또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원수가 공급되는 위치와 무관하게 공기주입 배관부(270)가 하우징부(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원수 공급 포트의 설치에 대한 설계 상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어 하우징부(100)의 외관 형상이 보다 단순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우징부, 210, 230: 헤더부,
250: 이송 배관부, 270: 공기주입 배관부,
300: 중공사막부.

Claims (14)

  1. 하우징(housing)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부; 및
    상기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의 반대 끝으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것인 중공사막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부를 고정하는 헤더(header)부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부는
    다수의 중공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들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상기 배관 몸체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의 이격 부분을 지나 상기 헤더(header)부에 연결되는 중공사막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header)부는
    상기 중공사막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상부 헤더(header)부 및 하부 헤더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상기 하부 헤더부에 인근하게 위치하고 상기 기공들은 상기 상부 헤더부를 향하게 열린 형상을 가지는 중공사막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헤더부로 수집된 여과수를 상기 상부 헤더부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헤더부로 상기 여과수들이 취수되는 중공사막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배관부는
    상기 하부징부의 내부에 상기 하부 및 상부 헤더부들 사이를 연결하게 도입된 중공사막 모듈.
  8. 하우징(housing)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하는 중공사막부;
    상기 중공사막부를 고정하는 헤더(header)부; 및
    상기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부는
    다수의 중공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들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상기 배관 몸체 일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의 이격 부분을 지나 상기 헤더(header)부에 연결되고,
    상기 헤더(header)부는
    상기 중공사막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상부 헤더(header)부 및 하부 헤더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이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하부 헤더부로 수집된 여과수를 상기 상부 헤더부로 이송하는 이송 배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헤더부로 상기 여과수들이 취수되고,
    상기 이송 배관부는
    상기 하부징부의 내부에 상기 하부 및 상부 헤더부들 사이를 연결하게 도입되고,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상기 이송 배관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긴 상기 배관 몸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의 상기 기공들은
    상기 배관 몸체를 따라 균등한 이격 간격으로 배치된 중공사막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의 상기 기공들은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는 입구측에서 멀어질수록 이격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배치된 중공사막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의 상기 기공들은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중공사막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상기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가 상기 하우징부 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관 몸체 부분들의 높이가 낮아지는 나선형 형상을 이루는 상기 배관 몸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13. 중공사막부에 기포를 제공하는 기공들이 배관 몸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관 몸체가 나선형 형상을 이루도록 감겨진 공기주입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의 반대 끝으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것인 중공사막 세정용 산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배관부는
    상기 배관 몸체의 끝단 단부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배관 몸체 부분들의 높이가 낮아지는 나선형 형상을 이루는 중공사막 세정용 산기 장치.
KR1020130103081A 2013-08-29 2013-08-29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188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81A KR101889109B1 (ko) 2013-08-29 2013-08-29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US14/915,199 US20160207002A1 (en) 2013-08-29 2013-12-05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EP13892414.7A EP3040111A4 (en) 2013-08-29 2013-12-05 Spiral aerator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aving same
CN201380079260.6A CN105531018A (zh) 2013-08-29 2013-12-05 螺旋曝气器以及具有其的中空纤维膜组件
PCT/KR2013/011190 WO2015030310A1 (ko) 2013-08-29 2013-12-05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081A KR101889109B1 (ko) 2013-08-29 2013-08-29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997A Division KR20160111892A (ko) 2016-09-19 2016-09-19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547A KR20150025547A (ko) 2015-03-11
KR101889109B1 true KR101889109B1 (ko) 2018-09-20

Family

ID=5258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081A KR101889109B1 (ko) 2013-08-29 2013-08-29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07002A1 (ko)
EP (1) EP3040111A4 (ko)
KR (1) KR101889109B1 (ko)
CN (1) CN105531018A (ko)
WO (1) WO2015030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8044B (zh) * 2020-06-30 2021-01-12 柳州潜荣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用于栀子提取物的纯水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481A (ja) 2008-12-02 2010-06-17 Mitsubishi Rayon Eng Co Ltd 曝気用散気装置および散気方法
CN201618522U (zh) 2009-07-16 2010-11-03 杭州凯宏膜技术有限公司 新型浸没式膜组件
US20100300947A1 (en) 2007-12-14 2010-12-02 Youfeng Sun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reactor,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647B2 (ja) * 1990-10-09 2000-08-28 エーザイ株式会社 細胞培養装置
US8852438B2 (en) * 1995-08-11 2014-10-07 Zenon Technology Partnership Membrane filtration module with adjustable header spacing
SG54084A1 (en) * 1995-09-14 1998-11-16 Univ Singapore Recirculating mechanical aerator
CA2274042C (en) * 1997-04-04 2007-08-07 Daniel H. Dickman Aeration diffuser
US6641733B2 (en) * 1998-09-25 2003-11-04 U. 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modules
TWI222895B (en) * 1998-09-25 2004-11-01 Usf Filtration & Separ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membrane filtration modules
KR19990045939A (ko) * 1999-02-24 1999-06-25 장문석 개선된중공사막모듈및이를사용한폐수처리방법
DE19959103A1 (de) * 1999-12-08 2001-06-21 Messer Grieshei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Abwasser
JP3741253B2 (ja) * 1999-12-24 2006-02-01 富士通株式会社 薬品製造装置
US20030113908A1 (en) * 2001-12-18 2003-06-19 Hussey Leon R. Compost tea apparatus and methods
KR20050056293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JP2006205119A (ja) 2005-01-31 2006-08-10 Nikko Co 浸漬型膜分離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浸漬型膜分離装置
EP2263782A1 (en) 2007-05-22 2010-12-22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Device for fluid distribution i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CN201226733Y (zh) * 2008-06-30 2009-04-29 仙桃市恒康科技有限公司 高效节能微孔增氧装置
CN201399324Y (zh) * 2009-01-16 2010-02-10 苏州膜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式中空纤维膜组件
KR101569529B1 (ko) 2009-02-12 2015-11-1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KR101100353B1 (ko) 2009-10-09 2011-12-30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다층구조형 산기장치
WO2011150206A2 (en) * 2010-05-27 2011-12-01 Hydranautic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O2011150210A2 (en) * 2010-05-27 2011-12-01 Hydranautic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20120007946A (ko) 2010-07-15 2012-01-25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유량 가압식 막모듈 정수 장치
US9278317B2 (en) * 2011-12-09 2016-03-08 Lotte Chemical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ith miniskeins in miniheaders having a zig-zag configuration
KR101908704B1 (ko) * 2012-01-11 201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사 막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0947A1 (en) 2007-12-14 2010-12-02 Youfeng Sun Membrane Module and Membrane Bioreactor,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Same
JP2010131481A (ja) 2008-12-02 2010-06-17 Mitsubishi Rayon Eng Co Ltd 曝気用散気装置および散気方法
CN201618522U (zh) 2009-07-16 2010-11-03 杭州凯宏膜技术有限公司 新型浸没式膜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310A1 (ko) 2015-03-05
US20160207002A1 (en) 2016-07-21
CN105531018A (zh) 2016-04-27
EP3040111A1 (en) 2016-07-06
KR20150025547A (ko) 2015-03-11
EP3040111A4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862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膜濾過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532428B1 (ko) 중공사막 모듈 및 수처리 장치
KR101364362B1 (ko) 여과장치
KR20140001011U (ko) 중공사막 모듈 및 중공사막 모듈 유닛
CN103269780A (zh) 膜分离装置
KR102236176B1 (ko) 여과장치
KR101798551B1 (ko)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KR101818415B1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여과 장치
KR101889109B1 (ko)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1364344B1 (ko) 여과장치
KR20160111892A (ko)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0711834B1 (ko) 침지형 분리막 모듈
KR101464831B1 (ko) 여과장치
KR20130035415A (ko) 산기부 및 그것을 포함한 여과장치
KR20180025654A (ko) 침지식 분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1418062B1 (ko) 평막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79550Y1 (ko) 침지형 평막 모듈
KR101467253B1 (ko) 고정식 와류유도층이 구비된 분리막 여과기
KR20180035576A (ko) 침지식 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162074B1 (ko) 침지형 관형 여과막 모듈
KR101130497B1 (ko) 수처리용 침지형 평막 모듈
KR102336809B1 (ko) 침지형 여과장치
KR101796775B1 (ko) 수처리 장치
KR101515685B1 (ko) 막 오염 저감을 위한 구획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JP2010142782A (ja) 膜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3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19

Effective date: 201807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