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51B1 -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51B1
KR101798551B1 KR1020110029581A KR20110029581A KR101798551B1 KR 101798551 B1 KR101798551 B1 KR 101798551B1 KR 1020110029581 A KR1020110029581 A KR 1020110029581A KR 20110029581 A KR20110029581 A KR 20110029581A KR 101798551 B1 KR101798551 B1 KR 10179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filtration
fi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207A (ko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51B1/ko
Priority to CN201280014420.4A priority patent/CN103459002B/zh
Priority to PCT/KR2012/002163 priority patent/WO2012134127A2/ko
Publication of KR2012011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6Wafer type modules or flat-surface typ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슬러지 등의 불순물에 의한 산기장치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설치 및 가동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은 제1 헤더; 여과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에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Filtration Memebrane Module and Filt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러지 등의 불순물에 의한 산기장치(air diffuser)의 막힘(blockage) 현상을 최소화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설치 및 가동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온에서의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분리 방법에 비하여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방법은 많은 장점들이 있는데, 가장 큰 장점들 중 하나는 여과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공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여과막을 이용하면 고온에서의 가열 등의 조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미생물 등을 사용하는 분리 공정에 여과막이 사용될 경우 미생물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과막 모듈의 하나로는, 수조에 담겨져 있는 처리되어야 할 유체에 여과막 모듈을 직접 침지시키고 여과막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하여 유체만을 선택적으로 여과막 내부로 투과시킴으로써 불순물 또는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을 분리하는 흡입식 여과막 모듈이 있다. 흡입식 여과막 모듈을 채택하면 유체의 순환을 위한 설비가 필요 없어 시설비나 운전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과막 모듈에 의한 수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오염 물질에 의한 여과막 오염 현상이 야기되어 여과막의 투과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양한 형태의 여과막 오염 물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막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오염된 여과막을 세정하는 방법 역시 다양한 방식들이 요구된다.
여과막 세정의 다양한 방식들 중에는 산기(aeration) 방식이 있다. 도 1은 산기 방식에 의한 세정이 이루어지는 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시스템은 복수 개의 여과막 모듈들(110)을 포함한다. 여과막 모듈들(110)은 수조(미도시) 내의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 내에 침지되어 있다. 여과막 내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하여 유체만이 선택적으로 여과막을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섞여 있던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 즉 불순물을 분리한다. 여과막 모듈들(110)을 통해 얻어진 여과수(permeate)는 공통 배관(130)을 통해 여과수 저장조(미도시)로 보내진다.
수처리 중 여과막 표면의 오염, 즉 파울링(foul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막 모듈들(110) 하부에 조대 기포(coarse bubble)를 생성하는 산기장치(air diffuser)(120)가 배치된다.
산기장치(120)는 단위 배관들(121)로 구성된 메인 배관(main pipe), 단위 배관들(air diffusion pipes)(121)을 서로 연결하는 크로스 커넥터들(cross connector)(122), 복수개의 산기관들(124), 및 직경이 서로 다른 상기 크로스 커넥터들(122)과 산기관들(124)을 연결하는 리듀서들(reducers)(123)을 포함한다.
각 산기관(124)은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산기홀들(aearation holes)(H)을 갖는다. 산기관들(124)은 그 길이 방향이 여과막 모듈들(110)의 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에어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는 메인 배관을 거쳐 산기관들(124)의 산기홀들(H)을 통해 배출되면서 조대 기포들을 생성하고, 이 조대 기포들은 여과막 모듈들(110)을 진동시킴으로써 여과막의 오염을 방지한다.
산기장치(120)는 수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산기관들(124)의 산기홀들(H)을 통해 불순물이 유입 및 퇴적되어 산기관들(124)은 물론이고 메인 배관까지도 막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메인 배관과는 별도로 이로부터 분지되는 복수 개의 산기관들(124)이 존재하고 복수 개의 산기관들(124) 각각에 불순물의 유입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산기홀들(H)이 형성되어 있는 위와 같은 구조의 경우, 산기장치의 막힘(blockage) 현상은 더욱 심각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위와 같은 구조의 산기장치(120)는 복수 개의 단위 배관들(121), 크로스 커넥터들(122), 리듀서들(123), 및 산기관들(124)의 별도 제작 공정 및 이들의 조립 공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상기 산기장치(120)의 제조 및 설치가 복잡하고, 그에 따른 비용 증가가 유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슬러지 등의 불순물이 산기장치로 인입될 수 있는 기회를 최소화함으로써 산기장치의 막힘(blockage) 현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설치 및 가동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여과막을 이용한 활성 슬러지 처리에 있어 여과막의 파울링(fouling) 방지를 위한 조대 기포(coarse bubble) 생성용 산기장치의 설치를 요하지 않는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1 헤더; 여과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에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막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처리되어야 할 유체 내에 침지될 복수 개의 여과막 모듈들; 및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여과막 모듈들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유체 내에 기포를 제공하는 산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막 모듈 각각은, 제1 헤더; 상기 여과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에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산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포가 상기 제2 헤더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여과막 측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여과막 모듈; 및 상기 여과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미세기포 발생기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막 모듈은, 제1 헤더; 상기 여과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가 상기 미세기포의 포집을 위한 제1 홈을 갖도록, 상기 제2 헤더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의 측면 돌출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들이 상기 제2 헤더의 제1 홈에 소정 기간 포집됨으로써 상기 미세기포들이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여과막을 향해 분출될 때는 조대기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 등의 불순물이 산기장치로 인입될 수 있는 기회를 최소화함으로써 산기장치의 막힘(blockage) 현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산기장치용 배관의 수리 및 교체 주기를 늘림으로써 여과 시스템의 유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 및 여과 시스템에 의하면, 산기장치의 제조 및 설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에 의하면 혐기성 미생물에 제공될 미세기포를 조대기포로 변환시켜 여과막의 파울링 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대 기포 생성을 위한 별도의 산기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산기 방식에 의한 세정이 수행되는 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3은 도 2의 A-A' 라인을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막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라인을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막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대기포(coarse bubble)"는 직경이 100㎛를 초과하는 기포로 정의된다. 조대기포는 물 속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상승하기 때문에 에어 스크러빙에 의한 여과막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세기포(fine bubble)"는 직경이 100㎛ 이하인 기포로 정의된다. 엄밀히 이야기하면, 미세기포는 다시 1~100㎛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기포와 1㎛ 미만의 직경을 갖는 나노기포로 분류될 수 있다. 마이크로기포는 물 속에서 상대적으로 서서히 상승하고 서서히 소멸한다. 나노기포는 물 속에서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기포"는 주로 마이크로기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도 무방하지만 나노기포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한 여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여과막으로서 중공사막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중공사막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평막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여과막들이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 및 여과 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의 일 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복수 개의 여과막 모듈들(200)을 포함한다. 여과막 모듈들(200)은 수조(미도시) 내의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 내에 침지된다. 여과막 모듈들(200)을 통해 얻어진 여과수(permeate)는 공통 배관(미도시)을 통해 여과수 저장조(미도시)로 보내진다.
수처리 중 중공사막(230) 표면의 오염, 즉 파울링(foul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대 기포를 생성하는 산기장치(air diffuser)(300)가 여과막 모듈들(200) 하부에 배치된다. 산기장치(300)는 금속 또는 폴리머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막 모듈(200)은 제1 헤더(210), 여과막 모듈(200)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헤더(220),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 사이의 중공사막(230)을 포함한다. 중공사막(230)의 양 단이 고정부(240)에 포팅됨으로써 중공사막(230)이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230)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는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설폰화 폴리설폰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230)은 단일막 또는 복합막 형태일 수 있다. 중공사막(230)이 복합막 형태일 경우, 중공사막(230)은 튜브형 브레이드 및 그 표면 상에 코팅되는 폴리머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 브레이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헤더(210)는 그 내부에 집수 공간을 갖고, 중공사막(230)의 중공은 제1 헤더(210)의 집수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다. 제1 헤더(210)의 집수 공간을 통해 중공사막(230) 내부에 음압을 가하면 유체만이 선택적으로 중공사막(230)을 투과함으로써 유체에 섞여 있던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이 분리된다. 중공사막(230)을 투과하여 중공으로 유입된 여과수는 제1 헤더(210) 내의 집수 공간으로 흘러간다.
제2 헤더(220)에는 5 내지 7mm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관통홀들(h1)이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산기장치(300)는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2 헤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산기홀들(h2)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는 산기장치(300)의 산기홀들(h2)을 통해 배출되면서 조대기포들을 생성한다.
산기장치(300)의 산기홀들(h2)로부터 공급되는 조대 기포들은 제2 헤더(220)의 관통홀들(h1)을 통해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으로도 골고루 분배되어 상승하고, 여과막 모듈들(200)을 진동시킴으로써 파울링(fouling)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230)의 세정을 위한 조대 기포들이 제2 헤더(220)의 관통홀들(h1)을 통해 중공사막(230) 전체로 골고루 분배되기 때문에,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른 조대 기포들의 고른 분배를 위해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지된 다수의 산기관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별도의 산기관들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슬러지 등의 고형성분이 산기장치(300)로 인입될 수 있는 기회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산기장치(300)의 막힘 현상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기장치(300)가 일체형 배관만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배관, 산기관들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의 별도 제작 및 이들의 조립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그 결과 산기장치(300) 제조 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헤더(22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헤더(220)를 각각 예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헤더(220)는 중공사막(230)이 고정부(240)을 통해 고정되는 바디(221) 및 상기 바디(221)의 외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제2 헤더(220)의 관통홀들(h1)은 상기 측면 돌출부(222)에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돌출부(222)는 여과막 모듈(230)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헤더(220)는 그 하방에 바디(221) 및 측면 돌출부(22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홈(S1)을 갖는다. 산기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조대 기포들이 제2 헤더(220)의 제1 홈(S1) 내에서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방식으로 포집된 후 관통홀들(h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조대기포들이 제2 헤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출될 수 있다.
제2 헤더(220)의 바디(221)에는 상기 제1 홈(S1)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홈(S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홈(S2)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부(240)로 채워져 있고, 중공사막(230)이 상기 고정부(240)에 포팅되어 있다.
도 3에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사막(230)을 투과한 여과수가 제1 헤더(210) 측으로만 흐르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2 헤더(220)는 그 내부에 별도의 집수 공간을 갖지 않는다. 중공사막(230)이 고정부(240)에 포팅될 때 중공사막(230)의 중공에 고정부(240) 물질(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240)에 포팅되는 중공사막(230)의 말단은 실링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4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중공사막(230)을 투과한 여과수가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 양 측으로 흐르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제1 헤더(210)는 물론이고 제2 헤더(220)도 역시 그 내부에 집수 공간을 갖는다. 즉, 제2 헤더(220)의 제2 홈(S2)의 일부만이 고정부(240)에 의해 채워지고, 그 결과 제2 헤더(220)의 바디(221)와 고정부(240) 사이에 여과수를 위한 집수 공간이 형성된다. 고정부(240)에 포팅되어 있는 중공사막(230)의 중공은 제2 헤더(220)의 집수 공간과 유체 연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호기조(aerobic tank)(400)를 포함한다. 호기조(400) 내의 처리되어야 할 유체 내에는 호기성 박테리아(aerobic bacteria)가 분포되어 있다. 호기성 박테리아는 공업용 배수 및 생활용 배수 등과 같은 처리되어야 할 유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분해한다.
처리되어야 할 유체 내의 용존 산소량이 클수록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 분해에 유리하다는 점에서 직경이 100㎛ 이하인 미세기포가 호기조(400) 내에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호기성 박테리아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호기조(400)의 바닥 부근에 미세기포 발생기(500)가 제공된다. 미세기포 발생기(500)는 블로어(600)로부터 기체를 제공 받아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세라믹 재질의 디스크 타입 및 합성수지 재질의 멤브레인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호기조(400) 내의 유체 내에 여과막 모듈(200)을 침지시킨 후 고형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기포만으로는 충분한 여과막 오염 방지를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의 여과막 모듈이 사용된다면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500) 외에 여과막 모듈을 진동시킴으로서 여과막의 파울링을 억제하기 위한 조대기포 발생용 산기장치가 별도로 더 설치될 것이 요구된다.
선택적으로, 여과 시스템이 호기조 외에 탈기조(aeration tan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기조(400)로부터 처리되어야 할 원수가 탈기조에 유입되면 여과막 모듈을 이용하여 탈기조에서 고형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여과막 모듈을 진동시킬 수 있는 조대기포 생성용 산기장치가 탈기조 내에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위와 같이 미세기포 발생기(500) 외에 조대기포 생성용 산기장치를 더 설치 및 운전할 경우 여과 시스템의 설치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대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운전에 따른 에너지 소모 및 그에 따른 가동 비용의 증가가 수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대기포 생성용 산기장치 없이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200)이 호기조(400)의 처리되어야 유체 내에 침지된다. 미세기포 발생기(500)에서 제공되는 미세기포들이 여과막 모듈(200)의 제2 헤더(220)의 제1 홈(S1)에 포집된 상태로 소정 기간 존재하게 된다. 이때 미세기포들 간의 충돌로 인해 직경이 더 큰 기포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제2 헤더(220)의 5 내지 7mm 직경의 관통홀들(h1)을 통해 조대기포가 중공사막(230)을 향해 분출된다. 제2 헤더(220)의 관통홀들(h1)을 통해 분출되는 조대기포는 중공사막(230)을 스크러빙함으로써 중공사막(230)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1 헤더(210)에 부딪혀 여과막 모듈(200)을 진동시킴으로써 파울링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막 모듈(200)이 호기조(400)에 적용되면 조대기포 생성용 산기장치 없이도 여과막 모듈(200)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여과 시스템의 설치 및 가동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200: 여과막 모듈 210: 제1 헤더
220: 제2 헤더 221: 바디
222: 측면 돌출부 230: 중공사막
240: 고정부 300: 산기장치
400: 탈질조 500: 미세기포 발생기
600: 블로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처리되어야 할 유체 내에 침지될 복수 개의 중공사막 모듈들 - 상기 복수 개의 중공사막 모듈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음 -; 및
    상기 복수 개의 중공사막 모듈들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중공사막 모듈들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유체 내에 기포를 제공하기 위한 산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사막 모듈 각각은,
    내부에 하나의 제1 집수 공간을 가지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헤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수 처리 작업 중에 상기 제1 헤더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하나의 제2 집수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제2 헤더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집수 공간과 유체 연통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중공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가 상기 기포의 포집을 위한 제1 홈을 갖도록, 상기 제2 헤더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주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더의 상기 측면 돌출부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산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포가 상기 제1 홈에 포집된 후 상기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중공사막들 측으로 상승할 수 있고,
    상기 산기장치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배관만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중공사막 모듈들이 오직 하나의 상기 배관만을 공유하며,
    상기 배관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산기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홀들을 통해 조대기포(coarse bubble)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더의 관통홀들의 직경은 5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KR1020110029581A 2011-03-31 2011-03-31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KR10179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81A KR101798551B1 (ko) 2011-03-31 2011-03-31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CN201280014420.4A CN103459002B (zh) 2011-03-31 2012-03-26 过滤膜模组和包括该过滤膜模组的过滤系统
PCT/KR2012/002163 WO2012134127A2 (ko) 2011-03-31 2012-03-26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581A KR101798551B1 (ko) 2011-03-31 2011-03-31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207A KR20120111207A (ko) 2012-10-10
KR101798551B1 true KR101798551B1 (ko) 2017-11-16

Family

ID=4693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81A KR101798551B1 (ko) 2011-03-31 2011-03-31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98551B1 (ko)
CN (1) CN103459002B (ko)
WO (1) WO20121341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8208B4 (de) * 2013-09-11 2015-06-03 membion Gmbh Membranfilter und Verfahren zum Filtern
EP4066926A1 (en) 2014-10-22 2022-10-05 Koch Separation Solutions, Inc. Pulsed aeration system for submerged hollow fiber module
USD779632S1 (en) 2015-08-10 2017-02-21 Koch Membrane Systems, Inc. Bundle body
KR20180035130A (ko) * 2016-09-28 2018-04-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헤더, 그것을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여과장치
JP2018167184A (ja) * 2017-03-30 2018-11-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散気ヘッダー、散気装置、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水処理方法
EP3492433A1 (en) * 2017-12-01 2019-06-05 Kolon Industries, Inc. Membrane bioreactor system
WO2021073349A1 (zh) * 2019-10-15 2021-04-22 海南立昇净水科技实业有限公司 外压式中空纤维膜组件、过滤膜组件及膜过滤模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786A (ja) 2002-12-05 2006-03-16 ユー・エス・フィルター・ウェイストウォー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混合チャンバ
JP2009178696A (ja) * 2008-02-01 2009-08-13 Toray Ind Inc 膜分離方法および膜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591A (ja) * 1994-03-09 1995-09-19 Kubota Corp 散気装置
JP3615820B2 (ja) * 1995-02-17 2005-02-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膜モジュール
JPH09201597A (ja) * 1996-01-26 1997-08-05 Kubota Corp 散気装置
JPH1066834A (ja) * 1996-08-29 1998-03-10 Kurita Water Ind Ltd 浸漬型膜分離装置
US7279215B2 (en) * 2003-12-03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mbrane modules and integrated membrane cassettes
EP1789164B1 (en) * 2004-08-20 2013-07-03 Siemens Industry, Inc. Square mbr manifolding system
JP2009119354A (ja) * 2007-11-14 2009-06-04 Kobelco Eco-Solutions Co Ltd 生物処理装置および生物処理方法
JP2009285532A (ja) * 2008-05-27 2009-12-10 Kobelco Eco-Solutions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膜分離方法及び水処理装置
WO2010081228A1 (en) * 2009-01-14 2010-07-22 Pierre Cote Immersed membrane cassette and method of op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786A (ja) 2002-12-05 2006-03-16 ユー・エス・フィルター・ウェイストウォー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混合チャンバ
JP2009178696A (ja) * 2008-02-01 2009-08-13 Toray Ind Inc 膜分離方法および膜分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27A2 (ko) 2012-10-04
CN103459002B (zh) 2016-05-11
WO2012134127A3 (ko) 2013-01-10
CN103459002A (zh) 2013-12-18
KR2012011120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551B1 (ko)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CN103298750B (zh) 含油废水处理系统
US7713413B2 (en) Aerated anoxic membrane bioreactor
US7481933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US7510655B2 (en) Proc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membrane filter activated sludge system
KR20120069587A (ko)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동상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KR20110031311A (ko) 물을 처리하고 멤브레인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581578B2 (ja) 膜洗浄装置、膜分離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5366402B2 (ja) 水の処理方法
CN105906036A (zh) 基于平板陶瓷膜的mbr和mbbr复合污水处理系统
WO2013008522A1 (ja) 散気装置
KR20150112845A (ko) 여과장치
KR20090071643A (ko)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JP5823489B2 (ja) 膜分離装置
KR101364344B1 (ko) 여과장치
JP5797874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2014528351A (ja) 散気部及びそれを含むろ過装置
WO2011150206A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5448285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CN101648763A (zh) 低能耗一体式膜生物反应器
KR20160077949A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폐수 처리 시스템
KR20170079917A (ko)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JP2005138103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膜分離装置
KR101417292B1 (ko) 산기관 및 초음파 발생장치가 일체형으로 부착된 막모듈
JP2011005361A (ja) 膜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