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344B1 -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344B1
KR101364344B1 KR1020120145905A KR20120145905A KR101364344B1 KR 101364344 B1 KR101364344 B1 KR 101364344B1 KR 1020120145905 A KR1020120145905 A KR 1020120145905A KR 20120145905 A KR20120145905 A KR 20120145905A KR 101364344 B1 KR101364344 B1 KR 101364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double
pipe
membran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344B1/ko
Priority to US14/429,815 priority patent/US20150217214A1/en
Priority to PCT/KR2013/009881 priority patent/WO2014092336A1/en
Priority to CN201380051512.4A priority patent/CN104703679B/zh
Priority to TW105112972A priority patent/TW201627058A/zh
Priority to TW102143102A priority patent/TWI55557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6Wafer type modules or flat-surface typ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01D2313/105Supply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01D2313/125Discharge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Abstract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아래에 위치하는 산기부(aeration unit);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permeate)를 위한 제1 통로 및 상기 산기부로 제공될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를 제공하는 이중관(double pipe)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여과장치{Fil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수처리 방법으로는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과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과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이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므로,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공정의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막을 이용할 경우 가열 등의 조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분리 공정에서 미생물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방법 중 하나로는 중공사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통적으로 중공사막은 무균수, 음용수, 초순수 제조 등 정밀 여과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하/폐수처리, 정화조에서의 고액 분리, 산업폐수에서의 부유 물질(SS : Suspended Solid) 제거, 하천수의 여과, 공업용수의 여과, 및 수영장 물의 여과 등으로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하는 여과장치는 그 운전 방식에 따라 침지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2009년 5월 7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09-0043638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는 침지식 여과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의 여과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 및 그 안에 장착되는 중공사막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구조는 4개의 수직 부재들 및 이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4개의 크로스 바들(cross bars)을 포함한다.
상기 선행기술의 여과장치는, 중공사막 모듈의 제1 및 제2 헤더들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를 각각 받아들이는 집수관 및 하부 커넥터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집수관 및 하부 커넥터들은 후방 상부 크로스 바 및 후방 하부 크로스 바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여과장치는 상기 집수관과 하부 커넥터들을 유체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수직관들을 더 포함한다.
중공사막 모듈들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을 위한 다수의 산기관들이 존재하고, 상기 선행기술의 여과장치는 에어 분산관을 통해 상기 다수의 산기관들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을 더 포함한다.
위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의 주요 구성요소들인 4개의 수직 부재들 및 4개의 크로스 바들이 여과수 및/또는 공기의 흐름을 위한 통로로서의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않으며 오직 중공사막 모듈을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즉, 집수관, 하부 커텍터들, 수직관들, 및 에어 공급관과 같은 여과수 및 공기의 흐름을 위한 추가적 구성요소들이 더 제공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선행기술의 여과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곤란하였으며, 이것은 생산 단가의 상승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아래에 위치하는 산기부(aeration unit);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permeate)를 위한 제1 통로 및 상기 산기부로 제공될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를 제공하는 이중관(double pi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중관은, 외관(outer pipe) 및 상기 외관 내의 내관(inner pipe)을 포함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내관 안의 공간이 상기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내관 안의 공간이 상기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제1 집수부(collecting space)를 갖는 제1 헤더(header), 제2 집수부를 갖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과 상기 중공사막에 각각 수직인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집수부들과 각각 유체 연통하는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cross members)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중관은 상기 중공사막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과 유체 연통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은 상기 이중관의 외관 및 내관 중 어느 하나와만 유체 연통한다.
상기 산기부는, 상기 이중관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중계관(intermediate pipe) 및 다수의 산기관들(aeration tubes)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관은 상기 이중관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다수의 산기관들에 분배하며, 상기 중계관은 상기 이중관의 외관 및 내관 중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과 유체 연통하지 않는 다른 하나와만 유체 연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단순화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선행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II-I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프레임 구조(100) 및 중공사막 모듈들(200)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들(200)은 상기 프레임 구조(100) 내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100)는 중공사막 모듈(200)의 세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아래에 위치하는 산기부(150)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은 제1 집수부를 갖는 길쭉한 형상(elongated shape)의 제1 헤더(210), 제2 집수부를 갖는 길쭉한 형상의 제2 헤더(220),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 사이의 중공사막(230)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사막(230)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는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설폰화 폴리설폰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사막(230)은 단일막 또는 복합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230)이 복합막 형태일 경우, 중공사막(230)은 튜브형 브레이드(braid) 및 그 표면 상에 코팅되는 고분자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형 브레이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박막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설폰화 폴리설폰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중공사막(230)의 일단이 제1 고정층(보이지 않음)을 통해 제1 헤더(210)의 몸체(211)에 고정되어 있고, 그 타단이 제2 고정층(222)을 통해 제2 헤더(220)의 몸체(22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공사막(230)의 중공(lumen)은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의 제1 및 제2 집수부들과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 중공사막(230)의 중공에 제공된 음압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230)을 통과한 여과수(permeate)가 상기 중공사막(230)의 중공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의 제1 및 제2 집수부들로 유입된 후 제1 및 제2 배출 파이프들(213, 223)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100)는 중공사막(230)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2개의 이중관들(double pipes)(110) 및 2개의 수직 바들(vertical bars)(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100)는 양단이 상기 2개의 이중관들(11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cross members)(131, 132)과 양단이 상기 2개의 수직 바들(12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크로스 바들(cross bars)(133, 13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과 제1 및 제2 크로스 바들(133, 134)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과 상기 중공사막(230)에 각각 수직인 길이방향을 갖는다.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 및 제1 크로스 바(133)에는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헤더(210)의 양단이 각각 체결되고,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 및 제2 크로스 바(134)에는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2 헤더(220)의 양단이 각각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헤더(210)의 제1 집수부와 연통하는 파이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의 체결 홀(131a)에 상기 제1 헤더(210)의 제1 배출 파이프(21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헤더(210)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헤더(210)의 제1 집수부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에 유체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중공사막(230)을 투과하고 상기 제1 헤더(210)의 제1 집수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 내로 흐르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도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이며,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의 체결 홀(132a)에 제2 헤더(220)의 제2 배출 파이프(22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헤더(220)가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헤더(220)의 제2 집수부가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에 유체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중공사막(230)을 투과하고 상기 제2 헤더(220)의 제2 집수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 내로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의 양단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을 지지하는 상기 이중관들(110)은 중공사막 모듈(200)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를 위한 제1 통로 및 산기부(150)로 제공될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100)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는 수평 부재들(141, 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평 부재들(141, 142)은 상부 수평 부재들(141) 및 이들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하부 수평 부재들(142)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부재들(141, 142) 각각은 상기 이중관들(110)과 상기 수직 바들(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 양단이 상기 이중관들(110) 중 하나와 상기 수직 바들(120) 중 하나에 각각 직접 결합된다.
한편, 프레임 구조(100) 내에 장차된 중공사막 모듈(200)의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산기부(150)는 상기 이중관(110)으로부터 중공사막(230)의 세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받는 중계관(151) 및 다수의 산기관들(152)을 포함한다. 상기 중계관(151)은 상기 이중관(11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다수의 산기관들(152)에 분배한다. 산기관들(152) 내에 유입된 공기는 산기관들(152)에 형성된 홀들(H)을 통해 원수로 배출된 후 위로 상승하면서 중공사막(230)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산기부(150)는 2개의 중계관들(151)을 포함하고, 각 중계관(151)의 양단들이 상기 이중관들(110) 중 하나와 상기 수직 바들(120) 중 하나에 각각 직접 결합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기능(즉, 간격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 수평 부재들(132)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관(11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II-I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관(110)은 외관(outer pipe)(111) 및 상기 외관(111) 내의 내관(inner pipe)(1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관(111) 및 내관(112) 사이의 공간이 중공사막 모듈(200)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를 위한 상기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110)의 외관(111)이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의 배출 파이프(131b)를 통해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와 유체 연통하게 결합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도 상기 이중관(110)의 외관(111)과 유체 연통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중공사막(230)을 투과하고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의 제1 및 제2 집수부로 각각 유입된 여과수는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을 거쳐 상기 이중관(100)의 제1 통로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여과수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관(100)의 여과수 배출 파이프(111a)를 통해 여과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 작업을 위하여 중공사막 모듈(200)에 제공되어야 할 음압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상기 이중관(100)의 제1 통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을 통해 여과 작업을 위한 음압이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에 제공된다.
한편, 상기 이중관(110)의 내관(112) 안의 공간은 중공사막(230)의 세정을 위한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산기부(150)의 중계관(151)이 유입 파이프(151a)를 통해 상기 이중관(110)의 내관(112)과 유체 연통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이중관(110)의 공기 유입 파이프(112a)를 통해 상기 이중관(110)의 내관(112) 내로 유입된 산기세정용 공기는 상기 이중관(110)의 제2 통로를 흐른 후 상기 산기부(150)의 중계관(151)으로 유입된다. 상기 중계관(15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산기관(152)들로 분배된다. 이어서, 산기관들(152) 내에 유입된 공기는 산기관들(152)에 형성된 홀들(H)을 통해 원수로 배출된 후 위로 상승하면서 중공사막(230)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중관(110)의 외관(111) 및 내관(112) 사이의 공간이 상기 산기세정용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내관(112) 안의 공간이 상기 여과수를 위한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은 오직 상기 이중관(110)의 내관(112)과만 유체 연통하게 결합하고, 상기 산기부(150)의 중계관(151)은 오직 상기 이중관(110)의 외관(111)과만 유체 연통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이중관들(110) 중 하나(이하, '제1 이중관'이라 칭함)는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와 유체 연통하게 결합하는 반면, 상기 2개의 이중관들(110) 중 다른 하나(이하, '제2 이중관'이라 칭함)는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와 유체 연통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헤더(210)의 제1 집수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상기 제1 크로스 부재(131) 및 제1 이중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여과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2 헤더(220)의 제2 집수부로 유입된 여과수는 상기 제2 크로스 부재(132) 및 제2 이중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여과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131, 132) 중 하나는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가 아니며 상기 중공사막 모듈(200)의 제1 및 제2 헤더들(210, 220) 중 그에 대응하는 헤더를 단순히 지지하는 기능만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순 지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크로스 부재에 대응하는 헤더는 그 안에 집수부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이중관들(110) 중 어느 하나는 유체(즉, 여과수 및 공기)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지 않는 바(bar)로 대체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100)의 주요 구성요소인 이중관들(110) 및 크로스 부재들(131, 132)은 중공사막 모듈(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여과수 및 산기세정용 공기의 흐름을 위한 통로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여과수 및 공기의 흐름을 위한 추가적 구성요소들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 결과,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선행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100: 프레임 구조 200: 중공사막 모듈

Claims (6)

  1.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및
    상기 프레임 구조 내에 장착된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을 위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아래에 위치하는 산기부(aeration unit);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permeate)를 위한 제1 통로 및 상기 산기부로 제공될 공기를 위한 제2 통로를 제공하는 이중관(double pi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외관(outer pipe); 및
    상기 외관 내의 내관(inner pipe)을 포함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내관 안의 공간은 상기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외관; 및
    상기 외관 내의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외관 및 내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2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내관 안의 공간은 상기 제1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제1 집수부(collecting space)를 갖는 제1 헤더(header);
    제2 집수부를 갖는 제2 헤더;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 사이의 중공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헤더들과 상기 중공사막에 각각 수직인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집수부들과 각각 유체 연통하는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cross members)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중관은 상기 중공사막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을 지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과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외관; 및
    상기 외관 내의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은 상기 이중관의 외관 및 내관 중 어느 하나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부는,
    상기 이중관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중계관(intermediate pipe); 및
    다수의 산기관들(aeration tubes)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관은 상기 이중관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다수의 산기관들에 분배하며,
    상기 중계관은 상기 이중관의 외관 및 내관 중 상기 제1 및 제2 크로스 부재들과 유체 연통하지 않는 다른 하나와만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KR1020120145905A 2012-12-14 2012-12-14 여과장치 KR101364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05A KR101364344B1 (ko) 2012-12-14 2012-12-14 여과장치
US14/429,815 US20150217214A1 (en) 2012-12-14 2013-11-04 Filtering apparatus
PCT/KR2013/009881 WO2014092336A1 (en) 2012-12-14 2013-11-04 Filtering apparatus
CN201380051512.4A CN104703679B (zh) 2012-12-14 2013-11-04 过滤装置
TW105112972A TW201627058A (zh) 2012-12-14 2013-11-26 過濾裝置
TW102143102A TWI555570B (zh) 2012-12-14 2013-11-26 過濾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05A KR101364344B1 (ko) 2012-12-14 2012-12-14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344B1 true KR101364344B1 (ko) 2014-02-19

Family

ID=5027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05A KR101364344B1 (ko) 2012-12-14 2012-12-14 여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17214A1 (ko)
KR (1) KR101364344B1 (ko)
CN (1) CN104703679B (ko)
TW (2) TWI555570B (ko)
WO (1) WO20140923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18B1 (ko)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유닛
WO2015147536A1 (ko) * 2014-03-28 2015-10-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366B2 (en) * 2014-08-15 2017-11-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tuning work function for a semiconductor device
CN112390470A (zh) * 2020-11-12 2021-02-23 湖南欧威爱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膜组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83A (ko) * 2000-11-21 2002-05-27 장진호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JP2002200414A (ja) 2000-12-28 2002-07-16 Herushii Techno Chem:Kk 中空糸膜二重管及び気液分離モジュール
KR100932739B1 (ko) 2009-06-30 2009-12-21 (주)대우건설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KR100974912B1 (ko) 2008-05-23 2010-08-09 (주)대우건설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373A (en) * 1995-08-11 1997-06-17 Zenon Environmental Inc. Vertical skein of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intaining clean fiber surfaces while filtering a substrate to withdraw a permeate
CA2290053C (en) * 1999-11-18 2009-10-20 Zenon Environmental Inc. Immersed membrane module and process
KR100535301B1 (ko) * 2003-05-13 2005-1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KR100534526B1 (ko) * 2004-04-07 2005-12-07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JPWO2007040036A1 (ja) * 2005-09-30 2009-04-16 株式会社クレハ 中空糸スダレ状物、中空糸束の製造方法、筒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浸漬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0656294B1 (ko) * 2005-12-19 2006-12-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KR100812187B1 (ko) * 2007-02-12 2008-03-12 주식회사 케이엠에스 카트리지형 중공사 막 모듈
US8728316B2 (en) * 2007-05-14 2014-05-20 Mitsubishi Rayon Co., Ltd. Membrane filter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83A (ko) * 2000-11-21 2002-05-27 장진호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JP2002200414A (ja) 2000-12-28 2002-07-16 Herushii Techno Chem:Kk 中空糸膜二重管及び気液分離モジュール
KR100974912B1 (ko) 2008-05-23 2010-08-09 (주)대우건설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KR100932739B1 (ko) 2009-06-30 2009-12-21 (주)대우건설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36A1 (ko) * 2014-03-28 2015-10-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KR20150112845A (ko) * 2014-03-28 2015-10-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2236176B1 (ko) 2014-03-28 2021-04-05 주식회사 하이필 여과장치
KR101437818B1 (ko)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7058A (zh) 2016-08-01
US20150217214A1 (en) 2015-08-06
TWI555570B (zh) 2016-11-01
CN104703679A (zh) 2015-06-10
TW201422300A (zh) 2014-06-16
CN104703679B (zh) 2016-07-06
WO2014092336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965B2 (en) Filtering apparatus
US8506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filtering membrane module to frame structure
KR101713927B1 (ko)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JP5797285B2 (ja) ろ過装置及びそのための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2236176B1 (ko) 여과장치
WO2009057903A2 (en) Filtering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364344B1 (ko) 여과장치
KR101798551B1 (ko) 여과막 모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여과 시스템
KR20050047230A (ko)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KR101464831B1 (ko) 여과장치
JP5837985B2 (ja) ろ過装置
KR20160080010A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KR20120111226A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여과 장치
KR101559122B1 (ko) 조립분해 용이한 수처리용 멤브레인 장치
WO2011150206A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20150089195A (ko)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KR102162074B1 (ko) 침지형 관형 여과막 모듈
KR101889109B1 (ko) 나선형 산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2336809B1 (ko) 침지형 여과장치
KR20170079917A (ko) 여과장치 및 그것을 위한 산기부
KR20160113479A (ko)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