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39B1 -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 Google Patents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39B1
KR100932739B1 KR1020090059181A KR20090059181A KR100932739B1 KR 100932739 B1 KR100932739 B1 KR 100932739B1 KR 1020090059181 A KR1020090059181 A KR 1020090059181A KR 20090059181 A KR20090059181 A KR 20090059181A KR 100932739 B1 KR100932739 B1 KR 10093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rane
diffuser
pipe integrated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신
허용록
정진호
이장현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5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4Modularity of membrane modu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기배관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중공상의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부 헤드 일단에 흡입배관이 설치되고, 타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상부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면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의 흡입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여과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산기배관과 여과배관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 방울이 산기배관을 통해 산기노즐로 분출되도록 하고,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여과배관을 통해 집수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59181
분리막 모듈,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분리막 유니트, 산기배관, 여과배관

Description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MEMBRANE UNIT FOR HAVING DIFFUSER PIPE INTEGRATED MEMBRANE FRAME STRUCTURE AND SECTION PIPE INTEGRATED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처리용량에 해당하는 일정 수량의 분리막 모듈을 설치한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내부의 빈 공간을 공기가 유입되는 산기배관으로 이용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의 일부분을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집수되는 여과배관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 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1960년대 미국에서 해수담수화 계획의 일환으로 역삼투공정 (reverse osmosis)이 개발되었다. 1970년경에는 고분자재질의 역삼투막과 모듈이 개발되었으며 그 후 다른 종류의 모듈들이 개발,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 막 분리 공정은 증류기술과는 달리 상변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정이 간 단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장점이 있다. 분리막은 역삼투압막(reverse osmosis membrane)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등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분리막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fiber), 판틀형(plate and frame)등의 형식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중공사형은 중공사의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이므로 중공사의 단위 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해서 매우 커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식의 분리막은 분리막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도포할 수 있는 지지체가 필요하지만 중공사형식의 분리막은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진 중공사막들 사이에 부유물질이 막의 표면에 부착되어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며 막 오염에 약하고 일단 오염된 막은 세척하기가 어려워 막오염이 심한 공정에는 사용하기가 어렵고 강한 폭기나 외부의 충격에 절단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중공사형 분리막은 중공사막의 안에서 밖으로 여과되는 가압방식과 그 반대 방향으로 흡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수 및 하수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활성슬러지법에 중공사막을 사용하는 방식도 외부에서 순환하는 방식(external type)과 생물 반응조내에 직접 모듈을 침지하는 방식(submerged type)이 있다. 외부순환형은 침지형에 비해서 에너지 소모가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침지형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MBR(Membrane Bio Reactor) 공정은 생물반응조 내에 분리막 모듈을 직접 침지시키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를 통해 처리수만을 여과 배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온 상압 조건에서 물속에 동일한 공기량을 주입하였을 때, 물속에 용존 산소의 용해도는 기포의 비표면적에 의하여 좌우되며, 이에 기포가 미세할수록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용존산소 용해도의 효율이 증가하며 에너지 손실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한편 대부분의 MBR 공정에서 분리막 모듈을 생물반응조 내에 침지시킬 때 처리용량에 해당하는 분리막 모듈을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 고정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에 의한 여과는 분리막 모듈의 형태에 따라 상부집수 또는 양단집수의 과정을 거쳐 여과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배출하게 되고, 분리막에 의한 고액분리시 분리막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전단력을 발생시켜 분리막 표면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의 탈리작용과 반응조내의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위해 산기배관을 통해 지속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상기의 여과배관 및 산기배관을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 프레임과 별도로 설치하여 프레임에 부착시켜 사용되어 왔으나, 부착물로 인하여 프레임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설치 공간의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분리막의 세정이나 파손에 의한 수리를 위해 생물 반응조 외부로 배출시킬 시 세정이나 수리 후 재침지시킬 때 부착물의 파손 우려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산기배관과 여과배관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 방울이 산기배관을 통해 산기노즐로 분출되도록 하고, 고액분리된 처리수가 여과배관을 통해 집수되도록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유니트의 헤드 일단에 여과배관과 결합되는 흡입배관을 설치하고, 타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흡입배관을 메인 프레임의 여과배관과 연결함으로써 생물 반응조 내에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컴팩트해지도록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산기노즐을 산기배관의 측면에 설치하고, 산기배관의 일단에 슬러지 배출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산기노즐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에 의해 산기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 밸브를 통해 배출하여 처리 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산기배관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중공상의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부 헤드 일단에 흡입배관이 설치되고, 타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상부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면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의 흡입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여과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내부가 중공상이면서 일측에 상기 여과배관이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에 2개의 상기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하단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는 복수의 분기 프레임; 및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도록 이들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부 헤드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단 프레임에 "디귿자"형태의 복수의 안내 레일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상단 프레임은 2개의 산기 라인 연결구중 어느 하나의 산기 라인 연결구에 상기 하단 프레임 및 분기 프레임에 적층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 출시키도록 슬러지 배출 밸브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하단 프레임은 내부 상단에 항상 공기가 존재하여 여과 운전을 멈출 시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 휴지 후 재가동시 슬러지에 의한 폐색으로 재가동이 방해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양측면 상단부가 공기층 형성판에 의해 폐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분기 프레임은 내부에 적층되는 슬러지의 간섭없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층 형성판의 저면 높이보다 더 상부 위치인 양측면 상단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산기노즐이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분리막 모듈은 일렬로 연결된 분리막 모듈중 마지막 분리막 모듈의 삽입공에 캡을 결합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여과배관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여과배관이 체결되도록 상기 제 1체결판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단 프레임에 제 2체결판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유니트에 따르면,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 프레임 구조물과 여과배관 및 산기배관을 일체화함으로써 생물 반응조 내에 분리막 프레임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욱 컴팩트해 질 뿐만 아니라 산기노즐을 산기배관의 측면에 설치하고, 산기배관의 일단에 슬러지 배출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산기노즐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에 의해 산기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 밸브를 통해 배출하여 처리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메인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분리 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100)는,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110)과, 분리막 모듈(120) 및 여과배관(130)으로 형성된다.
먼저, 메인 프레임 구조물(110)은 생물 반응조(미도시) 내에 설치되도록 상단 프레임(111)과, 하단 프레임(113)과, 분기 프레임(115)과, 수직 프레임(117)에 의해 산기배관을 형성되도록 각각 연통되어 일체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에 다리부(119)가 구성된다.
상단 프레임(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상이고, 하기에서 설명할 여과배관(130)이 설치되어 직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에 송풍기(101)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103)과 연결되도록 2개의 산기 라인 연결구(111-1)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단 프레임(111)은 2개의 산기 라인 연결구(111-1)중 어느 하나의 산기 라인 연결구에 하기에서 설명할 하단 프레임(113) 및 분기 프레임(115)에 적층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슬러지 배출 밸브(111-3)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단 프레임(111)은 여과배관(130)이 체결되도록 제 2체결판(111-5)이 더 형성된다.
하단 프레임(113)은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단 프레임(113)은 내부 상단에 항상 공기가 존재하여 여과 운전을 멈출 시 내부 로 슬러지가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 휴지 후 재가동시 슬러지에 의한 폐색으로 재가동이 방해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양측면 상단부가 공기층 형성판(113-1)에 의해 폐쇄된다.
분기 프레임(115)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하단 프레임(113)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하단 프레임(113)과 연통되고, 내부에 적층되는 슬러지의 간섭없이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단 프레임(113)의 공기층 형성판(113-1)의 저면 높이보다 더 상부 위치인 양측면 상단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산기노즐(115-1)이 더 구비된다. 이때, 산기노즐(115-1)은 그 끝단, 즉 공기가 배출되는 측이 하기에서 설명할 분리막 모듈(120)의 하부 헤드(129)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수직 프레임(117)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단 프레임(111)의 양측면 및 하단 프레임(113)의 양측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되, 상단 프레임(111)과 하단 프레임(113)과 연통된다.
그리고, 분리막 모듈(120)은 메인 프레임(110)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부 헤드(121) 일단에 흡입배관(123)이 설치되고, 타단에 삽입공(125)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상부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분리막 모듈은 일렬로 연결된 분리막 모듈중 마지막 분리막 모듈의 삽입공에 캡(127)을 결합한다. 여기에서, 분리막 모듈(120)은 공지의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과배관(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 프레임(111)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에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과 연결되는 연결공(131)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105)를 통해 처리 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107)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13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여과배관(130)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 프레임(111)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135)이 구비된다.
한편, 메인 프레임 구조물(110)은 분리막 모듈(120)의 하부 헤드(129)를 고정하도록 하단 프레임(113)에 "디귿자"형태의 복수의 안내 레일(140)이 부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물 반응조(109)의 내부에 여과배관(130)이 체결된 메인 프레임 구조물(110)을 배치하고, 안내 레일(140)에 분리막 모듈(120)의 하부 헤드(129)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연속해서 이웃하는 분리막 모듈을 안내 레일(140)에 삽입하여 기설치된 분리막 모듈(120)의 상부 헤드(121) 일단에 흡입배관(123)이 설치되고, 타단에 삽입공(125)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상부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분리막 모듈을 다수개 연결한 후 마지막 분리막 모듈의 삽입공(125)에 캡(127)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이웃하는 안내 레일에 복수의 분리막 모듈(12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막 모듈(1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분리막 모듈(120)의 상부는 여과 펌프(105)와 연결되어 분리막 모듈(120)을 통해 고액분리된 처리수 가 집수되어 여과 라인(107)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즉, 송풍기(101)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산기 라인(103)과 산기 라인 연결구(111-1)를 통해 상단 프레임(111)으로 유입되고, 이는 다시 수직 프레임(117)과, 하단 프레임(113) 및 분기 프레임(115)으로 유통되어 결국 산기노즐(115-1)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배출된다.
한편, 수직 프레임(117)을 통해 공기가 하단 프레임(113)으로 유입시 하단 프레임(113)에 형성된 공기층 형성판(113-1)에 의해 하단 프레임(113)의 상단에는 항시 공기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공기층 형성판(113-1)보다 상부 위치에 형성된 산기노즐(115-1)을 통해서 원활하게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하단 프레임(113)의 상단에는 항시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여과 운전을 멈출 시 산기노즐(115-1)을 통해 슬러지가 유입되어도 하단 프레임(113)의 하부로 적층되기 때문에 산기노즐(115-1)이 막히는 것을 차단하고, 운전 휴지 후 재가동시에도 하단 프레임(113)의 상단에 존재하는 공기로 인해 슬러지에 의한 폐색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 여과 운전을 멈춘 상태에서 하단 프레임(113) 및 분기 프레임(115)에 적층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슬러지 배출 밸브(111-3)를 오픈시키면 송풍기(101)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하단 프레임(113) 및 분기 프레임(115)의 내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 밸브(111-3)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을 통해 고액분리된 처리수는 분리막 모듈(120)의 상부에서 집수되고, 집수된 처리수는 이웃하는 분리막 모듈과 연결된 흡 입배관(123)을 통해 전달되면서 여과배관(130)으로 이동 후 여과 라인 연결구(133)를 통해 여과 라인(107)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각각의 분리막 모듈(120)의 하부 헤드(120)를 수직 프레임(117)에 안내 레일(140)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산기노즐(115-1)에서 분출된 공기를 통한 분리막 모듈(120) 표면에서의 전단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메인 프레임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중 분리막 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송풍기 103 : 산기 라인
105 : 여과 펌프 107 : 여과 라인
110 : 메인 프레임 111 : 상단 프레임
113 : 하단 프레임 115 : 분기 프레임
117 : 수직 프레임 120 : 분리막 모듈
121 : 상부 헤드 123 : 흡입배관
130 : 여과배관 140 : 안내 레일

Claims (9)

  1. 산기배관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중공상의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송풍기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산기 라인과 연결되는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메인 프레임 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부 헤드 일단에 흡입배관이 설치되고, 타단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상부 헤드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분리막 모듈;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일측면에 각각의 상기 분리막 모듈의 흡입배관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며, 상면에 여과 펌프를 통해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여과 라인과 연결되는 여과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여과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내부가 중공상이면서 일측에 상기 여과배관이 결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에 2개의 상기 산기 라인 연결구가 형성되는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내부가 중공상의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하 단 프레임과;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하단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되,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는 복수의 분기 프레임; 및
    내부가 중공상으로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과 연통되도록 이들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하부 헤드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단 프레임에 "디귿자"형태의 복수의 안내 레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은,
    2개의 산기 라인 연결구중 어느 하나의 산기 라인 연결구에 상기 하단 프레임 및 분기 프레임에 적층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슬러지 배출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프레임은,
    내부 상단에 항상 공기가 존재하여 여과 운전을 멈출 시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 휴지 후 재가동시 슬러지에 의한 폐색으로 재가동이 방해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양측면 상단부가 공기층 형성판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프레임은,
    내부에 적층되는 슬러지의 간섭없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공기층 형성판의 저면 높이보다 더 상부 위치인 양측면 상단에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산기노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일렬로 연결된 분리막 모듈중 마지막 분리막 모듈의 삽입공에 캡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 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배관은,
    내부가 중공상으로 형성되되, 양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단 프레임에 고정을 위한 제 1체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여과배관이 체결되도록 상기 제 1체결판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단 프레임에 제 2체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KR1020090059181A 2009-06-30 2009-06-30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KR10093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81A KR100932739B1 (ko) 2009-06-30 2009-06-30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81A KR100932739B1 (ko) 2009-06-30 2009-06-30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39B1 true KR100932739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81A KR100932739B1 (ko) 2009-06-30 2009-06-30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3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70B1 (ko) 2011-08-05 2013-10-22 김백암 고집적이 가능한 산기관 일체형 수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
KR101364344B1 (ko) 2012-12-14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394992B1 (ko) * 2013-11-11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세트형 정수처리 패키지 시스템
KR101437818B1 (ko)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유닛
KR101464831B1 (ko) * 2012-12-04 2014-1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CN104667755A (zh) * 2015-02-13 2015-06-03 曹家汉 一种易于装配和维护更换的分离膜组件
KR20160021597A (ko) * 2014-08-18 2016-02-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백연제거가 가능한 배기덕트
KR101627554B1 (ko)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br용 분리막 여과장치
KR101713927B1 (ko) 2016-09-05 2017-03-09 백운학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US10335740B2 (en) * 2013-12-11 2019-07-02 Kolon Industries, Inc.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784A (ja) * 1994-11-10 1996-05-28 Nitto Denko Corp 膜分離装置
KR100552712B1 (ko) 2004-06-08 2006-02-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100594495B1 (ko) 2004-08-25 2006-06-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침지형 중공사 분리막 모듈
KR100741851B1 (ko) 2006-04-27 2007-07-24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사각침지형 중공사막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784A (ja) * 1994-11-10 1996-05-28 Nitto Denko Corp 膜分離装置
KR100552712B1 (ko) 2004-06-08 2006-02-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100594495B1 (ko) 2004-08-25 2006-06-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침지형 중공사 분리막 모듈
KR100741851B1 (ko) 2006-04-27 2007-07-24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사각침지형 중공사막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70B1 (ko) 2011-08-05 2013-10-22 김백암 고집적이 가능한 산기관 일체형 수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
KR101464831B1 (ko) * 2012-12-04 2014-1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364344B1 (ko) 2012-12-14 2014-02-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여과장치
CN104703679B (zh) * 2012-12-14 2016-07-06 可隆工业株式会社 过滤装置
WO2014092336A1 (en) * 2012-12-14 2014-06-19 Kolon Industries, Inc. Filtering apparatus
CN104703679A (zh) * 2012-12-14 2015-06-10 可隆工业株式会社 过滤装置
WO2015069070A1 (ko) * 2013-11-11 2015-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세트형 정수처리 패키지 시스템
KR101394992B1 (ko) * 2013-11-11 2014-05-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카세트형 정수처리 패키지 시스템
US10335740B2 (en) * 2013-12-11 2019-07-02 Kolon Industries, Inc. Submerged-type filtration apparatus
KR101437818B1 (ko) * 2014-07-25 2014-10-30 (주)엠비티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유닛
KR20160021597A (ko) * 2014-08-18 2016-02-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백연제거가 가능한 배기덕트
KR101646069B1 (ko) 2014-08-18 2016-08-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백연제거가 가능한 배기덕트
CN104667755A (zh) * 2015-02-13 2015-06-03 曹家汉 一种易于装配和维护更换的分离膜组件
KR101627554B1 (ko) 2016-02-25 2016-06-07 백운학 Mbr용 분리막 여과장치
KR101713927B1 (ko) 2016-09-05 2017-03-09 백운학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739B1 (ko) 산기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흡입배관 일체형 분리막 모듈을 구비하는 분리막 유니트
KR100974912B1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CN113244774A (zh) 使用膜束封罩和脉冲曝气的膜组件系统以及操作方法
WO2001000307A2 (en) Self cleaning filter
KR101958154B1 (ko) 공기세정 일체형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 장치
KR101713927B1 (ko)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JP5803293B2 (ja) 散気装置
KR100552712B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RU2515444C2 (ru) Мембранный модуль, мембранный блок и мембранное раз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30082363A (ko) 중공사 막 모듈
US20180229185A1 (en) Membrane Filter System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CN202671258U (zh) 重力膜过滤装置
KR200361822Y1 (ko)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유니트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20120044594A (ko) 분리형 산기 프레임과 공기 챔버를 구비하는 산기 장치
KR101070383B1 (ko) 탈착이 가능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염방지형 분리막 모듈유닛
KR101685356B1 (ko) 수직형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여과 시스템
CN1329315C (zh) 膜生物反应器
KR20140021481A (ko) 에어레이터 장치, 이를 포함하는 필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필터 폭기 방법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JP2000176255A (ja) 膜分離装置および水の分離方法
KR102336809B1 (ko) 침지형 여과장치
KR101288003B1 (ko) 멤브레인 모듈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565459B1 (ko) 생물막을 이용한 침지형 막여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