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592A - 선형 가이드 - Google Patents

선형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592A
KR20040030592A KR10-2003-7013718A KR20037013718A KR20040030592A KR 20040030592 A KR20040030592 A KR 20040030592A KR 20037013718 A KR20037013718 A KR 20037013718A KR 20040030592 A KR20040030592 A KR 2004003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guide
sliding member
adjuster
travel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885B1 (ko
Inventor
모스하머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3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12Arrangements for adjusting play
    • F16C29/126Arrangements for adjusting play using tapered surfaces or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선형 가이드는, 여러 개의 진행 트랙 (2) 을 갖춘 레일 (1) 과, 1 이상의 미끄러짐 부재 (4) 를 갖춘 캐리지 (3) 로 구성되고, 상기 미끄러짐 부재는 진행 트랙 (2) 의 맞은편에 있고 레일 (1) 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측면상에 경사면 (5) 을 가지며, 미끄러짐 부재 (4) 와 캐리지 (3) 사이에 이동가능한 조절기 (6) 가 제공되어, 상기 조절기는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에 이동가능하도록 접촉하여 놓여있는 표면 (7) 을 구비한다. 베어링 간격을 자동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조절기 (6) 는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에 대하여 예인장을 받게 되고, 즉 미끄러짐 부재 (4) 의 맞은편 진행 트랙 (2) 에 수직한 미끄러짐 부재 (4) 상에 힘 성분이 유발되며, 조절기 (6) 와 미끄러짐 부재 (4) 의 접촉면 (7, 5) 은 대응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단부들은, 대응하는 간극을 두고서 조절기 (6) 의 예인장으로 인하여, 레일 (1) 의 진행 트랙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기 (6) 의 표면 (7) 상의 계단부가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의 계단부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선형 가이드 {LINEAR GUIDE}
상기 종류의 선형 가이드는 본 출원인의 8/98 카탈로그 "DryLinT" 에 공지되어 있다. 선형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T 형상의 레일과,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채널을 갖춘 캐리지를 포함한다. 레일은, 서로 마주보며 캐리지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에 수직한 두 쌍의 제 1 진행 트랙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진행 트랙에 수직한 한 쌍의 제 2 진행 트랙을 구비한다.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고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미끄러짐 부재는, 진행 트랙의 맞은편 캐리지내에 제공된다. 캐리어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과 횡방향으로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서, 표면 법선이 캐리지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과 반대인 레일의 진행 트랙들의 맞은편 미끄러짐 부재와, 표면 법선이 일반적인 탑재 방향에 수직한 하나의 진행 트랙의 맞은편 미끄러짐 부재는, 쇄기형상으로 구성되고, 또한 관련된 조절기는 반대방향으로 쇄기형상으로 구성된다. 조절기는 설정 나사에 의해서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설정 나사의 맞은편의 넓은 단부가 캐리지의 접촉면 (abutment) 에 대하여 상승되는, 관련된 미끄러짐 부재는 레일 쪽으로 이동되어서, 대응하는 베어링 지점에서 캐리지와 레일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킨다. 설정 나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캐리지와 레일간의 간극은 대응하는 베어링 지점에서 증가될 수 있다. 편의상, 조절기는 설정 나사가 느슨해졌을 때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 뒤로 밀려진다.
표면 법선이 캐리지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과 반대인 2 개의 진행 트랙 대신에, 더 적게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레일은 중심에 위치된 단지 하나의 진행 트랙과 이 맞은편의 대응하는 하나의 미끄러짐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배열체와는 반대로, 간극 조절이 소망되는 선형 베어링의 다른 베어링 지점에도 쇄기형상의 미끄러짐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공지된 선형 가이드에 있어서, 간극은 통상적으로 공장에서 제조자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사전 설정 (pre-setting) 은 캐리지의 변형력을 바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베어링 간극을 재조절할 필요가 있다. 설정 나사의 도움으로 3 개의 베어링 지점이 재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절과 제어는 매우 정밀하게 해야 한다. 재조절시 하나의 베어링 지점의 간극을 과도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진행 트랙을 갖춘 레일과, 1 이상의 미끄러짐 부재를 갖춘 캐리지 (carriage) 를 포함하는 선형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끄러짐 부재는 진행 트랙의 맞은편에 있고 레일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측면상에 상기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미끄러짐 부재와 캐리지 사이에 조절기가 제공되고, 상기 조절기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접촉하여 놓여있는 표면을 구비한다.
도 1 은 방향 A 로 탑재된 캐리지를 갖춘 선형 가이드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단면 B 의 확대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방향 C 에서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선 D-D 를 따른 단면도,
도 5 는 방향 E 로 탑재된 캐리지를 갖춘 선형 가이드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단면 B 의 확대도,
도 7 은 도 5 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방향 C 에서의 정면도, 및
도 8 은 도 5 에 따른 선형 가이드의 선 D-D 를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
1 : 레일2 : 진행 트랙
3 : 캐리지4 : 미끄러짐 부재
5 : 경사면6 : 조절기
7 : 표면8 : 절취부
9 : 압축 스프링10, 11 : 섹션
12 : 채널13 : 미끄러짐 부재
14, 15 : 표면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 나사 또는 제조자 및/또는 사용자가 설정해야만 하는 어떠한 다른 조절 부재에 의해서, 선형 가이드의 베어링 간극을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전술한 종류의 선형 가이드를 더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에 대하여 조절기에 예인장 (pre-tension) 을 가함으로써, 즉 미끄러짐 부재 맞은편의 진행 트랙에 수직한 미끄러짐 부재상에 힘 성분이 유발되고, 조절기와 미끄러짐 부재의 접촉면은 대응하는 계단부를 구비하며, 이 계단부들은, 대응하는 간극을 두고서 예인장으로 인하여, 조절기가 레일의 진행 트랙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기의 표면상의 계단부가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의 계단부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으로 인하여, 간극이 과도해질 때, 조절기의 표면상의 계단부는,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진행 트랙 사이의 간극이 최소로 감소될 때까지 미끄러짐 부재상의 대응 계단부로 미끄러져서, 양 표면의 계단부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하여 놓여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 나사 또는 어떠한 다른 조절 부재에 의한 조절 없이도, 과도한 간극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조절기에 의한 간극의 자동 조절은, 관련된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진행 트랙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캐리지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상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상의 계단부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섹션과, 조절기의 예인장 방향으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상승하는 섹션을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끄러짐부재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조절기의 표면상의 계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계단부의 상승하는 섹션의 각도는 자가-잠금 각도 (self-locking angle) 보다 크고 쇄기 각도보다 작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상에 있어서,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계단부 섹션은 조절기의 예인장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다. 상기 섹션의 경사로 인하여,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관련된 진행 트랙 사이에는 항상 최소 간극이 존재한다. 예인장으로 인하여 조절기가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관련된 진행 트랙 사이의 남아있는 간극과 동일한 높이의 계단부로 미끄러진다면, 조절기의 계단부가 미끄러짐 부재의 계단부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조절기가 이동함에 따라 간극도 증가한다. 그 후, 최종 자가-조절하는 최소 간극은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계단부 섹션의 경사면의 깊이와 동일하게 된다.
어떠한 간극이 존재함을 보장하기 위해서 한정된 탄성을 가진 부재를 추가하지 않을 때,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진행 트랙 사이의 최소 간격을 상기와 같이 자동 조절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반대로, 시스템에 의해 보상된다면, 미끄러짐 부재와 조절기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계단부의 섹션의 경사면이 제거될 수 있다.
관련된 계단부 섹션상에 경사면이 형성된다면,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이 계단부 섹션의 높이는 0.01 ~ 0.1 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는 0.01 ~ 0.05 mm 이다.
계단부 배열체의 자가-잠금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끄러짐 부재 또는 조절기의 경사면상의 계단부의 상승하는 섹션은,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0.02 ~ 0.2 mm 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는 0.02 ~ 0.1 mm 이다.
조절기에 예인장을 가하기 위해서, 이 조절기상에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압축 스프링은, 조절기의 측면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측면상의 횡방향 돌출부에 작용한다.
캐리지, 조절기, 및/또는 미끄러짐 부재의 접촉면은 베어링의 비평형을 보상하기 위해서 반-원통형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미끄러짐 부재의 경사면은 반-원통형 구성일 수 있고 대응하는 오목한 단면을 가진 조절기의 표면에 접촉하여 놓여있을 수 있다.
다른 형상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표면, 또는 캐리지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조절기의 맞은편 표면은 반-원통형 구성일 수 있다.
미끄러짐 부재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고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러짐 부재용 상기 플라스틱과 레일용 양극 산화처리된 알루미늄을 페어링 (pairing) 시킴으로써 최적의 결과가 달성된다.
캐리지와 미끄러짐 베어링의 구성, 뿐만 아니라 레일의 진행 트랙과 캐리지의 미끄러짐 부재를 포함하는 미끄러짐 쌍의 배열체에 대하여, 선형 가이드는 모든 면에서 도입부에서 설명한 공지된 선형 가이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레일은, 서로 마주보며 캐리지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에 수직한 두 쌍의 제 1 진행 트랙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진행 트랙에 수직한 한 쌍의 제 2 진행 트랙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의 단면은 캐리지내에 대응하는 채널을 갖춘 실질적으로 T-형상일 수 있고, 미끄러짐 쌍은 편의상 선형 가이드의 이등분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특정한 탑재 조건에 유리하다면, 레일과 캐리지 채널용 다른 구성 및 미끄러짐 쌍의 다른 배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선형 가이드의 표준 형상에 있어서, 표면 법선이 캐리지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과 반대인 레일의 진행 트랙과, 표면 법선이 상기 진행 트랙의 표면 법선에 수직한 하나의 진행 트랙은, 경사면을 갖춘 미끄러짐 부재와 대응하는 조절기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종류의 배열체에서 간극을 자가-조절하기 위해서, 캐리지는 일반적인 탑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레일에 대하여 탑재되어야만 하고, 따라서 경사면을 갖춘 미끄러짐 부재와 레일의 관련된 진행 트랙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실시예는 도면을 바탕으로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과 도 5 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선형 가이드는 여러 개의 진행 트랙 (2) 을 갖춘 레일 (1) 과, 미끄러짐 부재 (4) 를 갖춘 캐리지 (3) 로 구성되고, 이 미끄러짐 부재는 진행 트랙 (2) 의 맞은 편에 있고 레일 (1) 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측면상에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 (5) 을 갖는다. 각각의 미끄러짐 부재 (4) 와 캐리지 (3) 사이에는 조절기 (6) 가 제공되며, 이 조절기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미끄러짐 부재 (4) 와 같이 쇄기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이 조절기의 일면 (7) 은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과 접촉하여 이동가능하게 놓여있다.
도면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3) 는 미끄러짐 부재 (4) 와 조절기 (6) 를 수용하기 위해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입방형의 절취부 (8) 를 갖는다. 쇄기형상의 미끄러짐 부재 (4) 와 조절기 (6) 는, 절취부 (8) 내에서, 그 경사면 (5, 7) 이 서로 접촉하여 놓여있고 조절기 (6) 의 상면과 미끄러짐 부재 (4) 의 하면은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미끄러짐 부재 (4) 의 최대 단부면은 캐리지 (3) 내의 접합부 (비도시) 에 접촉하여 놓여 있고, 반면 조절기 (6) 는 압축 스프링 (9) 에 의해서 선형 가이드의 일진행 방향으로 미끄러짐 부재 (4) 의 최대 단부면 방향으로 예인장을 받게 된다. 조절기 (6) 에 예인장을 가함으로써, 레일 (1) 의 진행 트랙 (2) 에 수직한 미끄러짐 부재 (4) 상에 힘 성분이 유발된다.
도 2 와 도 6 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 부재 (4) 와 조절기 (6) 의 접촉면 (5, 7) 은 대응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소정의 적절한 간극을 두고서 조절기 (6) 의 표면 (7) 의 계단부는 예인장으로 인하여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의 계단부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탑재 방향 A 에 있어서, 조절기 (6) 는 남겨진 베어링의 간극이 계단부의 높이보다 작을 때까지 미끄러짐 부재 (4) 의 계단부로 밀려진다. 이와 관련하여, 조절기 (6) 는, 가능한 이동 경로에 걸쳐서, 하부측이 레일 (1) 과 부딪치지 않고 최소 단부면이 미끄러짐 부재 (4) 용 접합부 (비도시) 와 부딪치지 않도록 배열된다.
도 2 에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상의 계단부 또는 조절기 (6) 상의 계단부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섹션 (10) 과, 조절기 (6) 의 예인장 방향으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상승하는 섹션 (11) 을 구비한다. 상승하는 섹션의 각도는 자가-잠금 각도 보다 크고 선형 가이드 배열체의 쇄기각보다 작도록 선택된다.
도 6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섹션 (10) 은 조절기 (6) 의 예인장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다. 그 결과, 남아있는 베어링 간극이 제로이고 조절기 (6) 표면 (7) 의 계단부 가장자리가 미끄러짐 부재 (4) 표면 (5) 의 계단부 가장자리로 미끄러진다면, 조절기 (6) 가 예인장으로 인하여 다음의 계단부 섹션으로 더 이동될 때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간극 (S) 이 된다. 이로 인하여, 선형 가이드의 간극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때 항상 최소 간극 (S) 이 유지됨을 보장해준다.
도 3, 도 4, 및 도 7, 도 8 에서는 미끄러짐 쌍인 레일 (1) 과 캐리지 (3) 상의 배열체를 도시하였고, 이 미끄러짐 쌍은 미끄러짐 부재 (4) 와 레일 (1) 의 진행 트랙 (2) 을 포함한다. 레일 (1) 과 캐리지 (3) 는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구조이고, 레일 (1) 은 T-형상이며 캐리지 (3) 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채널 (12) 을 갖는다. 레일 (1) 은, 서로 마주보며 캐리지 (3) 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 (A) 에 수직인 두 쌍의 제 1 진행 트랙 (2) 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진행 트랙에 수직인 한 쌍의 제 2 진행 트랙 (2) 을 구비한다. 수직 및 측면 베어링 간극을 자동 조절하기 위해서, 표면 법선이 캐리지 (3) 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 (A) 과 반대인 진행 트랙 (2) 과 하나의 측면 진행 트랙에는 경사면 (5) 을갖춘 전술한 종류의 미끄러짐 부재 (4) 와 대응 조절기 (6) 가 각각 배치된다. 다른 진행 트랙에는 캐리지 (3) 내에서 이동이 고정된 실질적으로 입방형의 미끄러짐 부재 (13) 가 배치된다.
캐리지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조절기 (6) 의 표면 (14) 과, 캐리지 (3) 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미끄러짐 부재 (13) 의 표면 (15) 은, 미끄러짐 부재 (4, 13) 의 대응 회전에 의해서 선형 가이드내의 비평형성을 보상하도록 반-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도 3 과 도 7 은 도 1 과 도 5 에 도시된 길이방향 단면의 선 F-F 를 더 도시한다.

Claims (13)

  1. 여러 개의 진행 트랙 (2) 을 갖춘 레일 (1) 과, 1 이상의 미끄러짐 부재 (4) 를 갖춘 캐리지 (3) 를 포함하는 선형 가이드로서, 상기 미끄러짐 부재는 진행 트랙 (2) 의 맞은편에 있고 레일 (1) 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측면상에 상기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 (5) 을 가지며, 미끄러짐 부재 (4) 와 캐리지 (3) 사이에는 조절기 (6) 가 제공되며, 상기 조절기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에 이동가능하도록 접촉하여 놓여있는 표면 (7) 을 구비하는 선형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6) 는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에 대하여 예인장을 받게 되고, 미끄러짐 부재 (4) 의 맞은편 진행 트랙 (2) 에 수직한 미끄러짐 부재 (4) 상에 힘 성분이 유발되며, 조절기 (6) 와 미끄러짐 부재 (4) 의 접촉면 (7, 5) 은 대응하는 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단부들은, 대응하는 간극을 두고서 조절기 (6) 의 예인장으로 인하여, 조절기가 레일 (1) 의 진행 트랙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절기 (6) 의 표면 (7) 상의 계단부가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의 계단부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상의 계단부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섹션 (10) 과, 조절기 (6) 의 예인장 방향으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상승하는 섹션 (11)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계단부 섹션 (10) 은 조절기 (6) 의 예인장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계단부 섹션 (10) 은 진행 방향에 수직한 0.01 ~ 0.1 mm 의 높이에 걸쳐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계단부 섹션 (10) 은 진행 방향에 수직한 0.01 ~ 0.05 mm 의 높이에 걸쳐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상의 계단부의 상승하는 섹션 (11) 은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0.02 ~ 0.2 mm 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상의 계단부의 상승하는 섹션 (11) 은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0.02 ~ 0.1 mm 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기 (6) 는 선형 가이드의 진행 방향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 (9) 에 의해서 예인장을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의 경사면 (5) 은 반-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조절기 (6) 의 표면 (7) 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표면 (7) 또는 캐리지 (3) 에 접촉하여 놓여있는 조절기 (6) 의 맞은편 표면은 반-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부재 (4) 는 낮은 마찰계수를 가진 고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일 (1) 은, 서로 마주보며 캐리지 (3) 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 (E) 에 수직한 두 쌍의 제 1 진행 트랙 (2) 과, 서로 마주보며 상기 제 1 진행 트랙에 수직한 한 쌍의 제 2 진행 트랙 (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표면 법선이 캐리지 (3) 의 일반적인 탑재 방향 (E) 과 반대인 제 1 진행 트랙 (2) 과 하나의 제 2 진행 트랙은 각각 경사면 (5) 을 갖는 미끄러짐 부재 (4) 와 조절기 (6) 와 관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가이드.
KR1020037013718A 2001-04-20 2002-04-22 선형 가이드 KR100622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06914.8 2001-04-20
DE20106914U DE20106914U1 (de) 2001-04-20 2001-04-20 Linearführung
PCT/DE2002/001468 WO2002086341A2 (de) 2001-04-20 2002-04-22 Linearfü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592A true KR20040030592A (ko) 2004-04-09
KR100622885B1 KR100622885B1 (ko) 2006-09-18

Family

ID=795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718A KR100622885B1 (ko) 2001-04-20 2002-04-22 선형 가이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80974B2 (ko)
EP (1) EP1379791B1 (ko)
JP (1) JP4049677B2 (ko)
KR (1) KR100622885B1 (ko)
CN (1) CN1223770C (ko)
BR (1) BR0209053A (ko)
CA (1) CA2444049C (ko)
CZ (1) CZ20032861A3 (ko)
DE (2) DE20106914U1 (ko)
ES (1) ES2230501T3 (ko)
PL (1) PL365105A1 (ko)
WO (1) WO20020863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246A (ja) * 1998-08-07 2000-04-21 Ulvac Seimaku Kk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フォトマスクおよびその作製方法、ならびに半導体回路およびその製作方法
DE102005006118A1 (de) * 2005-02-10 2006-08-24 Grove U.S. Llc Selbsteinstellendes Gleitstück für Teleskopkranausleger
DE102005007361B4 (de) * 2005-02-17 2006-12-14 Steelcase Werndl Aktiengesellschaft Teleskopartig ineinander verfahrbare Trag- oder Rohrkonstruktion
JP4538803B2 (ja) * 2005-04-19 2010-09-08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の変位差吸収機構
JP4702663B2 (ja) 2005-04-19 2011-06-15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軸受支持構造
JP4587103B2 (ja) * 2005-04-19 2010-11-24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のガイド機構
DE102005033948B4 (de) * 2005-07-20 2019-02-07 Robert Bosch Gmbh Lineareinheit mit Toleranzausgleich
JP4610465B2 (ja) * 2005-07-29 2011-01-12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
CN200993160Y (zh) * 2006-05-16 2007-12-19 海顿直线电机(常州)有限公司 可调式线性滑块
DE102008057397B4 (de) 2008-07-31 2016-10-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earführung
EP2331837B1 (en) * 2008-09-04 2013-03-13 PHD, Inc. Gripper with self-compensating jaw guides
CN103133530A (zh) * 2011-11-30 2013-06-05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可调压紧力压紧滑动机构及其调节方法
DE202012003942U1 (de) * 2012-04-20 2012-05-15 Igus Gmbh Linearführung
DE102012208498A1 (de) * 2012-05-22 2013-11-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xial verschiebbare Lagerung eines rotierbaren Maschinenelementes
CN104057862B (zh) * 2013-03-21 2016-12-28 徐州徐工随车起重机有限公司 臂体锁紧机构及侧面自装卸运输车
CA2913753C (en) * 2013-08-31 2019-02-1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eflector assembly for a lateral wellbore
DE102014204617A1 (de) * 2014-03-13 2015-09-17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JPWO2016038720A1 (ja) 2014-09-11 2017-06-22 Smc株式会社 リニアガイド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CN106826564A (zh) * 2015-03-25 2017-06-13 湘潭三峰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用于磨床的夹紧装置及其安装方法和应用
DE102015213212A1 (de) * 2015-07-15 2017-01-19 Aktiebolaget Skf Vorrichtung zum Verschieben eines ersten Bauteils gegenüber einem zweiten Bauteil
DE202015105035U1 (de) 2015-09-23 2015-10-12 Igus Gmbh Linearführung mit selbsteinstellender Spielreduzierung
DE202016101698U1 (de) 2016-03-30 2016-04-21 Igus Gmbh Gleitlager, Gleitführung und Gleitelement für eine Kurvenschiene
GB2560727B (en) * 2017-03-22 2020-06-17 Accuride Int Ltd An adjustable bearing assembly
US10247238B1 (en) * 2018-03-28 2019-04-02 Guy R. Chaifetz Sliding track assembly
CN113236664B (zh) * 2021-05-26 2023-05-09 河南科技大学 一种可调节预置阻尼扭矩的永磁阻尼滑动轴承
CN114906756B (zh) * 2022-04-24 2024-04-2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四研究所 一种具有消隙功能的伸缩臂滑块总成及其消隙方法
CN115013432B (zh) * 2022-06-02 2023-09-01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一种在轨有害气体去除单元贮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9020A (en) * 1964-07-20 1966-07-05 Cincinnati Milling Machine Co Machine tool quill clamping mechanism
DE1954508U (de) 1966-08-26 1967-02-02 Heinrich Kruse Fuehrungssaeule fuer hubgeraete.
US3588154A (en) * 1968-10-29 1971-06-28 Bendix Corp Torque coupling device
DE2623594C2 (de) 1976-05-26 1984-12-13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Führungselement für Schubstangen redundanter elektrohydraulischer Stellanordnungen
FI78160C (fi) * 1985-01-18 1989-06-12 Tampella Oy Ab Lagringsarrangemang foer en matningsanordning foer en borrmaskin.
DE3505614A1 (de) * 1985-02-19 1986-08-21 Karl Lautenschläger KG, Mö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Ausziehfuehrung fuer schubladen u.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0501T3 (es) 2005-05-01
CN1223770C (zh) 2005-10-19
EP1379791B1 (de) 2004-10-06
CZ20032861A3 (en) 2004-04-14
DE20106914U1 (de) 2002-08-29
WO2002086341A3 (de) 2003-01-30
WO2002086341A2 (de) 2002-10-31
KR100622885B1 (ko) 2006-09-18
PL365105A1 (en) 2004-12-27
CA2444049A1 (en) 2002-10-31
EP1379791A2 (de) 2004-01-14
DE50201230D1 (de) 2004-11-11
JP2004522099A (ja) 2004-07-22
JP4049677B2 (ja) 2008-02-20
US6880974B2 (en) 2005-04-19
CA2444049C (en) 2007-07-24
BR0209053A (pt) 2004-07-13
US20020181809A1 (en) 2002-12-05
CN1514913A (zh)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885B1 (ko) 선형 가이드
US8152378B2 (en) Automatic-positioning linear guide
CN108367893B (zh) 用于固定电梯轨道的固定装置
US7922142B2 (en) Vehicle seat suspension with stabilized isolator
US6115968A (en) Suspension system for sliding doors with a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5201584A (en) Mechanism for preloading linear bearing slides
US20040184684A1 (en) Linear guide apparatus
KR100327851B1 (ko) 철도선로부품용팽창조인트
US4815863A (en) Journal
US6935784B2 (en) Slide system
US3601455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ize of a bearing clearance between two elements
CA2243112C (en) Bearing device
EP0533399B1 (en) Mechanism for preloading linear bearing slides
US6758406B2 (en) Rail switch brace
US4655612A (en) Bearing adjustment apparatus
US11236470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switch rail
US20070019892A1 (en) Guide rail for guide carriages of a linear guideway
US20040206869A1 (en) Runner rail clamping holder for fixing runner rails for sliding door systems
EP1407155B1 (en) Linear sliding guide
CN219751578U (zh) 一种适用于乘客输送装置的导靴的导轨
US3064304A (en) Device for slidably supporting curtains and the like
EP4086469A1 (en) Flexure based preload mechanism
US20210262520A1 (en) Linear guide rail structure
JP4396794B2 (ja) 移動体の直線案内装置
CN117564732A (zh) 一种应用于机床的精密滑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