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942A -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 - Google Patents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942A
KR20040029942A KR1020027014344A KR20027014344A KR20040029942A KR 20040029942 A KR20040029942 A KR 20040029942A KR 1020027014344 A KR1020027014344 A KR 1020027014344A KR 20027014344 A KR20027014344 A KR 20027014344A KR 20040029942 A KR20040029942 A KR 2004002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polymer
alcohol
latex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론카프란시스브이쥬니어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2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텍스 접착제와 코팅 강화량의 선형 또는 분지되고 필요한 경우 불포화 모노알콜을 포함하는 코팅 가능한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라텍스 접착제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러한 라텍스 접착제로 코팅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제공된다. 특히, 구조화된 라이너 복합체는 이러한 알콜 첨가물로 인해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 1 이상의 산소로 차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LATEX ADHESIVE WITH COATING ENHANCER}
저 에너지 표면상에 수계된 코팅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곤란한 도전이었다. 문제의 핵심은 물이 고 에너지 액체이고, 저 에너지 표면을 쉽게 함침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수계된 코팅물은 새차의 후드상에서 물이 구슬모양을 이루는 것과 유사하게 저 에너지 표면상에서 방울로서 뭉친다.
이 상황을 극복하는 다수의 방법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한 방법은 화학적 기재층(chemical prime layer)을 사용하거나 코로나 처리 또는 화염 처리 등의 강력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천연 비누 또는 합성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여 수계된 코팅의 딘 수준(dyne level)을 낮추는 것이다. 이 분야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세번째 방법은 액체의 점성을 높여서 액체가 방울이 되게 하는 힘을 물리적으로 억제하여 연속적인 막을 유지시키는데에 충분한 계수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 세번째 방법은 처음 두 방법 중 한가지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유용하다. 관련 방법은 점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두꺼운 층의 접착제를 코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비용 및 성능의 관점에서 보면 허용될 수 없는 방법이다. 필요한 경우,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틸 에틸 케톤("MEK") 또는 톨루엔 등의 통상적 유기 용매를 첨가하는 것은 자유이지만, 이 방법은 수계된 접착제상에서, 용액이 가연성이 되게 하고 수계된 접착제의 "환경 친화적인" 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라텍스 입자를 불안정하게 하여 엉김을 일으키는 것들을 포함하는 몇가지 해로운 결과를 나타낸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라텍스 접착제 및 코팅 강화량의 선형 또는 분지형인, 필요한 경우 불포화된 모노 알콜을 포함하는 코팅 가능한 접착제를 제공한다. 알콜은 25℃에서 액체이다. 또한 라텍스 접착제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라텍스 접착제로 코팅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는 접착제/구조화된 라이너 복합체를 제공하고, 여기서, 알콜은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1 이상의 산소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코팅 가능한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팅 가능한 라텍스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편평하지 않은 라이너상에 코팅된 접착제의 나란히 있는 사진이다.
이 명세서에서의 본 발명은 실리콘 코팅된 이형 라이너 등의 저 에너지 표면상에 코팅하는 경우 흠이 없는 편물을 얻기 위해 수계된 접착제에 첨가하는 코팅 첨가제로서의 선형 알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소량의 선형 알콜 예컨대, n-옥탄올은 수계된 접착제의 코팅 성능에 관하여 극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컴플리[Comply(상표명)] 등의 미세 구조 라이너가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사실이다. 놀랍게도, 코팅 강화 알콜 첨가제의 용도는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동일한 접착 제제에 비하여, 접착 성능에서 역효과가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접착제의 180°박리값(180°peel value)은 코팅 강화 알콜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동일한 접착 제제의 80% 이상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흠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이 저속도로 만족스럽게 코팅될 수 있는 접착제를, 접착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흠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이 고속도로 만족스럽게 코팅될 수 있도록 개조할 수 있다.
라텍스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형 라이너 등의 저 에너지 표면을 코팅하는 것은 어렵다. 접착제 또는 저 에너지 표면이 개질되지 않는 경우, 접착제는 저 에너지 표면에서 평탄하게 코팅되도록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접착제는 표면상에서 평탄치 않고, 불연속적으로 되어 표면상에서 뭉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통상의 이형 라이너 구조물은 실리콘 또는 불소화학적 부분을 통상적으로 함유하는 표면층을 가진 종이, 막 또는 종이/막 복합체로 구성된다. 이 층의 목적은 접착제가 최소의 힘으로 쉽게 분리되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수의 실시예로는 감압성 접착제("PSA") 지지형 라벨 또는 전사와 같은, 이러한 구조의 유형이 많이 있다.
이형 라이너의 기능은 접착제에 약하게 결합하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이 층을 개질하여 이것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표면처리는 결합 특성을 개질시키므로, 처음에 이형 표면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개질예들 모두는 수계된 접착제로부터 유도되어야 한다.
상술된 방법의 점성 개질 방법은 아마도 최종 접착 특성 또는 코팅 특성에 최소의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방법이기 가장 쉽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상의 코팅 기법은 효율적인 코팅 성능을 위한 레올로지 특성의 최적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점성 범위는 코팅 기법마다 다양하지만, 코팅에 대한 최적 점성은 일반적으로 코팅이 이형 라이너 상의 습윤성 감소를 막아야 하는 경우보다 낮다. 또한, 코팅 기법이 보다 높은 점성을 다루어서 조절할 수 있는 경우, 대개 코팅 성능은 나빠진다. 게다가, 고 점성 코팅은 일반적으로 혼입된 공기 및 리브 형성(ribbing)(고 영역 및 저 영역)에 의하여 흠을 가질 것이다. 또한, 접착제의 건조된 입자는 코팅 장치에서 액상 접착제의 불량한 순환으로 인해 더욱 퍼지게 될 것이다.
또한, 점성에 대한 상기 설명은 점성이 점성 대 전단 속도의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 근대 레올로지학 취급 분야를 포함한다. 많은 것들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수계된 접착제 또는 코팅의 레올로지를 조절하는 다수의 산물들이 시판된다. 대부분의 통상의 첨가제는 점도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것 대 전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첨가제들에도 불구하고, 상기에서 논의된 문제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가지 해결예는 접착제가 펌프되는 경우와 같이 고 전단에 노출된 후 저 전단 점도에 복귀하기 위한 회복 시간을 일컫는다. 이형 라이너 상에서의 접착제의 습윤성 감소를 막기 위해 요구되는 고 점도를 갖기 위해서는 회복 시간이 짧아야 한다. 그러나, 접착제 코팅을 편평하게 하고 공기 기포가방출되게 하기 위해서는 회복 시간이 길어야 한다.
또한, 표면 활성화 제제(계면 활성제)를 수계된 접착제에 첨가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접착제의 에너지 수준(딘 수준)을 저 에너지 표면과 거의 필적하게 낮추어서 실행한다. 다수의 재료들이 이 방법을 실행하는데에 유용하지만, 이것들은 다수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모든 표면 활성화 제제는 거품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거품의 정도는 산물마다 다르지만, 거품의 발생은 최종 산물의 외관 및 성능을 나쁘게하고, 또한 거품은 접착제의 유효한 코팅을 방해하므로 문제가 된다. 또한,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면 일반적으로 접착제가 습기에 더욱 민감하게 된다. 이것은 PSA 지지 네임태그(PSA backed nametag)에 대해서는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이것은 트럭의 한쪽면에 그래픽과 같은 외부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사 및 관련 산물에 관한 문제인데, 여기서 습기 민감성으로 인해 접착력이 보다 낮아진다는 사실은 산물의 주된 결점이다. 또한, 다른 문제는 표면 활성화 제제가 접착제의 표면으로 선호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것은 접착제, 특히 PSA의 결합 특성을 변화시킬 것이다. 대부분의 실패 요인은 배킹(backing) 및 접착제, 또는 접착제 및 기재 사이에 있다. 상기된 습기 민감성 문제와 합쳐지는 경우, 사람들은 대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혹자는 거품 발생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소포제를 첨가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소포제를 현명하게 사용하여 코팅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지만, 또한 이 경우에도 다수의 문제들을 갖는다. 그 중 하나는 다수의 소포제는 일시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인데, 따라서 코팅 전에 먼저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코우터 기기에서 이 첨가제를 제어할 경우에는 이 첨가제들이 너무 많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소포제는 표면 활성화 제제이기 때문에, 이것을 수계된 제제에 첨가하는 경우 주의해야 한다. 장기 지속 소포제는 유용하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실리콘 기술을 기초로 한다. 실리콘은 접착제상에서 매우 유해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PSA에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모든 소포제가 계면 활성제라는 것은 이것들이 접착제 결합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 활성화 제제 및 소포제의 조합물은 부정적 효과를 가지고, 둘다 일반적으로 가능한 가장 적은 양으로 사용된다.
MEK 등의 통상의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수계된 접착제가 이러한 용매에 의해 불안정화되므로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제 및 이형 라이너의 결합을 개선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형 라이너의 코팅 상태는 이형 라이너 표면이 편평하지 않고, 커머셜 그래픽스(Commercial Graphics)에서 시판되는 컴플리(상표명) 제품에 사용되는 라이너와 같이 3 차원 형태를 갖는 경우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이형 라이너는 다수의 독특한 문제들을 제시한다. 첫째, 3 차원 표면은 두껍고 얇은 점을 갖는 접착제 코팅 층을 생성시킨다는 사실이다. 접착제가 얇은 점들에서 습윤성 감소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얇은 점은 특히 관계가 있다. 따라서, 코팅은 가장 얇은 영역에서 습윤 감소를 방해하도록 가공되어야 한다. 두번째 사실은 접착제 레올로지가 전체 판형을 용인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컴플리(상표명) 라이너 케이스에서의 라이너 표면은 선이 마루를 나타내는 그래프 용지와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일련의 구획 마루에 의해서 분리된 사각 포켓으로 구성된다. 이 포켓은 최적 접착제 성능을 나타내도록 접착제로 완전하게 채워져야 한다. 점성이 매우 높은 접착제는 이와 같이 압축된 구획들을 채우는 데에 문제가 있다. 세번째 사실은 3 차원 판형중 특정 지역이 코팅 조작 동안 기포를 잡아두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컴플리(상표명) 라이너 실시예에서, 이것은 마루의 구획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붙잡힌 기포는 2개의 난점을 나타낸다. 하나는 이들이 미적 및 성능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마루 주위에 기포가 저 에너지 표면 상에서 습윤성을 감소시키는 흠을 생성시키기 쉽다는 것이다.
3 차원 라이너 토포그래피(topography)와 비교하였을때, 저 에너지 표면의 코팅에 대하여 존재하는 용액이 부족한지 여부에 관하여는 쉽게 알 수 있다. 점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순차로 접착제 성능 및, 산물로 고안된 토포그래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족한 양의 토포그래피를 생성시킨다. 또한, 공기가 포집될수록, 흠을 유발하는 거품은 더욱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레올로지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면 활성화 제제는 전술된 모든 문제를 갖고, 게다가 3 차원 표면상에서 이들은 생성되는 거품을 안정화시킬 것이다. 이것은 접착제의 코팅층에서 일어날 뿐 아니라, 대부분의 코팅 기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 저장물(코팅 팬)에서 기포의 발생을 강화시킬 것이다. 통상의 유기 용매는 전술된 모든 문제를 갖는다.
"코팅-강화"란, 접착제가 알콜이 없는 동일한 접착제 조성물과 비교하여 접착제 결합 성능 특성이 감소하지 않은 향상된 코팅 일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라텍스"란, 수중에서 고무 또는 플라스틱 방울의 에멀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라텍스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릭, 네오프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이 있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라텍스들은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보유하는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에틸렌 공중합체, 불소화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롤레인 공중합체, 피롤 및 피롤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라텍스 접착제는 적합한 아주번트, 예컨대 가소제, 접착 부여제, 점도 개질제, 용매(예, 에멀젼 입자를 합체하는 것), 충진제, 습윤제, 살균제 및 소포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저 에너지 표면"이란, 저 극성 및 저 임계 표면 장력(약 40 dynes/㎠ 미만) 특징을 나타내는 이들의 표면을 의미한다. 저 에너지 표면의 예는 폴리올레핀 플라스틱, 유리, 및 크래프트지.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 재료들의 임의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라이너를 포함한다. 이 라이너는 불소화합물 또는 실리콘 등의 이형제로 코팅된다. 미국 특허 제4,472,480호에서는 저 표면 에너지 퍼플루오로케미칼 라이너를 개시한다. 라이너는 종이, 폴리올레핀막, 또는 실리콘 이형제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막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코팅된 이형지의 예로는 렉삼 릴리즈 코포레이션(Rexam Release Corp.)에서 공급되는 폴리슬릭[Polyslik(상표명)]인 실리콘 코팅된 이형지, 및 미국 일리노이주 딕슨에 소재하는 다우베르트 케미칼 컴패니(Daubert Chemical Co.)에서 제공되는 실리콘 코팅된 종이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저 에너지 표면은 구조화된 라이너, 즉 거칠함, 홈 또는 기타의 구조를 저 에너지 표면상에 도포된 접착제에 부여하도록 구조화된 라이너 즉, 편평하지 않은 라이너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들은 보호 저 에너지 표면 물질의 제거 후에 평탄한 표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공기가 새어 나오게 하는 접착제에 통로 또는 기타의 형상을 부여하는 구조화된 라이너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조화된 라이너 배열은 미국 특허 제5,897,9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복합체의 구체예는 라텍스 접착제에 의해 최종 기재에 부착되는 품목인 배킹을 함유한다. 적합한 배킹은 다중층 막 및 조합물을 비롯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종이, 판지, 호일,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카르보네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닐막, 직물 및 부직포 시이트, 직물 및 부직포, 종이 및 역반사 시이트로 이루어진 배킹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비율 및 퍼센트는 중량부이고, 모든 분자량은 평균 분자량이다.
필 테스트
접착 테스트는 ASTM 방법 D3330(1992) 및 Pressure Sensitive Tape Council 방법 PSTC-1(1989)의 변형된 방법이다. 인쇄된 알루미늄 테스트 판넬[(미국 인디아나주 인디아나폴리스에 소재하는 프루하우프(Fruehauf)]은 듀퐁 "프렙솔"("PrepSol")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라이너상에서의 감압성 접착제 및 막의 샘플은 2.54 cm 폭의 조각으로 절단시켰다. 이형 라이너를 제거하고, 조각들은 약 2.5 cm/s의 속도로 PA-1 Hand Applicator[미국 미네소타주 세이트 폴에 소재하는 미네소나 마이닝 앤 매뉴팩쳐링 컴패니 (3M)에서 시판됨] 또는 Vanquisher roll laminator[미국 위스콘신주 스토프톤에 소재하는 스토프톤 머신 앤 매뉴팩쳐링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Stoughton Machine and Manufacturing Co.,Inc)에서 시판됨]를 40 psi 게이지 압력 및 약 2.5 cm/s의 속도로 사용하여 판넬에 도포되었다. 2.54 cm 폭의 3M 스카치칼[Scotchcal(상표명)] 필름 시리즈 3650 접착제 막의 배킹 조각은 각 샘플 조각상에서 정합되어 적층된다. 배킹 막은 샘플막 및 감압성 접착제가 필 백 테스트 동안 과도하게 연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22℃ 수중에서 도포된 샘플을 7 일 동안 침지시킨후, 샘플을 수중에서 꺼내어서, 필 접착도는 Lloyd 500 인장 검사기[영국 페어럼 세겐월쓰에 소재하는 로이드 인스트루먼트사(Lloyd Instruments)]를 사용하여 30.5 cm/min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180° 필 백으로 측정하였다. 보고된 필 접착값은 3 개의 필 접착 측정값의 평균값이다.
표준 흠 평가
편평하지 않은 라이너 상에 코팅되는 접착제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라텍스 접착제를 미국 특허 제5,897,930호의 실시예 3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구조화된 표면에 약 75 ㎛의 고정 습윤 코팅 두께로 분배하는 독일 크리우블링에 소재하는 아시 도마엠/인코우트 게엠베하(Assi-Domaem/Inncoat GmBh)에서 시판되는 90 lb. 폴리에틸렌 코팅된 종이 라이너상에 코팅시킨다. 건조 코팅 두께는 접착제의 % 고체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접착제는 154.8 ㎠(4"×6" 샘플) 당 0.38+/-0.02 g의 건조 코팅 중량을 순서대로 부여하는 40% 고체에서 코팅된다. 접착제는 154.8 ㎠(4"×6" 샘플) 당 50개 미만의 흠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은 코팅 강화 알콜을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접착 제제에 비하여 상기 접착제가 흠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흠을 확인하기 위해 3M 패스트 본드[FASTBOND(상표명)] 49 접착제를 회색을 나타내는 0.1%의 CE-2N 흑색 안료(미국 뉴욕 호손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와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2.5 중량%의 n-옥탄올[미국 테네시주 킹스팟에 소재하는 이스트만 케미칼 컴패티(Eastman Chemical Co.)]을 혼합하고, 3-블레이드 프로펠러 타입 혼합 블레이드가 있는 기력 혼합기에서 교반시켰다. 혼합 속도는 공기의 혼입없이 약간의 소용돌이가 일어나도록 설정하였다. 접착제에 큰 내부응력이 일어나서 엉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n-옥탄올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점도는 30 RPM에서 #2 축이 장착된 브룩필드(Brookfield) LVT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는 450 cps로 기록되었다. 그 다음, 액체는 아주 적은 75 ㎛의 코팅 틈이 있는 나이프 바 코팅기를 사용하여 컴플리(상표명) 라이너 SCW1007[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3M 컴패니]상에 코팅시켰다. 샘플을 65℃에서 10 분 동안 건조시켰다. 분석용 저울에서 측정한 건조 코팅 중량은 154.8 ㎠ 당 0.50 g임을 알 수 있었다. 그다음, 코팅된 라이너를 다중층 투명 올레핀 막에 적층시킨다. 그 다음, 대표적인 4"×6" 샘플 구조로 절단하고, 흠의 수를 측정하였다. 이 샘플에 대한 수가 제로 흠(zero defect)이다.
비교 실시예 1
n-옥탄올을 제제에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측정된 점도는 430 cps이다. 흠의 수는 495이다.
실시예 2
72 g의 3M 패스트본드(상표명) 49 접착제를 27 g의 탈이온수, 0.15 g의 CE-2 블랙, 1 g의 28% 암모니아수, 0.5 g의 아크리솔(Acrysol) ASE-60[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소재하는 롬 앤 하스(Rohm & Haas) 코포레이숀] 및 2.5 g의 n-옥탄올과 함께 혼합시켰다. 절차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점도는 200 cps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코팅하였을 경우, 건조 코팅 중량은 154.8 ㎠ 당 0.37이다. 두개의 흠이 있다. 이 실시예의 목적은 습윤 코팅 두께가 동일하되 보다 낮은 건조 코팅 중량을 갖는 접착제를 코팅하는 것이다.
실시예 3~5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ASE-60의 양은 1.0, 1.5 및 2.0 g으로 각각 증가시켜 수행하였다. 모든 샘플은 0 흠을 갖는다. 표 1을 참고하라.
비교예 2~5
n-옥탄올을 제제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결과에 대해 표 1을 참고하라.
실시예 번호 n-옥탄올(%) ASE-60(gm) 점도(cps) 코팅 중량(gm)
2 2.5 0.5 200 0.37 2
3 2.5 1.0 295 0.37 0
4 2.5 1.5 490 0.37 0
5 2.5 2.0 780 0.37 0
비교예 2 0 0.5 165 0.37 약 3000
비교예 3 0 1.0 235 0.37 약 5000
비교예 4 0 1.5 400 0.37 435
비교예 5 0 2.0 660 0.36 19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n-옥탄올은 흠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점도 수준의 범위에서 향상된 코팅성을 제공한다. 대조적으로, n-옥탄올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 표준 샘플은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다수의 흠을 갖는다. 다음의 4개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점도만 높은 것은 코팅 성능을 보장하지 않는다.
실시예 6 및 7
이 실시예에서, 패스트본드(상표명) 49 접착제 및 미소 구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가변성 그래픽 접착제(Changeale Graphics Adhesive)는 2.5%의 n-옥탄올을 사용하여 개질되어 제조 공정중에 컴플리(상표명) 라이너상에서의 이 접착제의 코팅성을 향상시켰다. 기타의 변화는 제제중의 ASE-60의 양을 낮추어서 720 cps의 점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접착제는 T15765을 선택하였다. 라이너는 49"(1.24 m) 폭의 얇은 판상에 154.8 ㎠ 당 0.42 g의 두께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82℃~88℃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 공기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접착제는 50 μ의 주형 비닐에 결합시켰다. 임계 테스트는 제로 흠을 갖도록 하면서 얼마나 빨리 진행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두개의 라이너를 실험하였다: 첫번째인 SCW1007(라이너#1)는 실시예 1~5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두번째 라이너(라이너 #2)는 상이한 벤더(vendor)로부터 공급되므로 상이한 실리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라이너 둘다 컴플리(상표명) 및 컨트롤택(Controltac)의 특징을 갖는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에서 분당 30 m("mPm")는 재료가 소진되기 이전에 도달되는 최고 속력으로서, 이 때 흠이 관찰되지 않는 다는 것은 주목할만한 것이다. 후속되는 실험에 있어서 36.9 mPm은 흠없이 달성되었다.
비교예 6 및 7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성 그래픽 접착제는 n-옥탄올은 유하지 않았지만 다량의 ASE-60을 유하여 4000 cps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접착제는 T15764를 선택한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6에 있어서, 분당 최대 12.2 m("mPm")을 수개의 제조 실험에서 확인하였다.
실시예 번호 접착제 I.D 라이너 I.D n-옥탄올 점도(cps) 최대 코팅 속도(mPm)
실시예 6 T15765 라이너 #1 2.5% 함유 720 30.0
비교예 6 T15764 라이너 #1 함유하지 않음 4000 12.2
실시예 7 T15765 라이너 #2 2.5% 함유 720 21.3
비교예 7 T75764 라이너 #2 함유하지 않음 4000 9.14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도만 높은 것은 제조 상태에서 우수한 코팅 성능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실리콘 화학에서의 차이점은 코팅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n-옥탄올은 여전히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비교예 8 및 실시예 8~46
이 실시예는 표 3에 요약된다. 이 샘플들은 표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를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4 및 실시예 4와 동일하다.
실시예 첨가제 명칭 수준(중량%) 점도(cps) 코팅 중량(gm)
비교예 8 없음 0 640 0.38 526
실시예 8 n-에탄올 2.5 380 0.36 41
실시예 9 n-프로판올 2.5 420 0.37 0
실시예 10 n-부탄올 1.0 430 0.37 0
실시예 11 n-부탄올 2.5 450 0.36 0
실시예 12 n-헥산올 1.0 470 0.38 0
실시예 13 n-헥산올 2.5 540 0.38 0
실시예 14 n-옥탄올 1.0 510 0.38 0
실시예 15 n-옥탄올 2.5 590 0.38 0
실시예 16 n-데칸올 2.5 650 0.40 0
실시예 17 n-도데칸올 2.5 >1000 0.40 >1000*
실시예 18 이소프로판올 2.5 380 0.38 178
실시예 19 이소부탄올 1.0 440 0.37 15
실시예 20 이소부탄올 2.5 330 0.38 1
실시예 21 n-헥실아세테이트 2.5 970 0.36 75
실시예 22 n-옥탄산 1.0 2500 0.38 0
실시예 23 n-옥탄산 2.5 >1000 0.38 0
실시예 24 n-헵탄 2.5 >1000 0.38 1361
실시예 25 n-데칸 2.5 >1000 0.36 313
실시예 26 톨루엔 2.5 >1000 0.40 175
실시예 27 메틸 에틸 케톤 1.0 450 0.37 351
실시예 28 메틸 에틸 케톤(1) 2.5 410 0.38 6
실시예 29 트리에탄올 아민 2.5 480 0.37 408
실시예 30 에틸렌 글리콜 2.5 440 0.35 387
실시예 31 도와놀 EB(2) 1.0 420 0.37 0
실시예 32 도와놀 EB(2) 2.5 390 0.35 0
실시예 33 도와놀 TPM(2) 2.5 360 0.34 0
실시예 34 도와놀 DPM(2) 2.5 380 0.35 3
실시예 35 도와놀 PMA(2) 2.5 370 0.36 2
실시예 36 설피놀 336PSA(3) 1.0 550 0.39 0
실시예 37 설피놀 336PSA(3) 2.5 840 0.39 0
실시예 38 도우팩스 2A1(2,4) 2.5 260 0.38 0
실시예 39 트리톤 X151(5) 2.5 280 0.38 44
실시예 40 n-헥실 아민 2.5 엉김 NA NA
실시예 41 시클로펜탄올 2.5 570 0.36 57
실시예 42 시클로펜탄올 5.0 570 0.35 4
실시예 43 펜에틸 알콜 2.5 620 0.37 27
실시예 44 펜에틸 알콜 5.0 710 0.35 0
실시예 45 시클로헥실-1-프로판올 2.5 700 0.38 128
실시예 46 시클로헥실-1-프로판올 5.0 830 0.37 0
표 3에 대한 주석
*- 다수의 미세한 흠, 그러나 큰 것은 없고, 허용 가능하지 않은 외관
1 - 접착제 중 다수의 미세 엉김 입자
2 -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하는 다우 케미칼 컴패니(Dow Chemical Co.)
3 - 미국 펜실베니아주 알렌타운에 소재하는 에어 프러덕트 컴패티(Air Product Co.), 표면 활성화 제제
4 - 음이온 표면 활성화 제제
5 -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롬 앤 하스 컴패니, 비이온성 표면 활성화 제제
나머지 물질들은 알드리치 케미칼 컴패니 또는 제이. 티. 베이커 등의 다수의 화학 물질 판매업자로부터 구일할 수 있다.
비교예 9 및 실시예 47~59
실험이 다른 시간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8 및 실시예 8~46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첨가제 및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메탄올 및 1,4-부탄디올은 흠들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에탄올, 3-에틸 1-헥산올 및 운데실레닐 알콜(1 개의 불포화기를 갖는 C11)은 흠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하여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n-옥탄올은 0.5 중량%에서 보다 상당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중량%
비교예 9 없음 922
47 에탄올 5.0 71
48 n-옥탄올 0.5 22
49 n-옥탄올 5.0 0
50 n-옥탄올 10.0 0
51 n-옥탄올 15.0 0
52 n-옥탄올 20.0 0
53 메탄올 2.5 >2000
54 메탄올 5.0 1010
55 3-메틸 1-부탄올 2.5 0
56 3-에틸 1-부탄올 2.5 0
57 3-에틸 1-헥산올 2.5 5
58 운데실레닐 알콜 2.5 24
59 1,4-부탄디올 2.5 1200
비교예 10 및 실시예 60~65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 R 9168[미국 노스카롤리나 케리에 소재하는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이 패스트본드(상표명) 49를 대체하고, 여분의 물 또는 ASE-60 증점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8 및 실시예 8~46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n-부탄올 및n-옥탄올 모두는 특히 5 중량% 수준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번호 유니온 카바이드 R9168 중량% 택(6 m)
비교예 10 없음 0.0 >5000 155
60 n-부탄올 2.5 92
61 n-부탄올 5.0 0 145
62 n-옥탄올 2.5 9
63 n-옥탄올 5.0 0 135
64 도와놀 EB 2.5 0 160
65 도와놀 EB 5.0 0 175
비교예 11 및 실시예 66~67
R 9168 대신에 디나테크(Dynatech) 1141[미국 웨스트 버지니아 그래프톤에 소재하는 디나-테크 어드헤시브즈 인코포레이션(Dyna-Tech Adhesives Inc.)], SBR 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0 및 실시예 54~57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n-부탄올의 첨가는 라텍스를 엉기게 하지만, n-옥탄올의 첨가는 임의의 문제들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표 6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n-옥탄올은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번호 디나테크 1141(SBR 라텍스) 중량%
비교예 11 없음 0.0 >1500
66 n-부탄올 2.5 엉김
67 n-옥탄올 2.5 0
비교예 12 및 실시예 68~69
R 9168 대신에 에어플렉스(Airflex) 420[미국 펜실베니아주 알렌타운에 소재하는 에어프러덕트 앤 케미칼 인코포레이션(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을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0 및 실시예 54~57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n-부탄올 및 n-옥탄올 모두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표 7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에어플렉스 420(EVA) 중량%
비교예 12 없음 0.0 200
68 n-부탄올 2.5 1
69 n-옥탄올 2.5 0
비교예 13 및 실시예 70~71
접착제가 아주 적은 24 평방 인치 당 0.38 g으로 비구조화된 폴리슬릭(상표명)(미국 아이오와주 아이오와시티에 소재하는 렉삼 릴리즈 코포레이션[(Rexam Release Corp.)] 라이너상에 코팅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8 및 실시예 8~46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우수한 코팅에 대한 테스트는 접착제가 30.5 cm의 코팅된 얇은판상에서 라이너의 모서리에서 안쪽으로 수축되는 길이를 보는 것이다. 모서리 수축값은 양 끝의 평균값이다. 표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5 중량%의 n-옥탄올은 모서리 수축을 0까지 감소시켰다.
실시예 번호 RD914 중량% 모서리 수축값
비교예 13 없음 2.22 cm
70 n-옥탄올 2.5 1.59 cm
71 n-옥탄올 5.0 0.00 cm
비교예 14 및 실시예 72~73
비교예 10에서와 같이 R 9168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3 및 실시예 63~64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n-옥탄올은 모서리 수축을 완전히 없애지 않았지만, 대조구 표준에 비해서는 상당히 감소시켰다. 비교예 14에 있어서, 결과는 얇은 판의 중심부 4 인치만이 접착제의 연속적인 막을 보유하고, 어느 한쪽면의 외부 4인치는 접착제가 엉김을 형성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번호 R9168 중량% 모서리 수축값
비교예 14 없음 0.0 10.16 cm
72 n-옥탄올 2.5 2.54 cm
73 n-옥탄올 5.0 0.95 cm
비교예 15 및 16과 실시예 74~88
가변성 그래픽 접착제("CGA")로 불리고, 패스트본드 49 및 3M 공동 미소 구체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수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8 및 실시예 8~46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CGA는 실험중에 첨가제의 효과를 보다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 저 점도로 제조하였다. 또한, 24 평방 인치 당 흠의 수는 표 10에 있다. 점도 및 코팅 중량 자료는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서 변화하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표 10에 추가열에서, 각종 접착제 성능 특성을 나타내었다. 라이너 이형도는 라이너에서 산물을 제거하는 것이 쉬운 정도의 측정값이다. 중요한 성능 특성은 라이너 이형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다음 열은 접착제의 초기 "그랩"을 측정한 프로브 택(Probe Tack)(ASTM D2979-71)을 나타내었다. 이 시험은 다량의 변화도록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지막 2 개의 열은 180° 필을 나타낸다. 접착제 코팅된 샘플을 표면에 도포된 3M 180-10 비닐 그래픽 막을 보유하는 프루하우프(Fruehauf) 페인트된 알루미나[통상의 트럭차체 물질] 또는 알루미늄 판넬에 적용하고, 후자는 그래픽에 적용된 경우와 중복되도록 모의 적용하였다. 적용 후에, 샘플은 7 일까지 수중에 침지 시켜 심각한 날씨 조건을 모의 적용하였다. 표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심한 부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접착제는 오직 설피놀 336이고, 이것은 표면 활성화 제제를 예시한다.
실시예 번호 첨가제 중량% 라이너 이형도 프루-하우프 180-10
254 cm g g 7d/H20 평균값 (lbs/in) 7d/H20 평균값 (lbs/in)
비교예 15 없음 0.0 >2000 15 130 1.4 3.0
74 n-에탄올 1.0 130 15 120 1.3 2.4
75 n-프로판올 1.0 99 16 110 1.2 2.9
76 n-부탄올 1.0 118 15 125 1.2 2.5
77 n-옥탄올 0.5 48 15 105 1.3 3.1
78 n-옥탄올 1.0 0 16 130 1.5 3.0
79 n-옥탄올 1.5 0 15 120 1.3 2.8
80 n-옥탄올 2.5 0 16 125 1.3 2.7
81 이소프로판올 1.0 6 15 110 1.4 3.0
82 이소부탄올 1.0 16 15 110 1.3 2.2
83 도와놀 EB 1.0 0 16 100 1.4 2.4
84 도와놀 EB 2.5 0 15 120 1.2 2.2
85 도와놀 DPM 1.0 355 14 105 1.2 2.3
86 도와놀 PMA 1.0 200 15 120 1.4 2.6
87 셀로솔브아세테이트 1.0 58 15 105 1.3 2.8
88 셀로솔브아세테이트* 2.5 192 16 95 1.2 2.3
비교예 16 설피놀 336 1.0 0 18 110 0.1 0.7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엉김이 관찰되기 시작하는 것
비교예 17 및 실시예 89~97
접착제 숙성이 7 일 대신에 단지 4 일로서 별도의 실험에서 제조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5 및 16과 실시예 74~88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와놀 물질은 대조구에 비하여 흠이 감소된 정도가 우수하다.
실시예 번호 첨가제 중량% 프루-하우프 180-10
(g) 4d/H20 평균값 (lbs/in) 4d/H20 평균값 (lbs/in)
비교예 17 없음 0 >2000 130 1.0 2.9
89 n-옥탄올 5.0 0 110 0.6 2.9
90 도와놀 EB 2.5 0 110 0.7 3.1
91 도와놀 EB 5.0 0 115 0.6 3.0
92 도와놀 EB 10.0 0 115 0.7 2.9
93 도와놀 DB 2.5 0 115 0.8 3.1
94 도와놀 DM 2.5 65 115 0.9 3.1
95 도와놀 DPnB 2.5 0 95 0.5 2.9
96 도와놀 PPH 2.5 3 120 0.8 3.2
97 도와놀 TPnB 2.5 0 100 0.6 2.8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은 편평하지 않은 라이너 상에 코팅된 2 개의 접착제의 나란히 있는 사진이다. 접착제/라이너 복합체 10은 비교예 1에 해당한다.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화된 라이너상의 위치인 흠 15는 분명하다. 접착제/라이너 복합체 20은 실시예 1에 해당한다. 이 복합체 20에서는 흠을 볼 수 없다.

Claims (24)

  1. 라텍스 접착제와, 코팅 강화량의 선형 또는 분지되고 필요한 경우 불포화된 알킬 모노 알콜[상기 알콜은 25℃에서 액체임]을 포함하는 코팅 가능한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알콜은 C3-C10선형 또는 분지된 모노 알콜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제.
  3. 제1항에 있어서, 알콜은 C6-C10선형 또는 분지된 모노 알콜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제.
  4. 제1항에 있어서, 알콜은 0.5~2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접착제.
  5. 제1항에 있어서, 알콜은 1~5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접착제.
  6.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릭, 네오프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7.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보유하는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에틸렌 공중합체, 불소화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롤레인 공중합체, 피롤 및 피롤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8.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배킹(backing)에 도포된 후에 감압성 접착제인 것인 접착제.
  9. 제1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배킹에 도포된 후에 열 활성화된 접착제인 것인 접착제.
  10. 코팅 강화량의 선형 또는 분지되고 필요한 경우 불포화된 모노 알콜[여기서 알콜은 25℃에서 액체임]을 상기 라텍스 접착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텍스 접착제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알콜은 C3-C10선형 또는 분지된 모노 알콜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알콜은 C6-C10선형 또는 분지된 모노 알콜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알콜은 0.5~2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알콜은 1~5 중량%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릭, 네오프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보유하는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에틸렌 공중합체, 불소화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롤레인 공중합체, 피롤 및 피롤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방법.
  17. a)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갖는 저 에너지 시이트 재료,
    b) 제1항의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저 에너지 시이트 재료의 제1 주표면상에 코팅된 라텍스 접착제,
    c) 제2 주표면이 상기 코팅된 라텍스 접착제에 접해있는, 제1 주표면 및 제2 주표면을 가진 배킹층을 포함하는 접착 복합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저 에너지 시이트 재료의 제1 주표면은 폴리올레핀, 플라스틱, 유리, 및 크라프트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의 재료중 임의의 복합체로 제조된 라이너[여기서, 라이너는 불소 화합물 및 실리콘에서 선택된 이형제로 코팅된 것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 복합체.
  19. 제17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릭, 네오프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 복합체.
  20. 제17항에 있어서, 라텍스 접착제는 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보유하는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에틸렌 공중합체, 불소화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롤레인 공중합체, 피롤 및 피롤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비닐 알콜)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 복합체.
  21. 제17항에 있어서, 배킹 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종이, 판지, 호일,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퍼플루오로폴리머, 폴리카르보네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의 조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인 접착 복합체.
  22. 제17항에 있어서, 배킹 층은 비닐막, 직물 및 부직물 시이트, 직물 및 부직포, 종이 및 역반사 시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접착 복합체.
  23. 제17항에 있어서, 저 에너지 시이트 물질은 구조화 라이너인 것인 접착 복합체.
  24. 접착제는 라텍스 접착제 및 코팅 강화량의 선형 또는 분지되고 필요한 경우 불포화된 모노 알콜을 포함하고, 상기 알콜은 25℃에서 액체이며, 상기 알콜은 필요한 경우 1 이상의 산소로 차단되고, 상기 알콜은 이 접착제가 표준 흠 평가에 있어서 코팅 강화 알콜을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접착 제제와 비교하여 흠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접착제가 코팅 강화 알콜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접착 제제의 180°박리값이 80% 이상인 것인, 구조화된 라이너상에 코팅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라이너 구조물.
KR1020027014344A 2000-04-26 2000-09-06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 KR20040029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866300A 2000-04-26 2000-04-26
US09/558,663 2000-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942A true KR20040029942A (ko) 2004-04-08

Family

ID=2423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344A KR20040029942A (ko) 2000-04-26 2000-09-06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278807B1 (ko)
JP (1) JP2003531270A (ko)
KR (1) KR20040029942A (ko)
CN (1) CN1264939C (ko)
AT (1) ATE469195T1 (ko)
AU (1) AU2000273519A1 (ko)
BR (1) BR0017223A (ko)
DE (1) DE60044467D1 (ko)
MX (1) MXPA02010519A (ko)
WO (1) WO2001081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3486A (zh) 2007-12-18 2010-12-01 3M创新有限公司 微球压敏粘合剂组合物
EP2686394B1 (en) * 2011-03-18 2018-11-21 Dow Silicones Corporation Silicone release coating compositions
ES2504969T3 (es) 2011-07-29 2014-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inta protectora perfilada para palas de rotores de generadores de turbina eólica
CN102780003B (zh) * 2012-08-13 2014-06-04 辽宁九夷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电极接触电阻的方法
JP2016155943A (ja) * 2015-02-25 2016-09-01 東ソー株式会社 クロロプレンラテックス及びその製造法
CN104999746B (zh) * 2015-06-02 2017-03-22 常熟市永利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作护具背衬的高强度纤维层压板
CN107254025A (zh) * 2017-06-29 2017-10-17 阜南县中信柳木工艺品有限公司 一种工艺品粘结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0938A (en) * 1966-06-15 1968-04-30 Bx Plastics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natural rubber and a styrene-methyl methacrylate-ethyl acrylate ter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69195T1 (de) 2010-06-15
AU2000273519A1 (en) 2001-11-07
EP1278807B1 (en) 2010-05-26
WO2001081491A1 (en) 2001-11-01
MXPA02010519A (es) 2003-05-14
CN1452649A (zh) 2003-10-29
EP1278807A1 (en) 2003-01-29
CN1264939C (zh) 2006-07-19
BR0017223A (pt) 2003-01-07
JP2003531270A (ja) 2003-10-21
DE60044467D1 (de)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4690A (en) Aqueous release coating composition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4716194A (en)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8632880B2 (en) 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thereof
EP2053110B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00053155A (ko) 미끄러짐 가능한 접착제를 갖는 물품
WO1996018703A1 (fr) Feuille adhesive autocollante
JP4825404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9942A (ko) 코팅 강화제를 보유하는 라텍스 접착제
JP2003335911A (ja) 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作られた接着テープ
US6706392B2 (en) Adhesive packaging tape
US6143118A (en) Method for applic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o porous carpet pad
JP6716222B2 (ja) ラッピング用フィルム及びラッピング加工品
US6156378A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0522788A1 (en) Print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rticle
JPS5814471B2 (ja) 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
JPH10237396A (ja) 粘着テープ
JP3486431B2 (ja) 粘着テープ基材用樹脂加工紙
JPH07145354A (ja) 粘着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45355A (ja) 粘着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09487B2 (ja) 粘着材の製造方法
JP5073546B6 (ja) 含浸塗工タイプ和紙テープ基材
JP5073546B2 (ja) 含浸塗工タイプ和紙テープ基材
JPH0860107A (ja) クラフト粘着テープ
JPH06264040A (ja) クラフト粘着テープ
JPH0622351U (ja) 防滑性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