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351A -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351A
KR20040029351A KR1020040018839A KR20040018839A KR20040029351A KR 20040029351 A KR20040029351 A KR 20040029351A KR 1020040018839 A KR1020040018839 A KR 1020040018839A KR 20040018839 A KR20040018839 A KR 20040018839A KR 20040029351 A KR20040029351 A KR 2004002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cake
acor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187B1 (ko
Inventor
이복순
Original Assignee
이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순 filed Critical 이복순
Priority to KR102004001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1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7/00Reaming tools
    • B23D77/06Reamin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277/00Reaming tools
    • B23D2277/08Adjustment mechanisms
    • B23D2277/088Adjustment mechanisms with an adjustment screw of speci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이뇨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도토리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증숙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ice cake composition comprising aco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이뇨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도토리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은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즐겨 만들어 먹던 전통음식의 하나이다.
최근 떡은 간단한 식사대용으로 서구의 빵의 소비의 일부를 대체할 정도로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우리의 전통음식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섭취하는 음식이나 음료 등의 선택에 있어서 건강을 먼저 생각하게 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사대용 및 건강식으로서의 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떡들은 맛과 영양의 면에서는 어느 정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건강지향적,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면에 대해서는 아직 개발의 여지가많이 남아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떡의 주원료인 쌀에서는 부족한 영양소들 및 특유의 약리작용들을 나타내는 기능성의 면에서 많은 보강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도토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자연적으로 풍부하게 산출되는 것으로서, 이를 채집하여 도토리묵, 도토리전 등으로 가공해서 먹거리로 삼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전통의 문헌인 동의보감(남산당 발행, 동의보감 1229페이지 참조, 발행일 1966년 8월1일)에 따르면 '도토리는 성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무독하다. 하리를 다스리고, 장위를 두텁게 하고, 수분대사가 좋지 않아 몸이 자주 붓는 사람이 먹어도 좋으며, 방광염이나 오줌소태 등 이뇨작용이 대단하다'고 기술하고 있어, 도토리의 기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3-25661호에는 '도토리와 자연식물체를 이용한 천연자연색소, 향, 맛을 골고루 내는 무지개빵, 과자, 아이스크림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도토리를 포함한 자연식물체를 가공하여 빵, 과자 및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특히 이뇨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도토리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은,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증숙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물에는 설탕이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는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균등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떡 조성물에는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팥소에는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균등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물 240㎖에 소금 2 내지 4㎖의 비율로 용해시켜 엷은 소금물을 준비하고, 이 엷은 소금물에 도토리를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5 내지 8일간 침지시켜 우려내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도토리분말준비단계; (2) 멥쌀 또는 찹쌀을 현미로 도정하고, 이를 물에 7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불렸다가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현미분말준비단계; (3)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보다 찰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펀칭공정(떡을 차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쳐대기를 하는 것) 또는 가압밀링공정(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들 사이로 통과시켜 가압시키는 것)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의 혼합단계 또는 상기 (4)의 증숙단계에서 설탕이나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설탕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를, 상기 가식재는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외피로 하고, 그 내부에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내포시켜 제형화하는 제형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팥소에는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은,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증숙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현미분말은 멥쌀 또는 찹쌀을 현미로 도정하고, 이를 물에 7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불렸다가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종래의 떡의 제조에서의 떡쌀의 준비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건강을 고려하여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타민 등 다량의 유효성분들이 많이 포함되도록 현미로 도정한 것을 떡쌀로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도토리분말은 특유의 떫은 맛을 제거하기 위하여 엷은 소금물에 5 내지 8일간 침지시켜 우려내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도토리분말은 그 자체로는 반죽이 되지 않으나, 상기한 현미분말과 함께 증숙하는 경우, 특유의 맛과 향을 가지며, 떡으로서의 쫄깃쫄깃한 맛을 줄 수 있다. 상기에서 엷은 소금물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물 240㎖에 소금 2 내지 4㎖를 용해시켜 제조된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소금물에의 침지는 도토리 특유의 떫은 맛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의 도토리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우리 전통의 문헌인 동의보감(남산당 발행, 동의보감 1229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도토리는 성품은 따뜻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무독하다. 하리를 다스리고, 장위를 두텁게 하고, 수분대사가 좋지 않아 몸이 자주 붓는 사람이 먹어도좋으며, 방광염이나 오줌소태 등 이뇨작용이 대단하다'고 기술하고 있어, 도토리의 기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소금은 수득되는 떡 조성물에 약간의 짠맛을 부여하여 싱겁지 않게 하여 먹기 좋게 한다.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떡 조성물은 종래의 떡의 제조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한 비율로 현미분말과 도토리분말 및 소금을 혼합한 혼합물을 증숙하여서 제조되며, 상기한 바의 현미분말과 도토리분말 및 소금의 혼합비율은 본 발명자들이 반복적으로 실험하여 맛과 향 등이 우수한 떡의 제조에 특히 적합한 비율을 선정한 것이다. 상기 범위의 혼합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첨부된 비교예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맛과 향 등에서 가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조성물은 증숙에 의해 제조된 후, 반복적인 펀칭(떡을 차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쳐대기를 하는 것) 및 가압밀링(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들 사이로 통과시켜 가압시키는 것) 등을 통해 떡을 더욱 차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는 설탕이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설탕은 가미 특히 단맛을 부여하여, 가식감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혼합물에는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식재들은 맛과 저작감 등을 향상시키며, 특히 일부 가식재들은 그 자체로서 기능성을 갖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떡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깨는 불포화지방산이 많고,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동의보감에서 거승(巨僧)이라고 불리울 만큼 대단한 힘이 있다고 했으며, 달리는 말도 따라가서 붙잡을 정도로 심장이 강해진다는 말도 있다. 참깨는 참깨과(Pedalidaceae) 식물로 호마(胡麻)라고도 불리운다. 한의학에서는 흑지마(黑芝麻 )라고 불리우며, 약재의 일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참깨는 콜레스테롤을 씻어내는 식물성 지방으로 다량 복용하여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추는 우리 전통의 문헌인 동의보감(남산당 발행, 동의보감 1229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성질은 평평하고, 맛은 달며, 무독하고, 오장을 보하고, 12경맥을 도우고, 진액을 보하며, 구궁을 통하고, 뜻을 강하게 하며, 맥락을 화하게 한다. 허를 보하고, 경의 부족을 보하고, 음혈을 완화하니 음혈이 완화하면 맥이나는 고로 십이경맥을 도운다'고 밝히고 있어 장기기능을 돕는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잣은 상복하면 감마리놀레인산의 역할로 비만증이 예방되고, 폐기를 도와 기관지염 치료와 기침을 멈추고, 피부를 윤택케 하며, 피를 깨끗하게 해주는 정혈작용을 가지며,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 때문에 혈압강화의 기능이 있고, 피부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는 B2를 다량 포함하며, 회춘의 비타민이라 하는 비타민 E를 포함하며, 오장을 윤택케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호두는 혈청 알부민을 증가시키고, 콜레스테롤의 체내합성 및 산화와 배설에 일정한 영향을 미쳐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신경안정제의 역할을 하며, 뇌세포 활성화, 청력강화 등의 기능이 있고, 양기를 돋우고, 신장기능을 강화해 비뇨기질환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떡 조성물은 이들을 적절히 포함하여 이들 천연식품의 유래의 기능성을 보강함으로써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의 먹거리로 훌륭한식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식재로서는 상기에서 열거한 것들 이외에도 견과류 기타 한약재 등 공지의 건곡물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식재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상기한 가식재로서 다른 것들을 대체하여 포함시킬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균등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는 가식감의 조절 및 수득되는 떡의 기능성 및 맛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균등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예를 들어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한 가식재의 조성 및 비율 등을 달리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떡 조성물에는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팥소 역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혼합비율은 역시 본 발명자들이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너무 달지 않고, 적절한 맛을 내도록 하기 위한 비율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상기한 팥소를 대신하여 이미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팥소(단팥)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거피팥이라 함은 자연적으로 채취되는 팥의 껍질을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팥소에는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이러한 팥소에의 가식재의 부가로 인하여 팥소 부분의 가식감 및 저작감을 향상시키고, 특히 기능성을 나타내는 가식재들의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균등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떡 조성물은 상기한 떡 조성물을 외피로 하고, 그 내부에 상기 팥소의 덩어리를 내포시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떡 조성물을 보기좋게 그리고 먹기 좋게 형상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제형은 공지의 떡 중의 경단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물 240㎖에 소금 2 내지 4㎖의 비율로 용해시켜 엷은 소금물을 준비하고, 이 엷은 소금물에 도토리를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5 내지 8일간 침지시켜 우려내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도토리분말준비단계; (2) 멥쌀 또는 찹쌀을 현미로 도정하고, 이를 물에 7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불렸다가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현미분말준비단계; (3)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도토리분말준비단계는 물 240㎖에 소금 2 내지 4㎖의 비율로 용해시켜 엷은 소금물을 준비하고, 이 엷은 소금물에 도토리를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5 내지 8일간 침지시켜 우려내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단계로서, 도토리는 그대로 분말화하여 섭취하는 경우, 특유의 떫은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의 맛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 떫은 맛을 제거하고, 도토리분말로 만들어 떡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현미분말과 혼합하여 증숙할 수 있도록 한다. 도토리를 분말화시키는 것에 의해 현미분말과 혼합이 고르게 잘 되고, 또한 증숙이 잘 되어 먹기 좋게 된다. 상기 (2)의 현미분말준비단계는 종래의 떡의 제조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떡쌀을 준비하는 것으로서, 멥쌀 또는 찹쌀을 현미로 도정하고, 이를 물에 7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불렸다가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현미를 분말화시켜 현미분말로 준비함으로써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더욱 적절한 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3)의 혼합단계는 상기에서 준비된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상기에서 준비된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단계로서, 도토리분말과 현미분말을 혼합하여 떡으로 쪄내기에 적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4)의 증숙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증숙, 즉 수증기를 가하여 쪄내는 것으로 수행되는 단계로서, 이 증숙에 의하여 현미분말은 익게 되어 먹기 좋게 된다. 이 증숙단계 역시 공지의 떡의 제조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보다 찰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펀칭공정(떡을 차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쳐대기를 하는 것) 또는 가압밀링공정(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들 사이로 통과시켜 가압시키는 것)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떡의 제조에서 떡메로 여러 번 펀칭하여 차지게 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3)의 혼합단계 또는 상기 (4)의 증숙단계에서 설탕이나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설탕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를, 상기 가식재는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식재의 첨가에 의해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한 가식재들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특히 저작감(씹는 맛) 등을 향상시키고, 가식재 자체가 갖는 고유한 기능성 등을 부여하여 이를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가식재들의 고유한 기능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외피로 하고, 그 내부에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내포시켜 제형화하는 제형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팥소를 내포시켜 제형화함으로써 종래의 경단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역시 가식감을 향상시키고, 먹기 좋은 떡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팥소에는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식재의 첨가에 의해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한 가식재들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특히 저작감(씹는 맛) 등을 향상시키고, 가식재 자체가 갖는 고유한 기능성 등을 부여하여 이를 섭취하는 소비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가식재들의 고유한 기능성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찹쌀현미를 깨끗이 씻어 물에 7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한 현미분말 19㎏, 소금 400g, 도토리를 5일간 소금물에 담가 떫은맛을 우려내고 분말 화시킨 도토리분말 9㎏을 혼합하여 스팀으로 찐 후,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8㎏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5㎏, 다진 호두 5㎏, 다진 대추 5㎏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흰 참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흰 참깨의 전체 사용량은 20㎏이었다.
실시예 2
찹쌀현미를 깨끗이 씻어 물에 8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한현미분말 20㎏, 소금 400g, 도토리를 5일간 소금물에 담가 떫은 맛을 우려내고, 분말화시킨 도토리분말 8㎏을 혼합하여 스팀으로 찐 후,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8㎏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4㎏, 다진 호두 4㎏, 다진 대추 4㎏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검은 참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검은 참깨의 전체 사용량은 20㎏이었다.
실시예 3
찹쌀현미를 깨끗이 씻어 물에 7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한 현미분말 20㎏, 소금 400g, 도토리를 5일간 소금물에 담가 떫은 맛을 우려내고, 분말화시킨 도토리분말 8㎏을 혼합하여 스팀으로 찐 후, 설탕 3㎏을 더 가하고,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30㎏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5㎏, 다진 호두 5㎏, 다진 대추 4㎏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카스테라 빵가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카스테라 빵가루의 전체 사용량은 18㎏이었다.
실시예 4
찹쌀현미를 깨끗이 씻어 물에 8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한 현미분말 20㎏, 소금 400g, 도토리를 5일간 소금물에 담가 떫은 맛을 우려내고, 분말화시킨 도토리분말 8㎏을 혼합하여 스팀으로 찐 후, 설탕 3㎏을 더 가하고,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8㎏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4㎏, 다진 호두 4㎏, 다진 대추 4㎏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다진 대추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다진 대추의 전체 사용량은 20㎏이었다.
실시예 5
찹쌀현미를 깨끗이 씻어 물에 6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한 현미분말 20㎏, 소금 400g, 도토리를 5일간 소금물을 교환하면서 소금물에 담가 떫은 맛을 우려내고, 분말화시킨 도토리분말 8㎏ 및 설탕 3㎏을 혼합하여 스팀으로 찐 후,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8㎏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4㎏, 다진 호두 4㎏, 다진 대추 4㎏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다진 대추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다진 대추의 전체 사용량은 20㎏이었다.
비교예 1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8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말화하고, 도토리는 떫은 맛을 엷은 소금물에 5일간 우려낸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찹쌀분말 11㎏, 도토리분말 18㎏, 소금 400g을 혼합하여 스팀찜기에 넣어 찐 후,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30㎏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6㎏, 다진 호두 6㎏를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다진 대추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다진 대추의 전체 사용량은 20㎏이었다.
비교예 2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10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말화하고, 도토리는 떫은 맛을 물에 7일간 우려낸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찹쌀분말 22㎏, 도토리분말 5㎏, 소금 500g을 혼합하여 스팀찜기에 넣어 찐 후, 설탕 4㎏을 가하고,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30㎏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500g, 설탕 7㎏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호두 6㎏, 다진 대추 7㎏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볶은 콩가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볶은 콩가루의 전체 사용량은 18㎏이었다.
비교예 3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8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말화하고, 도토리는 떫은 맛을 엷은 소금물에 5일간 우려낸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찹쌀분말 14㎏, 도토리분말 14㎏, 소금 400g을 혼합하여 스팀찜기에 넣어 찐 후, 설탕 3㎏을 가하고,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8㎏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8㎏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호두 5㎏, 다진 잣 5㎏, 다진 대추 5㎏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검은 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검은 깨의 전체 사용량은 17㎏이었다.
비교예 4
찹쌀을 깨끗이 씻어 물에 6시간 불린 후,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말화하고, 도토리는 떫은 맛을 엷은 소금물에 5일간 우려낸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찹쌀분말 8㎏, 도토리분말 20㎏, 소금 400g을 혼합하여 스팀찜기에 넣어 찐 후, 설탕 3㎏을 가하고, 펀칭하면서 혼합하여 떡으로 만들었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분리하여 펼쳐서 경단피로 성형하였다.
팥소는 불린 거피팥 29㎏을 스팀찜 공정을 거쳐 찐 후, 소금 600g, 설탕 10㎏을 혼합하여 펀칭 후, 잘게 다진 잣 5㎏, 다진 대추 7㎏을 팥소와 혼합한 후, 적당한 크기로 동그랗게 빚어 알심으로 만들고, 상기한 경단피로 상기 팥소의 알심을 감싸서 도토리찹쌀떡 경단으로 제조하고, 개개 경단의 표면에 흰 깨를 도포하였다. 이때 사용된 흰 깨의 전체 사용량은 17㎏이었다.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각 떡을 성인 남녀 5인에게 음용케 하여 관능검사(官能檢査)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人) 1 2 3 4 5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향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색상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고 ; ☆ : 좋음, ○ : 보통, △ : 나쁨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떡 조성물은 비교예들에 비해 맛과 향기 및 색상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먹기 좋으며, 특히 도토리의 이뇨작용 및 가식재들의 기능성 등을 부여하여 특히 건강에 좋은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이뇨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도토리의 분말을 찹쌀현미와 함께 증숙하여 먹기 좋게 떡으로 제형화한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증숙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설탕이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균등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떡 조성물이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팥소에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재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균등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8. (1) 물 240㎖에 소금 2 내지 4㎖의 비율로 용해시켜 엷은 소금물을 준비하고, 이 엷은 소금물에 도토리를 그대로 또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5 내지 8일간 침지시켜 우려내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도토리분말준비단계;
    (2) 멥쌀 또는 찹쌀을 현미로 도정하고, 이를 물에 7 내지 10시간 동안 담가 불렸다가 건져내어 물기를 뺀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현미분말준비단계;
    (3)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여기에 도토리분말 7 내지 10중량부, 소금 0.3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혼합물을 증숙하는 증숙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보다 찰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펀칭공정(떡을 차지게 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쳐대기를 하는 것) 또는 가압밀링공정(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는 롤러들 사이로 통과시켜 가압시키는 것)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의 혼합단계 또는 상기 (4)의 증숙단계에서 설탕이나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를 더 포함시키되, 상기 설탕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를, 상기 가식재는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4)의 증숙단계 이후에 수득되는 떡 조성물을 외피로 하고, 그 내부에 거피팥 28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0.5 내지 1.0중량부 및 설탕 6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증숙하여서 이루어지는 팥소를 더 내포시켜 제형화하는 제형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팥소에는 상기 팥소 36중량부를 기준으로 잣, 호두, 대추, 건포도, 해바라기씨, 깨, 빵가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식재가 상기 현미분말 20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15중량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0018839A 2004-03-19 2004-03-19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8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39A KR100585187B1 (ko) 2004-03-19 2004-03-19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839A KR100585187B1 (ko) 2004-03-19 2004-03-19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351A true KR20040029351A (ko) 2004-04-06
KR100585187B1 KR100585187B1 (ko) 2006-06-01

Family

ID=3733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39A KR100585187B1 (ko) 2004-03-19 2004-03-19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1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14B1 (ko) * 2006-09-19 2008-05-20 주식회사 도톨왐 식용 도토리분말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도토리분말 그리고 이 도토리 분말을 함유한 음식
KR100877505B1 (ko) * 2008-05-20 2009-01-07 윤숙자 변성전분을 이용하여 보존기간이 향상된 떡 제조방법
CN108991353A (zh) * 2018-06-26 2018-12-14 襄阳三珍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纯天然食用橡子干加工工艺
KR102213217B1 (ko) * 2019-12-03 2021-02-05 선명숙 도토리 분말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647A (ko) 2020-10-16 2022-04-25 양동욱 도토리 분말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KR102358959B1 (ko) * 2021-07-27 2022-02-08 최두현 앙금이 내재된 적층구조 시루떡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14B1 (ko) * 2006-09-19 2008-05-20 주식회사 도톨왐 식용 도토리분말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도토리분말 그리고 이 도토리 분말을 함유한 음식
KR100877505B1 (ko) * 2008-05-20 2009-01-07 윤숙자 변성전분을 이용하여 보존기간이 향상된 떡 제조방법
CN108991353A (zh) * 2018-06-26 2018-12-14 襄阳三珍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纯天然食用橡子干加工工艺
KR102213217B1 (ko) * 2019-12-03 2021-02-05 선명숙 도토리 분말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187B1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658B1 (ko) 연잎빵의 제조방법
KR100585187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0625A (ko) 찹쌀가루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과
KR102503979B1 (ko)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487B1 (ko) 오디 메밀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94670A (zh) 一种混合豆筋、即食豆筋食品及其制作方法
CN108813074A (zh) 一种玛仁糖制作新方法
KR100722971B1 (ko) 더덕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1469932B1 (ko)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6040B1 (ko) 기능성 식품을 갖는 곶감강정 제조 방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20090106956A (ko) 오미자 및 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수제한과의 제조방법
KR20050107549A (ko) 발효콩을 포함하는 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KR102406938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수제비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450B1 (ko) 타래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60696B1 (ko) 한방장각치킨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한방장각치킨 수제비
KR102579390B1 (ko) 율무떡 제조방법
KR102404281B1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573B1 (ko)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611B1 (ko) 팥 음료 제조방법
KR20120060437A (ko) 기능성 인절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9655A (ko) 묵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1564A (ko) 감귤유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감귤유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