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018A - 래싱 로드 - Google Patents

래싱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018A
KR20040029018A KR10-2004-7002703A KR20047002703A KR20040029018A KR 20040029018 A KR20040029018 A KR 20040029018A KR 20047002703 A KR20047002703 A KR 20047002703A KR 20040029018 A KR20040029018 A KR 2004002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hook member
rod
plate portion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032B1 (ko
Inventor
다카구치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걸어맞춤 구멍의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코너 금구에 대해 훅 부재를 걸어맞춤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래싱 로드로서, 로드(1)의 선단에 로드(1)의 길이 방향으로 긴 연결 링(2)을 설치하고, 그 연결 링(2)내에 훅 부재(11)에 설치된 연결판부(13)를 삽입하여 빠짐 방지한다. 훅 부재(11)에 컨테이너(B)의 코너 금구(C-2)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H1, H2)에 대해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헤드(12)를 설치하고, 그 걸어맞춤 헤드(12)의 걸어맞춤 판부(12a)의 전면 후단부에 돌출부(14)를 형성하고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걸어맞춤 구멍(H1, H2)에 대해 걸어맞춤 헤드(12)를 걸어맞추어지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래싱 로드{LASHING ROD}
일반적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선박 수송하는 경우, 이들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겹쳐 쌓은 후, 각 단의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하여 컨테이너의 고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할 때 래싱 로드가 사용된다. 래싱 로드는,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해 걸어맞춤 가능한 훅 부재를 갖고 있다. 그 래싱 로드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할 때에는, 훅 부재를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에 삽입하고 그 걸어맞춤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훅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한 후, 래싱 로드의 후단부에 턴 버클의 일단을 걸어맞추고, 턴 버클의 타단을 컨테이너 지지면에 설치된 걸어맞춤 금구에 걸어맞추고, 턴 버클을 세게 죄도록 하고 있다.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래싱 로드로서, 일본 실공평 4-3983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래싱 로드는, 로드의 선단에 설치된 연결 링내에 훅 부재에 설치된 연결판부를 삽입하고, 또한 빠짐 방지하고, 로드에훅 부재를 요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상기 래싱 로드에서는, 훅 부재가 요동 자유롭기 때문에, 그 훅 부재를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에 걸어맞추어서 턴 버클의 회전에 의해 로드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묶어 고정할 때에 로드가 인장방향을 향하여,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드가 변형하여 파손된다는 문제의 발생은 없어, 컨테이너를 극히 강고하게 묶어 고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다.
그런데, 근년, 선체의 갑판상에 겹쳐 쌓여지는 컨테이너의 겹쳐 쌓기 단수를 많게 하기 위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갑판(20)상에 선체의 현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래싱 브리지(21)를 선체의 길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그 래싱 브리지(21) 사이에서 컨테이너(B)를 다단으로 겹쳐 쌓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를 고정할 때에, 동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밑에서 2단째의 컨테이너(B-2)의 하부의 코너 금구(C-2), 또는 최하단의 컨테이너(B-1)의 상부의 코너 금구(C-1)를 래싱 로드(30)와 턴 버클(31)로 거의 수평으로 묶어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그 수평으로 묶어 고정된 컨테이너(B-1, B-2)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안정된 겹쳐 쌓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컨테이너(B)에 설치된 코너 금구(C-1, C-2)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의 코너 금구(C-1)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H1)의 폭 치수(W1)는 하부의 코너 금구(C-2)에 설치된 걸어맞춤 구멍(H2)의 폭 치수(W2)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공보에 기재된 래싱 로드의 훅 부재를 상부 코너 금구(C-1)의 걸어맞춤 구멍(H1)에 걸어맞추어서 수평으로 묶어 고정하려고 하면, 걸어맞춤 구멍(H1)에 대한 훅 부재의 걸어맞춤양이 작아, 묶어 고정할 때에 훅 부재에 빠지려고 하는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면, 걸어맞춤 구멍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어, 단일 래싱 로드로 걸어맞춤 구멍(H1, H2)의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코너 금구(C-1, C-2)에 대응할 수 없다.
여기에서, 래싱 브리지(21)사이에 얹혀지는 컨테이너(B)에는 길이 치수 및 높이 치수가 다른 수종의 것이 존재하고, 이들 컨테이너(B)가 래싱 브리지(21) 사이에 얹혀지면, 도 8(I), (II)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까지의 거리(L1, L2)가 다르고, 도 8(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B)와 래싱 브리지(21) 사이의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래싱 브리지(21)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22)의 측방으로부터 훅 부재를 하향으로 하여 래싱 로드(30)를 내리고, 코너 금구(C-1, C-2)의 걸어맞춤 구멍(H1, H2)에 훅 부재를 삽입하고 래싱 로드(30)를 젖혀지게 하는 조작에 의해 훅 부재를 걸어맞춤 구멍(H1, H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할 필요가 생긴다.
한편, 도 8(I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와 컨테이너(B)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 래싱 로드(30)의 후단부를 잡고, 래싱 로드(30)를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여 래싱 로드(30) 선단의 훅 부재를 코너 금구(C-1, C-2)의 걸어맞춤 구멍(H1, H2)에 삽입하고, 래싱 로드(30)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선단의 훅 부재를 걸어맞춤 구멍(H1, H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할 필요가 생긴다.
그런데, 컨테이너(B)를 묶어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래싱 로드는, 7kg 이상의 중량을 갖기 때문에, 코너 금구(C-1, C-2)의 걸어맞춤 구멍(H1, H2)에 대한 훅 부재의 위치 맞춤에 대단히 곤란성을 가지고 있는다.
특히, 도 8(I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로부터 컨테이너(B)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 훅 부재가 요동 자유로우면, 그 훅 부재의 선단이 컨테이너에 맞닿은 경우에 훅 부재가 요동하여 자세가 변하고, 그 자세의 변경에 의해 걸어맞춤 구멍에 훅 부재를 삽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훅 부재의 자세를 적정한 자세로 되돌려서 걸어맞춤 조작을 재시도 할 필요가 생겨, 훅 부재의 걸어맞춤에 대단히 손이 많이 간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훅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래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훅 부재의 L자형 걸어맞춤 헤드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래싱 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겹쳐 쌓여진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할 때 사용되는 래싱 로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래싱 로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래싱 로드의 걸어맞춤 헤드를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에 걸어맞추어지게 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코너 금구에 훅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에 훅 부재의 걸어맞춤 헤드를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 6은 겹쳐 쌓여진 컨테이너를 묶어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도 8(I), (II)는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묶어 고정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다.
상기의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서는, 가늘고 긴 연결 링을 선단에 가지고 있는 로드와, 그 로드의 연결 링에 연결되는 훅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훅 부재가, 컨테이너의 상부 및 하부의 코너 금구에 형성된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걸어맞춤 구멍의 각각에 대해 삽입가능한 걸어맞춤 판부를 전방측에 가지고 있는 L자형 걸어맞춤 헤드의 후단부에 연결판부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연결판부를 연결 링내에 삽입하여 빠짐방지 하고, 그 연결판부의 앞쪽에 원호형상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한 뒷쪽에 볼록한 원형상의 원호면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연결 링의 내주 선단부에 형성된 원호면을 접촉시키고, 그 접촉부를 중심으로 하여 훅 부재가 요동 가능하게 된 래싱 로드에 있어서, 상기 훅 부재에서의 걸어맞춤 판부의 전면 후단부에, 걸어맞춤 판부의 선단부가 폭 치수가 큰 쪽의 걸어맞춤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상태에서, 걸어맞춤 헤드가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요동했을 때 걸어맞춤 구멍의 내주에 걸어맞추어서 걸어맞춤 헤드를 빠짐 방지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판부의 전면에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걸어맞춤 헤드를 걸어맞춘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래싱 브리지상으로부터 헤드 부재를 아래로 하고, 걸어맞춤 판부의 전면 일부 및 돌출부를 컨테이너의 단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로드를 하강시키면, 코너 금구의 컨테이너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상측에돌출부가 맞닿고, 그 맞닿음 상태로부터 로드를 더 내리면, 상기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헤드 부재가 하향으로 회동하고, 걸어맞춤 판부의 선단부가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내에 침입하고,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헤드 부재를 간단하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관계되는 래싱 로드의 훅 부재에서의 연결판부의 원호면의 후단부에, 연결 링의 내주 후단부에 대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걸어맞춤 상태에서 걸어맞춤 헤드가 연결 링에 겹치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돌기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연결 링의 내주 후단부에 대한 흔들림 방지 돌기의 걸어맞춤에 의해 걸어맞춤 헤드가 연결 링에 겹치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래싱 브리지까지의 거리가 긴 컨테이너의 걸어맞춤 구멍에 대한 헤드 부재의 삽입시에, 걸어맞춤 판부의 선단이 컨테이너에 잘못하여 맞닿아졌다고 해도 훅 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일정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훅 부재를 적정한 자세로 되돌려서 삽입의 재시도를 행한다는 조작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훅 부재의 걸어맞춤 헤드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로드(A)는, 로드(1)와, 그 선단부에 설치된 훅 부재(11)로 이루어진다.
로드(1)는 연결 링(2)을 선단에 갖고, 후단부에는, 도면에서는 생략했지만 턴 버클의 일단부를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링(2)은 로드(1)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그 내주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원호면(3a, 3b)이 형성되어 있다.
훅 부재(11)는, 걸어맞춤 헤드(12)의 후단부에 연결판부(13)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다. 걸어맞춤 헤드(12)는 걸어맞춤 판부(12a)의 배면에 네크부(12b)를 설치한 L자형을 이루고, 상기 걸어맞춤 판부(12a)는 컨테이너(B)의 상하의 코너 금구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 및 도 3은 컨테이너(B)의 하부에 설치된 코너 금구(C-2)를 도시하고, 그 코너 금구(C-2)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H2)은 타원형상을 이루고 폭 치수가 컨테이너(B)의 상부에 설치된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의 폭 치수보다 작게 되고, 또, 높이는 상부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도 3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구멍은 상부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H1)을 도시하고, 그 걸어맞춤 구멍(H1)과 하부 코너 금구(C-2)의 걸어맞춤 구멍(H2)과의 사이에 △W의 폭 치수 차이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판부(12a)의 전면 후단부에는 돌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4)는, 폭 치수가 큰 걸어맞춤 구멍(H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상태에서 훅 부재(11)에 걸어맞춤 판부(12a)가 걸어맞춤 구멍(H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 걸어맞춤 구멍(H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서 걸어맞춤 판부(12a)를 빠짐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판부(13)는 연결 링(2)의 내측에 삽입되고, 그 연결 링(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부에 연결판부(13)를 빠짐 방지하는 핀(15)이 부착되어 있다.
연결판부(13)의 앞쪽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16)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16)에 연결 링(2)의 내측 선단부에 설치된 원호면(3a)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연결판부(13)의 뒷쪽에는 볼록한 원형상의 원호면(17)이 형성되고, 그 원호면(17)의 후단부에 흔들림 방지 돌기(18)가 설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 돌기(18)는 연결 링(2)의 내주 후단부의 원호면(3b)에 대한 걸어맞춤에 의해 걸어맞춤 헤드(12)가 연결 링(2)에 겹치는 방향으로 훅 부재(11)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래싱 로드(A)는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 사이에 복수의 컨테이너(B)를 겹쳐 쌓은 상태에서, 2단째의 컨테이너(B-2)의 하부 코너 금구(C-2)를 수평으로 묶어 고정하는 경우는, 그 하부 코너 금구(C-2)의 폭 치수가 작은 걸어맞춤 구멍(H2)에 걸어맞춤 헤드(12)를 삽입하고, 그 걸어맞춤 헤드(12)에서의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구멍(H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한 후, 로드(1)의 후단부에 턴 버클의 일단부를 걸어맞추고, 턴 버클의 타단부를 래싱 브리지상에 설치된 걸어맞춤 금구에 걸어맞추어지게 한 후, 그 턴 버클을 회전하여 로드(1)에 인장력을 부여한다.
도 8(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까지의 거리가 짧은 컨테이너(B-2)의 하부 코너 금구(C-2)의 걸어맞춤 구멍(H2)에 대한 걸어맞춤 판부(12a)의 삽입은, 동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부재(11)를 하향으로 한 상태로 하여 하강해서, 걸어맞춤 구멍(H2)에 걸어맞춤 판부(12a)를 위치 맞춤하지만, 그 경우에, 컨테이너(B-2)의 단면에 걸어맞춤 판부(12a)의 전면 일부 및 돌출부(14)의 선단을맞닿게 하여 훅 부재(11)를 하방향으로 접촉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가 코너 금구(C-2)의 상단(a)에 맞닿는다. 그 맞닿음 상태로부터 로드(1)를 더욱 내리면, 상기 맞닿음부를 중심으로 하여 훅 부재(11)가 하방향으로 요동하고,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가 걸어맞춤 구멍(H2)내에 침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구멍(H2)에 대해 걸어맞춤 판부(12a)를 간단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판부(12a)를 걸어맞춤 구멍(H2)내에 삽입한 후, 로드(1)를 젖히면,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가 걸어맞춤 구멍(H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져, 훅 부재(11)를 걸어맞춤 구멍(H2)에 간단히 걸어맞추어지게 할 수 있다.
도 8(I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21) 까지의 거리가 긴 컨테이너(B-2)의 하부 코너 금구(C-2)의 걸어맞춤 구멍(H2)에 대한 걸어맞춤 판부(12a)의 삽입은, 동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1)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고 선단의 훅 부재(11)의 걸어맞춤 헤드(12)를 걸어맞춤 구멍(H2)에 삽입한다. 이 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돌기(18)를 연결 링(2)의 내주 후단부의 원호면(3b)에 걸어맞추어 두면, 훅 부재(11)는 걸어맞춤 헤드(12)가 연결 링(2)측으로의 요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걸어맞춤 구멍(H2)에 대한 걸어맞춤 헤드(12)의 꽂아넣기시에,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가 코너 금구(C-2)의 측면에 잘못하여 맞닿아졌다고 해도 걸어맞춤 헤드(12)는 요동하지 않고, 걸어맞춤 헤드(12)는 일정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걸어맞춤 헤드(12)를 적정한 자세로 되돌려서 다시 꽂아넣기 조작을 행한다는 조작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걸어맞춤 구멍(H2)에 대해 걸어맞춤 헤드(12)를 간단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구멍(H2)에 걸어맞춤 헤드(12)를 삽입하면, 도 5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1)를 들어 올려서 걸어맞춤 판부(12a)의 전체가 걸어맞춤 구멍(H2)을 통과하는 상태로 한 후, 로드(1)를 수평방향으로 젖혀서 훅 부재(11)를 회전시키고, 걸어맞춤 구멍(H2)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 판부(12a)의 선단부를 걸어맞추어지게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컨테이너(B)의 상부 코너 금구(C-1)를 수평으로 묶어 고정하는 경우도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행해서 상부 코너 금구(C-1)를 수평으로 묶어 고정한다. 이 경우, 상부 코너 금구(C-1)의 걸어맞춤 구멍(H1)의 폭 치수는 하부 코너 금구(C-2)의 걸어맞춤 구멍(H2)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걸어맞춤 구멍(H1)에 대한 걸어맞춤 판부(12a)의 걸어맞춤량은 작고, 묶어 고정할 때에 훅 부재(11)에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부여되면, 걸어맞춤 판부(12a)가 걸어맞춤 해제되려고 한다. 이 때, 돌출부(14)가 걸어맞춤 구멍(H1)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어진 걸어맞춤 판부(12a)는 걸어맞춤 구멍(H1)으로부터빠져 나오는 것이 저지되어,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걸어맞춤 판부의 전면 후단부에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폭 치수가 큰 걸어맞춤 구멍에 훅 부재가 걸어맞추어진 경우라도 그 걸어맞춤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걸어맞춤 구멍의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코너 금구에 대해 훅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를 코너 금구의 돌출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한 상태에서 로드를 내리면, 헤드 부재가 그 걸어맞춤 위치를 중심으로 요동하여 걸어맞춤 판부가 걸어맞춤 구멍내에 침입하기 때문에,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훅 부재의 걸어맞춤 헤드를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어, 묶어 고정하는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판부의 원호면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 돌기를 연결 링의 내주 후단부에 걸어맞추어지게 함으로써, 걸어맞춤 헤드가 연결 링에 겹치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래싱 브리지로부터의 거리가 긴 컨테이너의 코너 금구의 걸어맞춤 구멍에 대해 걸어맞춤 헤드를 간단히 삽입할 수 있어, 묶어 고정하는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가늘고 긴 연결 링을 선단에 가지고 있는 로드와, 그 로드의 연결 링에 연결되는 훅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훅 부재가, 컨테이너의 상부 및 하부의 코너 금구에 형성된 폭 치수가 다른 2 종류의 걸어맞춤 구멍의 각각에 대해 삽입가능한 걸어맞춤 판부를 전방측에 가지고 있는 L자형 걸어맞춤 헤드의 후단부에 연결판부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연결판부를 연결 링내에 삽입하여 빠짐 방지하고, 그 연결판부의 앞쪽에 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또한 뒷쪽에 볼록한 원형상의 원호면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연결 링의 내주 선단부에 형성된 원호면을 접촉시키고, 그 접촉부를 중심으로 하여 훅 부재가 요동 가능하게 된 래싱 로드에 있어서, 상기 훅 부재에서의 걸어맞춤 판부의 전면 후단부에, 걸어맞춤 판부의 선단부가 폭 치수가 큰 쪽의 걸어맞춤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추는 상태에서, 걸어맞춤 헤드가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요동했을 때 걸어맞춤 구멍의 내주에 걸어맞추어서 걸어맞춤 헤드를 빠짐 방지하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로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 부재에서의 연결판부의 원호면의 후단부에, 연결 링의 내주 후단부에 대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걸어맞춤 상태에서 걸어맞춤 헤드가 연결 링에 겹치는 방향으로 훅 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싱 로드.
KR1020047002703A 2001-09-04 2002-09-04 래싱 로드 KR100917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7118 2001-09-04
JP2001267118A JP3643804B2 (ja) 2001-09-04 2001-09-04 ラッシングロッド
PCT/JP2002/009002 WO2003020580A1 (fr) 2001-09-04 2002-09-04 Tige d'amar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018A true KR20040029018A (ko) 2004-04-03
KR100917032B1 KR100917032B1 (ko) 2009-09-10

Family

ID=1909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703A KR100917032B1 (ko) 2001-09-04 2002-09-04 래싱 로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24277B1 (ko)
JP (1) JP3643804B2 (ko)
KR (1) KR100917032B1 (ko)
CN (1) CN1305742C (ko)
DE (1) DE60236298D1 (ko)
WO (1) WO20030205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8537A1 (en) * 2011-06-08 2012-12-13 Cargotec Finland Oy Coupling mea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3951A1 (de) * 2013-04-18 2014-10-23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 Co. Kg Laschplatte und Laschmittel zum Laschen von Containern an einem Fahrzeug, insbesondere Schiff, sowie Laschsystem hieraus
DE102015101731A1 (de) * 2015-02-06 2016-08-25 German Lashing Robert Böck GmbH Zurr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CN106005795A (zh) * 2016-06-17 2016-10-12 宁波杰纳尔绑扎科技有限公司 集装箱角件的连接部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4289A (en) 1980-10-24 1982-05-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Fastening device for container
JPS6258291A (ja) 1985-04-18 1987-03-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ライトコントロ−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58291U (ko) * 1985-08-20 1987-04-10
JPH0349117Y2 (ko) * 1986-05-12 1991-10-21
JP2664700B2 (ja) * 1988-02-04 1997-10-15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の連結具
CN2037354U (zh) * 1988-09-22 1989-05-10 江成鑫 散水泥集装箱
JPH0349117A (ja) * 1989-07-18 1991-03-01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WO1994013574A1 (en) * 1992-09-16 1994-06-23 Mi-Jack Products, Inc. Side latch interconnect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8537A1 (en) * 2011-06-08 2012-12-13 Cargotec Finland Oy Coupl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4277B1 (en) 2010-05-05
DE60236298D1 (de) 2010-06-17
KR100917032B1 (ko) 2009-09-10
WO2003020580A1 (fr) 2003-03-13
JP2003072673A (ja) 2003-03-12
JP3643804B2 (ja) 2005-04-27
CN1633378A (zh) 2005-06-29
CN1305742C (zh) 2007-03-21
EP1424277A1 (en) 2004-06-02
EP1424277A4 (en)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10063521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이송용 체결장치
JP6145908B2 (ja) 船舶上のコンテナ用のラッシング手段およびラッシングシステム
KR100917032B1 (ko) 래싱 로드
US4899680A (en) Boat moor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3276857B2 (ja) 配管用フロアバンド
WO2011125953A1 (ja) コンテナの連結用金具
JP7096399B2 (ja) 吊り下げデバイスおよびスキー吊り下げラック
EP3152459B1 (en) Line tensioner
JP3109069U (ja) 鋼材吊り具
KR20170140449A (ko) 선박용 토윙후크
KR200465807Y1 (ko) 컨테이너 선박의 셀가이드 설치용 지그
JP2000043782A (ja) アンカー
JPS59314Y2 (ja) 固縛用具
JP3117151U (ja) 返し付きu字フック
US5253909A (en) Combination of a chain and a chain hook
KR101578715B1 (ko)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JP2007196839A (ja) 船上コンテナ固縛方法
JPS6318610Y2 (ko)
JP3118933U (ja) ネクタイ用ハンガー
KR20240002827A (ko) 선박 프로펠러 샤프트 이송장치
JP3624742B2 (ja) 帆掛け支柱の支持装置並びに帆掛け支柱の支持方法
JPH06227579A (ja) Ic容器
JP2005155707A (ja) 固縛中継用フック
JP2021088887A (ja) シート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