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521A - 와이어 종단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종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521A
KR20040028521A KR1020030065775A KR20030065775A KR20040028521A KR 20040028521 A KR20040028521 A KR 20040028521A KR 1020030065775 A KR1020030065775 A KR 1020030065775A KR 20030065775 A KR20030065775 A KR 20030065775A KR 20040028521 A KR20040028521 A KR 2004002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tion
core wire
wire
anvil
cri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이마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4002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07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 H01R33/7614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nnected to individual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3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ferrule about conductor and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94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 Y10T29/49201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with overlapping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43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5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 Y10T29/53974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having means to permit support movement while work i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단부를 코어 와이어(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종단(終端)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크림퍼 및 앤빌;과
상기 앤빌의 부근에 제공되어 상기 앤빌과 정렬되며 위쪽으로 개방된 안내 그루브를 갖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앤빌상에 놓이는 종단부가 상기 크림퍼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상기 종단부의 코어 와이어 삽입 홀로 삽입되는 코어 와이어를 상기 종단부에서 종단시키고, 이때 상기 코어 와이어는 상기 코어 와이어 삽입 홀에 대해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의해 위치 설정되며, 상기 연장된 구조물은 그 팁 부분에 코어 와이어를 갖고, 상기 안내 그루브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종단 장치{Wire ter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종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단부를 코어 와이어(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종단(終端)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를 종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와이어 종단 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61(1986)-133590호가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종단 장치는 라운드 터미널(도 5, 도 6 참조)의 원통형 금속제 링내에서 리드 와이어를 가이딩하기 위한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안내 부재는 원추 형상이고, 두개의 수직으로 분할된 원추형 절반들을 포함한다.
다른 와이어 종단 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9(1997)-82449호가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종단 장치는 폐쇄된 배럴(barrel) 터미널(도 1 참조)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와이어의 코어 와이어부를 가이딩하기 위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적소(適所)가이드를 포함한다. 적소 가이드는 수평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61(1986)-133590호의 와이어 종단 장치에서 안내 부재는 환상(環狀)으로 닫혀지고, 위쪽으로 열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안내 부재의 환상부 속으로 삽입을 하는 동안 와이어를 겨누어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와이어 삽입 동작은 어렵다. 그 외에, 와이어가 원추형 안내 부재와 벤드(bend)에 인접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9(1997)-82449의 와이어 종단 장치에서 가이드는 위쪽으로 열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코어 와이어 삽입 동작은 어렵다. 그 외에, 코어 와이어부가 원추형 안내 부재와 벤드에 인접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상술된 두개의 종래 와이어 종단 장치에서, 와이어는 와이어 수송메카니즘이나 또는 클램프에 의해 그립(grip)되는 과정에서 종단부내에 삽입된다. 그러나, 와이어가 형광튜브와 같이 길게 연장된 구조물의 단부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경우에 위의 방법은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관점에서 계발되어 온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단부에 대하여 길게 연장된 구조물의 코어 와이어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종단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 종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단이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코어 와이어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손상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종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내 부재를 위한 구동 메카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는 와이어 종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더,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단 과정에서 크림퍼와 길게 연장된 구조물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종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종단 장치는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크림퍼 및 앤빌;과 상기 앤빌의 부근에 제공되어 상기 앤빌과 정렬되며 위쪽으로 개방된 안내 그루브를 갖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앤빌상에 놓이는 종단부가 상기 크림퍼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상기 종단부의 코어 와이어 삽입 홀로 삽입되는 코어 와이어를 상기 종단부에서 종단시키고, 이때 상기 코어 와이어는 상기 코어 와이어 삽입 홀에 대해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의해 위치 설정되며, 상기 연장된 구조물은 그 팁 부분에 코어 와이어를 갖고, 상기 안내 그루브에 수용된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크림퍼가 종단부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크림퍼의 하향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로부터 구동 후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크림퍼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편을 경유하여 상기 크림퍼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앤빌은 상기 팁과 접촉하므로써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을 위치 설정하고, 상기 종단 동안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그루브를 갖는 위치설정 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종단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와이어 종단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종단부의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와이어 종단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종단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와이어 종단 장치의 크림핑(압착)부의 확대 사시도.
도 4A는 종단부가 앤빌(anvil)상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크림퍼와 앤빌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종단부가 크림퍼에 의해 눌려지기 직전의 앤빌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단부의 크림핑 전의 상태를 도시한 크림핑부의 개략도.
도 6은 종단부가 크림핑된 상태에서의 크림핑부의 개략도.
도 7은 크림핑된 종단부와 형광 튜브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8A, 도 8B, 도 8C는 크림핑된 종단부들의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 12 : 실린더
14,20 : 가이드 베이스 16 : 종단부
18 : 캐리어 스트립 22 : 에어 실린더
24 : 클로우(claw) 26 : 아암
30 : 캐리어 브레이크 32 : 램 케이스
34 : 크림퍼 36 : 앤빌(anvil)
38 : 연결편 40 : 안내 부재
44 : 형광 튜브 50 : 코어 와이어
52 : 크림핑부 78 : 핸들
82 : 커버 84 : 박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종단 장치(이하 간단히 "장치"라 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장치(1)의 전체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는 한쌍의 판형 다리부(2)와; 상기 다리부(2)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판(4)과; 상기 베이스 판(4)상에 직립한 프레임(6)과; 상기 프레임(6)의 상부에 장착된 상단 판(8)을 구비한다.
베이스 판(4)으로부터 상단 판(8)까지 연장하는 박스(84)는 베이스 판(4)상에 설치된다. 프레임(6)상에는 수직으로 활주 가능한 램(10)이 설치된다. 이 램(10)은 상단 판(8)상에 설치되는 에어 실린더(12)에 의해 구동된다.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18)을 안내하는 레일, 즉 안내 베이스(14)는 사각형의 베이스 판(4)상에 설치된다. 복수개의 종단부(16)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캐리어 스트립(18)상에 유지되고, 이후 압착(crimping)된다. 안내 베이스(14)를 덮기 위한 커버(82)가 힌지부(85)에 의해 박스(84)상에 설치되어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판(4)에는 평면의 설치 판(5)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설치 판(5)에는 캐리어 스트립(18)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와 안내 베이스(14)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송부(20)는 안내 베이스(14)의 오른쪽(화살표 19로 표시된 방향)에 제공된다. 설치 판(5)에 의해 캐리어 브레이크(30)가 지지됨으로써, 캐리어브레이크는 설치 판(5)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캐리어 브레이크는 안내 베이스(14)쪽이 아닌 도면에서 표면쪽에 제공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안내 베이스(14), 이송부(20) 및 캐리어 브레이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내 베이스(14)는 캐리어 스트립(18)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넓은 평면형의 메인 본체(14a)와, 이 메인 본체(14a)상에 제공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연장 안내 판(14b, 14c)을 구비한다. 캐리어 스트립(18)을 통과시키기 위한,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스텝부(15)는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판(14b)의 하부면상에 제공된다. 캐리어 브레이크(30)를 수용하기 위한 절단부(17)가 길이방향의 중심 부분에서 안내 판(14b)에 형성된다.
이 절단부(17)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스텝부(15)와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 스트립(18)은 안내 판(14b)과 안내 판(14c)의 사이에서 안내되는 동안 화살표 19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아래쪽을 향하는 스텝부(15)와 연결되는 슬롯(21)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 판(14b)에 형성된다. 슬롯(21)은 안내 판(14b)의 아래쪽, 즉 도 1의 왼쪽 부근에 형성된다.
안내 베이스(14)에 인접한 설치 판(5)에 고정된 이송부(20)는 거의 박스 모양의 블록(23)으로 구성된다. 이 블록(23)내에 에어 실린더(22)가 제공된다. 에어 실린더(22)의 왕복 구동축(도시 안됨)상에는 핀(25)이 설치되고, 이 핀(25)은 구동축에 대해 수직이다. 핀(25)은 블록(2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안내 베이스(14)상에 제공된 아암(26)에 연결되어 있다.
핀(25)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도시 안됨)이 블록(23)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핀(25)은 캐리어 스트립(18)을 따라 에어 실린더(22)의 구동축과 함께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하향 클로우(downward facing claw)(24)는 슬롯(21)에 삽입함으로써 캐리어 스트립(18)의 파일롯 홀(pilot holes)(18a)과 맞물리게 되고, 아암(26)의 타단부에 제공된다. 캐리어 스트립(18)은 클로우(24)의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다음으로, 안내 베이스(14)의 부근에 있는 캐리어 브레이크(30)를 설명한다. 이 캐리어 브레이크(30)는 거의 C자형의 부재이며, 설치 판(5)상에 제공되는 판형 베이스부(30a)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판형 작동부(30c)와; 베이스부(30a)와 작동부(30c)를 연결하는 연결부(30b)를 구비한다. 안내 베이스(14)의 메인 본체(14a)와 베이스부(30a)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27)이 제공된다. 이 코일 스크링(27)은 캐리어 브레이크(30)를 설치 판(5)쪽으로 아래로 누른다.
캐리어 스트립(18)쪽으로 절단부(17)에 진입하는 리지부(41)는 작동부(30c)의 팁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 캐리어 스트립(18)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리지부(41)는 코일 스프링(27)의 힘으로 캐리어 스트립(18)을 위에서 탄성적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나, 캐리어 스트립(18)이 이송부(20)의 아암(26)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 이송하는 힘은 캐리어 스트립(18)과 캐리어 브레이크(30)간의 마찰 맞물림을 초과하기 때문에, 캐리어 스트립(18)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캐리어 브레이크(30)의 연결부(30b)상에는 핸들(78)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핸들(78)에 연결된 캠(도시 안됨)은 안내 베이스(14)와 캐리어 브레이크(30)의 사이에 위치한다. 캐리어 브레이크(30)는 핸들(78)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캐리어 스트립(18)에 대해 캐리어 브레이크(30)를 맞물리게 하거나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캐리어 스트립(18)이 제거되는 경우, 핸들(78)을 회전시켜, 캐리어 브레이크(30)를 캐리어 스트립(18)으로부터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캐리어 스트립(18)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램(10)의 이동을 설명한다. 프레임(6)상에 램 케이스(32)가 설치된다. 이 램(10)은 램 케이스(3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된다. 즉, 램(10)은 램 케이스(32)를 구성하는 판(32a, 32b, 32c, 32d)에 의해 안내된다. 종단부(16)를 압착하기 위한 크림퍼(34)가 램(10)의 하단부상에 설치된다. 종단부(16)가 위치하는 앤빌(36)은 베이스 판(4)상의 크림퍼(34)의 대응 위치에 설치된다.
종단부(16)는 크림핑부(52)에 의해 압착되며, 이 크림핑부(52)는 램(10), 크림퍼(34) 및 앤빌(36)을 구비한다. 종단부(16)가 압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압착(crimping)"은 종단부(16)를 압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램(10)의 활주 방향, 즉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연장 연결편(38)은 스크류(33)에 의해 램(10)에 설치된다. 이 연결편(38)의 팁상에는 스크류(35)에 의해 안내 부재(40)가 설치된다.
이 안내 부재(40)는 램(10)이 그 최상단 위치에 배치될 때 앤빌(36)상에 위치하는 종단부(16)와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형광 램프와 같은 길게 연장된 구조물의 비교적 탄성이 적은 단일의 코어 와이어, 즉 형광튜브의 듀멧 와이어(46)와 절연 와이어(48)의 코어 와이어(50)는 서로 수직인 방향에서 종단부(16)의 안으로 삽입된다. 종단부(16)는 크림퍼(34)에 의해 압착된다. 코어 와이어(50)는 단일 와이어도 되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있는 연선(twisted wire)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종단부(16)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단부(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Wire Connector"(2002년 9월 26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2-28074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종단부(16)의 일반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2A는 종단부(16)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2B는 종단부의 정면을 나타낸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부(16)는 단일의 금속판을 천공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그 상부에서 겹쳐지게 된다. 양 측벽(60)의 중심부는 안쪽으로 함몰되어, 서로 접해 있다.
양 측벽(60)에는 중심부에 폭 방향, 즉 도 2A의 수평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롯(62)(코어 와이어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다. 듀멧 와이어(46)는 슬롯(62)내에 위치하고, 코어 와이어(50)는 종단부(16)의 개방 단부(64)(코어 와이어 삽입 홀)내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종단부(16)는 화살표(65)(도 2B)로 표시된 방향으로 압착되어, 듀멧 와이어(46)와 코어 와이어(5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듀멧 와이어(46)는 종단부(16)의 상부 벽(69)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지고, 도 2A의 화살표 39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슬롯(62)의 에지에 밀접하게 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크림핑부(5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크림핑부(52)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앤빌(36)과 크림퍼(34)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단부(16)를 크림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크림핑부(52)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종단부(16)가 크림핑된 상태의 크림핑부(52)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압착된 종단부(16)와 형광 튜브(44)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압착된 종단부(16)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서, 종단부(16)는 사전 압착된 위치(pre-crimping position)에서 앤빌(36)상에 위치한다. 앤빌(36)의 경사면(37)은, 종단부(16)를 이송하는 동안, 종단부(16)와 앤빌(36)간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램(1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상단 위치에 있는 경우, 안내 부재(4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종단부(16)와 정렬된다. 이러한 정렬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위쪽으로 향하는, 즉 위쪽으로 개방된 V자형 그루브(66)(안내 그루브)는 안내 부재(40)에 형성된다. 안내 부재(40)는 두께가 V자형 그루브(66)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8mm 이고, 높이가 램(10)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가는 방향으로 6mm 이다. V자형 그루브의 가장 함몰된 중심부, 즉 선형부(66a)는 위에서 봤을 때 종단부의 슬롯(62)과 정렬된다.
한편, 듀멧 와이어(46)는 형광 튜브(44)의 팁 부분(77)으로부터 2mm만 돌출하고, 직경은 대략 1.5mm 이다. V자형 그루브(66)는, 형광 튜브(44)의 팁부분(77)이 V자형 그루브(66)에 위치할 때, 듀멧 와이어(46)가 종단부(16)에 있는 슬롯(6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각도와 크기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형광 튜브(44)가 V자형 그루브(66)를 따라 종단부(16)쪽으로 눌려지면, 듀멧 와이어(46)는 슬롯(62)의 안으로 용이하게 눌려질 수 있게 된다.
형광 튜브(44)가 V자형 그루브(66)내에 위치하게 되면, 팁 부분(77)은 V자형 그루브내에 위쪽에서부터만 놓여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치 동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코어 와이어(50)는 종단부(16)의 개방 단부(64)의 하부측, 즉 듀멧 와이어(46)의 아래에 삽입된다. 형광 튜브(44)의 팁 부분(77)이 V자형 그루브(66)에 위치하게 되면, 형광 튜브의 대향 단부는 안내 부재(40)와 유사한 개별의 고정된 설치 베이스(80)상에 놓이게 된다. 설치 베이스(80)에도 V자형 그루브(81)가 제공된다. 안내 부재(40)는 크림퍼(34)가 종단부(16)를 압착할 때,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아래로 이동한다. 안내 부재(40)는 크림퍼(34)가 종단부(16)와 접촉하기 전에 아래로 이동한다.
U자형 슬롯의 형태를 한 해제 그루브(escape groove)(72)가 있는 위치설정 판(positioning plate)(74)은 종단부(16)와 안내 부재(40)의 사이에 제공된다. 이 해제 그루브(72)는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압착 동안 듀멧 와이어(46)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깊이를 갖는다. 종단부(16)의 형태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해제 그루브(72)는 크림핑부(52)에 내장된 위치설정 판(74)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해제 그루브(72)는 도 3에 원형 부분으로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위치설정 판(74)은 형광 튜브(44)를 위한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을 한다. 즉, 형광 튜브(44)가 안내 부재(40)상에 위치할 때, 형광 튜브(44)의 팁(76)을 위치설정 판(74)에 접하게 함으로써, 듀멧 와이어(46)의 종단부(16)내로의 삽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광 튜브(44)가 크림퍼(34)의 이동 경로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크림퍼(34)와 형광 튜브(44) 사이의 간섭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필요 이상으로 또는 충분한 정도로 듀멧 와이어(46)의 삽입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크림퍼(34)에 의한 형광 튜브(44)의 손상도 방지된다.
다음으로, 크림퍼(34)와 앤빌(36)의 형태를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종단부(16)가 앤빌(36)상에 놓여 있지 않은 상태의 크림퍼(34)와 앤빌(36)을 나타낸다. 도 4B는 종단부(16)가, 크림퍼(34)에 의해 눌려지기 직전의, 앤빌(36)상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종단부(16)를 누르는 크림퍼(34)의 부분은 함몰부(70)로서 형성된다.
이 함몰부는 종단부(16)의 상부벽(68)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즉, 크림퍼(34)는 종단부(16)의 상부벽(68)의 판 두께에 대응하는 스텝부(34a)를 갖는다. 또한, 크림퍼(34)의 함몰부(70)에는 종단부(16)에 있는 상부벽(68)의 아크형 쇼울더(68a, 68b)(도 2B)를 수용하기 위한 아크형 표면(70a, 70b)이 형성된다. 앤빌(36)에는 종단부(16)가 놓이는 함몰부(86)가 형성된다.
이 함몰부(86)에는, 종단부(16)에 있는 하부벽(88)의 양 측면에서 아크형 부분(88a, 88b)을 수용하기 위한 아크형 표면(86a, 86b)이 형성된다. 이들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은, 압착 동안 종단부(16)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부벽(68)의 이동이 스텝부(34a)에 의해 방지되어, 종단부(16)의 형태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압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단부(16)가 늘어나는 스프레딩(spreading)이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대하여는 나중에 설명한다.
다음으로, 압착 동안, 안내 부재(40)와 종단부(16)의 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듀멧 와이어(46)는 종단부(16)의 안으로 삽입되고, 압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며, 형광 튜브(44)는 안내 부재(40)상에 놓이게 된다. 형광 튜브(44)의 팁(76)이 위치설정 판(74)에 접하고 있고, 위치설정 판이 크림퍼(34)의 이동 경로를 벗어나 있는 것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크림퍼(34)는 이 상태로부터 아래로 이동하여, 종단부(16)의 압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종단부(16)가 압착된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퍼(34)는 종단부(16)를 압착하도록 아래로 이동하고, 듀멧 와이어(46)도 약간, 거리 y만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듀멧 와이어(46)는 해제 그루브(72)내에서 거리 y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듀멧 와이어(46)는 위치설정 판(74)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편(38)을 통해 램(10)에 연결된 안내 부재(40)는 램(10)의 하향 움직임에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형광 튜브(44)가 압착 동안 듀멧 와이어(46)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안내 부재(40)의 간섭이 방지된다.
안내 부재(4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특징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안내 부재(40)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안내 부재(40)상에 놓이는 형광 튜브(44)의 부분은 듀멧 와이어(46)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에 의해 당겨지는 동안 동일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듀멧 와이어(46)에 인가되는 부하는 형광 튜브(44)로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형광 튜브(44)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압착된 종단부(16)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도 8A, 도 8B,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정확하게 압착된 종단부(16)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와 도 8C는 압착이 실패한 경우의 종단부를 나타낸다. 종단부(16)가 정확하게 압착되는 경우, 상부벽(68)은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종단부(16)는 도 8A의 우측이나 좌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수직 방향으로 압착된다.
그러나, 아크형 표면(70a, 70b)(도 4A)이 크림퍼(34)에 제공되지 않는다면,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벽(68)은 위치가 시프트되고, 종단부(16)의 폭 치수 x는 확장된다. 또한, 크림퍼(34)와 앤빌(36)의 함몰부(70, 86)가 정렬되지 않는다면, 종단부(16)의 형태는 압착 동안 변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안내 부재(4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안내 부재(40)를 구동시키는 독립적인 에어 실린더가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또, 안내 부재(40)는 스프링에 의해 아래에서 지지될 수 있고, 아래쪽으로움직이는 동안 램(10)에 의해 눌려질 때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안내 부재(40)는 램(10)의 하향 이동과 연결된 동작으로서 형광 튜브(44)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슬롯(62)에 삽입되는 코어 와이어는 듀멧 와이어(46)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비교적 플렉서블(flexible)한 코어 와이어도 가능하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크림퍼(34)는 앤빌(36)을 향하여 이동되었다. 그러나, 종단부(16)의 크림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앤빌(36)이 상기 크림퍼(34)를 향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종단 장치에 따르면 코어 와이어가 안내 부재의 안내 그루브내에서, 가령 형광 튜브와 같이 길게 연장된 구조물 위치에 단순히 상기 코어 와이어 삽입 홀에 대응하여 위치 설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어 와이어는 길게 연장된 구조물이 가이드 그루브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종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코어 와이어의 삽입 동작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림퍼가 종단부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안내 부재가 길게 연장된 구조물로부터 구동 후퇴하는 경우에, 종단이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코어 와이어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서,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의 메인 바디에 미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크림퍼에 연결되는 경우에, 안내 부재에 대한구동 메카니즘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앤빌이 팁과의 접촉에 의해 길게 연장된 구조물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판을 갖출 경우에, 상기 위치설정 판은 종단 동안 코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그루브를 갖고, 길게 연장된 구조물의 위치 설정은 상기 위치 설정 판에 의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상기 크림퍼와 길게 연장된 구조물 사이의 간섭이 사전에 방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크림퍼 및 앤빌;과
    상기 앤빌의 부근에 제공되어 상기 앤빌과 정렬되며 위쪽으로 개방된 안내 그루브를 갖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앤빌상에 놓이는 종단부가 상기 크림퍼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상기 종단부의 코어 와이어 삽입 홀로 삽입되는 코어 와이어를 상기 종단부에서 종단시키고, 이때 상기 코어 와이어는 상기 코어 와이어 삽입 홀에 대해 길게 연장된 구조물에 의해 위치 설정되며, 상기 연장된 구조물은 그 팁 부분에 코어 와이어를 갖고, 상기 안내 그루브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크림퍼가 종단부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크림퍼의 하향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로부터 구동 후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크림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팁과 접촉하므로써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을 위치 설정하고, 상기 종단 동안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그루브를 갖는 위치설정 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팁과 접촉하므로써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을 위치 설정하고, 상기 종단 동안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그루브를 갖는 위치설정 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팁과 접촉하므로써 상기 길게 연장된 구조물을 위치 설정하고, 상기 종단 동안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그루브를 갖는 위치설정 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종단 장치.
KR1020030065775A 2002-09-26 2003-09-23 와이어 종단 장치 KR20040028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1159 2002-09-26
JP2002281159 2002-09-26
JPJP-P-2003-00284664 2003-08-01
JP2003284664A JP3803926B2 (ja) 2002-09-26 2003-08-01 心線結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521A true KR20040028521A (ko) 2004-04-03

Family

ID=3203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775A KR20040028521A (ko) 2002-09-26 2003-09-23 와이어 종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8159B2 (ko)
JP (1) JP3803926B2 (ko)
KR (1) KR20040028521A (ko)
CN (1) CN1497799A (ko)
TW (1) TWI2680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2095A (zh) * 2017-06-02 2017-11-07 芜湖博康机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切线压接机压线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12B1 (ko) * 2005-08-29 2013-04-23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형광관의 설치 구조
US8519267B2 (en) * 2009-02-16 2013-08-27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Terminal having integral oxide breaker
US9385449B2 (en) 2009-02-16 2016-07-05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Terminal/connector having integral oxide breaker element
CN102082384B (zh) * 2010-09-15 2013-05-08 许晓华 一种鲨鱼齿端子自动送料结构
TWI608677B (zh) * 2012-08-15 2017-12-11 威查格工具廠有限公司 壓接機用的變換承接器
US9800008B2 (en) * 2014-06-20 2017-10-24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crimping machine having a wire clamp
US9985362B2 (en) 2015-10-22 2018-05-29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Arc resistant power terminal
CN105720445B (zh) * 2016-04-01 2018-03-09 德清县新城照明器材有限公司 一种散热条接线端子自动压紧装置
CN110265847B (zh) * 2019-06-13 2023-04-07 淮阴工学院 O型端子与线缆的压合回收装置
CN115967240B (zh) * 2023-03-17 2023-05-16 深圳市越洋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引出线端子自动压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8910A (en) * 1955-10-14 1959-10-20 Artos Engineering Co Wire cutting and terminal attaching machine
US3587158A (en) * 1969-09-22 1971-06-28 Clifford J Sullivan Wire guide for terminal attaching machines
US4040180A (en) * 1976-06-15 1977-08-09 Amp Incorporated Wire cone assembly
US4272879A (en) * 1979-02-05 1981-06-16 Jon Wigby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ors
JPS61133590A (ja) 1984-11-30 1986-06-20 クリエ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丸端子へのリ−ド線插入ガイド装置
US4667397A (en) * 1985-06-27 1987-05-26 Premium Allied Tool, Inc. Electrical lead wire and terminal splicing machine
US4654952A (en) * 1986-07-09 1987-04-07 Diamond Die & Mold Co. Wire locater for electrical terminal crimping apparatus
JPH04112490A (ja) 1990-08-31 1992-04-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カード式照明制御装置
US5176228A (en) * 1991-01-18 1993-01-05 Diamond Die & Mold Company Brake assembly for strip feeding drive
JP2595041Y2 (ja) * 1991-03-19 1999-05-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機における電線挟持爪の昇降装置
US5564613A (en) * 1994-05-18 1996-10-15 Diamond Die & Mold Company Resiliently urged terminal strip guide
JPH08105819A (ja) 1994-10-04 1996-04-23 Sumitomo Wiring Syst Ltd 内燃機関点火系試験装置の放電管取付け構造
JPH0982449A (ja) 1995-09-13 1997-03-28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処理機における位置決め装置
JP3247042B2 (ja) 1995-12-13 2002-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子圧着方法及び端子圧着装置
JP3247069B2 (ja) * 1997-03-18 2002-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栓付き電線の端子圧着装置
US5907901A (en) * 1997-04-29 1999-06-01 The Whitaker Corporation Wire lead-in funnel for a terminal applicator
JP3904206B2 (ja) * 2002-01-10 2007-04-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線接続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2095A (zh) * 2017-06-02 2017-11-07 芜湖博康机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切线压接机压线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8025B (en) 2006-12-01
US7168159B2 (en) 2007-01-30
CN1497799A (zh) 2004-05-19
US20040060339A1 (en) 2004-04-01
JP3803926B2 (ja) 2006-08-02
TW200421679A (en) 2004-10-16
JP2004139969A (ja)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0534B2 (ja)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装置
KR20040028521A (ko) 와이어 종단 장치
JP7011253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コネクタ
JPS5949675B2 (ja) 電気コネクタに筒形絶縁ハウジングを装着する装置
US4074424A (en) Crimping and wire lead insertion machine
JP3331174B2 (ja) 電線圧着装置
US4847992A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JP3247069B2 (ja) 防水栓付き電線の端子圧着装置
EP0124581B1 (en) Flat cable connector and terminator therefor
US20230378705A1 (en) Terminal crimping apparatus
EP0020784A1 (en) Lead wire form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arts
JP6329264B2 (ja) 端子圧着機用の供給機構
JP2007026968A (ja) 端子圧着装置
US6477771B2 (en) Terminal crimping method and terminal crimping apparatus
JP2001135447A (ja) 電線用圧着端子の取付装置
US4790062A (en) Apparatus for stripping an electrical conductor
JP3063540B2 (ja) アプリケータ
CN219717484U (zh) 线缆和插针的装配装置
JP3440776B2 (ja) 端子圧着ユニット
JPH11135225A (ja) 端子圧着機アプリケータの端子金具送り装置
JP3439833B2 (ja) コネクタ用圧接装置
JPH08315088A (ja) Icカードリーダ
WO1983001347A1 (en) Contact crimper and method of using
KR970001955B1 (ko) 케이블 연결처리장치용 케이블 가이드 블록
JP3665277B2 (ja) 端子圧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