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098A -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098A
KR20040027098A KR1020020058840A KR20020058840A KR20040027098A KR 20040027098 A KR20040027098 A KR 20040027098A KR 1020020058840 A KR1020020058840 A KR 1020020058840A KR 20020058840 A KR20020058840 A KR 20020058840A KR 20040027098 A KR20040027098 A KR 2004002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building
duct
void spac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겐이치
시로타슈지
고바야시야스유키
고지마마사키
요시다나오히로
사다마사도시오
오쿠니오사무
Original Assignee
니시마쯔 켄세쯔 가부시키가이샤
유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마쯔 켄세쯔 가부시키가이샤, 유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시마쯔 켄세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58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098A/ko
Publication of KR2004002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0HVAC for high buildings, e.g. thermal or pressure dif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보이드 공간을 가지는 다층의 건물에 있어서, 바람 등을 이용하여 환기를 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이드 공간(b)을 구비하는 다층의 건물에 있어서, 건물 외부로부터 각 집(e)으로 통하는 급기덕트(f)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집(e)으로부터 보이드 공간(f)으로 통하는 배기덕트(g)를 형성한다. 상기 급기덕트(f)에는, 기류량을 조정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댐퍼(1)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g)에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를 구비한다. 건물(a)에 바람(A)이 작용한 경우, 상기 보이드 공간(b) 내부에 발생하는 상승 기류(B)에 의해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되고, 또한, 상기 기류량이 조정되기 때문에, 건물(a)에 양호한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환기 시스템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을 구비하는 다층의 건물에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실내외의 환기를 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층주택 등에 많이 채용되는 평면플랜으로서, 건물 내부에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을 가지는 평면플랜이 알려져 있다. 이 평면플랜은, 일반적으로, 보이드 공간주위에 공용복도를 배치하고, 보이드 공간을 설치함으로써, 모든 각 집이 외주로 향하고, 프라이버시의 확보가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보이드 공간에 의해서 공용복도주변을 밝게 개방적인 공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평면플랜을 가지는 고층주택 등에서는, 건물에 바람이 작용한 경우, 건물 바로 위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건물 바로 위가 상기 보이드 공간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거나,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보이드 공간에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근래, 상기 상승 기류를 실내외의 환기에 이용하는 자연환기 시스템의 채용이 시도되고 있다.
일본 특개평 05-l4l728호 공보 기재의 환기 시스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보이드 공간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의 하나이다. 상기 공보 기재의 환기 시스템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102)을 가지는 건물(10l)의 옥상부에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후드(103)를 형성함으로써, 건물(10l)에 바람이 작용한 경우에 보이드 공간 상단부(102a)의 풍속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보이드 공간 상단부(102a)의 부압도를 높여 보이드 공간(102) 상하간의 압력차를 크게 하고, 보다 많은 상승 기류(104)를 발생시켜, 건물 외부(105)로부터 덕트(l06)를 통해서 보이드 공간(102)을 향하는 기류량을 증대시켜, 건물(101)의 환기량을 증대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자연환기 시스템에 의한 환기에서는, 덕트에 유입하는 기류량이 큰 경우에도 작은 경우에도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이에 따라, 환기량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자연환기 시스템에서는, 기류량이 작은 때에는 이 작은 기류량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동시에, 기류량이 과잉된 경우에는 이 기류량을 감소시키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실내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상기 공보 기재의 환기 시스템에서는, 바람이 작용한 경우에 보이드 공간(102) 상하에서의 압력차를 증대시켜, 덕트(106) 내의 기류량을 증대시켜 환기량을 증대시킨다고 하는 기재는 보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기류량을 조정한다고하는 기재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부에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을 가지는 다층의 건물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 공간에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실내외의 환기를 행함과 동시에, 덕트 내의 기류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환기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제1항 기재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b)을 가지는 다층의 건물(a)의 실내외의 환기를 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a)에는,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로부터 건물 내부(각 집(e))로 통하는 급기(給氣)덕트(f)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건물 내부(각 집(e))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으로 통하는 배기(排氣)덕트(g)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덕트(f)에는, 상기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 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댐퍼(damper)(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기덕트(g)에는, 상기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 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물 바로 위(고층주택 바로 위(al))를 통과하는 바람(A1)에 의해서 상기 건물 바로 위(고층주택 바로 위(al))가 상기 보이드 공간(b)에 비하여 부압으로되는 것, 및, 상기 건물(a)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보이드 공간(b) 내에 상승 기류(B)를 발생시키고, 상기 상승기류(B)에 의해 상기 보이드 공간(b)이 상기 건물 외부(a2)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보이드 공간(b)과 상기 건물 외부(a2)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급기덕트(f) 내에 상기 건물 외부(a2)측으로부터 상기 건물 내부(각 집(e))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g) 내에 상기 건물 내부(각 집(e))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는,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통하는 급기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건물에는, 건물 내부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으로 통하는 배기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건물에 바람이 작용하면, 건물 바로 위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건물 바로 위가 상기 보이드 공간에 비하여 부압으로 됨과 동시에, 상기 건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으로는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는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상기 보이드 공간이 건물 외부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고, 상기 보이드 공간과 상기 건물 외부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에 의해서 상기 급기덕트 내에는,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 내에는,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된다.
이때,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에 의해,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급기덕트 내로 유입되는 기류량이 조정된다. 또,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유출되는 기류량이 조정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어떤 한 방향으로부터 바람이 작용한 경우에도, 건물전체에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환기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여 실내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바람이 불어오는 쪽은 풍압을 받는 것에 의해,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는 보다 많이 유도되는 동시에, 이에 따라,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도 보다 많이 유도된다.
제2항 기재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항 기재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a)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1)로부터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로 통하는 하부 배기덕트(h)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배기덕트(h)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1)측으로부터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 향하는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기류 방지댐퍼(21)가 구비되어 있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가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 (b1)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1)와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배기덕트(h) 내에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l)측으로부터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건물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통하는 하부 배기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배기덕트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측으로부터 건물 외부측으로 향하는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기류방지댐퍼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건물에 바람이 작용하면,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가 상기 보이드 공간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고,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와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 내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부터 상기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된다. 이때, 상기 역기류 방지댐퍼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상기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측으로 유출되는 기류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상기 보이드 공간 내부의 부압도를 높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 발생하는 상승기류를 촉진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과 상기 건물 외부와의 압력차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덕트 내에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 내에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역기류 방지댐퍼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역기류방지의 기능을 가지는 댐퍼이면 된다.
제3항 기재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4∼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항 기재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는,
덕트(급기덕트(f))에 연접되어 상기 덕트(급기덕트(f))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2)와,
상기 덕트(급기덕트(f))의 축선방향으로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주날개(3)
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급기덕트(f)) 내로 유입하는 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3)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3)가 상기 덕트(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는, 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즉,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는,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날개는, 예를 들면, 덕트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한 덕트의 내공(內空)단면에 대응한 치수형상(구체적으로는, 덕트가 원통 형상의 경우에는, 덕트의 내경에 대응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형의 것 등)인 것을 들 수 있다. 주날개는, 주날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덕트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또한, 주날개 회전축과 덕트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상측의 덕트의 내부 공간을 폐쇄가능하며, 또한, 상기 평면보다 하측의 상기 내부 공간을 대략 폐쇄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제4항 기재의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0∼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l)는,
덕트(배기덕트(g))에 연접되어 상기 덕트(배기덕트(g))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12)과,
상기 덕트(배기덕트(g))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주날개(13)와,
상기 주날개 회전축(14)과 대략 일치하는 보조날개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보조날개(15)
를 구비하고,
순기류시에는, 상기 보조 날개(15)가 상기 덕트(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덕트(배기덕트(g) 내로 유입되는 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13)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13)가 상기 덕트(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역기류시에는, 상기 보조날개(15)와, 풍압을 받아 상기 덕트(배기덕트(9))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날개(13)와의 협동에 의해, 상기 덕트(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대략 제로로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순기류시에는, 보조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풍압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또, 역기류시에는, 상기 보조날개와, 풍압을 받아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날개의 협동에 의해,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대략 제로로 하여 역류를 방지한다.
즉,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덕트 내의 역기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기류량 조정댐퍼와 역기류 방지댐퍼가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주날개는, 제3항 기재의 기류량 조정댐퍼에 형성되는 주날개와 동등한 것으로 된다.
상기 보조날개는, 예를 들면, 덕트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한 덕트의 내공단면 중 보조날개 회전축보다 하측부분에 대응한 치수형상(구체적으로는, 덕트가 원통 형상의 경우에는, 덕트의 내경에 대응한 외경을 가지는 원판을 2분할한 형상의 것 등)인 것을 들 수 있다. 보조날개는, 보조날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덕트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또한, 상기 평면보다 하측의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층주택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층주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층주택의 각 집 단면의 모델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댐퍼의 일례를 나타내는, (a)는 사시도이고, (b)는 모델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댐퍼의, 소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댐퍼의, 중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댐퍼의, 대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댐퍼의, 강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댐퍼의, 도 4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a)는 사시도이며, (b)는 모델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역기류방지댐퍼의 일례를 나타내는, (a)는 사시도이며, (b)는 모델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소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중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대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강기류량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역기류시 초기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내는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의, 역기류시에 기류가 없는 상태의 날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댐퍼의, 도 10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a)는 사시도이며, (b)는 모델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댐퍼의, 도 10,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a)는 사시도이며, (b)는 모델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이 이용되는 건물의, 도 1 등에 나타내는 예와는 다른 일례의 평면플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의 환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델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a: 고층주택(건물)
a1: 고층주택 바로 위(건물 바로 위)
a2: 고층주택 외부(건물 외부)
b: 보이드 공간
bl: 보이드 공간 하부
c: 공용복도
d: 발코니
e: 각 집(건물 내부)
f: 급기덕트(덕트)
g: 배기덕트(덕트)
h: 하부 배기덕트
A: 바람
B: 상승 기류
1: 기류량 조정댐퍼
2, 12: 프레임부재
3, 13: 주날개
4, 14: 주날개 회전축
5: 보조날개
6: 보조날개 회전축
11: 기류량 조정댐퍼·역기류 방지댐퍼
21: 역기류 방지댐퍼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 1∼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a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이 채용되는 고층주택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층주택(a)(건물)에는,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이드 공간(b)의 주위에는 공용복도(c)가 배치되어 있다. 또, 고층주택(a)은, 그 외주부에 발코니(d)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공용복도(c)와 상기 발코니(d)와의 사이에 각 집(e)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집(e)에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층주택 외부(a2)(건물 외부)로부터 각 집(e)(건물 내부)으로 통하는 급기덕트(f)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집(e)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으로 통하는 배기덕트(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기덕트(f)의 고층주택 외부(a2)측에는,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각 집(e)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댐퍼(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기덕트(g)에는, 각 집(e)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ll)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층주택(a)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1)로부터 고층주택 외부(a2)로 통하는 하부 배기덕트(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배기덕트(h)의 고층주택 외부(a2)측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하부(b1)측으로부터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 향하는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기류 방지댐퍼(21)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층주택(a)에 바람(A)이 작용하면, 상기 고층주택 바로 위(al)(건물 바로 위)를 통과하는 바람(Al)에 의해서 상기 고층주택 바로 위(a2)가 상기 보이드 공간(b)에 비하여 부압으로 됨과 동시에, 상기 각 집(e)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으로는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상기 보이드 공간(b) 내에는 상승기류(B)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기류(B)가 발생하면, 상기 보이드 공간(b)이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고, 상기 보이드 공간(b)과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에 따라, 급기덕트(f) 내에는,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각 집(e)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g)에는, 각 집(e)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f) 내에나 상기 배기덕트(g) 내에서의 기류의 유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보조팬(i,j)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바람이 불어오는 쪽은 풍압을 받음에 의해, 상기 급기덕트(f) 내에나 상기 배기덕트(g) 내에서의 기류의 유도가 촉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기류량 조정댐퍼(1) 및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l)에 대하여 설명하다.
또, 역기류 방지댐퍼(2l)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역기류방지의 기능을 가지는 댐퍼이면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기류량 조정댐퍼(l)에 대해, 도 4∼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댐퍼(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덕트(f)에 연접되어 급기덕트(f)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프레임부재(2), 프레임부재(2)의 내경에 대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주날개(3)를 구비하고 있다.
주날개(3)는, 프레임부재(2)의 축심방향에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4)을 통하여 프레임부재(2)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날개 회전축(4)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가능하게 되다.
프레임부재(2)의 상부 내면에는 주날개 스토퍼(8)가 설치되고, 주날개(3)가 프레임부재(2)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주날개(3)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등의, 주날개(3)의 주날개 회전축(4)에 대하여 좌측부분을 상부 동작부(3a), 동일하게 우측부분을 하부 동작부(3b)라고 하면, 상부 동작부(3a)측이 하부 동작부(3b) 측보다도 약간 무겁게 되도록, 주날개 회전축(4)은 주날개(3)의 무게 중심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날개(3)가 바람의 저항을 대부분 받지 않는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의 상태에서는, 주날개(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주날개(3)가 대략 수평으로 되는 위치로 이 회전을 규제하도록, 프레임부재(2)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비스(vis) 등의 미소기류량시 스토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의 상태에서는 상부 동작부(3a)가 내려가도록, 주날개(3)의 상부 동작부(3a)는 하부 동작부(3b)보다도 약간 무겁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은, 주날개(3)에 대한 주날개 회전축(4)의 위치를 약간 주날개(3)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하여 설정하여도 되고, 또는 상부 동작부(3a)에, 도시하지 않은 추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기류량 조정댐퍼(1)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면의 우측으로부터의 바람을 순기류, 도면의 좌측으로부터의 바람을 역기류로 기재한다. 또, 소기류량, 중기류량, 대기류량, 기류량, 및 바람 등의 기재는, 순기류에 관한 것으로 한다.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
주날개(3)의 상부 동작부(3a)측이 하부 동작부(3b)측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급기덕트(f) 내부가 무풍상태로 있거나, 또는, 소기류량인 상태에서는, 주날개(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도 4(b),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동작부(3a)가 하부 동작부(3b)에 대하여 약간 상방으로 위치하여 경사지는 위치에서 이 회전을 규제하도록, 프레임부재(2)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비스 등의 미소풍량시 스토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소기류량시부터 중풍유량때로의 이행>
주날개(3)의 상부 동작부(3a)가 조금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2)의 내부에 있어 주날개(3)의 상부 공간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걸쳐서 좁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공간을 통과하는 바람의 유속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커지고, 상부 동작부(3a)에 하부 동작부(3b)에 작용하는 양력보다도 큰 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증가하여, 소기류량으로부터 중기류량으로 이행하고, 상기 양력이 주날개(3)를 회전시키는 임계 기류량에 도달하면 주날개(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기류량시부터 대기류량시로의 이행>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더 증가하여, 중기류량으로부터 대기류량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날개(3)는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대기류량시부터 강기류량시로의 이행>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더 증가하여, 대기류량으로부터 강기류량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되면, ① 더 주날개(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3)가 주날개 스토퍼(8)에 부딪힐 듯이 되어, 주날개(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현저하게 적어진다. 이렇게 하면, 상부 동작부(3a), 하부 동작부(3b)가 받는 양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이들 양력차이도 작아지고, ② 주날개(3)가 조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약간 증가한다. 이에 의해 ③ 다시 상부 동작부(3a)가 양력을 받아 주날개(3)가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적어진다. 이후, 서서히 감쇠하면서 이들 ①∼③의 동작이 반복되어 기류량이 안정된다(도 8참조).
또한,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의 변형예를 도 9(a), 도 9(b)에 나타낸다
또,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도 9(b)에서는, 상부 동작부(3b) 및 하부 동작부(3a)를 절곡시키는것에 의해, 제1 수풍부(受風部)(7a) 및 제2 수풍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강기류량시에 있어, 기류가 흐르면 과잉 환기량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에도, 상기 제l 수풍부(7a) 및 제2 수풍부(3a)가 풍압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주날개(3)를, 상기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풍량을 대략 제로로 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ll)에 대해, 도 10∼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g)에 연접되어 배기덕트(g)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프레임부재(l2), 프레임부재(12)의 내경에 대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주날개(13)와, 프레임부재(12)의 내경에 대응하여 반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보조날개(15)를 구비하고 있다.
주날개(l3)는, 프레임부재(12)의 축심방향에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14)을 통하여 프레임부재(12)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날개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부재(12)의 상부 내면에는 주날개 스토퍼(18)가 설치되고, 주날개(13)가 프레임부재(12)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주날개(13)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 등의, 주날개(13)의 주날개 회전축(14)에 대하여 좌측부분을 상부 동작부(13a), 동일하게 우측부분을 하부 동작부(13b)라고 하면, 상부 동작부(13a)측이 하부 동작부(13b)측보다도 약간 무겁게 되도록, 주날개 회전축(14)은주날개(13)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날개(13)가 바람의 저항을 대부분 받지 않는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의 상태에서는, 주날개(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주날개(13)가 대략 수평으로 되는 위치로 이 회전을 규제하도록, 프레임부재(12)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비스 등의 미소기류량시 스토퍼(2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날개(15)는, 주날개 회전축(14)과 대략 일치하는 보조날개 회전축(16)을 통하여 프레임부재(12)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날개 회전축(16)을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부재(12)의 하부 내면에는 보조날개 스토퍼(19)가 설치되고, 보조날개(15)가 프레임부재(12)의 내부 공간 중 보조날개 회전축(16)보다 하측부분을 폐쇄한 상태에서 보조날개(15)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날개(15)는 보조날개 스토퍼(19)보다도 좌측의 영역에서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보조날개(15)는, 어떤 일정치 이상의 풍압을 우측으로부터 받을 때까지는, 보조날개 회전축(16)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있다. 또, 좌측으로부터 풍압을 받더라도, 보조날개 스토퍼(19)에 의해 회전을 규제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의 상태에서는 상부 동작부(13a)가 내려가도록, 주날개(13)의 상부 동작부(13a)는 하부 동작부(13b)보다도 약간 무겁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은, 주날개(13)에 대한 주날개 회전축(14)의 위치를 약간 주날개(13)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설정하여도 되고, 또는 상부동작부(13a)에, 도시하지 않은 추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기류량 조정댐퍼(1)의 기재와 같이, 이하에서는 도면의 우측으로부터의 바람을 순기류, 도면의 좌측으로부터의 바람을 역기류로 기재한다. 또, 소기류량, 중기류량, 대기류량, 기류량, 및 바람 등의 기재는, 순기류에 관한 것으로 한다.
<무풍시 및 소기류량시>
주날개(13)의 상부 동작부(13a)측이 하부 동작부(13b)측보다도 무겁기 때문에, 급기덕트(f) 내부가 무풍상태이거나, 또는, 소기류량인 상태에서는, 미소기류량시 스토퍼(20)에 접촉할 때까지 주날개(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되고,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날개(13)가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보조날개(15)가 보조날개 스토퍼(16)로부터 멀어지는 임계기류량에 도달하지 않고, 보조날개(15)는 아래로 늘어진 상태대로 있다. 이에 따라, 바람은 주날개(13)의 상부공간을 빠져 나간다.
<소기류량시부터 중기류량시로의 이행>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증가하여, 소기류량으로부터 중기류량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되면, 보조날개(15)가 어떤 값 이상의 풍압을 우측으로부터 받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날개(15)가 보조날개 스토퍼(19)로부터 멀어지는 임계기류량에 도달하면, 보조날개 회전축(16)을 중심으로 보조날개(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보조날개(15)와 프레임부재(12)의 하부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에 따라, 바람은 주날개(13)의 상부 공간 및 보조날개(5)의 하부 공간을 빠져 나간다.
또, 주날개(13)에 형성된 수풍부(7)가 보조날개(5)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주날개(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기류량시로부터 대기유량시로의 이행>
주날개(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13)의 상부 동작부(13a)가 약간 위로 올라가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2)의 내부에 있어 주날개(13)의 상부 공간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에 걸쳐서 좁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공간을 통과하는 바람의 유속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로 커지고, 상부 동작부(13a)에 하부 동작부(13b)에 작용하는 양력보다도 큰 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양력이 주날개(13)를 회전시키는 임계기류량에 도달하면 주날개(1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더 증가하여, 중기류량으로부터 대기류량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되면, 주날개(13)는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대기류량시로부터 강기류량시로의 이행>
급기덕트(f) 내부를 흐르는 기류량이 더 증가하여, 대기류량으로부터 강기류량으로 이행하는 단계로 되면, ① 더 주날개(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13)가 주날개 토퍼(18)에 부딪힐 듯이 되고, 주날개(1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현저하게 적어진다. 이렇게 하면, 상부 동작부(13a), 하부 동작부(13b)가 받는 양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이들 양력차이도 작아지고, ②주날개(13)가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1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약간 증가한다. 이에 의해 ③ 다시 상부 동작부(13a)가 양력을 받아 주날개(3)가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13)의 상하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적어진다. 이후, 서서히 감쇠하면서 이들 ①∼③의 동작이 반복되어 기류량이 안정된다(도 14참조).
<역기류시>
역기류의 때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동작부(13a)의 하부 공간에 바람막힘이 생겨, 상부 동작부(13d)의 하면이 풍압을 받아 위로 올라가고, 최종적으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날개(13)가 주날개 스토퍼(18)에 접촉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주날개(13), 보조날개(15)에 의해 프레임부재(12)가 폐쇄된다. 따라서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이 대략 제로로 되어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의 변형예를 도 17(a), 도 17(b), 도 18(a), 도 18(b)에 나타낸다.
또,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a), 도 17(b)에서는, 보조날개(5)에 수풍부(7)가 지지부(7a)를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기류량시에 있더라도, 보조날개(5)를 회전시켜 기류를 흐르기 쉽게 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8(a), 도 18(b)에서는, 상부 동작부(3b) 및 하부 동작부(3a)를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주날개(3)에 제1 수풍부(7a) 및 제2 수풍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강기류량시에 있어, 기류가 흐르면 과잉 환기량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에도, 상기 제l 수풍부(7a) 및 제2 수풍부(3a)가 풍압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주날개(3)를, 상기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풍량을 대략 제로로 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① 고층주택(a)에 바람(A)이 작용하면, 고층주택 바로 위(a1)를 통과하는 바람(A1)에 의해서 상기 고층주택 바로 위(al)가 상기 보이드 공간(b)에 비하여 부압으로 됨과 동시에, 각 집(e)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으로는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상기 보이드 공간(b) 내에는 상승 기류(B)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상승 기류(B)가 발생하면, 상기 보이드 공간(b)이 고층주택 외부(a2)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고, 상기 보이드 공간(b)과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에 따라, 상기 급기덕트(f) 내에는,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각 집(e)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g) 내에는, 각 집(e)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된다.
이때,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에 의해,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급기덕트(f) 내로 유입되는 기류량이 조정된다. 또,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방지댐퍼(l1)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g)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유출되는기류량이 조정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고층주택(a)에, 어떤 한 방향으로부터 바람(A)이 작용한 경우에도, 고층주택(a) 전체에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환기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여 실내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② 고층주택(a)에 바람(A)이 작용하면,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고층주택 외부(a2)가 상기 보이드 공간(b)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고,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b2)와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고층주택 외부(a2)와의 사이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그리고, 상기 압력차에 따라, 상기 하부 배기덕트(h) 내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b1)측으로부터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유도된다. 이때, 상기 역기류 방지댐퍼(21)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h)로부터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 유출되는 기류의 역류가 방지된다.
즉, 상기 보이드 공간(b1) 내부의 부압도를 높여 상기 보이드 공간(bl) 내에 발생하는 상승 기류(B)를 촉진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b)과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와의 압력차이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덕트(f) 내에 상기 고층주택 외부(a2)측으로부터 상기 각 집(e)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g)내에, 상기 각 집(e)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b)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③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는, 풍압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5)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3)가 상기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즉,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1)는, 급기덕트(f)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조정댐퍼(11)는, 순기류시에는, 보조날개(15)가 상기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풍압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13)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13)가 상기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한다.
또,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조정댐퍼(11)는, 역기류시에는, 상기 보조날개(5)와, 풍압을 받아 상기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날개(13)과의 협동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대략 제로로 하여 역류를 방지한다.
즉,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1)는, 배기덕트(g)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배기덕트(g) 내의 역기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1l)는, 기류량 조정댐퍼와 역기류 방지댐퍼가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레임부재(2)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했지만, 타원통형이나 사각원통형의 것이라도 되고, 주날개(3), 보조날개(5)의 형상도, 프레임부재(2)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또, 주날개(3)의 형상을 원판형으로 했지만, 타원판형이라도 된다. 또한, 보조날개(5)도, 타원판을 2분할한 것 같은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플랜으로서 대략 口자형으로 되는 고층주택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건물 내부에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면 평면플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9(a)∼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 플랜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건물의 용도도 특히 주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오피스, 호텔, 상업시설, 병원 등, 여러 가지 용도가 고려된다.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 어떤 한 방향으로부터 바람이 작용한 경우에도, 건물 전체에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환기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여 실내환경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보이드 공간 내부의 부압도를 높여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 발생하는 상승 기류를 촉진하여 상기 보이드 공간과 상기 건물 외부와의 압력차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덕트 내에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통해서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는,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다 것이 가능하다.
제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덕트 내의 역기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기류량 조정댐퍼와 역기류 방지댐퍼가 일체로 되어 있고,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설치 공간이 작게 되고,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옥상까지 연통되는 보이드(void) 공간을 가지는 다층의 건물의 실내외의 환기를 행하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에는 건물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통하는 급기(給氣)덕트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건물 내부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으로 통하는 배기(排氣)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덕트에는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댐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기덕트에는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건물 바로 위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건물 바로 위가 상기 보이드 공간에 비하여 부압(負壓)으로 되는 것, 및 상기 건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으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보이드 공간 내에 상승 기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상승기류에 의해 상기 보이드 공간이 상기 건물 외부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보이드 공간과 상기 건물 외부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급기덕트 내에 상기 건물 외부측으로부터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배기덕트 내에 상기 건물 내부측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공간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로부터 건물 외부로 통하는 하부 배기덕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배기덕트에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측으로부터 건물 외부측으로 향하는 기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기류 방지댐퍼가 구비되어 있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가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에 비하여 부압으로 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와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배기덕트 내에 상기 보이드 공간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되는 건물 외부측으로 향하는 기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량 조정댐퍼는
    덕트에 연접되어 상기 덕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덕트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주날개
    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내로 유입하는 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량 조정·역기류 방지댐퍼는
    덕트에 연접되어 상기 덕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덕트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주날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주날개와,
    상기 주날개 회전축과 대략 일치하는 보조날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보조날개
    를 구비하고,
    순기류시에는 상기 보조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동시에, 상기 덕트 내로 유입되는 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상기 주날개가 풍압 및 양력을 받아 상기 주날개가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역기류시에는 상기 보조날개와 풍압을 받아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주날개의 협동에 의해, 상기 덕트 내를 통과하는 기류량을 대략 제로로 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020058840A 2002-09-27 2002-09-27 환기 시스템 KR20040027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840A KR20040027098A (ko) 2002-09-27 2002-09-27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840A KR20040027098A (ko) 2002-09-27 2002-09-27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098A true KR20040027098A (ko) 2004-04-01

Family

ID=3732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840A KR20040027098A (ko) 2002-09-27 2002-09-27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0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728A (ja) * 1991-11-22 1993-06-08 Fujita Corp 高層建物のボイド内換気方法
JP2000274797A (ja) * 1999-03-25 2000-10-06 Nishimatsu Constr Co Ltd ダンパー
JP2001208414A (ja) * 2000-01-27 2001-08-03 Building Research Inst Ministry Of Construction 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1728A (ja) * 1991-11-22 1993-06-08 Fujita Corp 高層建物のボイド内換気方法
JP2000274797A (ja) * 1999-03-25 2000-10-06 Nishimatsu Constr Co Ltd ダンパー
JP2001208414A (ja) * 2000-01-27 2001-08-03 Building Research Inst Ministry Of Construction ダンパ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08338A (ja) パイプ用ファン
KR20110002412A (ko) 환기 시스템
JP5271681B2 (ja) 換気設備
JP3502938B2 (ja) ダンパー
JP2005241018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20040027098A (ko) 환기 시스템
KR20040027099A (ko) 환기 시스템
JP3030324B1 (ja) ダンパ―
KR20060016067A (ko) 가변풍량방식용 디퓨져
JP2003083577A (ja) 換気システム
US20180087801A1 (en) Shutter structure
JP4722438B2 (ja) 給気装置
JP4328085B2 (ja) 換気構造
CN211009912U (zh) 一种风阀
JP2008082005A (ja) 換気塔
JP4687984B2 (ja) 空調設備の制御方法
JP4118643B2 (ja) 換気構造
KR101921916B1 (ko) 공기조화용 자동 정풍량 조절장치
CN207379025U (zh) 出风面板及具有出风面板的空调室内机
KR200402843Y1 (ko) 환풍장치
JP2003083575A (ja) 換気システム
JP4179854B2 (ja) 換気構造
KR200366570Y1 (ko) 가변풍량방식용 디퓨져
JP4328083B2 (ja) 換気構造
CA3189831A1 (en) Diffuser unit and method of diffusing an airf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