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12A -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12A
KR20110002412A KR1020100020123A KR20100020123A KR20110002412A KR 20110002412 A KR20110002412 A KR 20110002412A KR 1020100020123 A KR1020100020123 A KR 1020100020123A KR 20100020123 A KR20100020123 A KR 20100020123A KR 20110002412 A KR20110002412 A KR 2011000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building
central duct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544B1 (ko
Inventor
이우람
김기동
한성원
김경환
황동규
이충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0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0HVAC for high buildings, e.g. thermal or pressure differe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각 층 또는 세대에 공급하거나, 각 층 또는 세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 덕트에 환기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건물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풍량을 각 층 또는 세대에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되는 고층 건물은 창문을 많이 열지 못하도록 설계되는 대신,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한 환기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상기 환기 시스템은 크게 개별식 환기 시스템과 중앙식 환기 시스템으로 구별된다. 상세히, 상기 개별식 환기 시스템은 각 세대별로 환기 장치가 설치되어, 당해 세대 내에서 실외 공기를 직접 공급받고 실내 공기를 직접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식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환기 장치를 각 세대별로 설치하지 않고, 각 층 또는 건물의 지정된 장소에 환기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환기 장치와 연결된 중앙 덕트를 통해 실외 공기를 각 세대로 공급하고, 각 세대의 실내 공기를 중앙 덕트 및 상기 환기 장치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개별식 환기 시스템의 경우, 외부 환경에 따라 환기 성능이 저하된다. 상기 환기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한 풍량을 세대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풍속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표면에 의한 마찰의 영향이 줄어들어 점점 증가하므로, 고층 건물의 상부에는 하부보다 강풍이 분다. 즉, 상기 환기 장치에 실외 공기가 더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일정한 풍량을 공급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환기 장치 주변의 바람의 방향의 변화에 따라서도 환기 성능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환기 장치가 설치된 주변으로 바람이 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팬을 고속으로 돌려야하는 등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개별식 환기 시스템은 외기에 직접 노출되어 운전되기 때문에, 건물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중앙식 환기 시스템의 경우, 중앙에 제공되는 환기 장치가 각 층 또는 전체 건물의 환기 부하를 감당하여야 하므로, 기기 및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면적 및 부피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상기 환기 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는 것이므로 유로 저항에 따른 정압 손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건물의 상측에 위치된 세대에는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중앙 환기팬을 더 구동할 경우 하측에 위치된 세대에는 필요 이상의 풍량이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건물의 하측에 위치된 세대들에서 많은 풍량을 소모할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된 세대에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세대별로 균등한 풍량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층 건물의 각 층 또는 세대에 건물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는,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 덕트 및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 덕트가 연결되는 환기 장치; 상기 건물의 내부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층에 걸쳐서 연장되는 중앙 덕트; 및 상기 중앙 덕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중앙 덕트 내부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가 포함되고, 상기 급기 덕트 또는 상기 배기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중앙 덕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건물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각 층 또는 세대에 공급하거나, 각 층 또는 세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 덕트에 환기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건물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풍량을 각 층 또는 세대에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덕트의 압력 검출을 통해 중앙 환기팬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환기 시스템의 운전에 필요한 소비 전력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환기 장치와 중앙 덕트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중앙 덕트에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1)에 적용되는 환기 시스템이다. 각 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대(5)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층에 하나의 세대(5)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상기 각 세대(5)의 일측에는 실외 공기를 상기 세대(5)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 장치(2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환기 장치(20)에는 상기 세대(5) 내부로 실외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덕트(31)와, 상기 세대(5) 내부의 실내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20)로 안내하는 흡입 덕트(33)가 연결된다. 상기 토출 덕트(31)는 상기 세대(5)의 여러 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대(5) 내부에 노출되어 실외 공기를 상기 세대(5) 내부로 토출하는 외기 토출구(3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 덕트(33)도 상기 세대(5)의 여러 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대(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기 흡입구(333)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 장치(20)는, 상기 건물(1)의 복수 개의 층에 걸치도록 형성되는 중앙 덕트(10)에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중앙 덕트(10)는 상기 건물(1)의 중앙의 다수 개의 층에만 걸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건물(1)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 덕트(10)는 상기 건물(10)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연장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중앙 덕트(10)의 일측에는 상기 건물(1) 외부의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후술할 송풍부(15)가 연결된다. 상기 송풍부(15)를 통해 흡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중앙 덕트(10)를 통해 상기 건물(1)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덕트(10)와 상기 환기 장치(20)는 급기 덕트(1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급기 덕트(13)는 상기 중앙 덕트(10)로부터 분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 덕트(13)는 상기 중앙 덕트(10)를 통해 흐르는 실외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20)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20)에는 상기 세대(5) 내부로부터 흡입한 실내 공기를 상기 건물(1)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35)가 연결된다. 상기 배기 덕트(35)는 상기 건물(1)의 외벽(7)을 관통하여 실외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환기 장치(20) 및 덕트(13, 31, 33, 35) 구조는 각 세대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환기 장치와 중앙 덕트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 장치(20)에는 흡입구(231, 235) 및 토출구(233, 237)가 형성되는 케이스(21),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제공되는 전열 교환 소자(25), 및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 시키는 급기 송풍 유닛(미도시)과 배기 송풍 유닛(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기 덕트(13)는 상기 케이스(21)의 전면에 형성되는 급기 흡입구(231)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 덕트(31)는 상기 케이스(21)의 후면에 형성되는 급기 토출구(23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33)는 상기 케이스(21)의 후면에 형성되는 배기 흡입구(235)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 덕트(35)는 상기 케이스(21)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기 토출구(237)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31, 235) 및 토출구(233, 237)는 상기 환기 장치(20)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가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를 교차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 흡입구(231)의 맞은편에 상기 배기 흡입구(235)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 토출구(237)의 맞은편에 상기 급기 토출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 송풍 유닛은 상기 급기 토출구(233) 또는 상기 급기 흡입구(231)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실외 공기가 강제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배기 송풍 유닛은 상기 배기 토출구(237) 또는 상기 배기 흡입구(235)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강제적으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기 덕트(13) 및 상기 배기 덕트(35)에는 상기 건물(1)의 내벽에 상기 급기 덕트(13) 및 상기 배기 덕트(35)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3)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급기 덕트(13) 및 상기 배기 덕트(35)의 일부는 상기 건물(1)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 덕트(35)의 일측은 상기 외벽(7)을 통과하여 상기 건물(1)의 외부로 노출되고, 그 단부에는 실내 공기를 토출시키며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기캡(355)이 씌워진다.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주름판과 상기 주름판의 상하부에 부착되는 열 교환판이 서로 교번하여 다수 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판은 일 방향으로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의 상기 흡입구(231, 235) 방향 측면에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를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교차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 교환판을 통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실내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3은 도 1의 중앙 덕트에 공급되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덕트(10)의 일측에는 상기 건물(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15)가 연결된다. 즉, 상기 송풍부(15)는 흡기부로서 동작한다. 일 예로 상기 송풍부(15)는 상기 중앙 덕트(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바람의 변화가 적은 지표면에 가까운 지점에 상기 송풍부(15)가 설치되는 것이므로, 안정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송풍부(15)는 상기 건물(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실외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출된 부위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풍구(1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부(15)의 내부에는 흡입된 실외 공기를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51)과 상기 송풍팬(151)을 회전시키는 모터(152)가 제공된다. 상기 송풍팬(151) 및 상기 모터(152)는 상기 건물(1) 전체의 환기에 사용될 대용량의 공기를 흡입하기에 충분한 조건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덕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17)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17)는 임의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높이에 따른 설정 압력이 미리 셋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압력 센서(17)는 건물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17)는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상기 모터(152)를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더 많은 풍량이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더 적은 풍량이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송풍부(15)에서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중앙 덕트(10)로 송풍한다. 상기 송풍부(15)는 상대적으로 풍속이 낮고 바람의 변화가 적은 건물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외부 환경의 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공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송풍팬(151) 및 상기 모터(152)가 설계되므로, 종래의 개별식 환기 시스템에서 환기 장치가 직접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것보다 외기의 상태에 대해 덜 민감하다.
상기 중앙 덕트(10)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급기 덕트(13)를 통해 상기 환기 장치(20)로 공급된다. 상기 환기 장치(20)에 공급된 실외 공기는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와 열 교환하고 상기 토출 덕트(31)를 따라 상기 세대(5) 내부로 공급된다. 즉, 상기 환기 장치(20)에 공급되는 공기는 항상 상기 중앙 덕트(10)를 흐르고 있는 공기이므로, 외기 환경의 영향이 최소화되어 일정한 상태의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2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 장치(20)는 사용자가 설정한 풍량을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대(5)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세대(5)를 순환한 후 상기 흡입 덕트(33)를 따라 상기 환기 장치(2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전열 교환 소자(25)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와 열 교환한 후 상기 배기 덕트(35)를 따라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세대(5) 내부의 공기는 직접 상기 건물(1)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의 중앙식 환기 시스템에서 상기 건물(1) 내부에 실내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용 중앙 덕트가 제공되는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 덕트(10)에 제공되는 상기 압력 센서(17)는 상기 각 세대(5)에 일정한 풍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각 세대(5)에 일정한 풍량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압력 센서(17)가 제공되는 위치에서 필요한 설정 압력 값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상기 모터(152)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압력 센서(17)가 상기 중앙 덕트(10)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건물(1)의 고층부에 안정된 풍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 범위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감지된 값이 상기 압력 범위의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압력 센서(17)에서 감지된 값이 상기 압력 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모터(152)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실외 공기가 상기 중앙 덕트(10)를 통과하며 압력 손실이 발생되거나 하측에 위치한 세대에서 많은 풍량을 소모하더라도, 최상층까지 안정된 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압 변화와 같은 실외의 상황 변화뿐 아니라, 실내의 상황 변화도 실내로 일정한 풍량을 공급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연돌 효과, 건물의 기밀도 및 환기 장치에 연결되는 덕트의 길이 등이 정풍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부(15)에 의하여 상기 중앙 덕트 내부가 정풍량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실내 상황 변화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연돌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돌 효과는 건물 내외부 공기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건물 내부가 따뜻하고 건물 외부가 차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건물 내부가 건물 외부보다 공기 압력이 낮다. 따라서, 건물 외부의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밀도차에 의하여 수직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의하여 실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실내 공기가 환기 장치의 급기 유로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 공기 유입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면, 급기 송풍 유닛(26)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반면 배기 송풍 유닛(27)의 부하는 감소하게 된다. 여름철에는 상기와 반대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의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정풍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실내 상황 변화에 따른 정풍량 유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급기 송풍 유닛(26)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급기 송풍 유닛(26)의 팬모터로 공급되는 상전류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겨울철의 경우, 상기 연돌 효과에 의하여 급기 송풍 유닛의 부하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팬모터에 흐르는 상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팬모터에 흐르는 상전류가 증가한다는 것은 급기 송풍 유닛에 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환기 장치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팬모터로 흐르는 상전류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전류가 증가하였다고 판단되면, 팬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도록 팬모터의 인버터를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에 제공되는 메모리부에는 상전류 변화량에 따른 팬의 회전수 변화량 및 공급 전류 증가량에 대한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테이블을 기반으로, 감지되는 상전류 변화량에 따른 팬의 회전수 변화량 및 산출된 회전수 변화량에 대응하는 팬모터로의 공급 전류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회전수에 대응하는 회전수로 상기 급기 송풍 유닛의 팬이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산출된 회전수로 팬이 회전하도록 상기 팬 모터의 인버터를 제어하여, 팬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그러면, 실내 상황이 변하는 경우에도 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외 상황 변화와 실내 상황 변화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실내 상황 변화에 따른 팬모터로의 상전류 변화와, 실외 상황 변화에 따른 중앙 덕트 내부의 압력 변화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상황 변화에 따라 팬모터의 회전수가 정풍량 조건에 맞도록 설정되고, 상기 중앙 덕트 내부가 정풍량 조건에 맞도록 설정되어야, 건물의 높이에 관계없이 안정된 풍량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앙 덕트와 환기 장치의 연결 및 중앙 덕트의 기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환기 장치(40)에는, 상기 환기 장치(40)에 연결되며 실외 공기를 직접 흡입하는 급기 덕트(14), 및 상기 환기 장치(20)와 상기 중앙 덕트(10)를 연결하는 배기 덕트(36)가 포함된다.
즉, 상기 건물(1) 외부의 실외 공기는 상기 급기 덕트(14)를 통해 상기 환기 장치(4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세대(5)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한 후 상기 토출 덕트(31)를 따라 상기 세대(5) 내부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세대(5)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 덕트(33)를 따라 상기 환기 장치(40)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한 후 상기 배기 덕트(36)를 따라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송풍부(15)의 송풍팬(151)은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 역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부(15)는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중앙 덕트(10) 내부로 안내된 실내 공기가 상기 송풍부(15)를 통해 상기 건물(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급기 덕트(14)에 연결되는 중앙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36)에 연결되는 중앙 덕트가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세대(5)에 제공되는 환기 장치(20)에 대한 외부 환경의 영향이 최소화되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 덕트 및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 덕트가 연결되는 환기 장치;
    상기 건물의 내부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층에 걸쳐서 연장되는 중앙 덕트; 및
    상기 중앙 덕트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중앙 덕트 내부의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가 포함되고,
    상기 급기 덕트 또는 상기 배기 덕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중앙 덕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건물 외부로 연장되는 환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덕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 값에 따라 상기 중앙 덕트 내부의 풍량을 조절하는 환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중앙 덕트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환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중앙 덕트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환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 내부에 제공되어 흡입되는 실외 공기와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열 교환하도록 하는 전열 교환 소자와,
    상기 환기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건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토출 덕트및
    상기 환기 장치에 연결되고, 실내 공기를 상기 환기 장치로 안내하는 흡입 덕트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층에는 다수 개의 세대가 제공되고, 상기 환기 장치는 각 세대별로 제공되는 환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덕트는 상기 건물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환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덕트에는 상기 급기 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건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중앙 덕트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덕트에는 상기 배기 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중앙 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 내부에 제공되고,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급기 송풍 유닛과,
    상기 환기 장치 내부에 제공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내부의 압력 변화 및/또는 상기 건물 외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급기 송풍 유닛 및/또는 배기 송풍 유닛의 팬 회전수를 증감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대 내부 및/또는 상기 건물 외부에서의 압력 변화에 따른 상기 급기 송풍 유닛 또는 배기 송풍 유닛의 팬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팬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100020123A 2009-07-01 2010-03-05 환기 시스템 KR101153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9916 2009-07-01
KR1020090059916 2009-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12A true KR20110002412A (ko) 2011-01-07
KR101153544B1 KR101153544B1 (ko) 2012-06-11

Family

ID=4341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23A KR101153544B1 (ko) 2009-07-01 2010-03-05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94590A1 (ko)
EP (1) EP2449315B1 (ko)
KR (1) KR101153544B1 (ko)
CN (1) CN102472514B (ko)
WO (1) WO20110021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21B1 (ko) * 2019-08-08 2020-05-26 장창권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에어덕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8398B2 (en) 2012-03-20 2020-03-24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moke evacuation
CN103512142A (zh) * 2012-06-27 2014-01-15 刘华荣 联动空调的多功能高节能新风系统
JP2014074554A (ja) * 2012-10-05 2014-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システム、換気方法、換気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074789B2 (en) * 2013-03-04 2015-07-07 John P. Hanus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ventilation for a building
WO2014190383A1 (en) * 2013-05-28 2014-12-04 Fusion Hvac Pty Ltd Packaged heatpump with integrated smokespill
CN103472778B (zh) * 2013-08-31 2016-01-20 华蓝设计(集团)有限公司 高层建筑电气设备间智能控制管理系统
CN104534565A (zh) * 2014-12-31 2015-04-22 安徽宾肯电气有限公司 一种新风换气机系统
CN104776571B (zh) * 2015-03-31 2018-04-1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狭长型风管的增压排风方法
CN106855287A (zh) * 2017-02-28 2017-06-16 苏州昆仑绿建木结构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专用散热风道系统
CN111684210B (zh) 2017-10-30 2022-04-15 布鲁雅尔公司 用于通风进气口的空气处理装置
JP6687063B2 (ja) 2018-07-11 2020-04-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CN109140652A (zh) * 2018-08-19 2019-01-04 重庆市耕爵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物新型通风系统
CN108922724B (zh) * 2018-08-24 2023-10-0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基于陶瓷电阻的可调节高能量移能电阻系统
CN109163409A (zh) * 2018-09-05 2019-01-08 孔维连 用于楼宇的空气净化系统
WO2022091438A1 (ja) * 2020-10-30 2022-05-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気流形成システム、及び気流形成システ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48772C3 (de) * 1977-10-31 1980-11-13 Gregor 5411 Nauort Freisberg Sammelschachtanlage zur Be- und Entlüftung von mehrgeschossigen Gebäuden
FR2778228B1 (fr) * 1998-05-04 2000-10-06 Robert Ribo Procede et dispositif de climatisation et/ou de chauffage d'un local comprenant au moins une piece de service et au moins deux pieces principales
CN2385223Y (zh) * 1999-07-20 2000-06-28 顾林根 住宅排烟道装置
DE10139927A1 (de) * 2001-08-14 2003-02-27 Conit Lufttechnik Gmbh Gebäude mit einer Be- und Entlüftungsanlage und Verfahren zur Sanierung derartiger Wohngebäude
JP2004019966A (ja) * 2002-06-12 2004-01-22 Toshiba Kyaria Kk 換気装置
DE10240745A1 (de) * 2002-09-02 2004-03-18 Horch, Fabia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s Übergangs von Rauch- und/oder Brandgasen zwischen aneinander grenzenden Raumabschnitten in Gebäuden
CN1584416A (zh) * 2003-08-19 2005-02-23 北京亚都科技股份有限公司 中央空调系统的新风置换方法及其装置
KR200372149Y1 (ko) * 2004-10-07 2005-01-10 김송이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
KR100719858B1 (ko) * 2006-05-19 2007-05-18 대림산업 주식회사 연돌효과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CN100485147C (zh) * 2006-09-01 2009-05-06 蔡贤慈 集成通道幕墙装置的建筑方法及集成通道幕墙装置
US20080139105A1 (en) * 2006-12-06 2008-06-12 Mcquay International Duct static pressure control
KR100946719B1 (ko) * 2007-11-28 2010-03-12 영 춘 정 멀티프로그램이 가능한 가변속 무정류자 모터의 정풍량제어장치
CN201242243Y (zh) * 2008-06-30 2009-05-20 湖南大学 一种实现变风量空调系统送风静压优化控制方法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621B1 (ko) * 2019-08-08 2020-05-26 장창권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는 에어덕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9315A4 (en) 2014-05-14
US20120094590A1 (en) 2012-04-19
CN102472514B (zh) 2015-02-18
KR101153544B1 (ko) 2012-06-11
CN102472514A (zh) 2012-05-23
EP2449315A1 (en) 2012-05-09
EP2449315B1 (en) 2019-12-04
WO2011002142A1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544B1 (ko) 환기 시스템
JP6253459B2 (ja) 空調用換気装置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JP2014173826A (ja) 全熱交換型の換気装置
KR100748136B1 (ko) 공기조화장치
JP4014866B2 (ja) 建築物の換気装置
KR20070051220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08038497A (ja) 換気システム
KR200435724Y1 (ko) 복층건물의 국소 배기 입상덕트에 적용되는 배기효율 최적화 제어시스템
JP7103761B2 (ja) 空調システム
JP2008002713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4166349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39822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装置
JP2001221474A (ja) 3階建以上の戸建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JP6414781B2 (ja) 除湿吸排気ユニット、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及び除湿吸排気方法
JP7336630B2 (ja) 換気システム
JP4687984B2 (ja) 空調設備の制御方法
JP4431963B2 (ja) 戸建住宅用自然換気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28085B2 (ja) 換気構造
JP2005147565A (ja) 換気システム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JP2013036719A (ja) 空調システム
JP2007033006A (ja) 外気取入れ設備
JP4369801B2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