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785A -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785A
KR20040025785A KR1020020056384A KR20020056384A KR20040025785A KR 20040025785 A KR20040025785 A KR 20040025785A KR 1020020056384 A KR1020020056384 A KR 1020020056384A KR 20020056384 A KR20020056384 A KR 20020056384A KR 20040025785 A KR20040025785 A KR 2004002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air conditioning
car
condition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271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2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uncomfortable feeling, e.g. sudden temperature cha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공조제어를 통해 주정차시에도 실내의 온도 쾌적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은, 제어부(20)가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정차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주정차공조제어부(22)가 차량의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의 정도에 따라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하고, 상기 실내온도 보상치에 따라 실내온도를 재설정하여 차실내 온도를 저감시키는 주정차 공조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정차모드가 아닐 경우 제어부의 일반공조제어부(21)가 일반공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STEERING OPERATING CONDITION DURING PARKING OR STOPPING OF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정차 조작과정에서 운전자의 운동량 증가 등으로 인한 신체발열에 따라 상승되는 실내온도를 떨어뜨려 주정차시에도 차량 실내의 온도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의 조향조작 상태를 감지를 통해 차실내를 저온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정차 시킬 경우, 급격한 핸들조작이 수반되며 운전자에게는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육체적 운동량 및 심적 피로도의 증가에 의해 체온이 상승된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운전이 익숙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사방을 살피기 위해 착석한 상태에서 상체를 무리하게 움직이는 동작이나, 차량에서 수시로 내려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다시 차량에 탑승하는 동작이나, 핸들을 이러저리 움직이는 동작 등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 운전자에 비해 주정차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운전자에게 짧은 시간동안 비교적 많은 운동량을 요구하게 될 뿐 아니라, 주정차 시간이 길어질 경우 고도의 긴장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므로 운전자는 땀을 흘릴 정도로 체온이 급상승하게 된다.
이럴 경우, 운전자는 덥다고 느끼게 되면서 쉽게 피로해지며 이는 운전의 집중도 저하현상으로 나타나 심할 경우 차량의 접촉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안전운행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제어기술에 있어서는 공조장치의 성능향상에 대한 기술개발만이 주로 이루어졌을 뿐 운전자 및 승객의 운전환경에 따른 세심한 공조모드설정 및 감성적이고 편의적인 측면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아 상기와 같은 경우를 대비한 공조제어방법이 마련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주정차시에도 공조장치가 동일한 온도로 작동되어 운전자는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주정차시에도 실내의 온도 쾌적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온도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공조제어방법에 있어서 실내온도 보상치와 조향각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입력수단 11...기존입력수단
12...기어모드센서 13...차속센서
14...조향각 및 조향각속도센서 20...제어부
21...일반 공조제어부 22...주정차 공조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정차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주정차공조제어부가 차량의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의 정도에 따라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하고, 상기 실내온도 보상치에 따라 실내온도를 재설정함으로써 차실내 온도를 저감시키는 주정차 공조제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정차 모드가 아닐 경우 제어부의 일반공조제어부가 일반공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후진할 경우 또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임계속도보다 낮으면서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가 특정값보다 큰 경우를 주정차모드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공조제어장치로서, 자동온도조절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차실내/외나 공조장치 내의 소정의 장소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들과 일사량을 검출하는 센서 등의 각종센서들을 포함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전달받아 예컨대 송풍기 모터의 속도나 내/외기 전환도어의 작동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조장치의 공기모드를 제어하도록 적용되는 자동온도제어장치의 입력수단(10)은, 상술한 자동온도제어장치를 구성하는 기존입력수단(11)과, 차량의 주정차 및 후진여부를 감지하는 기어모드센서(12)와, 조향각센서 및 조향각속도센서(14)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3)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상술한 종래의 자동온도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에 해당하는 일반 공조제어부(21)와, 상기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실내온도를 재설정하여 실내공기를 저온제어하는 주정차 공조제어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온도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20)는,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운전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최적의 공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반 공조제어와 주정차 공조제어의 선별적 수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반 공조제어부(21)는 미리 설정된 차실내의 공조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에 따라 공기모드나 송풍량, 풍속 등을 제어한다. 예컨대 송풍모터의 동작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송풍팬의 회전속도가 조절되고, 내/외기 전환도어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에 대한 출력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공기모드가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로 전환되며,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코어로의 공기유동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에 대한 출력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조화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며,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각종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도어들을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에 대한 출력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공기 토출경로가 제어된다.
또한, 주정차 공조제어부(22)는, 주정차시 상기 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되는 예컨대, 기어모드센서(12)로부터 차량의 주정차 및 차량의 후진여부에 대한 정보와, 차속센서(13), 조향각센서 및 조향각속도센서(14)로부터 차량의 움직임 및 운전자의 차량조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차실내의 실내온도 대비 그 보상치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실내온도를 재설정하여 실내공기를 저온제어(즉, 주정차공조제어)하도록 각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피드백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일반 공조제어부(21) 및 주정차 공조제어부(22)의 피드백 제어에 의하여, 예컨대 냉방모드로 전환되거나, 내/외기 전환도어에 의한 송풍기 입구의 개도가 조절되거나, 송풍기 모터의 회전수 등이 제어되거나, 온도조절도어에 의한 공기유동량이 제어됨으로써 차실내의 환경이 운전자나 차량제작시 미리 설정된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 및 운전자의 차량조작 상태에 따라 운전자가 최적의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차실내에 실내온도가 자동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차 실내/외의 각 센서 및 스위치와 같은 입력수단(10)으로부터 제어부(20)로 각종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전달받은 각 신호들을 분석하여 차량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일반 공조제어를 할 것인지 주정차 공조제어를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는, 기어모드센서(12)와 차속센서(13)와 그리고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센서(14) 등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기어모드센서(12)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후진모드인지 판단(S101)한다. 만일, 현재 차량이 후진모드가 아니라면 차속센서(13)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차량속도가 임계속도보다 낮은지를 판단(S102)한다. 만일 현재 차량의 속도가 임계속도보다 낮다고 판단(S102)되면, 조향센서 및 조향각속도센서(14)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14)가 특정값보다 큰지를 판단(S103)한다. 만일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14)가 특정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운전자는 주정차를 하기 위하여 차속을 줄인 채 핸들을 급격하게 조작중인 것이므로 제어부(20)는 주정차 공조제어부(22)를 통해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14)의 정도에따라 가변적으로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S104)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각속도가 클수록 현 실내온도 대비 저온으로 그 보상치가 증대된다.
한편, 제어부(20)는 후진모드인지 판단(S101)하여 후진모드라고 판단되면, 현재 차량이 주정차중인 것으로 주정차모드임을 확인하는 중간확인 과정(S102, S103)를 거치지 않고 주정차 공조제어부(22)를 통해 실내온도 보상치 연산이 수행(S104)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정차 공조제어부(22)는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S104)한 후에 현재의 차량 내부온도에 상기 실내온도 보상치를 적용하여 실내온도를 재설정(S105)하고 차실내가 재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주정차 공조제어를 수행(S106)한다. 예컨대, 상기 주정차 공조제어부(22)가 각 액추에이터의 피드백제어를 통해 냉방모드로 전환하거나, 히터코어측의 유로를 막도록 온도조절도어를 선회시키는 동시에 송풍기의 회전속도 등을 증대시킴으로써 차실내를 저온제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정차 공조제어(S106)에 의해 차실내가 저온조절되면, 운전자는 주정차중 급격한 핸들조작으로 운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된 체온이 떨어지면서 쾌적하다고 느끼게 되며 특히, 초보자의 경우 운동량의 증가는 물론 주정차하는데 장시간 집중에 의해 상승된 체온이 떨어지면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차량을 주정차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속도가 임계속도보다 크거나,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가 특정값 보다 낮을 경우에는, 현재 차량은 주정차하기에 속도가 빠르거나, 주정차중 조작되는 핸들의 움직임에 비해 그 움직이는 조향각도나 조향각속도가 작으므로 상기제어부(20)는 현재 차량이 주정차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일반 공조제어부(21)를 통해 일반공조제어가 수행(S107)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주정차시 예상되는 운전자의 체온상승을 억제하도록 차량의 조향각 및 조향속도의 정도에 따라 차실내를 저온제어함으로써 주정차시에도 온도 쾌적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서 주정차중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됨으로써 유발되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

  1. 제어부(20)가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단계에서 주정차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주정차 공조제어부(22)가 차량의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의 정도에 따라 실내온도 보상치를 연산하고, 상기 실내온도 보상치에 따라 실내온도를 재설정함으로써 차실내 온도를 저감시키는 주정차 공조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주정차모드 여부 판단단계에서 주정차모드가 아닐 경우 제어부의 일반 공조제어부(21)가 일반공조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주정차모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차량이 후진할 경우 또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임계속도보다 낮으면서 조향각 및 조향각속도가 특정값보다 큰 경우를 주정차모드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KR1020020056384A 2002-09-17 2002-09-17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KR10086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84A KR100868271B1 (ko) 2002-09-17 2002-09-17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84A KR100868271B1 (ko) 2002-09-17 2002-09-17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85A true KR20040025785A (ko) 2004-03-26
KR100868271B1 KR100868271B1 (ko) 2008-11-11

Family

ID=3732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84A KR100868271B1 (ko) 2002-09-17 2002-09-17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8486A1 (zh) * 2018-09-05 2020-03-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驻车空调及其供电控制系统、运行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454B1 (ko) * 2014-02-07 2016-1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740A (ja) * 1991-09-13 1993-03-23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空調装置
JP2768177B2 (ja) * 1992-11-06 1998-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0185539A (ja) 1998-12-24 2000-07-0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オ―トエアコンの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8486A1 (zh) * 2018-09-05 2020-03-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驻车空调及其供电控制系统、运行控制方法
CN110877510A (zh) * 2018-09-05 2020-03-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驻车空调及其供电控制系统、运行控制方法
CN110877510B (zh) * 2018-09-05 2023-01-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驻车空调及其供电控制系统、运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271B1 (ko) 200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9273B2 (ja) 運転車両の防曇部を制御する車両用制御装置
JP4886786B2 (ja) オープンカー用冷暖房システム
KR100868271B1 (ko)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KR101194898B1 (ko) 자동차의 실내 조건 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87250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KR10143000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2000185539A (ja) 車両用オ―トエアコンの制御装置
JP2817291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102517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915262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888346B1 (ko)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CN112918215B (zh) 一种汽车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
JPH111297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820566B1 (ko) 차량용 송풍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85724A (ko) 차량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JP2518655Y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S5936484Y2 (ja) 車輌用空調装置に於ける送風ファン速度制御装置
JPH0213208Y2 (ko)
JP4316363B2 (ja) 空調制御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357267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549014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689793B2 (ja) 自動車用吹出口制御装置
JPH0728963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210138838A (ko)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7050B1 (ko) 차량의 후진 주행시 배기가스 유입 차단을 위한 공조 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