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579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579A
KR20040025579A KR1020030063933A KR20030063933A KR20040025579A KR 20040025579 A KR20040025579 A KR 20040025579A KR 1020030063933 A KR1020030063933 A KR 1020030063933A KR 20030063933 A KR20030063933 A KR 20030063933A KR 20040025579 A KR20040025579 A KR 2004002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esin
substrate
sealing
light emitt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마시로히또시
이와세유이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EL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에 의해 발광 영역 L과 전극 영역이 형성된 패널 기판과, 이 패널 기판에 밀봉 수지를 통해 접합되는 밀봉 기판을 포함한다. 밀봉 기판에는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밀봉 수지의 양각부(11)가 제공된다. 이 양각부는 미경화의 밀봉 수지가 외부 전극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간의 도통을 확보하여, 신뢰성이 높고, 고수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평면형의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발광 소자로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이하, 유기 EL이라고 함) 소자를 이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가 있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자기 발광형이므로, 시야각이 넓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필요한 화소만 발광시키기 때문에, 백 라이트형의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면 소비 전력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구성은 유기 재료를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발광 메카니즘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층에 양극으로부터 정공을 주입하고, 음극으로부터 전자를 주입하여, 이들 주입한 정공과 전자를 재결합시켜 발광시키는 것이다. 현재, 유기 EL 소자는 10V 이하의 구동 전압으로 수백 cd/㎡에서 수만 cd/㎡의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기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멀티 컬러 표시 또는 풀컬러 표시의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갖고 있다. 그것은 유기층에 수분이나 산소가 침입함으로써, 유기층이 결정화하여, 다크 스폿이라고 불리는 비발광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다크 스폿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성장하고, 유기 EL 소자의 수명을 짧게 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 기판(1)에는 그 표시 영역 상에 밀봉 수지(2)를 통하여 밀봉 기판(3)이 접착되어 있다. 이 밀봉 수지(2)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또는 열 경화형 수지가 이용되고, 일반적으로는 상기 밀봉 기판(3)을 접착한 후에 경화된다. 상기 밀봉 수지(2)는 발광 영역(표시 영역이라고도 함) 상에 형성되고, 그 발광 영역의 주변에는 외부 전극(4) 및 외부 단자(5)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외부 전극(4) 및 외부 단자(5)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EL 소자는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EL 소자를 밀봉하는 밀봉 수지가, 경화하지 않는 동안에 외부 전극측으로 유출되어, 외부 전극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염이 생긴 경우에는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와의 접촉이 불완전하게 되고,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와의 도통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그 결과 유기 EL 소자를 구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패널 기판(1)으로부터 복수의 유기 EL 표시 장치(6)를 생산하는 것이 종종 채택된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기판(1)과 마찬가지로 밀봉 기판(3)도 대형인 것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패널 기판(1)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영역(표시 영역이라고도 함)의 각각에 대응시켜 밀봉 수지(2)를 도포하고, 1매의 밀봉 기판(3)을 각 발광 영역 상의 밀봉 수지(2)의 상면에 접합하여, 각 밀봉 수지(2)를 경화시킨다. 그 후, 각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 기판(3)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소위 1매의 패널 기판으로부터 복수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생산을 행하는 경우에는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각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하기 때문에,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에서 밀봉 수지(2)의 모세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경화 밀봉 수지(2)가 외부 전극(4)측으로까지 유출되어, 외부 전극(4)을 덮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외부 전극(4)과 외부 단자(5)(도 5 참조)와의 접속을 취할 수 없게 되는 중대한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EL 소자를 밀봉 수지에 의해 밀봉할 때에 밀봉 수지의 외부 전극측으로의 확산을 방지하여, 수율이 양호한 안정된 생산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a는 밀봉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b는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과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c는 밀봉 수지를 통하여 밀봉 기판이 패널 기판에 접합된 유기 EL 표면 장치의 레이아웃도.
도 2a 및 도 2b는 양각부(relief portion)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양각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양각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평면 레이아웃도이고, 도 5b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당 다수의 패널 형성을 행하는 경우의 유기 EL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패널 기판상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레이아웃도이고, 도 6b는 밀봉 수지를 통하여 밀봉 기판을 패널 기판에 접착하는 밀봉 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c는 밀봉 수지의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 레이아웃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기판
2 : 밀봉 수지
3 : 밀봉 기판
11 : 양각부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에 의해 발광 영역과 전극 영역이 형성된 패널 기판과, 상기 패널 기판 위에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되는 밀봉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로서, 상기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는,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의 부분에 밀봉 수지의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을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미경화의 밀봉 수지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과의 사이를 발광 영역의 외측의 전극 영역 방향으로 유출되어도, 그 유출된 밀봉 수지는 양각부 내에 인입된다. 그 때문에, 양각부보다 전극 영역측으로는 밀봉 수지가 흐르지 않게 되어, 양각부의 위치에서 밀봉 수지가 경화된다.
따라서, 전극 영역측쪽으로의 미경화 밀봉 수지의 확산은 방지될 수 있고 전극 영역내의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간의 도통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고 수율이 뛰어나며 품질이 좋은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에 의해 발광 영역과전극 영역이 형성된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을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조 방법이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밀봉 기판의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밀봉 수지의 양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을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미경화의 밀봉 수지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과의 사이를 발광 영역의 외측의 전극 영역 방향으로 유출해도, 그 유출된 밀봉 수지는 양각부 내에 인입된다. 그 때문에, 양각부보다 전극 영역측으로는 밀봉 수지가 흐르지 않게 되어, 밀봉 수지의 양각부의 위치에서 밀봉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영역쪽으로의 미경화 밀봉 수지의 확산은 양각부에 의해 방지될 수 있고, 전극 영역내의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간의 도통은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도가 높고, 수율이 뛰어나며, 품질이 좋은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제품 제조 모드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미경화 밀봉 수지가 전극 영역쪽으로 확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로서 나타난 첨부된 도면들과 결부하여 취해진, 다음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례로서, 유기 EL 표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에는 밀봉 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b에는 패널 기판과 밀봉 기판과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1c에는 밀봉 수지를 통하여 밀봉 기판이 패널 기판에 접합된 유기 EL 표면 장치의 레이아웃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도 4에 따른 설명은 도 1a 내지 도 1c도 함께 참조하기 바란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표시 장치(6)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에 의해 발광 영역 L(전극의 교차 영역)이 형성되고, 또한 이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전극 영역이 형성된 패널 기판(1) 상에, 밀봉 수지(2)를 통하여 밀봉 기판(3)이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 수지(2)는 상기 발광 영역 L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열 경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봉 기판(3)은 상기 패널 기판(1)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 영역 L의 외측 영역, 즉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형성되는 전극 영역과 대향하는 밀봉 기판(3)의 부분에 양각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 기판(1) 상에 밀봉 수지(2)를 통하여 밀봉 기판(3)이 접합될 때의 밀봉 수지(2)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확산량은 밀봉 수지(2)의 재료,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간의 간격 등으로 결정되므로, 양각부(11)의 형상은 밀봉 수지(2)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각부(11)의 제1 실시예는 홈(11a)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11a)의 단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지만, 가공의 용이함 때문에 구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11a)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형성되는 전극 영역과 대향하는 밀봉 기판(3)의 부분에 복수개의 홈(11a1, 11a2)(도 2에서는 일례로서 2중 홈 모드를 나타냄)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11a)의 형상은 단지 일례이고, 밀봉 수지(2)의 재료,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간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적어도 상기 홈(11a)은, 다음과 같은 체적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접착하는 밀봉 수지(2)에 의해,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 C를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하고자 하는 밀봉 수지(2)를 홈(11a) 내에 인입시킴으로써 홈(11a)보다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을 갖도록 홈(11a)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2)의 양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홈(11a)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간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홈(11a)의 용적이 결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각부(11)의 제2 실시예는 복수의 구멍(11b)으로 이루어지는 구멍 열이 복수개(도면에서는 2중)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11b)의 밀봉 기판(3) 주면측으로부터 본 단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지만, 가공의 용이함 측면에서 원형 단면 또는 구형 단면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11b)중에서, 제1열의 구멍(11b1)과 제2열의 구멍(11b2)은, 밀봉 수지(2)의 유동 방향 A에 대하여 반드시 제1열의 구멍(11b1) 또는 제2열의 구멍(11b2)이 존재하도록, 제1열의 구멍(11b1)과 제2열의 구멍(11b2)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멍(11b)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제1열의 구멍(11b1)과 제2열의 구멍(11b2)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확산하고자 하는 밀봉 수지(2)를 확실하게 구멍(11b)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멍(11b)의 용적은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착했을 때에, 밀봉 수지(2)에 의해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 C를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유출하려고 하는 밀봉 수지(2)가 구멍(11b) 내에 인입됨으로써 구멍(11b)의 열로부터도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이 필요하게 된다. 이 구멍(11b)의 용적은, 접착에 이용되는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량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구멍(11b) 열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구멍(11b)의 용적이 결정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각부(11)의 제3 실시예는 밀봉 기판(3) 표면을 조면화 처리함으로써 형성한 조면(11c)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면(11c)은 예를 들면 샌드블러스팅(sandblasting), 에칭 등에 의해 밀봉 기판(3)의 표면을 조면화하여, 표면 조도를 갖는 면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면(11c)에서의 양각부의 용적은,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착했을 때에, 밀봉 수지(2)에 의해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을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하려고 하는 밀봉 수지(2)가 조면(11c)의 오목부 내에 인입됨으로써 조면(11c)보다 외부 전극(21)의 단부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이 필요하게 된다. 이 조면(11c)에서의 오목부의 용적은 접착에 이용되는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량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조면(11c)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조면(11c)에서의 오목부의 용적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각부(11)는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밀봉 수지(2)가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의 접촉 영역 C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밀봉 수지(2)를 양각부(11) 및 양각부(11)와 패널 기판(1)과의 사이의 공간 영역에, 밀봉 수지(2)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용량이 확보되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표시 장치에서는, 패널 기판(1)에 접합된 상태에서 밀봉 기판(3)의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양각부(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미경화의 밀봉 수지(2)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널 기판(11)과 밀봉 기판(13)과의 사이에서 발광영역 L의 외측의 전극 영역 방향으로 유출되어도, 그 유출된 밀봉 수지(2)는 양각부(11) 내에 인입된다. 그 때문에, 양각부(11)보다 전극 영역 E측으로는 밀봉 수지(2)가 확산하지 않게 되어, 양각부(11)의 위치에서 밀봉 수지(2)가 경화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2)에 의해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이 오염되는 경우가 없어지므로, 외부 전극(4)과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할 수 없어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동할 수 없는 중대한 결함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진다. 즉, 외부 전극(4)과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의 전기적 도통이 확보된 신뢰성이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는 일 실시예를, 상기 도 1∼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기판(1)에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되는 밀봉 기판(3)의 접합면측에, 패널 기판(1)에 형성되는 발광 영역 L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각 발광 영역 L의 각각을 둘러싸는 구형 프레임형의 양각부(11)를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패널 기판(1) 상에 4개의 발광 영역 L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밀봉 기판(3)에는 각각의 발광 영역 L에 대향하는 영역의 외측에 구형 프레임형의 양각부(1)(예를 들면, 홈(11a))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 기판(1) 상에 밀봉 수지(2)를 통하여 밀봉 기판(3)이 접합될 때의 밀봉 수지(2)의 모세관 현상에 따른 확산량은, 밀봉 수지(2)의 재료,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의 대향 거리 등으로 결정되므로, 양각부(11)의 형상은 밀봉 수지(2)의 확산을 멈추는 오목부가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양각부(11)는, 예를 들면 상기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11a)으로 형성할 수 있다. 홈(11a)의 단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가공의 용이함 때문에 구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1a)은,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3)의 부분에 구형 프레임 형상으로, 그리고 복수 열(도면에서는 일례로서 2열을 도시함)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홈(11a)의 형성 방법은, 예를 들면 홈(11a)이 제거되는 영역을 개구한 마스크(도시 생략)를 형성하고, 예를 들면 샌드 블러스트법에 의해 마스크 개구부에 폭이 1㎜, 깊이가 0.2㎜인 홈을 형성하였다. 홈(11a)은 상기와 마찬가지인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칭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홈(11a)의 형상은 일례이고, 밀봉 수지(2)의 재질,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적어도 상기 홈(11a)은 다음과 같은 용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착했을 때에,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 C를 밀봉 수지(2)가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하려고 하는 밀봉 수지(2)를 홈(11a) 내에 인입시킴으로써 홈(11a)보다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을 갖도록 홈(11a)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량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홈(11a)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홈(11a)의 용적이 결정된다.
상기 양각부(11)는, 예를 들면 상기 도 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열의 복수의 구멍(11b)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멍(11b)의 밀봉 기판(3) 주면측에서 본 단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가공의 용이함 때문에 원형 단면 또는 구형 단면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1a)은,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형성되는 전극 영역과 대향하는 밀봉 기판(3)의 부분에 복수 열(도면에서는 일례로서 2열을 도시함)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멍(11b)의 형상은 일례이고, 밀봉 수지(2)의 재료,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적어도 상기 구멍(11b)은, 다음과 같은 용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착했을 때에,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을 밀봉 수지(2)가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21)의 단부 방향으로 유출되려고 하는 밀봉 수지(2)를 구멍(11b) 내에 인입시킴으로써 구멍(11b)의 열보다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을 갖도록 구멍(11b)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량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구멍(11b) 열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구멍(11b)의 용적이 결정된다.
상기 양각부(11)는,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면(11c)으로 형성할 수 있다. 조면(11c)은, 예를 들면 샌드 블러스트, 에칭 등에 의해 밀봉 기판(3)의 표면을 조면화함으로써 표면 조도를 갖는 면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면(11c)의 형상(예를 들면 표면 거칠기)은 밀봉 수지(2)의 재료, 밀봉 수지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간격, 발광 영역 L의 면적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적어도 상기 조면(11c)은, 다음과 같은 용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착했을 때에,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는 부분 C를 밀봉 수지(2)가 덮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에 확산하려고 하는 밀봉 수지(2)를 조면(11c) 내에 인입함으로써 조면(11c)의 열보다 외부 전극(4)의 단부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용적을 갖도록 조면(11c)의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발광 영역 L을 충분히 덮는 밀봉 수지량을 확보하고, 그 양이, 발광 영역 L 및 조면(11c) 열 상의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조면(11c)에서의 오목부의 용적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각부(11)는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밀봉 수지(2)의 모세관 현상에 따른 확산에 의해 밀봉 수지(2)가 외부 전극(4)의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의 접속 영역 C까지 달하지 않도록, 밀봉 수지(2)를 양각부(11) 및 양각부(11)와 패널 기판(1)과의 사이의 공간 영역에서, 밀봉 수지(2)의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용량이 확보되도록 형성될 필요가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양각부(11)가 형성된 밀봉 기판(3)(도 1a 참조)을 준비한 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기판(1)에 형성된 각 발광 영역 L을 덮는 적량의 밀봉 수지(2)를 미경화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각 발광 영역 L 상에 도포한다. 계속해서, 각 밀봉 수지(2)를 통하여 패널 기판(1)에 밀봉 기판(3)을 접착한다. 이 때, 밀봉 기판(3)에 형성된 양각부(11)의 패널 기판(1)에의 투영상이 각 발광 영역 L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또한 패널 기판(1)에 대하여 밀봉 기판(3)이 소정의 간격이 되도록, 밀봉 기판(3)을 접착한다.
밀봉 기판(3)의 접착 시,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에서는 모세관 현상이 생겨 미경화의 밀봉 수지(2)가 발광 영역 L보다 외측 방향, 즉 전극 영역 방향으로 확산하려고 한다. 그리고, 확산하려고 하는 밀봉 수지(2)는 밀봉 기판(3)에 형성된 양각부(11) 내에 인입되고, 이 양각부(11)에 의해 확산이 정지된다. 그 때문에, 밀봉 수지(2)는 양각부(11)보다 외측의 외부 전극(4) 부분을 덮도록 확산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발광 영역 L을 밀봉 수지(2)에 의해 밀봉할 수 있음과 함께 외부 전극(4)과 외부 단자(도시 생략)와의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수지(2)의 확산을 멈춘 부분에는 양각부(11) 내에 인입된 밀봉 수지(2)에 의해 밀봉 수지(2)의 액상 축적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밀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 후, 각 발광 영역 L 내에 축적되어 있는 밀봉 수지(2)를, 예를 들면 밀봉 수지(2)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이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예를 들면 밀봉수지(2)가 열 경화형 수지이면 가열에 의해 경화시킨다. 또한, 각 발광 영역 L 사이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밀봉 기판(3)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패널 기판(1)으로부터,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의 밀봉 수지(2)의 불필요한 확산을 방지한 복수의 유기 EL 표시 장치(6)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패널 기판(1)에 접합된 상태에서 발광 영역 L의 외측에 대향하는 밀봉 기판(3)의 부분에 양각부(4)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을 밀봉 수지(2)를 통하여 접합하였을 때에, 미경화의 밀봉 수지(2)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패널 기판(1)과 밀봉 기판(3)과의 사이를 발광 영역 L의 외측의 전극 영역 방향으로 확산해도, 그 유출된 밀봉 수지(2)는 양각부(11) 내에 인입된다. 그 때문에, 양각부(11)보다 전극 영역측으로는 밀봉 수지(2)가 흐르지 않게 되어, 양각부(11)의 위치에서 밀봉 수지(2)를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수지(2)가 전극 영역의 외부 전극(4) 등을 오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도통을 확보할 수 없어 유기 EL 표시 장치를 구동할 수 없다고 하는 중대한 결함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즉, 외부 전극과 외부 단자와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한 신뢰성이 높은 유기 EL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1매의 기판으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밀봉 수지(2)의 확산이 일어나기 쉽지만, 밀봉 기판(3)에 형성한 양각부(11)에 의해 밀봉 수지(2)의 확산이 방지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의 고품질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수율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1매의 기판으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의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매우 유효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매의 기판으로부터 복수의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사례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1매의 패널 기판에 하나의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며 청구범위의 등가내에서 부합하는 바와 같은 모든 변화 및 변형은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8)

  1.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은 발광 영역과 전극 영역을 형성하는 패널 기판과,
    상기 패널 기판에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되는 밀봉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복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상기 밀봉 기판 표면에 형성한 조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구동 전극은 발광 영역과 전극 영역을 형성하는 패널 기판과, 상기 패널 기판에 밀봉 수지를 통하여 접합된 밀봉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 기판이 상기 패널 기판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의 외측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복수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지의 양각부는 상기 밀봉 기판 표면을 조면화함으로써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30063933A 2002-09-17 2003-09-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25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9406A JP2004111119A (ja) 2002-09-17 2002-09-17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269406 2002-09-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579A true KR20040025579A (ko) 2004-03-24

Family

ID=3198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933A KR20040025579A (ko) 2002-09-17 2003-09-16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51452A1 (ko)
JP (1) JP2004111119A (ko)
KR (1) KR20040025579A (ko)
TW (1) TWI3037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62B1 (ko) * 2008-09-17 2011-06-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350B1 (ko) * 2004-06-17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605499B2 (ja) * 2004-10-28 2011-01-05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封止構造
JP2006244772A (ja) * 2005-03-01 2006-09-14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パネルおよび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7005107A (ja) * 2005-06-23 2007-01-11 Tohoku Pioneer Corp 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自発光パネル
JP2007035536A (ja) * 2005-07-29 2007-02-08 Rohm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7999372B2 (en) * 2006-01-25 2011-08-1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88791B1 (ko) * 2006-01-2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66122A1 (fr) 2006-11-30 2008-06-05 Kyocera Corporation Dispositif el organiqu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KR100893487B1 (ko) * 2007-09-06 2009-04-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71752B1 (ko) * 2008-12-11 2010-07-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640200B (zh) * 2009-12-03 2014-10-29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面板和面板的制造方法
CN103887446A (zh) * 2014-03-10 2014-06-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器件的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发光器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9228A (en) * 1990-07-02 1993-08-24 Sharp Kabushiki Kaisha Thin-film electroluminescence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colors with groove for capturing adhesi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62B1 (ko) * 2008-09-17 2011-06-07 김진호 골프화용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51452A1 (en) 2004-03-18
TWI303730B (en) 2008-12-01
TW200405083A (en) 2004-04-01
JP2004111119A (ja)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333B2 (ja) デュアルパネルタイプ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3999B1 (ko) 전도성 스페이서가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제조 방법
KR1009820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562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430697B (zh) An organic EL panel, a panel-bonding type light-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EL panel
CN108417598B (zh) Oled显示面板、封装方法及有机膜的制备方法
KR2004002557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6994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58709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337494B1 (ko) 유리 페이스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의형성방법 및 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JP2001022293A (ja) 平面表示素子
KR100590244B1 (ko)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 어셈블리 및 이의 어셈블리 방법
KR10050894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592392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415174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46992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621810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3187969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25464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0385444B1 (ko) 평판표시장치
JP2003181825A (ja) 基板分断方法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0647005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67253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9990043854A (ko) 측면형 에미터를 구비한 전계방출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107839A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