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770A -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770A
KR20040023770A KR1020030063092A KR20030063092A KR20040023770A KR 20040023770 A KR20040023770 A KR 20040023770A KR 1020030063092 A KR1020030063092 A KR 1020030063092A KR 20030063092 A KR20030063092 A KR 20030063092A KR 20040023770 A KR20040023770 A KR 2004002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information processing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475B1 (ko
Inventor
후지사와히로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의 송수신을 직감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장치, 그 처리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화상(12A) 데이터를 나타낸 심볼(13)의 흑백 패턴은, 표시부(11)의 1프레임의 주사마다 전환하여, 화상(12A) 데이터 전체를 나타내는 기간만큼 연속하여 표시된다. 정보처리단말(21)에 있어서는,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판독된 심볼(13)에 의거하여, 화상(12A) 데이터가 취득된다. 반대로,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심볼이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출력되어, 그것이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판독영역에 의해 판독된다. 표시장치(1)에서는, 판독된 심볼에 의거하여 데이터가 취득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각종 정보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의 송수신을 직감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패널 등을 중첩하여 설치하지 않고,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표시장치에 대하여 각종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기술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문헌 1에는, 표시장치(정보입출력장치)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출사된 적외선의 광량과, 그 반사광의 광량에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제시한 카드에 나타내진 정보를 검출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조작하지 않고, 소정의 정보를 표시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문헌 2에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소자인, 입력방식으로 기록된 정보에 따라서 발광표시가 가능한 유기 EL 소자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11-53111호 공보(제 5 페이지 내지 제 6 페이지, 번호「0028」 내지 「0030」의 단락)
[특허문헌 2] 특개평 7-175420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는 정보와, 사용자가 제시한 카드에 나타내진 정보를 검출시켜 표시장치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 내에 입력할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근 급격히 보급되고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a, 또는 802.11b 등의 소위 무선 LAN(Local Area Network)나,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에 의해 통신을 하는 모듈을 표시장치에 설치하고, 같은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정보단말로부터, 무선통신에 의해 표시장치에 정보를 입력(송신)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통신을 시작하기까지의 설정이 번잡하고,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정보단말의 화면상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터치패널이 설치된 표시장치에 대하여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표시부를 직접 누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보를 직감적으로 입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송수신을, 직감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다른 도면,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화소의 상세도,
도 5는 도 3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화소의 다른 상세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화소에서 검출되는 전류값의 계측결과의 예시도,
도 7은 심볼 열의 예시도,
도 8은 도 1의 리더 라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표시장치의 데이터 전송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정보처리단말의 데이터 취득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1은 표시장치로부터 정보처리단말에 대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예시도,
도 12는 정보처리단말의 데이터 전송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3은 도 12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표시장치의 데이터 취득처리를설명한 흐름도,
도 14는 정보처리단말로부터 표시장치에 대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예시도,
도 15는 정보처리단말의 데이터 전송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6은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표시장치의 데이터 취득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7은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표시장치의 다른 데이터 취득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18은 정보처리단말로부터 표시장치에 대하여 데이터가 전송되었을 때의 표시의 예시도,
도 19는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표시장치의 또 다른 데이터 취득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20은 판독영역의 이동의 예시도,
도 21은 도 20의 판독영역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행하여졌을 때의 표시의 예시도,
도 22는 도 20의 표시장치의 데이터 취득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23은 정보처리단말의 외관구성의 예시도,
도 24는 표시장치의 외관구성의 예시도,
도 25는 정보처리단말의 외관구성의 다른 예시도,
도 26은 도 1의 리더 라이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표시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8은 도 27의 표시부에 접속되는 신호선의 예시도,
도 29는 도 27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서브픽셀에 배치되는 회로의 예시도,
도 30은 표시장치의 처리를 설명한 흐름도,
도 31은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예시도,
도 32는 도 31의 판독영역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다른 예시도,
도 34는 도 33의 판독영역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또 다른 예시도,
도 36은 도 35의 판독영역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예시도,
도 38은 도 36의 판독영역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EL 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EL 소자의 수광 감도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표시장치와 데이터를 검출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입력의 검출예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3은 도 42의 검출에서의 바람직한 발광영역의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44는 입력의 검출예에 관해서 나타낸 다른 도면,
도 45는 면정보의 검출에 관해서 도시한 도면,
도 46은 도 45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7은 도 45 및 도 46의 검출에서의 아날로그값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48은 도 45 및 도 46의 검출에서의 디지털값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검출 후의 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표시장치를 사용한 촬상에 관해서 도시한 도면,
도 51은 도 50의 촬상에서의 아날로그값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52는 도 50의 촬상에서의 디지털값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53은 입력의 검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4는 도 53의 레이저 포인터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 55는 입력의 다른 검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6은 도 55의 레이저 포인터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장치11 : 표시부
13 : 심볼21 : 정보처리단말
24 : 리더 라이터31 : 판독영역
45, 114 : 제어부48 : 콘트롤러
51, 113 : 데이터 처리부52, 112 : 심볼처리부
53 : 검출부111 : 화상신호 생성부
131 : 자기 디스크132 : 광 디스크
133 : 광자기 디스크134 : 반도체 메모리
본 발명의 제 1 정보처리장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정보처리장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2차원 코드이도록 할 수 있다.
1회의 화면주사로 1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1프레임의 표시마다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은, 출력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근방에, 도형화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수단은, 출력데이터가 음악 데이터일 때, 출력수단에 의한 소리의 출력과 동시에,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정보처리장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2차원 코드이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일부에, 검출수단에 의해 도형화상이 검출되는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성수단은, 검출영역을 구성시키는 표시영역의 각 화소에, 화상을 표시하는 각 화소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과,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검출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의 활성 반도체층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거하여 도형화상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되는 전계발광소자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거하여 도형화상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성수단은, 표시수단에 의한 화면의 주사와 아울러 순차 이동되도록 검출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입력데이터에 부수되는 입력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취득되었을 때,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입력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처리수단은,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수단은,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입력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처리수단은,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입력데이터의 다른 기기로의 송신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도형화상의 검출을 제어하는 검출제어단계와, 검출제어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프로그램은,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도형화상의 검출을 제어하는 검출제어단계와, 검출제어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정보처리장치는,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전환수단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환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검출영역을,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전환수단은, 검출영역과 다른 표시부의 영역에, 발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전환수단이, 발광구동을 하는 제 1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1 화소의 근방에, 수광구동을 하는 제 2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2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 검출수단은,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검출수단은, 표시부의 표면에 소정의 물체가 근접된 것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검출수단은,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표시부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물체의 면 정보를,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전계발광소자는, 소정의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이고, 제 2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소정의 파장의 빛에 대한 수광감도가 높은 소자이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결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검출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결상수단에 의해 결상되는 물체의 상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정보처리방법은,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제 4 프로그램은,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이 순차로 표시된다. 또한,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제 2 도형화상이 검출되고, 검출된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가 취득된다.
본 발명의 제 2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순차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제 3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도형화상이 검출되고, 검출된 복수의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입력데이터가 취득된다.
본 발명의 제 4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이 전환되어, 수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검출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요건과,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체예와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기재는,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을 지지하는 구체예가,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중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체예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내용은, 그 구체예가, 그 구성요건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구체예가 구성요건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그 내용은, 그 구체예가, 그 구성요건 이외의 구성요건에는 대응하지 않은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이, 청구항에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으로, 이 출원의 청구항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발명의 존재, 즉, 장래, 분할 출원되거나, 보정에 의해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표시장치(1))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심볼처리부(52))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표시부(11))과,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예를 들면, 도 3의 검출부(52))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데이터 처리부(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예를 들면, 도 9의 단계 S3)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예를 들면, 도 9의 단계 S4)와,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 S62)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S6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프로그램에서도, 각 단계가 대응하는 실시예(단, 일례)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과 마찬가지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표시장치(1))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을 생성하는 생성수단(예를 들면, 도 3의 심볼처리부(52))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예를 들면, 도 3의 표시부(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가 취급하는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2차원 코드(예를 들면, 도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에서는, 1회의 화면주사로 1프레임의 화상이표시되는 경우(소위 프로그레시브 표시인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1프레임의 표시마다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수단은, 상기 출력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근방에, 상기 도형화상을 표시하는(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전송하는 화상과, 그 화상을 나타내는 심볼(13)을 근방에 표시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는,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예를 들면, 스피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출력데이터가 상기 음악 데이터인 경우, 상기 출력수단에 의한 소리의 출력과 함께,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음악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예를 들면, 도 9의 단계 S3)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예를 들면, 도 9의 단계 S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청구항 12에 기재된 프로그램에서도, 각 단계가 대응하는 실시예(단, 일례)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과 마찬가지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예를 들면, 도 3의 검출부(52))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예를 들면, 도 3의 데이터 처리부(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가 취급하는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2차원 코드(예를 들면, 도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는,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예를 들면, 도 1의 표시부(11))과,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일부에,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도형화상이 검출되는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판독영역(31)을 형성하는 도 3의 콘트롤러(48))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형성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시키는 상기 표시영역의 각 화소에,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각 화소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과,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활성 반도체층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누설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된 전계발광소자(예를 들면, 도 4의 EL 소자(74))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형성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화면의 주사와 아울러 순차로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영역을 형성하는(예를 들면, 도 20의 판독영역(2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데이터에 부수되는, 상기 입력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는 지시정보(명세서에서의 명령코드)가 취득되었을 때,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예를 들면, 도 19의 단계 S147의 처리를 실행하는 도 3의 제어부(4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입력데이터가 화소 데이터인 경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입력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입력데이터의 다른 기기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은, 다른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1의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2차원 코드)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 S62)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예를 들면, 도 13의 단계 S6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청구항 26에 기재된 프로그램에서도, 각 단계가 대응하는 실시예(단, 일례)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과 마찬가지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예를 들면, 도 27의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1))는,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예를 들면, 도 29의 EL 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면, 도 27의 표시부(11))를 갖는 정보처리장치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예를 들면, 도 27의 전환부(301))과, 상기 전환수단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예를 들면, 도 27의 검출부(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전환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검출영역(명세서에서의 판독영역)을,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예를 들면, 도 32와 같이 표시부(11)의 전체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9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검출영역과 다른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발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0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전환수단이, 발광구동을 하는 제 1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1 화소의 근방에, 수광구동을 하는 제 2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2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예를 들면, 도 42와 같이 발광구동을 하는 화소와 수광구동을 하는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1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소정의 물체(예를 들면, 도 42의 손가락 F나 도 44의 물체 O)가 근접된 것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한다.
청구항 32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물체의 면 정보(예를 들면, 지문의 정보)를,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3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에서의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는, 소정의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예를 들면, 녹색 근방의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로,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소정의 파장의 빛에 대한 수광감도가 높은 소자(예를 들면, 적색 근방의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4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표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결상수단(예를 들면, 도 50의 렌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결상수단에 의해 결상되는 상기 물체의 상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5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은,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예를 들면, 도 30의 단계 S204와 S206)와, 상기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예를 들면, 도 30의 단계 S20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6에 기재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청구항 37에 기재된 프로그램에서도, 각 단계가 대응하는 실시예(단, 일례)는, 청구항 35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과 마찬가지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장치(정보처리장치)(1)의 정면에는, 그것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표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11)는, 예를 들면, TFT(Thin Film Transistor)가 각 화소에 배치된 유기 또는 무기의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화소마다 그것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정의 도형이나 문자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1)에 표시된 윈도우(12)에는, 동화상(12A)이 표시되고, 그 오른쪽 구석에 매트릭스형의 2차원 코드인 심볼(13)이 표시되어 있다. 심볼(13)은, 동화상(12A)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형화상으로, 예를 들면, 표시부(11)에 의한 1프레임의 표시마다, 그 흑백의 패턴이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1)는, 동화상(12A)의 소스 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 그 소스 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심볼(2차원 코드)로 이루어진 심볼 열을 생성하여, 1프레임의 표시마다 각 심볼을 순차로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되는 심볼을 검출하고, 그것을 해석함으로써, 심볼을 검출 가능한 리더(reader)가 설치되어 있는 기기는,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심볼을 통해 소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정보처리단말(21)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퍼스널컴퓨터, 또는 휴대전화기 등으로 구성되고, 케이블(23)을 통해 표시장치(1)에 표시되는 심볼을 판독 가능한 리더 라이터(reader writer)(24)가 접속되어 있다. 선단면(24A)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13)에 접촉되었을 때,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심볼(13)이 판독된다.
즉, 리더 라이터(24)는, 표시부(11)의 표시주기와 아울러, 표시되는 심볼(13)의 패턴을 소정의 기간만 검출한다.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검출된 심볼의 데이터는, 케이블(23)을 통해 정보처리단말(21)에 출력된다.
정보처리단말(21)은,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심볼이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심볼 열을 취득하고, 또한 그 취득된 심볼 열로부터 소스 데이터(표시장치(1)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심볼(13)을 통해 표시장치(1)로부터 정보처리단말(21)에 대하여,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예를 들면, 60Hz의 주파수에서 프로그레시브방식으로 심볼이 순차로 표시되고, 또한 1심볼에 의해 2KB(Byte)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 960Kbps(60(회/초) ×2(KB)×8(bit))의 전송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또한, 최근, 400Hz의 주파수에서 고화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도 개발되어 있지만, 그와 같이 대단히 짧은 주기에서, 하나로 2KB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심볼이 순차로 표시된 경우, 6400Kbps(400(회/초)×2(KB)×8(bit))의 전송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즉,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a, 802.11b 등의 소위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에상관없이 비교적 높은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시킬 수 있다.
이때, 한 개의 심볼로 나타내는 데이터 양은, 그 크기나 오류정정의 방식 등으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한 개의 심볼로 나타내는 데이터 양과, 표시부(11)의 표시 주파수에 의해, 전송속도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정보처리단말(21)에서는, 심볼(13)을 통해 표시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내부의 기억부에 보존되거나, 혹은,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한 화상이 표시부(22)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을 표시되어 있는 심볼(13)에 접촉시킨다고 하며, 대단히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표시장치(1)로부터 정보처리단말(21)에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을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판독영역에 접촉시킴으로써, 상술한 것과 반대로,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11)의 오른쪽 아래에 표시장치(1)에 의해 판독영역(31)이 형성되고, 거기에 접촉된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심볼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후술하지만, 표시부(11)의 각 화소에 배치되어 있는 TFT에는, 그 화소에 의해 소정의 화상의 일부를 표시시킬 때, 정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고, 한편, 그 화소에 의해 리더 라이터(24)에서 출력되는 심볼을 검출시킬 때,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판독영역(31)은, 예를 들면,표시부(11)의 각 화소중,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복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그와 같이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화소(TFT)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었을 때(리더 라이터(24)로부터 심볼의 흑백 패턴을 나타내는 빛이 입사되었을 때), TFT의 활성 반도체층에서는 누설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판독영역(31)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서 검출되는 누설전류의 유무에 따라서, 각 화소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빛의 조사 유무가 검출된다.
즉, 리더 라이터(24)의 내부에 설치된 심볼 표시부(104)(도 8참조)에 심볼을 표시시켜, 그 심볼에 대응하는 빛이 판독영역(31)에 조사되었을 때, 판독영역(31)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서, 빛의 유무, 바꾸어 말하면, 심볼의 흑백이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더 라이터(24)내에서 표시되는 심볼 중, 블랙색 부분이 접촉된 판독영역(31)의 화소에서는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는 한편, 백색 부분이 접촉된 화소에서는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그것이 검출된다.
그리고, 판독영역(31)의 각 화소에서의 검출결과가 합성되어, 리더 라이터(24)내에서 표시된 한 개의 심볼이 표시장치(1)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그것이 소정 기간 반복됨으로써, 리더 라이터(24)내에 표시된 심볼 열(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든 심볼)이 표시장치(1)에 받아들여진다. 표시장치(1)에서는, 정보처리단말(21)에 의해 표시장치(1)에 전송하여서 선택된 데이터가 심볼 열의 해석에 의해 복원되어 취득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심볼(13)에 리더 라이터(24)를접촉시키는 것만으로 표시장치(1)로부터 정보처리단말(21)로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음과 아울러, 리더 라이터(24)를 판독영역(31)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정보처리단말(21)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즉, 표시장치(1)와 정보처리단말(21) 사이에서 무선 LAN이나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번잡한 설정을 하지 않고, 직감적인 조작으로, 용이하게 데이터를 송수신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의 예에서는, 표시부(11)에 형성되는 판독영역(31)이 점선으로 나타내져 있지만,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프레임 화상이 표시되어, 그 프레임 속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표시부(11)중 판독영역(31) 이외의 영역에는 어느 쪽의 화상도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는 판독영역(31)이외의 영역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 등의 각종 화상을 표시시켜 둘 수 있다.
표시장치(1)와 정보처리단말(21)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해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45)는, 도시하지 않은 ROM(Read Only Memory)등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예를 들면, 소정 채널의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시키거나, 소정의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그 사이트의 화면을 표시시키는 등, 리모콘 등으로 이루어진 입력부(46)로부터의 사용자의 지시에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신호처리부(42)는, 제어부(45)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안테나(41)에서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파 중에서 소정 채널의 신호를 취득하여, 그 채널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제어부(45)에 출력한다. 통신부(43)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하여, 취득된 데이터를 제어부(45)에 출력한다.
기억부(44)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데이터, 통신부(43)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등,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화상신호 생성부(47)는, 제어부(4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화상신호를 표시부(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48)에 출력한다.
이때, 화상신호 생성부(47)는, 심볼처리부(52)에 의해 생성되어 공급된 데이터에 따라서, 예를 들면, 1화면마다(1프레임의 표시마다) 한 개의 심볼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여, 그것을 콘트롤러(48)에 출력한다.
콘트롤러(48)는, 표시부(11)의 각 화소에 배치되는 TF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게이트 드라이버(50), 및 게이트 드라이버(50)의 구동에 연동하여, TFT의 소스전극-드레인전극간의 전압을 제어하는 소스 드라이버(49)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콘트롤러(48)는,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판독영역을 형성하는것이 제어부(45)로부터 지시되었을 때,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화소(화소의 TFT)에는,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도록 게이트 드라이버(50)를 제어함과 동시에, 그 이외의 영역에는, 정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도록 게이트 드라이버(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화소는, 게이트가 오프로 된 상태가 되고, 상술한 것처럼,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대응하거나 누설전류의 유무에 따라서, 리더 라이터(24)에서 출력된 심볼의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의 화소는, 게이트가 온으로 된 상태로 되어, 소스 드라이버(49)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에 의해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EL 소자를 발광시켜, 화상의 일부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표시부(11)의 각 화소에 배치되는 TFT의 동작에 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심볼의 판독영역을 구성하는 화소가 아닌 화소)로서 콘트롤러(48)에 의해 제어된 표시부(11)의 1화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게이트 드라이버(50)에 의해 TFT(71)의 게이트전극(71A)(G)에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온으로 되었을 때,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소스 드라이버(49)에 의해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 반도체층(채널) 내를 소스전극(71B)(S)으로부터 드레인전극(71C)(D)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TFT(71)의 드레인전극(71C)에는, EL 소자(74)의 애노드전극(74A)이 접속되어있고, 드레인전극(71C)으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EL 소자(74) 사이를 흘렀을 때, 그 전류에 의거하여, 전계발광소자인 EL 소자(74)가 발광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광된 빛이 표시부(11)의 표면을 투과하여 표시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어, 도 4의 화소에 의해 화상의 일부가 표시된다. 이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EL 소자(74)로부터 가운데가 흰색으로 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애노드전극(74A) 또는 캐소드전극(74B) 중 어느 한쪽이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그 투명전극을 투과하여, EL 소자(74)에 의해 발광된 빛이 외부로 출사된다.
한편, 게이트 드라이버(50)에 의해 TFT(71)의 게이트전극(71A)(G)에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게이트가 오프로 되었을 때, 소스드라이버(49)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 경우라도 활성 반도체층 내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결과적으로, EL 소자(74)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발광이 생기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가운데가 흰색으로 된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되었을 때, TFT(71)의 활성 반도체층의 광 전도성에 의해, 미량이기는 하지만 드레인전극(71C)으로부터 소스전극(71B) 방향으로 누설전류(오프전류)가 발생한다. 또한, EL 소자(74)도, 마찬가지로,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빛이 조사되었을 때, 발광하지 않고, 역방향의 전류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해서 발생된 전류가 검출되어, 도 5의 화소에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된 것, 즉, 도 5의 화소에 대응하는 리더 라이터(24)의 심볼 표시부(104)(도 8)의 위치(도 5의 화소의 정면)에는, 심볼의 백색 영역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소에서 발생된 전류의 계측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서, 횡축은 게이트전극(71A)에 인가된 전압을 나타내고, 종축은 화소내의 전류를 나타낸다.
계측결과 I1은,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빛이 조사되었을 때에 채널 내를 흐른 전류의 값을 나타내고, 계측결과 I2는,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빛이 조사되어 있을 때에 채널 내를 흐른 전류의 값을 나타낸다.
이 계측결과 I1 및 I2에 의해 정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경우는,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무에 상관없이, 소스 드라이버(49)에 의해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경우, 계측대상의 화소에 의해, 화상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계측결과 I3은,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되었을 때에, 그 화소에서 발생한 누설전류의 값을 나타내고,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되어 있을 때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계측결과 I4와 비교하여 분명한 것처럼, 발생하는 전류에 차이가 생긴다.
예를 들면, 약 마이너스 5V 전압(역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소정 광량의 빛이 조사된 경우, "1E-8(A)"정도의 전류(TFT의 활성 반도체층에서 발생한 전류와, EL 소자가 발생한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화소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갖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그 화소에 대하여 빛이 조사되었는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때, 실제로는, 도 6의 각 신호가 각각 증폭되어, 증폭 후의 신호로부터 빛의 조사 유무가 검출된다.
도 61에서는, 계측결과 I4에 의해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1E-10(A)"정도의 미소한 전류가 발생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계측중의 노이즈에 의한 것이다. 이때, RGB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EL 소자이더라도 도 6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계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예에서는, 1화소에 하나의 TFT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2개의 TFT가 설치되는 2 TFT형 화소나, 4개의 TFT가 설치되는 4 TFT형 화소일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TFT가 발생하는 누설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심볼의 입력을 검출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가 LCD인 경우(EL 소자(74)가 설치된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아닌 경우), 도 4 및 도 5의 EL소자(74)의 위치에 액정이 설치되어, 각 화소가 구성된다. 이 경우,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된 경우이어도, 액정은 EL 소자(74)와 같이 전류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 화소에 배치되어 있는 TFT가 발생한 누설전류에 의해서만, 심볼의 흑백 패턴이 검출된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검출부(53)는, 상술한 것처럼,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 화소에서 발생한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심볼처리부(52)에 출력한다.
심볼처리부(52)는, 검출부(53)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판독영역을 구성하는 각 화소에서의 검출결과를 합성하고,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출력된 심볼을 취득한다.
또한, 심볼을 검출하는 처리가 소정의 기간(소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필요한 기간)만큼 반복 실행되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심볼 열이 심볼처리부(52)에 의해 취득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심볼 S1 내지 S3이, 검출시에 동기하기 위한 심볼로, 단순한 패턴으로 이루어진 심볼을 반복한다. 그리고, 심볼 S4 내지 Sn으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음악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각종의 소스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심볼 열이 심볼처리부(52)에 의해 취득되어, 데이터 처리부(51)에 출력된다.
또한, 심볼처리부(52)는,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심볼을 표시하고, 정보처리단말(21)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을 생성한다. 심볼처리부(52)에 의해 생성된 심볼 열의 데이터는, 화상신호 생성부(47)에 출력된다. 예를 들면, 심볼처리부(52)에 의해, 도 7의 심볼 열이 생성된 경우, 표시부(11)에는, 심볼 S1 내지 Sn의 각각이, 1프레임의 표시마다 순차로 표시된다.
데이터 처리부(51)는, 표시부(11)에 심볼을 표시할 때, 제어부(45)에 의해 취득되어 공급된 소스 데이터(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스크램블, 오류 정정 블록의 부가, 변조처리 등을 적절히 시행하여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심볼처리부(52)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1)는, 표시부(11)에 형성된 판독영역에서 심볼이 검출되어, 그것을 나타낸 데이터가 심볼처리부(52)로부터 공급되었을 때, 공급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처리, 오류 정정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 등을 적절히 시행하여, 얻을 수 있는 소스 데이터(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어부(45)에 공급한다.
제어부(45)에 공급된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는, 기억부(44)에 기억되거나 또는,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신호 생성부(47) 및 콘트롤러(48)의 처리에 의해 대응한 화상이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도 8은 정보처리단말(21)과 리더 라이터(24)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에는, 렌즈(101)가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에 선단면(24A)이 접촉 또는 근접되었을 때, 표시부(11)로부터 출사되는, 심볼의 패턴을 나타낸 빛이 렌즈(101)를 통하여 리더 라이터(24)의 내부에 입사된다. 입사된 빛은, 하프 미러(half mirror)(102)에서 반사되어, 심볼검출부(103)에 의해 수광된다.
심볼검출부(103)에는, 빛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 센서가 어레이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하프 미러(102)에서 반사되어 수광된 빛으로부터, 그 때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이 검출된다. 심볼검출부(103)의 검출결과는, 케이블(23)을 통해 정보처리단말(21)의 심볼처리부(112)에 출력된다.
심볼 표시부(104)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에 의해 표시 가능한 LCD 등으로 구성되어, 표시부(11)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심볼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할 대, 심볼 표시부(104)는, 화상신호 생성부(111)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의거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를 나타낸 심볼을 순차로 표시하고, 자기 자신을 삽입하여 하프 미러(102)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빛을 이용하여, 심볼을 나타낸 빛을 표시부(11)에 형성되는 판독영역에 조사한다. 이 조사된 빛은, 하프 미러(102) 및 렌즈(101)를 통해서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제어부(114)는, ROM(도시하지 않음)이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진 기억부(118)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정보처리단말(2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115)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을 한다.
입력부(117)는, 소정의 입력버튼이나, 표시부(22)에 중첩하게 배치되는 터치 패널 등에 입력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제어부(114)에 출력한다.
화상신호 생성부(111)는, 심볼처리부(112)에 의해 생성되어 공급된 심볼 열의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 표시부(104)에 심볼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케이블(23)을 통해 심볼 표시부(104)에 출력한다.
심볼처리부(112)는, 표시장치(1)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할 때, 심볼검출부(103)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심볼을 복원하여, 표시부(11)에 표시된 심볼 열을 취득한다. 즉, 심볼을 검출하는 처리가 소정의 기간만큼 반복 실행되어,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심볼 열이 심볼처리부(112)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심볼처리부(112)는, 심볼 표시부(104)에 심볼을 표시하고, 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처리부(1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을 생성한다. 심볼처리부(112)에 의해 생성된 심볼의 데이터는, 화상신호 생성부(111)에 출력된다.
데이터 처리부(113)는, 심볼 표시부(104)에 심볼을 표시할 때, 제어부(114)로부터 공급된 소스 데이터(표시장치(1)에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스크램블, 오류 정정 블록의 부가, 변조처리 등을 적절히 시행하여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심볼처리부(112)에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13)는, 검출된 심볼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심볼처리부(112)로부터 공급되었을 때, 그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처리, 오류 정정처리 및 디스크램블처리 등을 적절히 시행하여 얻을 수 있는 소스 데이터(표시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제어부(114)에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114)에는,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116)가 접속되고, 자기 디스크(131), 광 디스크(132), 광자기 디스크(133) 또는 반도체 메모리(134) 등이 적절히 장착되고, 그리고 나서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18)에 인스톨(install)된다.
다음에, 도 1의 정보처리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정보처리단말(21)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시장치(1)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제어부(45)는,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하는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5)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소정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표시부(11)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그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부(11)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그 지시에 따라서, 프로그램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소스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당연히, 사용자는, 표시장치(1)의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하는 것을 표시장치(1)에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45)에 의해 취득된 소스 데이터는, 예를 들면, 화상신호 생성부(47)와 데이터 처리부(51)에 출력된다.
단계 S2에서, 데이터 처리부(51)는, 제어부(45)로부터 공급된 소스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 열에 의해 소스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도록 소정 단위의 데이터마다, 스크램블처리, 오류 정정 코드의 부가, 변조처리 및 동기코드의 부가 등을 적절히 한다.
또한, 전송되는 데이터의 타이틀이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보, 혹은, 데이터 양이나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서브데이터로서 적절히 부가된다. 데이터 처리부(51)에 의해 각종의 처리가 시행된 후에 얻을 수 있는 데이터는, 심볼처리부(52)에 공급된다.
심볼처리부(52)는, 단계 S3에서, 예를 들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심볼을 생성한다. 생성되는 심볼은, 각 셀이 흑백으로 코드화된 매트릭스형 심볼이어도 되고, 바코드가 겹쳐 쌓아져 코드화된 스택형 심볼이어도 된다.
소스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대응하는 소정 수의 심볼이 심볼처리부(52)에 의해 생성되어,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것 같은 심볼 열이 화상신호 생성부(47)에 출력된다.
단계 S4에서, 화상신호 생성부(47)는, 제어부(45)로부터 공급된 소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와, 심볼처리부(52)로부터 공급된 심볼 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를 중첩하여 얻어진 화상신호를 콘트롤러(48)에 공급하여, 소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과 함께 심볼을 순차로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대응하는 심볼(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심볼)이, 예를 들면, 화상의 근방 등의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다.
단계 S5에서, 콘트롤러(48)는, 전송하는 데이터를 나타낸 모든 심볼을 표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모든 심볼을 표시하였다고 판정할 때까지, 단계 S4로 되돌아가, 심볼의 표시를 순차로 반복한다. 그 후, 단계 S5에서, 모든 심볼을 표시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가 종료된다.
이때, 표시되어 있는 심볼을 받아들임으로써, 그 때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정보처리단말(21)에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데이터에 의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만큼, 심볼 열이 반복하여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10분간의 동화상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그 동화상의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심볼 열이, 화상의 표시와 아울러, 10분간 반복하여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표시되는 심볼을 리더 라이터(24)로 판독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장치(1)로부터 정보처리단말(21)에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9의 처리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정보처리단말(21)의 데이터 취득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이 표시부(11)에 접촉되고, 접촉된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의 동기코드(도 7)를 검출하였을 때, 심볼검출부(103)는, 단계 S21에서, 그것을 판독한다.
단계 S22에서, 심볼검출부(103)는, 모든 심볼을 판독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판독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1로 되돌아가서, 표시되는 심볼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심볼검출부(103)에 의해 판독된 심볼의 정보는, 예를 들면, 심볼처리부(112)에 순차로 출력된다.
심볼검출부(103)는, 예를 들면, 심볼 열의 종단의 심볼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을 검출하였을 때, 단계 S22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낸 모든 심볼을 판독하였다고 판정한다.
단계 S23에서는, 심볼처리부(112)가, 심볼 열을 디코드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13)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113)는, 심볼처리부(11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처리, 오류 정정처리, 디스크램블처리 등을 단계 S24에서 적절히 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1)에서는,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선택된 소스 데이터가 정보처리단말(21)에 의해 취득된다.
단계 S25에서는, 제어부(114)가, 데이터 처리부(113)에 의해 취득된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처리를 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윈도우(151)에, 동화상(151A)과, 동화상(151A)의 데이터를 나타낸 심볼(152)이 표시되어(도 9의 처리), 사용자가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심볼(152)을 판독하게 한 경우, 동화상(151A)의 소스 데이터가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되고(도 10의 단계 S21 내지 S24의 처리), 제어부(114)는, 단계 S25에서, 그 전송된 소스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화상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151)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화상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킬 수 있어, 표시장치(1)와 이격된 장소에서도, 정보처리단말(21)을 사용하여, 동화상(151A)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된 소스 데이터는, 단계 S25에서, 기억부(118)에 보존되거나, 통신부(115)를 통해 다른 기기에 송신되거나, 혹은, 드라이브(116)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도 11의 윈도우(161)에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된 텍스트 화상(161A)이 표시되어(도 9의 처리), 사용자가 윈도우(161)의 왼쪽 구석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162)을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판독하게 한 경우, 텍스트 데이터(소스 데이터)가 정보처리단말(21)에 전송된다(도 10의 단계 S21 내지 S24의 처리).
제어부(114)는, 단계 S25에서, 그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를 기억부(118)에 보존시키거나, 혹은, 대응한 화상(텍스트 화상)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도 11의 윈도우(171)에 표시되는 심볼(172)은, 음악 데이터를 소스 데이터로서 생성되어 표시되는 것으로(도 9의 처리), 심볼(172)에 리더 라이터(24)가 소정의 기간(음악 데이터의 데이터 양에 대응하는 심볼이 표시되는 기간)만큼 접촉되었을 때, 정보처리단말(21)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받아들여진다(도 10의 단계 S21 내지 S24의 처리). 그 받아들여진 음악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10의 단계 S25에서 재생되어, 정보처리단말(21)의 도시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이때, 윈도우(171)에는, 정보처리단말(21)에 받아들일 수 있는 음악의 타이틀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정보 등의 서브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음악이 흐르면서 동시에 윈도우(171)와 심볼(172)이 표시부(11)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되는 심볼(172)을 리더 라이터(24)로 판독되게 함으로써, 그 음악 데이터를 정보처리단말(21)에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소스 데이터로서, 소정의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이 취득된 경우, 윈도우(181)에는, 그 URL을 나타낸 심볼(182)이 표시된다(도 9의 처리). 리더 라이터(24)가 심볼(182)에 접촉되어, URL이 제어부(114)에 의해 취득된 경우, 제어부(114)는, 단계 S25에서, 통신부(115)를 제어하여, 그 취득된 URL에 의해 지정되는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그 액세스된 사이트의 화면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당연히, 윈도우(181)에 사이트의 화면이 심볼(182)과 함께 표시되어 있고, 그 심볼(182)을 판독되게 함으로써, 정보처리단말(21)에서도 사이트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표시되는 심볼을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판독되게 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직감적이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각종 데이터를 정보처리단말(21)에 받아들일 수 있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반대로,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처음에,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정보처리단말(21)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처리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1)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처리이다. 즉, 제어부(114)는, 단계 S41에서, 표시장치(1)에 전송하는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력부(117)에 대한 입력에 의해, 기억부(118)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그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제어부(114)는, 그 지시에 따라서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단계 S42에서, 데이터 처리부(113)는, 제어부(114)로부터 공급된 소스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 열에 의해 소스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도록 소정 단위의 데이터마다, 스크램블처리, 오류 정정코드의 부가, 변조처리 및 동기코드의 부가 등을 적절히 한다.
심볼처리부(112)는, 단계 S43에서, 예를 들면, 미리 준비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부(1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대응한 심볼 열을 생성한다. 생성된 심볼 열은, 화상신호 생성부(111)에 출력된다.
단계 S44에서, 화상신호 생성부(111)는, 심볼처리부(112)로부터 공급된 심볼 열의 데이터에 따라서, 심볼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하여, 심볼 표시부(104)에 순차로 표시시킨다.
심볼 표시부(104)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1)의 표시부(11)와 동일 주파수로 심볼 열의 각각의 심볼이 순차로 표시되고, 심볼을 나타내는 빛이 하프 미러(102) 및 렌즈(101)를 통해 리더 라이터(24)의 외부로 출사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이 표시부(11)에 형성되는 판독영역에 접촉되어 있을 때, 단계 S44에서 표시되는 심볼(리더 라이터(24)로부터 출사되는 심볼을 나타내는 빛)이 판독영역에서 판독된다(도 13의 단계 S62).
화상신호 생성부(111)는, 단계 S45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나타낸 심볼 열의 각 심볼을, 심볼 표시부(104)에 모두 표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4로 되돌아가, 심볼의 표시를 반복한다. 화상신호처리부(111)는, 단계 S45에서, 모든 심볼을 표시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의 처리에 대응하게 실행되는표시장치(1)의 데이터 취득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61에서는, 제어부(45)가, 표시부(11)의 소정의 위치에 판독영역을 설정한다. 즉, 제어부(45)는, 소정의 화소(TFT)에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판독영역을 표시부(11)에 형성한다.
판독영역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적으로 상시 형성되도록 하여도 되고, 그때까지 정방향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심볼이 표시되어 있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그 형성된 판독영역에 리더 라이터(24)의 선단면(24A)이 접촉되어, 리더 라이터(24)의 심볼 표시부(104)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을 나타내는 빛이 조사되었을 때, 심볼처리부(52)는, 단계 S62에서, 검출부(53)에 의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심볼을 판독한다.
상술한 것처럼, 심볼처리부(52)는, 판독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에서 누설전류가 검출된 경우, 그 화소의 정면에는 심볼의 화이트의 영역이 있는 것으로 하고, 한편, 누설전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그 화소의 정면에는 심볼의 흑색영역이 있는 것으로 하여, 판독영역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검출결과를 합성하여, 1개의 심볼을 판독한다.
심볼처리부(52)는, 단계 S63에서, 모든 심볼을 판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판독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2로 되돌아가서, 리더 라이터(24)에서 출력되는 심볼을 반복하여 판독한다. 검출부(53)에 의해 판독된 심볼의 정보는, 심볼처리부(52)에 순차로 출력된다.
심볼처리부(52)는, 단계 S63에서, 심볼 열의 종단인 것을 나타내는 심볼이 검출되었을 때,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든 심볼을 판독하였다고 판정하여, 단계 S64로 진행한다.
단계S64에서, 심볼처리부(52)는, 2차원 코드의 패턴과, 데이터의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심볼 열을 디코드하고, 이 얻어진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51)에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51)는, 단계 S65에서, 심볼처리부(5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처리, 오류 정정처리, 디스크램블 처리 등을 적절히 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단말(21)에서 선택된 소스 데이터가 표시장치(1)에 의해 취득된 상태로 된다.
단계 S66에서, 제어부(45)는, 데이터 처리부(51)에 의해 취득된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정보처리단말(21)의 표시부(22)에 표시되어 있는 동화상(22A)이, 표시장치(1)에 전송하는 데이터로서 선택된 경우, 동화상(22A)을 나타내는 심볼 열이 생성되고, 리더 라이터(24)로부터, 각 심볼을 나타내는 빛이 순차로 출사된다(도 12의 단계 S44).
그리고,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출사되는 심볼 열이, 표시부(11)의 우측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판독영역(192)에서 판독된 경우(도 13의 단계 S62), 윈도우(191)가 표시되고, 거기에, 판독된 심볼 열로부터 취득된 소스 데이터(동화상(22A)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화상이 표시된다(도 13의 단계 S66).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처리단말(21)에서 지정하여, 리더 라이터(24)를 판독영역(192)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지정된 화상을 표시부(11)에 확대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단말(21)이 PDA 등의 단말인 경우, 표시부(22)의 크기가 제한되므로, 화상의 상세함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지만,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표시부(11)에 화상을 확대 표시시킴으로써, 그 상세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정보처리단말(21)에서 선택된 음악 데이터가 표시장치(1)에 전송되었을 때, 표시장치(1)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재생되어, 재생음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정보처리단말(21)에서 지정된 URL이 표시장치(1)에 전송되었을 때, 표시장치(1)에 의해, 그 URL에 의해 지정된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가 통신부(43)를 통해 행해져, 액세스된 사이트의 화면이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간단히 데이터만이 송수신된다고 하였지만, 취득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내용을 지시하는 명령코드(지시정보)가 심볼 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심볼 열을 판독한 기기에 의해, 명령코드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가 실행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명령코드를 포함하는 심볼 열을 표시하고,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 전송하는 정보처리단말(21)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처리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여, 그것을 소스 데이터에 부가하는 처리가 행해진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도 12의 단계 S41 내지 S45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어부(114)는, 단계 S81에서, 소스 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 단계 S82로 진행하여, 취득된 소스 데이터에 명령코드를 부가한다. 예를 들면, 명령코드로서, 명령코드와 함께 전송된 소스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윈도우의 크기, 표시위치, 표시시간 등을 지시하는 코드나, 명령코드와 함께 전송된 소스 데이터에, 그 전송주(사용자)만이 표시장치(1)에서 재생할 수 있는 키를 설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코드 등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부가된다.
단계 S83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13)에 의해 명령코드가 부가된 소스 데이터에 각종의 처리가 시행된다. 또한, 각종 처리가 시행되어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단계 S84에서는, 심볼처리부(112)에 의해 심볼 열이 생성된다.
그리고, 단계 S85에서는, 각 심볼이 심볼 표시부(104)에 순차로 표시되고, 모든 심볼이 표시되었을 때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게 실행되는 표시장치(1)의 데이터 취득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01 내지 S105의 처리는, 도 13의 단계 S61 내지 S65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표시부(11)에 형성한 판독영역에서 심볼 열을 판독하고, 소스 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 단계 S106에서, 표시장치(1)의 제어부(45)는, 취득된 데이터로부터 명령코드를 추출한다.
단계 S107에서, 제어부(45)는, 추출한 명령코드에 의거하여 화상신호 생성부(47)를 제어하여,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명령코드로서, 표시부(11)의 소정 위치에 윈도우를 표시하여, 거기에,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코드를 추출한 경우, 제어부(45)는, 그 코드에 따라서 윈도우의 표시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45)는, 명령코드로서 윈도우의 사이즈를 지시하는 코드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지시되는 사이즈의 윈도우를 표시하여,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45)는, 명령코드로서,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표시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코드를 추출한 경우, 그것에 의해 지정된 시간까지 소스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계속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처리단말(21)에서 표시를 설정하여, 그 설정대로, 표시장치(1)에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송하는 데이터가 음악 데이터인 경우, 그 음악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음량을 지시하는 코드나, 재생모드(반복재생, 셔플 재생 등) 등을 지시하는 코드가 명령코드로서 포함되고, 그 명령코드에 따라서 표시장치(1)에서 음악 데이터가 재생된다.
도 17은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게 실행되는 표시장치(1)의 다른 데이터 취득처리에 관해서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는, 소스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 전송한 본인만이, 그 소스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코드가, 명령코드로서, 소스 데이터와 함께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전송된다.
단계 S121 내지 S126의 처리는, 도 16의 단계 S101 내지 S106의 처리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판독영역에서 판독한 심볼 열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취득하여, 명령코드를 추출하였을 때, 단계 S127에서, 표시장치(1)의 제어부(45)는, 그 취득된 데이터를 기억부(44)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에 키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의 명령코드에는, 정보처리단말(21)에 고유한 것으로서 설정되는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그 식별정보와 조합함으로써 키를 해제할 수 있는 심볼을 생성하고, 표시부(11)에 표시시킨다. 표시부(11)에 표시된 심볼과, 정보처리단말(21)의 식별정보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는 해독 심볼은, 보존하는 것이 지시된 데이터와 대응시켜 기억부(44)에 보존된다.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키가 설정되었을 때, 표시부(11)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이용하는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어, 그 데이터에 키를 설정하는 것이 명령코드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 제어부(45)는, 정보처리단말(21)의 식별정보와 조합하여 해독 심볼을 생성할 수 있는 심볼(201)을, 사용자명(사용자 A)의 바로 오른쪽에 표시시킨다. 이때, 사용자명은, 명령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장치(1)에 전송하고, 보존해 둔 데이터를 재생할 때,리더 라이터(24)에 의해 심볼(201)을 판독하여, 정보처리단말(21)에 키를 풀기 위한 해독 심볼을 생성시킨다.
예를 들면, 심볼(201)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는, 소정의 주기로 판독영역이 설정되기 때문에(심볼(201)이 표시되어 있는 화소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의 극성이 소정의 주기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새롭게 형성되는 판독영역에, 정보처리단말(21)에서 생성시킨 해독 심볼을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입력하여, 보존해 둔 데이터를 재생(출력)시킨다.
이때, 심볼의 표시와 판독영역의 형성이 주기적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8의 심볼(201)의 근방에 판독영역이 상시 설정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도 17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128에서, 제어부(45)는, 데이터 처리부(51)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해독 심볼이 판독영역에서 판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판독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상술한 것처럼 하여, 정보처리단말(21)에서 생성된 해독 심볼이 판독영역에 입력되었을 때, 검출부(53)에 의해 검출된 해독 심볼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심볼처리부(52) 및 데이터 처리부(51)를 통해 제어부(45)에 공급된다.
제어부(45)는, 단계 S128에서, 해독 심볼이 공급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29로 진행하여, 공급된 해독 심볼에 대응시켜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억부(44)로부터 판독 및 재생한다. 예를 들면, 보존되어 있던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부(11)에 표시되고, 보존되어 있던 데이터가 음악 데이터인 경우, 그 음악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자기 자신의 이름의 근방에 표시되는 심볼을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판독하여, 그에 따라서 생성된 해독 심볼을 표시장치(1)에 입력함으로써, 보존해 둔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감적인 조작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재생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8의 예에서는, 사용자 B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사용자 C가 사용하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키가 설정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가령, 사용자 A가 정보처리단말(21)의 리더 라이터(24)에 의해 심볼(202)(사용자 B가 사용하는 단말의 식별정보와 조합하여서 해독 심볼을 생성할 수 있는 심볼)을 판독한 경우이더라도, 사용자 B의 단말의 식별정보가 정보처리단말(21)에는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A는, 사용자 B에 의해 보존되어, 키가 설정된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이 보존하고 있던 데이터가 타인에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는, 단말의 식별정보와, 표시되는 심볼에 의거하여 해독 심볼이 생성되고, 그것에 의해 키를 해제할 수 있다고 하였지만, 키의 설정과 해독의 알고리즘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다음에,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5의 처리에 대응하게 실행되는 표시장치(1)의 또 다른 데이터 취득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지정하는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코드가, 명령코드로서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표시장치(1)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기기를 지정하는 정보인 어드레스 등이 명령코드에 포함되고, 그 명령코드가, 어드레스에서 지정하는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단계 S141 내지 S146의 처리는, 도 16의 단계 S101 내지 S106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판독영역에서 판독한 심볼 열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취득하여, 명령코드를 추출하였을 때, 단계 S147에서, 표시장치(1)의 제어부(45)는, 명령코드에 의해 지정되는 기기에게 취득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단말(21)에서 입력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기의 어드레스가 명령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5)는, 통신부(43)를 제어하여,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그 어드레스에서 지정되는 기기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처리단말(21)에 통신부(11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정보처리단말(21)에서 송신처의 기기를 지정하여, 리더 라이터(24)를 표시부(11)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표시장치(1)를 통해 다른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명령코드로서,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정보, 송신된 데이터에 키를 설정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 및 데이터의 송신처를 지정하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고 하였지만, 이외에도, 각종 정보를 명령코드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명령코드로서 데이터와 동시에전송하여, 그 명령코드를 취득한 기기에서, 명령코드에 따른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각각의 데이터의 우선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우선도에 따라서 표시되는 순서가 제어되거나, 또는, 각각의 데이터의 표시 사이즈가 제어된다. 또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기호정보(시청이력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표시되는 순서나 표시 위치 등이 제어된다.
이상에서는, 판독영역이, 표시부(1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심볼이 표시되는 위치에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표시부(11)의 주사와 아울러, 판독영역의 이동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0의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11)의 화면주사가 화면의 좌측 상단부터 1/60(초)의 주기로 행해지는 경우, 이 주사와 함께 역방향의 전압이 인가되는 화소가 전환됨으로써 판독영역(211)의 이동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표시부(11)에 리더 라이터(24)가 접촉되었는지의 여부가 1/60(초)의 주기로 스캔되게 된다.
이때, 표시부(11)에 윈도우(212)가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화상의 표시와 동시에, 판독영역으로서 1개의 화소(윈도우(212)의 화소)를 기능시킬 수 없기 때문에, 윈도우(212)가 표시되는 영역이외의 영역에서, 판독영역(211)에 의한 스캔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되는 표시부(11)의 위치 P에 사용자가 리더 라이터(24)를 접촉시키고 있을 때에, 판독영역(211)에 의해 위치 P가 스캔된 경우,리더 라이터(24)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이 판독영역(211)에 의해 판독되어, 정보처리단말(21)에서 선택된 데이터가 표시장치(1)에 전송된다.
데이터가 표시장치(1)에 전송되었을 때, 예를 들면, 판독영역(211)이 오른쪽 구석에 위치하도록 윈도우(221)가 표시되고, 거기에 받아들인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1)의 표면에 리더 라이터(24)가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주기적으로 스캔되어, 접촉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서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면, 리더 라이터(24)를 이동시키기 쉬운 위치, 또는, 윈도우를 표시시키고 싶은 위치, 즉, 좋아하는 위치에 리더 라이터(24)를 접촉시킴으로써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리더 라이터(24)로부터의 입력의 유무를 판독영역에 의해 스캔하여, 리더 라이터(24)가 접촉되었을 때에 정보처리단말(21)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표시장치(1)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61에서, 제어부(45)는, 소정의 화소에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판독영역을 설정하고, 단계 S162로 진행하여,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설정된 판독영역에 의해 스캔한다.
단계 S163에서, 제어부(45)는, 리더 라이터(24)가 표시부(11)의 표면에 접촉되어, 심볼의 입력이 판독영역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62로 되돌아가 스캔을 반복한다.
한편, 판독영역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이 검출되고, 심볼이 입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5)는, 판독영역의 이동을 정지하고, 단계 S164로 진행하여 심볼을 판독한다.
즉, 단계 S164 내지 S167에서는, 상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심볼의 판독처리를 실행하여 소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소스 데이터가 취득되었을 때, 제어부(45)는, 단계 S168에서, 리더 라이터(24)가 접촉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서 윈도우를 표시시키고, 거기에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게 설정되어 있는 판독영역에 리더 라이터(24)를 접촉시키지 않고, 좋아하는 위치에, 또한 용이하게 데이터를 표시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교적 넓은 범위로 판독영역이 형성되어, 그것이 이동된다고 하였지만, 1화소로 이루어진 판독영역에 의해 순차로 스캔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스캔이 행해지는 1화소에 의해 심볼의 입력이 검출되었을 때, 검출된 위치 주위의 소정의 범위에 판독영역이 확대 설정되어(검출된 위치의 주위의 화소의 극성이 전환되어), 그 설정된 판독영역에 의해, 리더 라이터(24)로부터 출사되는 심볼이 판독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의 유무를 검출하는 화소는, 필요한 최소한의 1화소만으로 좋기 때문에, 이에 따라, 그 1화소를 제외한, 다른 모든 화소에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순차로 스캔하는 경우라도, 보다 넓은 영역을 표시영역으로서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정보처리단말(21)에는, 심볼을 읽고 쓰기만 하는 리더 라이터(24)가 케이블(23)을 통해 접속된다고 하였지만, 표시부 22가, 표시장치(1)의 표시부 11와 마찬가지로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로 구성되어, 그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판독영역)로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리더 라이터(24)가 정보처리단말(21)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도 23은 표시장치(1)의 표시부(11)와 마찬가지로,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 표시 디바이스가 설치된 정보처리단말(231)의 외관도이다. 이와 같이,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표시장치(1)의 표시부 11에 정보처리단말(231)의 표시부 232를 접촉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상술한 것처럼 하여, 표시장치(1)와 정보처리단말 231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정보처리단말(231)의 표시부 232에 표시시킨 심볼을, 표시장치(1)의 표시부 11에 형성된 판독영역으로부터 판독시킴으로써, 정보처리단말(231)로부터 표시장치(1)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반대로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외부로부터의 빛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구동하도록 형성된 표시부 232의 판독영역에서, 표시장치(1)의 표시부 11에 표시되는 심볼을 판독시킴으로써, 표시장치(1)로부터 정보처리단말(231)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단말(231)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 위치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크기의 단말로 된다.
이상에서는, 표시장치(1)의 표시부 11은,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 EL 디스플레이 또는 LCD로 하였지만,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 242의 영역 243이 PDP(Plasma Display Panel)로서 구성되고, 영역 244가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되는 LCD로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형 디스플레이이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장치(241)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만(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심볼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PDP로 이루어진 영역 243과 LCD로 이루어진 영역 244에, 즉, 표시부(342) 전체에 화상을 표시하고, 한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심볼을 검출하는 판독영역을 형성해야 할 때, 영역 244의 소정 영역의 화소에 역방향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여, 판독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되는 EL 디스플레이나 LCD에 의해 표시부(242)의 전체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상술한 것처럼 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대화면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PDP로 이루어진 영역 243에만 화상이 표시되고, 영역 244의 전체에는, 외부로부터의 빛의 유무를 검출하는 광 센서가 어레이형으로 상시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당연히, 영역 244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장치의 가장자리(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나, 표시장치의 측면 등의 소정 위치에 광 센서가 설치되어서, 거기서 심볼이 검출되도록 하여도 되고, 심볼을 읽고 쓰기 위한 소형의 TFT 디스플레이(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EL디스플레이, LCD)가 설치되어서, 심볼의 표시와 검출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된다.
심볼을 읽고 쓰기 위한 소형의 TFT 디스플레이가 정보처리단말에 설치되는 경우, 그 외관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된 것으로 된다.
도 25에 도시되는 정보처리단말(251)에는, 표시부(252)가 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고, 표시부(252)의 바로 우측에는, 도면의 수직방향을 축으로 하여서 회동 가능한 리더 라이터부(253)가 형성되고, 거기에, TFT 디스플레이(254)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외부의 기기에 대하여 심볼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TFT 디스플레이(254)에는, 심볼이 순차로 연속하여 표시되고, 심볼에 대응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된다. 또한, 외부의 기기에 표시되어 있는 심볼을 검출하는 경우, TFT디스플레이(254)의 각 화소에는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어, 광 센서로서 구동을 한다.
이와 같이, 리더 라이터부(253)가 정보처리단말(251)의 케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252)와 TFT 디스플레이(254)의 정면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252)의 표시를 확인하면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표시부(252)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TFT 디스플레이(254)의 표시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것처럼, 도 1의 리더 라이터(24)의 내부에, 소형의 TFT 디스플레이(262)가 배치됨에 따라, 심볼의 표시와 검출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에서는,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 LCD에 의해서도, 역방향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서 구동시킬 수 있게 하였지만, 가령, 그 검출시에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이 오류 검출을 야기할 우려가 있을 때, 또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심볼을 검출할 수 있을 때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때만, 백라이트의 출력이 오프로 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TFT가 각 화소에 배치된 LCD에 의해서도, 백라이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빛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서 구동시킬 수 있어, 심볼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이 하여 행해지는 데이터의 송수신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기, PDA, 텔레비전 수상기, 음악 재생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표시부가 설치되는 여러 가지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상의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의 검출을 전환하는 동작에 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7은 표시장치(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두고, 중복된 설명에 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전환부(301)는, 콘트롤러(48)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각 화소에 설치되는 스위치(TFT)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각 화소를,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로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화소로서 구동시킨다. 즉, 상술한 구성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로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화소로서 구동시키는 것의 전환은, TFT의 게이트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행해지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예에서는, 전환부(301)에 의한 스위치의 전환에 따라서 행해진다. 전환부(301)에 의한 스위치의 온/오프에 연동하여, 각 화소에 설치되는 EL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이 전환된다(도 29).
이하, 적절히 RGB를 1조로 하는 화소를 "픽셀"이라고 칭하고, 1픽셀을 구성하는 RGB의 각각을 "서브픽셀"이라고 칭한다.
도 28은 도 27의 표시부(11)에 접속되는 각 신호선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데이터선과 수광신호선은, 각각, 왼쪽으로부터 1 내지 X까지의 X개만 배치되고, 게이트선과 전환선은, 각각 위로부터 1 내지 Y까지의 Y개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1)가 XGA(eXtended Graphics Array)사이즈의 디스플레이인 경우, X의 값은 1024×3(RGB)이 되고, Y의 값은 768이 된다.
도 27의 소스 드라이버(49)는, 데이터선(소스선)을 통해, 각 서브픽셀에, 표시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고, 게이트 드라이버(50)는, 게이트선을 통해, 각 행의 픽셀의 TFT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검출부(53)는, 수광신호선을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서브픽셀로서 구동하고 있는 서브픽셀에서 발생된 누설전류를 나타낸 수광신호를 검출하고, 전환부(301)는, 전환선을 통해, 각 서브픽셀을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로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서브픽셀로서 구동시킨다.
이때, 1픽셀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픽셀의 모두에서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1픽셀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픽셀중, 예를 들면 적색(R)등의, 1개의 서브픽셀에서만,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경우, 수광신호선의 수는, 각 픽셀에 한 개의 선씩, 즉, X가 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RGB의 각각의 수광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수광감도가 좋은 EL 소자를 갖는 서브픽셀만이, 화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서브픽셀로서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도 29는,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로서 구동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서브픽셀로서도 구동 가능한 서브픽셀에 형성되는 회로(점선내의 회로)의 예시도이다. 이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로서의 구동을 발광구동과,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서브픽셀로서의 구동을 수광구동으로 적절히 칭한다.
도 29의 서브픽셀이 발광구동을 하는 경우, 데이터 선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는 전류가 EL 소자에 공급되도록, 전환부(301)에 의해 트랜지스터 Tr3이 전환선을 통해 온(접속상태)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Tr3의 동작에 반전하여, 트랜지스터 Tr4와 Tr5가 오프(절연상태)가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Tr4 및 Tr5에는, 전환부(301)가, 그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전환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r3이 온인 상태에서 게이트선이 액티브로 된 경우(게이트단자 에 전압이 인가된 경우), 트랜지스터 Tr1이 온이 되고, 데이터 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하가 콘덴서 C에 충전된다. 또한, 콘덴서 C에 전하가 충전되어서 생기는 전위차 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Tr2가 개방하여, 트랜지스터 Tr2를 전류(+Vcc에 근거한 전류)가 흐른다. 이때, 트랜지스터 Tr3이 온으로 되고, EL 소자의 캐소드가 GND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Tr2에 의해 생긴 전류가 EL 소자의 애노드에 공급됨에 따라 EL 소자가 발광한다.
한편, 도 29의 서브픽셀이 수광구동을 하는 경우, 전환부(301)에 의해, 전환선틀 통해 트랜지스터 Tr3이 오프로 되고, 또한 그것에 반전하여, 트랜지스터 Tr4와 Tr5가 온으로 된다. 트랜지스터 Tr3이 오프로 된 상태에서 EL 소자에 빛이 입사된 경우, GND1과 -Vcc에 의해 캐소드가 고전위, 애노드가 저전위로 되기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입사광량에 따라서 누설전류 IEL이 생기고, 이것이, 트랜지스터 Tr4를 통해 트랜지스터 Tr6의 소스단자, 트랜지스터 Tr6과 Tr7의 게이트단자에 공급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Tr6과 Tr7에 의해 전류 거울회로가 형성되므로, 트랜지스터 Tr6의 소스단자에 입력된 전류에 비례하는 량의 전류 I(서브픽셀의 바깥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I)가, 트랜지스터 Tr5를 통해 트랜지스터 Tr7에 공급되어, 그것에 의하여 저항 R의 양단자 사이에 생긴 전위차 V-신호가 수광신호로서 추출된다.
이와 같이, 발광구동을 하기 위한 회로(트랜지스터 Tr1, Tr2, 콘덴서 C로 이루어진 회로)와 수광구동을 하기 위한 회로(트랜지스터 Tr4, Tr5, Tr6, Tr7로 이루어진 회로)중, 그 때에 동작을 하는 회로를 전환선을 통해 전환함으로써, 서브픽셀의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이 전환된다.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로를 갖는 서브픽셀이, 표시부(11)를 구성하는 1픽셀에 적어도 한 개 설치되고, 각 픽셀에서, 화상의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의 검출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도 3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표시부(11)에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그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 가능한 판독영역을 형성하여, 화상의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의 검출을 행하는 표시장치(1)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는, 제어부(45)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나, 그때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범위, 위치 등을 설정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표시부(11)의 전체면을 판독영역으로 하는 것, 표시부(11)의 소정의 범위만을 판독영역으로 하는 것, 소정의 범위만이 판독영역으로 되는 경우의 그 위치,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이동하는 판독영역인 것으로 한, 판독영역에 관한 각종 설정이 행하여진다.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범위, 위치 등을 나타내는 정보는, 콘트롤러(48)에 출력된다.
단계 S202에서는, 콘트롤러(48)가, 제어부(45)에 의해 설정된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범위, 위치 등과, 화상신호 생성부(47)로부터 공급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부(11)의 모든 행중, 소정 수의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과 수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을 선택한다. EL 디스플레이에서는, 소정 수의 행을 한 묶음으로 발광시켜, 그 한 묶음의 범위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예를 들면, 1/60초 등의 표시 주파수에 따라서 순차로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소정 수의 행이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으로서 선택된다.
단계 S203에서는, 콘트롤러(48)가, 처리대상의 행이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의 처리에 관해서는 단계S204로 진행한다. 또한, 콘트롤러(48)는, 수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의 처리에 관해서는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4에서는, 콘트롤러(48)가, 전환부(301)를 제어하여,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의 서브픽셀의 트랜지스터 Tr3(도 29)을 온으로 하고, 그와 동시에, 트랜지스터 Tr4와 Tr5를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수광구동을 하기 위한 회로(트랜지스터 Tr4, Tr5, Tr6, Tr7로 이루어진 회로)와 EL 소자의 접속이 차단된다.
또한, 콘트롤러(48)는, 단계 S205에서, 게이트 드라이버(50)를 제어하여 게이트 선을 액티브로 함과 동시에, 소스 드라이버(49)를 제어하여, 표시시킬 화상에 대응한 신호를 게이트 선으로부터 발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서브픽셀에 보낸다. 이에 따라, 발광구동을 행하는 서브픽셀에서는, 트랜지스터 Tr1이 온으로 되고, 데이터 선을 통해서 공급되는 전하가 콘덴서 C에 충전된다. 또한, 콘덴서 C에 전하가 충전됨으로써 생기는 전위차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Tr2가 개방하여, 트랜지스터 Tr2에 의해 생성된 전류에 의해 EL 소자가 발광한다.
발광구동을 하여서 선택된 행의 서브픽셀의 모두에서, 이러한 처리가 행해져, 형성되는 표시영역에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콘트롤러(48)는, 단계 S206에서, 수광구동을 행하게 하는 행의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서브픽셀의 트랜지스터 Tr3을, 전환부(301)를 제어하여 오프로 하고, 그것에 반전하여, 트랜지스터 Tr4와 Tr5를 온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EL 소자에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한 경우, 단계 S207에서는, 검출부(53)가, 입사광량에 따라서 생기는 누설전류 IEL에 의해 저항 R의 단자간에 생기는 전위차 V-신호를 수광신호로서 검출한다. 검출된 수광신호는, 심볼처리부(52)에 출력되어, 예를 들면, 상술한 심볼을 사용하는 등의,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검출된다.
단계 S205에서의 발광구동, 단계 S207에서의 수광구동이 행해진 후, 처리는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단계 S208에서는, 표시종료라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202 이후의 처리가 반복되고, 표시종료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29의 회로의 동작이 제어되어, 화상의 표시와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검출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이상의 처리에 따라서 표시부(11)에 형성되는 표시영역(발광구동을 행하는 픽셀(서브픽셀)로 이루어진 영역)과 판독영역(수광구동을 하는 픽셀(서브픽셀)로 이루어진 영역)의 예시도이다. 이때, 도 31a 내지 도 31c의 예는, 모두 표시부(11)의 표시 주파수에 해당하는, 소정의 1/60초 사이에서의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도 33a 내지 도 33c, 도 35a 내지 도 35c, 도 37a 내지 도 37c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표시영역의 선두(제 N 번째 행)와 판독영역의 선두(제 P 번째 행)가 같은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함께 가운데 흰색인 화살표로 표시된 것처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고, 최하행의 Y 번째 행까지 왔을 때는, 제 1 번째 행부터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1a에서는, 판독영역은, 그 종방향이 위로부터 제 P 번째 행을 선두(영역의 이동방향의 선두)로서 제 P-q 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와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판독영역에는 사선을 부여하였지만, 발광구동을 하지 않은 서브픽셀로 이루어진 영역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사선을 포함하는 어느 쪽의 화상도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영역은, 그 종방향이 위로부터 제 N 번째 행을 선두로서 제 N-m 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EL 디스플레이에서는, 소정 수의 행을 한 묶음으로 하여서 발광시켜, 그 한 묶음의 범위를 도면에서 가운데가 흰색인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순차로 이동시키는 것을 표시 주파수에 따라서 반복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되고 있고, 이 예에서는, 소정 1/60초간의 타이밍으로 발광구동을 하는 행의 수가 m으로 되어 있다. 이 표시영역이 표시 주파수에 따라서 순차로 이동함으로써 1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소정 1/60초간의 타이밍에서는, 그 때 발광구동하고 있는 표시영역에 의해, 예를 들면, 도 31a와 같이 인물 H의 일부(얼굴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영역이외의 영역은 발광구동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는 흑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31b는 도 31a의 동작이 행해진 후의, 소정 1/60초간의 타이밍에서의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도 31b에서는, 판독영역은, 그 종방향이, 제 P 번째 행(도 31a)부터 아래쪽에 있는, 위로부터 제 P'번째 행을 선두로 하여서 제 P'-q 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영역은, 그종방향이, 제 N 번째 행으로부터 아래쪽에 있는, 위로부터 제 N'번째 행을 선두로 하여서 제 N'-m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1b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인물 H는, 도 31a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표시범위가 아래쪽으로 전환되어 있다.
도 31c는, 도 31b의 동작이 행해진 후의, 소정 1/60초간의 타이밍에서의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도 31c의 예에서는, 판독영역은, 그 종방향이, 위로부터 제 P"번째 행을 선두로 하여서 제 P"-q 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영역은, 그 종방향이, 위로부터 제 N"번째 행을 선두로 하여서 제 N"-m번째 행까지로 되고, 횡방향이,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1c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인물 H는, 도 31b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비교하여, 표시범위가 아래쪽으로 전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판독영역의 횡방향을 표시부(11)의 횡방향 전체와 같다고 하고, 표시 주파수에 따라서 판독영역의 위치를 순차로 전환함으로써(순차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11)의 전체가 판독영역에 의해 스캔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1)의 어디에서도 외부로부터 빛을 조사하거나 함으로써 표시장치(1)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소정 1/60초간이 아니라, 소정의 기간을 전체로서 본 경우, 도 32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11)의 전체에 판독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라도, 소정 1/60초간에서는, 판독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표시영역이항상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연히 사용자는, 인물 H를 포함하는 화상의 전체를 볼 수도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3c는, 판독영역의 횡방향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31a 내지 도 31c와 마찬가지로, 표시영역의 선두(제 N 번째 행)와, 판독영역의 선두(제 P 번째 행)가 같은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함께, 가운데가 흰색인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위로부터 아래로 이동하여, 최하행의 Y 번째 행까지 왔을 때에는, 제 1 번째 행부터 그것을 반복함으로써, 표시영역과 수광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3a 내지 도 33c에서는, 수광구동하고 있는 서브픽셀로 이루어진 판독영역은, 그 횡방향이 표시부(11)의 제 L번째 열로부터 제 L+s번째 열까지의 범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환선을 통해, 서브픽셀마다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판독영역의 횡방향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횡방향이 제한된 판독영역의 위치가 순차로 이동함으로써, 표시부(11)의 제 L번째 열로부터 제 L+s번째 열까지의 범위에서 반복하여 스캔이 행해진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제 L번째 열로부터 제 L+s번째 열까지의 범위에, 외부로부터 빛을 조사하는 등으로 하여 소정의 정보를 표시장치(1)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소정 1/60초간이 아니라, 소정의 기간을 전체로서 본 경우, 도 34에 도식된 것처럼, 표시부(11)의 제 L번째 열로부터 제 L+s번째 열까지의 범위에, 판독영역이 형성된다.
도 35a 내지 도 35c는, 도 30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a 내지 도 35c에서는, 판독영역의 상하방향의 이동범위가,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까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제한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31a 내지 도 31c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도 35a 내지 도 35c에서는, 판독영역의 선두 행이 제 L'번째 행에 온 다음 순간, 제 L'-s'번째 행을 선두로 하여서 판독영역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판독영역의 종방향의 이동범위가 제 L'번째 행 내지 제 L'-s'번째 행의 범위가 되도록 제한됨으로써, 표시부(11)의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에서 반복하여 스캔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에 빛을 조사하여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장치(1)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소정 1/60초 사이가 아니라, 소정의 기간을 전체로서 본 경우, 도 36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11)의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까지의 종방향의 범위에, 그 횡방향을 표시부(11)의 횡방향과 동일하게 하는 판독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도 37a 내지 도 37c는, 도 33a 내지 도 33c에 도시된 것처럼, 횡방향의 범위를 제한하여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동작과, 도 35a 내지 도 35c에 도시된 것처럼, 그 종방향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판독영역을 형성하는 동작을 조합한 동작에 의해 판독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즉, 도 37a 내지 도 37c의 예에서는, 도 33a 내지 도 33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독영역의 횡방향이, 표시부(11)의 제 L 번째 열부터 제 L+s번째 열의 범위가 되도록 제한되고, 또한, 판독영역의 상하방향의 이동범위가,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가 되도록 제한되어 있다. 도 37a 내지 도 37c에 도시되는 표시영역과 판독영역은, 이 점을 제외하고, 도 31a 내지 도 31c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판독영역의 상하방향의 이동범위와 횡방향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표시부(11)의 제 L번째 열부터 제 L+s번째 열의 범위와,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에서 반복하여 스캔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는, 제 L번째 열부터 제 L+s번째 열의 범위, 또한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에 빛을 조사하여서 소정의 정보를 표시장치(1)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소정 1/60초 사이가 아니라, 소정의 기간을 전체로서 본 경우, 도 38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11)의 제 L'번째 행부터 제 L'+s'번째 행의 범위에, 그 횡방향을 제 L번째 열부터 제 L+s번째 열로 하는 사각형의 판독영역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도 20의 판독영역(화면전체를 이동하는 판독영역)은, 이와 같이, 도 38의 사각형의 판독영역의 형성범위가, 각 서브픽셀의 동작에 의해 순차로 전환되어서 실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서브픽셀마다 발광구동 또는 수광구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때의 목적에 따라서, 위치, 범위(크기), 이동시킬지 아닐지 등을 설정하여, 판독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되는 사각형의 판독영역이, 표시부(11) 상에 동시에 복수로 형성되도록, 판독영역의 수도,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한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수광함으로써 소정의 정보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수광에 관한 특성은, EL 소자의 재료 등에 따라서 다르게 된다.
여기서, EL 소자(유기 EL 소자)의 재료와 특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9에 도시된 것처럼, 애노드의 재료를 α, 발광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으로 이루어진 유기층의 재료를 β, 캐소드의 재료를 γ로 하여서 EL 소자를 생성하는 경우, 그 재료의 조합에 따라서 EL 소자의 수광감도는, 도 40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다르게 된다. 이때, 도 40은 발광구동을 하는 경우에, 적색(R)을 발광하는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40의 횡축은 파장 nm을 나타내고, 종축은 수광감도 A/W(광 전류(A)/입사광량(W))를 나타낸다.
도 40에서, 특성곡선 I11은, 애노드의 재료를 α1, 유기층의 재료를 β1, 캐소드의 재료를 γ1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특성곡선 I12는, 애노드를 α2, 유기층을 β2, 캐소드를 γ2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I13은, 애노드를 α3, 유기층을 β3, 캐소드를 γ3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특성곡선 I14는, 애노드를 α4, 유기층을 β4, 캐소드를 γ4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I15는, 애노드를 α5, 유기층을 β5,캐소드를 γ5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내고, 특성곡선 I16은, 애노드를 α6, 유기층을 β6, 캐소드를 γ6로 한 경우의 EL 소자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재료의 조합에 의해 EL 소자의 수광감도의 특성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0으로부터는, 적색을 발광하는 EL 소자는, 특히 390nm에 가까운 파장의 자외 광이나, 500nm 근방의 파장의 녹색 광에 대한 수광감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때 조사하는 빛으로서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단말(21)의 리더 라이터(24)를 이용하여, 표시장치(1)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리더 라이터(24)에 심볼(2차원 코드)을 표시시키기 위한 광원으로서, 자외선을 출사하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발광구동을 하고 있을 때에는 적색을 발광하는 EL 소자에 대하여(도 40의 수광감도를 갖는 EL소자에 대하여), 보다 확실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된 것처럼, 수광측의 디스플레이 A와 발광측의 디스플레이 B를 대향시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소정 픽셀 P1중 R의 서브픽셀이 수광구동을 하고, 또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픽셀 P2의 G의 서브픽셀이 발광구동을 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외부로부터의 광을 검출할 수 있는, 즉, 디스플레이 B로부터 디스플레이 A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도,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상술한 것처럼 전환선을 통해 회로의 구동을 전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가, 자기 자신이 출사한 빛의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표시부(11)의 표면에 근접시킨 것을 검출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도 4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손가락 F에 빛을 조사하는 서브픽셀은 녹색(G)을 발광하는 서브픽셀 SP11로 하고, 서브픽셀 SP11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손가락 F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서브픽셀은, 서브픽셀 SP11의 근방에 있는 적색(R)의 서브픽셀 SP12(발광구동을 행할 때에는 적색을 발광하는 서브픽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픽셀 SP11과 서브픽셀 SP12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손가락 F가 근접된 것을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서브픽셀 SP11이 있는 제 Y1번째 행과 서브픽셀 SP12가 있는 제 Y2번째 행의 간격은 수 행 간격으로 된다.
또한, 도 4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손가락 F를 검출하는 사각형의 판독영역이 표시부(11)의 위로부터 제 Y11번째 행부터 제 Y12번째 행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위치의 근방에 있는, 예를 들면, 도면에서 사선으로 도시된 상하의 범위 A1, A2의 픽셀이, 녹색을 발광하도록 동작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사용자의 입력(손가락 F가 가깝게 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F뿐만 아니라, 도 44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반사율을 갖는 물체 O를 표시부(11)의 표면에 가깝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표시장치(1)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물체 O를 가깝게 한 것을 검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물건과 같은 물건을 표시부(11)에 가깝게 하여서 정보를 입력한다고 하는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의 근접된 것의 검출도, 전환선을 통해 회로의 구동을 전환하여, 소정 행의 서브픽셀에 수광구동을 하게 하고, 그 근방의 서브픽셀에 발광구동을 하게 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출사한 빛의 반사광을 표시장치(1)에 검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이 근접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의 관점에서 검출할 수 있는 정보뿐만 아니라, 표시부(11)의 표면에 접촉시킨 손가락의 지문 등의 소정의 면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45는, 소정 타이밍에서의 표시부(11)(디스플레이)의 단면과, 표시부(11)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 F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6은, 도 45의 상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서브픽셀 SP11을 포함하는 발광구동을 하는 제 Y1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G)로 이루어진 발광영역으로부터 출사한 빛의 반사광을, 그 근방의 서브픽셀 SP12를 포함하는 수광구동을 하는 제 Y2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R)로 이루어진 판독영역에서 수광함으로써, 표시장치(1)는, 그 때 발광영역이 조사하고 있는 손가락 F의 횡방향 정보(도 45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지면방향의 요철 유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발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의 행과, 수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의 행의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도 46의 가운데가 흰색인 화살표로 도시된것처럼, 함께 아래방향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타이밍에서 취득되는 횡방향 정보(시분할로 취득되는 정보)를 합성함으로써, 표시장치(1)는, 사용자가 표시부(11)에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 F의 지문 전체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47a는,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것처럼, 제 Y1번째 행의 G의 서브픽셀을 발광시켜, 그 반사광을 제 Y2번째 행의 G의 서브픽셀에서 수광시켰을 때, 수광구동을 하고 있는 각 서브픽셀에서 발생된 수광신호의 출력(아날로그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a에서, 횡축은, 도 46의 횡방향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Y2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종축은, 제 Y2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의 각각의 수광신호선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47b는, 도 47a의 점선으로 도시된 임계값 이상의 출력을 1로 하고, 임계값 이하의 출력을 0으로 하여서 도 47a의 각 서브픽셀에서의 출력을 디지털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6의 가운데가 흰색인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발광영역과 판독영역을 함께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47a 및 도 4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력이, 발광영역이 조사하는 위치마다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위치에서 취득된 출력을 합성함으로써, 표시장치(1)는, 손가락 F의 표면 전체의 요철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지문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47b에 도시된 것처럼, 지문정보를 "1", "0"으로 2값화하는 것은 아니고, 도 47a와 같은 도 48a의 출력이 취득된 경우, 도 48b에 도시된 것처럼, 각서브픽셀의 출력에 소정 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디지털값의 출력에 계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표시부(11)에서는, 각 서브픽셀의 동작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된 것처럼, 지문을 검출하고 있는 위치의 근방에 지문표시영역(311)을 형성하고, 그 지문표시영역(311)에, 이미 검출된 행의 지문으로부터 순차로 지문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문이 검출되고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문표시영역(311)을 형성하고, 거기에 검출 완료의 지문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손가락 F를 접촉하고 있는 그 위치에, 검출 완료의 지문의 화상을 순차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수광구동을 하여, 지문의 검출을 끝낸 행의 서브픽셀로부터 순차로 표시구동을 하게 하여, 지문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이러한 검출을 하는 위치에 그 검출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은 근접된 것 또는 접촉하고 있는 것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정 수의 서브픽셀이 수광구동을 하게 함으로써, 표시장치(1)의 전방에 있는 대상을 촬상할 수도 있다.
도 50은 수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에 의해 촬상을 하는 경우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 Y1번째 행 내지 제 Y1+K번째 행의 R의 서브픽셀이 전환선을 통해 수광구동을 하여, 그 서브픽셀들에 촬상대상의 상을 맺는 렌즈를 표시부(11)(디스플레이)의 표면 등에 설치함으로써, 수광구동을 하고 있는 서브픽셀의 수광신호로부터 대상을 촬상할 수 있다.
도 51a는 도 50의 제 Y1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의 각각에서 검출되는 수광신호의 아날로그값으로의 출력을 나타내고, 도 51b는 제 Y1+K번째 행에 있는 서브픽셀의 각각에서 검출되는 수광신호의 아날로그값으로의 출력을 나타낸다. 또한, 도 52a는 도 51a의 출력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한 것이고, 도 52b는 도 51b의 출력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한 것이다. 이러한 출력을, 제 Y1번째 행 내지 제 Y1+K번째 행의 각각에 관해서 검출하여 그것들을 합성함으로써, 표시장치(1)의 전방에 있는 촬상대상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촬상결과를 촬상이 행해진 직후에 표시부(11)에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촬상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수광구동을 하고 있는 서브픽셀에서는, 가시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53에 도시된 것처럼, 적색 등의 가시광을 출사 가능한 레이저 포인터(321)(일반적으로 보급하고 있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도 표시장치(1)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3의 표시부(11)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예약화면이 표시되어 있고, 거기에, 채널선택버튼(331)이 표시되어 있다. 이 채널선택버튼(331)(1, 3, 4, 6, 8, 10, 12채널의 버튼)은, 예를 들면, 표시부(11)의 표시 주파수에 따라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교대로 하도록 되어 있고, 수광구동을 하고 있는 순간에 레이저 포인터(321)로부터의 빛이 조사됨으로써, 표시장치(1)는, 레이저 포인터(321)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53의 예에서는, "6채널"을 선택한 것이 검출된다.이때, 이 경우, 레이저 포인터(321)는, 단순히, 레이저 포인터(321)의 표면에 설치되는 버튼이 눌린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고, 그 이외의 기간은 출력을 오프로 하는, 도 54에 도시된 것 같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5의 레이저 포인터(321)가, 도 5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가시광을 출사하는 것이 가능한 것(데이터를 변조하여, 그것에 대응한 광(온/오프를 소정의 주파수로 출력 가능한 것)인 경우, 표시부(11)에 형성되는 데이터 입력용 창(331)에 대하여 레이저 포인터(321)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입력용 창(331)(판독영역)은, 수광구동을 하고 있는 서브픽셀로 형성된 것이다.
이상에서는, G의 서브픽셀이 발광구동을 하게 하고, 그 근방에 있는 R의 서브픽셀이 수광구동을 하게 하며, 표시부(11)의 표면에 근접된 물체의 유무 등을 검출하는 것에 관해서 주로 설명하였지만, 발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과 수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의 조합은, 그 조합(G와 R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것처럼, EL 소자의 전극과 유기층의 재료에 의해 수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의 수광감도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과 수광구동을 하는 조합은, 발광구동을 하는 서브픽셀과, 그 서브픽셀로부터 출사된 광에 대한 수광감도가 높은 서브픽셀의 조합이라면, 어떠한 서브픽셀의 조합이어도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된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매체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13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13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133)(MD(등록상표)(Mini-Disk)를 포함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134) 등으로 이루어진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이나, 기억부(11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 1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직감적인 조작으로, 또한 용이하게,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외부의 기기에 대하여 용이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직감적인 조작으로, 또한 용이하게, 외부의 기기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직감적인 조작으로, 또한 용이하게, 외부의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제 4의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의 표시와 함께,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37)

  1.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4.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1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 1 도형화상의 각각을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제 2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 2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제 2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5.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수단과,
    상기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어지는 2차원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1회의 화면주사로 1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표시수단은, 1프레임의 표시마다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출력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그 근방에 상기 도형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한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출력데이터가 상기 음악 데이터인 경우, 상기 출력수단에 의한 소리의 출력과 동시에,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1.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12. 다른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단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의 각각을 순차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표시제어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3.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낸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형화상은, 그 도형화상 중 1개에 의해 소정 데이터 양의 데이터가 나타내는 2차원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일부에,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도형화상이 검출되는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시키는 상기 표시영역의 각 화소에,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각 화소에 대하여 인가되는 전압과, 역방향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의 활성 반도체층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에 배치되는 전계발광소자에서, 외부로부터의 빛에 따라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에 의한 화면의 주사와 아울러 순차로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데이터에 부수되는 상기 입력데이터의 처리를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취득되었을 때,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입력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입력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지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상기 입력데이터의 다른 기기로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4.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을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5.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의 검출을 제어하는 검출제어단계와,
    상기 검출제어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6.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온 입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화상의 각각이, 상기 다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순차로 표시되는 것에 따라, 상기 도형화상의 검출을 제어하는 검출제어단계와,
    상기 검출제어단계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도형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7.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수단과,
    상기 전환수단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검출영역을,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검출영역과 다른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발광구동을 하는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표시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발광구동을 하는 제 1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1 화소의 근방에, 수광구동을 하는 제 2 전계발광소자를 갖는 제 2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소정의 물체가 근접된 것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가,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광을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물체의 면 정보를,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계발광소자는, 소정의 파장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이고,
    상기 제 2 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소정의 파장의 빛에 대한 수광감도가 높은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물체의 상을 결상하는 결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결상수단에 의해 결상되는 상기 물체의 상을 외부로부터의 입력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5.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상기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6.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한 정보처리를, 컴퓨터가 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상기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37. 각 화소의 전계발광소자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정보처리장치에 의한 정보처리를, 컴퓨터가 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계발광소자에 의한 발광구동과 수광구동을 전환하는 전환단계와,
    상기 전환단계의 처리에 의한 전환에 따라서 수광구동을 하는 상기 전계발광소자가 수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전류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검출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30063092A 2002-09-10 2003-09-09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KR100963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3630 2002-09-10
JPJP-P-2002-00263630 2002-09-10
JPJP-P-2003-00281480 2003-07-29
JP2003281480A JP4200435B2 (ja) 2002-09-10 2003-07-29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70A true KR20040023770A (ko) 2004-03-18
KR100963475B1 KR100963475B1 (ko) 2010-06-17

Family

ID=3230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092A KR100963475B1 (ko) 2002-09-10 2003-09-09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90336B2 (ko)
JP (1) JP4200435B2 (ko)
KR (1) KR100963475B1 (ko)
CN (1) CN1279460C (ko)
TW (1) TWI290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18395C (en) * 1998-01-27 2005-03-22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Multifunction video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JP2003067208A (ja) * 2001-08-23 2003-03-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133733A (ja) * 2002-10-11 2004-04-3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06168B2 (ja) * 2003-07-16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読み取り装置
JP4055722B2 (ja) * 2003-11-10 2008-03-05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el表示装置
JP4507698B2 (ja) * 2004-05-24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042721B2 (ja) * 2004-05-27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入出力装置
JP4041993B2 (ja) * 2004-06-01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受光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4635498B2 (ja) * 2004-07-21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487690B2 (ja) * 2004-08-27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898505B2 (en) * 2004-12-02 2011-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ystem
JP4628827B2 (ja) * 2005-03-14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
JP4934976B2 (ja) * 2005-03-24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6276223A (ja) 2005-03-28 2006-10-12 Sony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618026B2 (ja) 2005-07-12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および受光を行う表示装置を用いた検出方法
US7570246B2 (en) * 2005-08-01 2009-08-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pulse-width-modulated visible light
US7920208B2 (en) * 2005-08-11 2011-04-05 Mario Maraci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y means of transmitted signals over visual media
JP4665699B2 (ja) * 2005-10-07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マスク制御装置およびマスク制御方法
JP2007102729A (ja) * 2005-10-07 2007-04-19 Sony Corp 画像入出力装置、物体認識プログラム、情報入力プログラム、命令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パネル制御方法
JP2007163891A (ja) 2005-12-14 2007-06-28 Sony Corp 表示装置
US8610670B2 (en) 2006-08-31 2013-12-17 Japan Display West Inc. Imaging and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dium, and object detection method
JP2008116921A (ja) 2006-10-10 2008-05-2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356026B2 (ja) 2006-10-10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受光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191119B2 (ja) 2006-12-06 2013-04-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542422B (zh) 2007-02-23 2013-01-23 索尼株式会社 图像拾取装置、显示及图像拾取装置和图像拾取处理装置
US8638317B2 (en) 2007-03-16 2014-01-28 Japan Display West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91345B2 (en) * 2007-09-04 2018-10-02 Apple Inc. Media out interface
JP2009080761A (ja) * 2007-09-27 2009-04-16 Sony Corp 情報読み取り装置、および情報読み取り方法
JP4835578B2 (ja) 2007-11-09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撮像装置、物体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物体の検出方法
JP2009116769A (ja) 2007-11-09 2009-05-28 Sony Corp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99220B1 (ko) * 2007-12-04 2010-12-07 에이.티 코뮤니케이션즈 가부시끼가이샤 2차원 코드 표시 시스템, 2차원 코드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
CN101689083B (zh) 2008-03-24 2013-01-02 株式会社日本显示器西 成像设备、显示与成像设备、检测对象的电子设备和方法
JP5203070B2 (ja) 2008-07-07 2013-06-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その受光レベル補正方法、ならびに画像入力方法
JP5027075B2 (ja) * 2008-08-05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画像処理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入出力装置
US20100060592A1 (en) * 2008-09-10 2010-03-11 Jeffrey Traer Bernste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Optical In-LCD Sensing
BRPI0906069A2 (pt) 2008-10-21 2015-06-30 Sony Corp Dispositivo de captação de imagem, de exibição e captação de imagem e eletrônico.
JP4748266B2 (ja) 2009-01-30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20105404A1 (en) * 2009-06-24 2012-05-0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light sensors
US20110187731A1 (en) * 2009-07-10 2011-08-04 Yasuhiro Tsuchida Marker display contro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arker display control method
JP5246795B2 (ja) 2009-08-19 2013-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センサ装置、センサ素子の駆動方法、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81127B2 (ja) * 2009-08-19 2014-04-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センサ装置、ならびに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664548B2 (en) 2009-09-11 2014-03-04 Apple Inc. Touch controller with improved diagnostics calibration and communications support
JP5275956B2 (ja) 2009-10-15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US9735303B2 (en) 2010-03-25 2017-08-15 Nri R&D Patent Licensing, Llc Color imaging using color OLED or LED array as color light-field imaging sensor
CN105094228B (zh) * 2010-08-13 2019-01-11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TWI450154B (zh) * 2010-09-29 2014-08-21 Pixart Imaging Inc 光學觸控系統及其物件偵測方法
US9851849B2 (en) 2010-12-03 2017-12-26 Apple Inc. Touch device communication
US20130104039A1 (en) * 2011-10-21 2013-04-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US9767528B2 (en) 2012-03-21 2017-09-19 Slim Hmi Technology Visual interface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EP2858269B1 (en) 2012-05-24 2018-02-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WO2014067045A1 (zh) 2012-10-29 2014-05-08 Tsai Hsiung-Kuang 数据传输系统
JP2014106490A (ja) * 2012-11-29 2014-06-09 Buffalo Inc 符号画像処理システム、符号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88574B2 (en) 2012-12-27 2015-03-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using bright line image
US10951310B2 (en) 2012-12-27 2021-03-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er
US10523876B2 (en) 2012-12-27 2019-12-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9560284B2 (en) 2012-12-27 2017-01-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specified by striped pattern of bright lines
US10530486B2 (en) 2012-12-27 2020-01-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and program
US9087349B2 (en) 2012-12-27 2015-07-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EP2940901B1 (en) 2012-12-27 2019-08-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play method
CN104871453B (zh) 2012-12-27 2017-08-2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影像显示方法和装置
US9088360B2 (en) 2012-12-27 2015-07-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9341014B2 (en) 2012-12-27 2016-05-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ing change in luminance
JP5603523B1 (ja) 2012-12-27 2014-10-0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制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608725B2 (en) 2012-12-27 2017-03-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eptio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940889B1 (en) * 2012-12-27 2019-07-3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Visible-light-communication-signal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0303945B2 (en) 2012-12-27 2019-05-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9608727B2 (en) 2012-12-27 2017-03-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witched pixel visible light transmitting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US8922666B2 (en) 2012-12-27 2014-12-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US8913144B2 (en) 2012-12-27 2014-12-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EP3054673B1 (en) * 2013-09-30 2020-11-25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WO2015156828A1 (en) * 2014-04-07 2015-10-15 Wayne Steidle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dynamic marks into visual images in a detectable manner
CN105094476B (zh) 2014-05-05 2019-07-30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模块及其触控控制器
TWI566224B (zh) * 2015-07-23 2017-01-11 達意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紙顯示裝置、訊息傳遞系統及其方法
CN107039005B (zh) * 2015-07-23 2019-12-10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装置、信息传递系统及其方法
US9454259B2 (en) * 2016-01-04 2016-09-27 Secugen Corporation Multi-level command sensing apparatus
WO2017188715A2 (ko) * 2016-04-28 2017-11-02 크루셜텍 (주) 언더글라스 적용이 가능한 발광 지문 인식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741290B1 (en) * 2016-06-30 2017-08-22 Secugen Corporation Multi-mode display
KR102570180B1 (ko) * 2016-11-28 2023-08-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센서 일체형 전계 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5608B2 (ja) * 1993-09-17 2003-05-12 株式会社東芝 有機el素子
US5742905A (en) * 1994-09-19 1998-04-21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ersonal communications internetworking
JPH0934722A (ja) 1995-07-18 1997-02-07 Fujitsu Ltd システム移行方法及び装置並びにインストール方法及び装置
JPH1040095A (ja) 1996-07-26 1998-02-13 L Ii Tec:Kk プログラム実行メモリー内蔵のセキュリティチップ
JPH10143595A (ja) 1996-11-12 1998-05-29 Casio Comput Co Ltd 分離型電子機器
JP4296607B2 (ja) 1997-08-06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出力装置及び情報入出力方法
JP2000200193A (ja) 1999-01-06 2000-07-18 Toshiba Tec Corp デ―タ処理装置
US6864860B1 (en) * 1999-01-19 2005-03-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ownloading data using video
US6281820B1 (en) * 1999-07-12 2001-08-28 Pointse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display screen
JP2001222483A (ja) * 2000-02-09 2001-08-17 Sony Corp 情報転送方法および情報転送システム
US7024466B2 (en) * 2000-04-07 2006-04-04 Movielink, Llc Network configured for delivery of content for download to a recipient
JP4010105B2 (ja) 2000-04-25 2007-1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情報表示装置、情報読取装置及び情報受渡方法
US20020175915A1 (en) * 2001-05-23 2002-11-28 Lichtfuss Hans A. Internet image projector
TW508526B (en) * 2001-06-15 2002-11-01 Compal Electronics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a power-saving external image output port
JP2003067208A (ja) 2001-08-23 2003-03-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424623B2 (en) * 2002-03-28 2008-09-09 O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Personal computer integrated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930658B2 (en) * 2002-05-10 2005-08-16 Rit Display Corporation Contrast-adjustable panels and displays via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3999A (zh) 2004-05-05
US7190336B2 (en) 2007-03-13
JP4200435B2 (ja) 2008-12-24
US20040125053A1 (en) 2004-07-01
TW200411518A (en) 2004-07-01
TWI290689B (en) 2007-12-01
JP2004127272A (ja) 2004-04-22
CN1279460C (zh) 2006-10-11
KR100963475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475B1 (ko)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JP419281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10714554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image sensor
KR102326169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4201191B2 (ja) ディスプレイおよびセンサ装置
KR20170018258A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1414068A (zh) 具光电薄膜晶体管的光学传感器
JP2010092340A (ja) 画像表示/像検知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108303A (ja) 像検知/表示装置
JP2010109467A (ja) 画像表示/像検知装置
JP2010113481A (ja) 入力装置
JP200705855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WO2011074292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93497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1001308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0122383A (ja) 表示装置
JP2006091708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5126897B2 (ja)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22444A (ja) 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装置の制御方法、地図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126896B2 (ja) 電子機器、通信領域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19064A (ja) 色検出装置、色検出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色検出方法
JP5126898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92272A (ja) 画像表示/像検知装置、補助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0693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10122888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