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416A -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416A
KR20040023416A KR1020020055131A KR20020055131A KR20040023416A KR 20040023416 A KR20040023416 A KR 20040023416A KR 1020020055131 A KR1020020055131 A KR 1020020055131A KR 20020055131 A KR20020055131 A KR 20020055131A KR 20040023416 A KR20040023416 A KR 2004002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filling
artificial
turf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안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안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안상사
Priority to KR102002005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416A/ko
Publication of KR2004002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 축구전용 구장의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천연잔디 축구운동장의 경기 감각과 가장 가깝도록 경기장 성능을 향상시켜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비가 최소화된 청결유지비 정도만 필요하며 특히 천연잔디 구장의 탄성도와 같거나 거의 가깝도록 탄성도 유지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넘어지거나 심한 태클시에도 몸의 접촉만 없으면 안전한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운동장 바닥의 평탄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천연잔디 구장에서 비가 오거나 비가 끝난후에 경기를 하면 잔디 밑의 요철 부분이 심한 것에 비하면 천연잔디 구장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층인 완충 층은 기층 표면에 포설된 인조잔디(축구전용 인조잔디)술 속에 페타이어를 파쇄한 고무 알갱이를 충진시켜 반영구적인 완충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고무 알갱이(입자)의 크기는 1.5mm∼2mm 이하의 혼합용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 천연잔디 구장과 가까운 효능을 항상 유지할 수 있으며, 긴 수명과 부분 개보수가 용이하여 반영구적 사용도 가능하고, 옮겨서 재시공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synthetic grass structure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of}
종래의 인조잔디 구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조잔디를 접착 포설하기 위한 표층공사로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11) 150mm 두께로 타설하고, 충격흡수층인 완충층을 발포고무패드(12) 10mm를 인조잔디에 부착시켜 표층상에 전면적으로 접착하며, 인조잔디의 폭은 나일론실을 이용하여 기계 미싱으로 잔디를 궤매어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조잔디 구조체는 물을 뿌려서 사용하는 워터필드(water field) 구장일 경우에는 인조잔디술의 길이가 12∼13mm인 것을 사용하고, 규사를 충진하여 사용하는 샌드필드(sand field) 구장일 경우에는 인조잔디술의 길이가 25mm인 것을 사용한다.
종래의 인조잔디 구장은 잔디폭 벌어짐 현상이 일어난다. 즉, 잔디폭 벌어짐 현상은 발포고무패드(12)와 인조잔디의 수축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포고무패드(12)의 성능의 저하는 인조잔디 구조체가 시공된 후 많이 사용하는 부분부터 3년이 되면 폭 벌어짐 현상이 시작된다.
산성비에 약한 PVC 패드(pad)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잔디폭 벌어짐 현상은 5년 이후에는 30mm가 벌어지는 곳도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50mm가 벌어지는 곳도 발생되기 때문에 항상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있다.
이와같이, 인조잔디술의 길이가 13mm를 사용하는 워터필드 구장에는 하키경기 이외에는 잔디 구조체에 물을 뿌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화상의 염려뿐만 아니라 잔디와의 마찰계수가 높아 운동선수들이 경기중 발이 미끄러지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경기중 역회전, 급정지시 발목이 접질리는 발목부상이 발생되고, 심할 경우에는 무릎 관절에 영향을 미쳐 경기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된다. 또한 잔디구장의 하자발생에 따른 유지보수비가 부수적으로 많이 소요되며 큰 기술이 필요하다.
지하 60cm 정도의 깊이에 배수관을 매설하고 그 위에 잡석을 덮고 쇄석층 위에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층을 도포시키고 경화 기층을 형성하며, 경화 기층의 표면에 본드(접착제)를 도포시키고 충격 흡수층(완충 층) P.V.C 폼(foam) 패드(pad)위에 경기에 필요한 인조잔디를 전면 접합하며, 인조잔디의 폭과 폭은 미싱을 이용하여 전면 접합하는 방식으로 인조잔디를 포설한다.
완충 층으로 사용되는 P.V.C 폼 패드 10mm가 가장 많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접착제로 사용되는 우레탄 접착제 또한 많은 환경오염의 발생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충격 흡수층으로 사용하는 P.V.C 폼 패드는 외국에서는 5년 사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적인 이유로 8년을 사용한다.
P.V.C 폼 패드의 취약점은 짧은 수명과 폭 이음 벌어짐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층이나 아스팔트 층으로 표층 마감이 되어 있을시는 많은 양의 비가 올때는 직접 배수가 매우 불량하게 되어 정상적인 축구경기를 기대하기 힘들고 전천후 사용이 불가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조잔디 구장의 시공시표층 마감에 콘크리트 층이나 아스팔트 층 대신에 직접 투수가 잘 되도록 기층의 변화가 없도록 한 표층에 투수콘 4cm∼7cm 두께로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일체형으로 타설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5 는 도 2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기초지반 시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 : 투수콘 2 : 바닥판 3 : 필라멘트사(세사,가는실)
4 : 폐타이어 고무칩 5 : 폴리에틸렌(P.E)
6 : 석분층 7 : 쇄석층 8 : 상토층
9 : 맹암거 10 : 통공 11 : 아스콘(또는 콘크리트)
12 : 발포고무패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구조체는,
기층 변화가 없도록 한 표층에 투수콘 4cm∼7cm 두께로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일체형으로 타설하고, 투수콘 표층위에 인조잔디 35mm∼60mm를 포설하고 포설한 인조잔디 술(pile)속에 폐타이어를 파쇄한 1.5mm∼2mm 고무 알갱이를 충진시켜 반영구적인 충격 흡수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조성 방법은,
일정한 폭을 갖는 인조잔디체를 다수의 열로 포설하고 포설된 각 인조잔디의 양쪽 가장자리의 이음부를 전용 접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단계와, 포설된 각 인조잔디체의 술(pile) 속에 약간의 규사를 충진시키는 단계와, 페타이어 고무 알갱이(rubber chip) 1.5mm∼2mm를 잔디속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용신안등록 제0230073호, 특허등록 제0274692호, 실용신안등록 제0184138호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 는 도 2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기초지반 시공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 포설 방법은 표층 표면 전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인조잔디를 경기장에 맞도록 펼쳐 놓은 후 중앙지점을 중심으로하여 한폭 한폭 펼쳐가며 인조잔디의 폭과 폭만을 폭이음 전용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용 테이프에 전용 접착제를 칠하여 인조잔디의 폭과 폭을 연결시켜 잔디의 늘어짐이나 어그러짐이 없도록 정밀 시공을 하면 마치 운동장 크기만한 한장으로 된 인조잔디 멍석과 같은 형태가 된다.
만일, 지각 변동 등 기층 표면에 균열 또는 틈새가 발생한다 해도 인조잔디를 표면에 접합하지 아니한 관계로 경기장의 인조잔디는 조금도 벌어짐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장의 인도잔디 설치방법은 도 5 와 같이 기층 변화가 없도록 한 표층에 투수콘 4cm∼7cm 두께로 평탄도 유지를 하면서 일체형으로 타설하여 경기장과 인조잔디 포설 조건을 적정하게 하며, 직접 투수가 원활하게 하여 준다.
일정한 폭을 갖는 인조잔디 체(잔디 폭)를 다수의 열로 포설하고 포설된 각 인조잔디의 양쪽 가장자리의 이음부를 접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단계, 포설된 각 인조잔디체의 술(pile) 속에 약간의 규사를 충진시켜 과격한 경기자의 가격에도 잔디의 움직임이 전혀 없게 하는 단계, 천연잔디 축구장에서 요구되는 탄성도(FIFA 85)에 가까운 탄성도가 되도록 페타이어 고무 알갱이(rubber chip) 1.5mm∼2mm를 잔디속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만, 인조잔디 술(pile)속에 페타이어 알갱이 충진은 한번에 끌낼수 없으며 최초 2∼3개월 간은 사용하여 가면서 부분적으로 보충하여 가며 충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후에는 별로 관리할 것이 없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 술(pile)속에 중진된 충진물의 고른 하중으로는 경기장 내의 인조잔디는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이지 못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조잔디는 축구전용 구장용으로 겨울철에도 부드럽고 피부에 직접 닿아도 아무런 손상이 없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여 천연잔디 효과와 거의 동일한 직모로만 된 술(pile) 35mm∼60mm로 된 술과 술 사이에 수세미 같이 꼬불꼬불(크림프)하게 된 술 28mm∼52mm를 9개∼12개의 술이 주기적으로 제직된다.
직모로만 된 60mm 잔디술 속에 고무 알갱이를 충진사용한 결과 외부에서 과격한 태클이 가할때 잔디 밑까지 힘이 가해질 수 있어 잔디 속에 충진된 고무 알갱이가 안정성이 불안하게 되어 질 좋은 구장이 되기 힘들어 직모로 된 잔디 술(pile) 직모의 길이 85%∼90% 정도의 길이인 크림프 사(수세미 같이 꼬불한 세사)를 직모사로 된 크림프 사 위에 충진된(직모로 된 잔디 술까지 채워진) 고무 알갱이는 외부 압력시 자유롭게 이동이 되어 경기자의 작용 반작용시 매우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발목 겹질림이 없고 무릎관절 보호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안정도 유지와 작용 반작용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잔디 축구 운동장의 경기 감각과 가장 가깝도록 경기장 성능을 향상시켜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비가 최소화된 청결유지비 정도만 필요하며, 긴 수명과 부분 개보수가 용이하여 반영구적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옮겨서 재시공도 가능하다.

Claims (4)

  1. 기층 변화가 없도록 한 표층에 투수콘 4cm∼7cm 두께로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일체형으로 타설하여 직접 투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콘 표층위에 인조잔디 35mm∼60mm를 포설하고 포설한 인조잔디 술(pile)속에 폐타이어를 파쇄한 1.5mm∼2mm 고무 알갱이를 충진시켜 반영구적인 충격 흡수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3. 일정한 폭을 갖는 인조잔디체를 다수의 열로 포설하고 포설된 각 인조잔디의 양쪽 가장자리의 이음부를 접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단계,
    포설된 각 인조잔디체의 술(pile) 속에 약간의 규사를 충진시키는 단계,
    페타이어 고무 알갱이(rubber chip) 1.5mm∼2mm를 잔디속에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조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인조잔디체의 표층에 투수콘을 4cm∼7cm 두께로 포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조성 방법.
KR1020020055131A 2002-09-11 2002-09-11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KR20040023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31A KR20040023416A (ko) 2002-09-11 2002-09-11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31A KR20040023416A (ko) 2002-09-11 2002-09-11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416A true KR20040023416A (ko) 2004-03-18

Family

ID=3732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131A KR20040023416A (ko) 2002-09-11 2002-09-11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41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67B1 (ko) * 2006-11-22 2008-02-26 (주)지케이 인조잔디 매트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물
KR100903808B1 (ko) * 2009-02-06 2009-06-25 최안성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KR100974665B1 (ko) * 2010-02-26 2010-08-06 (주)비이텍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KR100974664B1 (ko) * 2010-02-26 2010-08-06 (주)비이텍 인조 잔디 구장용 배수 장치
KR100976157B1 (ko) * 2008-06-10 2010-08-16 이태섭 표면무배수로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11043529A1 (en) * 2009-10-07 2011-04-14 Sungyull Lee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KR101031997B1 (ko) * 2009-03-10 2011-04-29 주식회사 베노 운동장의 인조잔디 포설방법 및 포설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67B1 (ko) * 2006-11-22 2008-02-26 (주)지케이 인조잔디 매트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물
KR100976157B1 (ko) * 2008-06-10 2010-08-16 이태섭 표면무배수로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03808B1 (ko) * 2009-02-06 2009-06-25 최안성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KR101031997B1 (ko) * 2009-03-10 2011-04-29 주식회사 베노 운동장의 인조잔디 포설방법 및 포설구조
WO2011043529A1 (en) * 2009-10-07 2011-04-14 Sungyull Lee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US8455063B2 (en) 2009-10-07 2013-06-04 Sungyull Lee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KR100974665B1 (ko) * 2010-02-26 2010-08-06 (주)비이텍 인조 잔디 구장 및 그 시공 방법
KR100974664B1 (ko) * 2010-02-26 2010-08-06 (주)비이텍 인조 잔디 구장용 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4179A (en) Playing surface for athletic games
JP3305323B2 (ja) 合成テニスコートの基本構造及びその製法
KR20050028148A (ko) 운동장용 기층재
KR20040023416A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KR100621678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설치 방법
JPS587005A (ja) 人工芝生製運動競技場の施工方法
JP2009257055A (ja) 人工芝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JP7198587B2 (ja) 舗装パネル
JP3211083U (ja) プレハブ式人工芝構造体
KR102170750B1 (ko) 전천후 멀티 하드코트
KR200184138Y1 (ko) 인조잔디구장의 인조잔디구조체
JPH0115690Y2 (ko)
KR200230073Y1 (ko) 축구전용 인조잔디운동장의 인조잔디 구조체
JPH076165Y2 (ja) 人工芝生製舗装構造体
CN213267383U (zh) 透气型塑胶跑道结构
CN220564988U (zh) 一种丙烯酸球场地面结构
James Surface classification, func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KR101031997B1 (ko) 운동장의 인조잔디 포설방법 및 포설구조
KR101118142B1 (ko) 운동장용 탄성층 구조
JP2660800B2 (ja) 人工芝生製運動競技場
KR200337289Y1 (ko) 운동장용 기층재
JPS60123603A (ja) 人造芝生グリ−ンの下地構造
EP1428935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playing surfaces
CN113152206A (zh) 一种免维护人造草红土网球场及修建方法
JPS61287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