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808B1 -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808B1
KR100903808B1 KR1020090009623A KR20090009623A KR100903808B1 KR 100903808 B1 KR100903808 B1 KR 100903808B1 KR 1020090009623 A KR1020090009623 A KR 1020090009623A KR 20090009623 A KR20090009623 A KR 20090009623A KR 100903808 B1 KR100903808 B1 KR 10090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rtificial turf
soil
drain groov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안성
Original Assignee
최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안성 filed Critical 최안성
Priority to KR102009000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는,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인조잔디층(10); 상기 인조잔디층의 하부에 형성된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하부에서, 토사 60 내지 85부피%, 시멘트 15 내지 40부피%로 구성되어 있는 소일시멘트층(4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층(5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상 부위를 함입하여 일정 행렬로 배치된 배수 홈(30); 상기 배수 홈(30) 내에서 일정 부피를 가지도록 충진되어 있는 잔골재(31); 상기 부직포층(20)과 소일시멘트층(30)의 측 단 외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70); 상기 배수 홈(30)의 측 단 부위에서 상기 배수 홈(30)의 바닥면보다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집수탱크(32); 상기 집수 탱크(32)의 상 부위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평 필터(62); 상기 배수 홈(30)과 집수탱크(32)의 측 단과 상기 배수로(70) 사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 필터(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조잔디, 인조잔디 배수 구조체, 소일시멘트

Description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ASSEMBLY FOR FORMING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성형 구조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일 시멘트층의 투수성을 이용하여 토사층으로 일정량의 수분을 투수함으로써 토사층의 지하수를 보존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구조를 제공할 뿐 아니라 막힘 현상 없이 원활하게 배수는 물론 이물질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합성수지를 통해 천연잔디의 대용품으로서 제작된 조경 재료의 일종으로서, 천연잔디가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과 달리 시공 후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할 수 있고 환경조건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실내 정원 내지 운동장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인조잔디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층에 식재하여 인조잔디 매트 형태로서 형성이 되고 단순히 이러한 인조잔디 매트만을 설치 장소에 까는 것으로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배수 공사 및 토사층과의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골재 를 인조잔디 매트 하부에 설치해야 한다.
도 1은 운동장, 골프장과 같은 장소에서의 기존 인조잔디 설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공지의 인조잔디 설치 구조는 인조잔디 매트(층)(1) 하부에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자갈 등의 골재로 이루어진 골재층(2)을 마련하고 이 골재층(2) 하부의 토사층(4)에 배수관(유공관)(3)을 설치하여 배수를 유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현재 골재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충분한 두께를 이루기 위한 골재층(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작비용이 상당히 많게 소요되고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고, 토사층(4)에 배수관(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흘러 토사층(4)이 서서히 침하되거나 약간 가라앉을 경우 배수관(3) 설치위치가 유동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따를 뿐 아니라 골재층(2) 하부에 배수관(3)이 설치되다보니 행여 배수관(3)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배수관 공사를 하게 될 때 골재층(2)을 걷어내고 배수 보수 공사를 해야 하는 유지보수의 단점이 따랐다.
골재층의 가격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콘크리트 내지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 내지 시멘트층은 투수성이 부족하여 토사층으로 수분을 공급하지 못해 토사층의 지하수 보존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따라 실제 인조잔디 설치 구조체로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경비 절감을 도모하고자 콘크리트를 이용하되 투수성을 보장하여 지하수 보존 및 수분 함유 성질을 충분히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흡수된 수분의 원활한 배수의 도모하고 빗물 등의 유량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까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인조 잔디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량의 투수성을 보장하는 소일시멘트 층을 포함하여 경비 절감은 물론 토사층으로의 원활한 투수를 통해 지하수 보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잔디 성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로를 소일시멘트층의 상부에 제공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배수의 용이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로에 일정량의 잔골재를 충진하도록 하여 유량 흐름 속도 제어를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수로의 끝단에 집수탱크 및 복수 개의 필터를 설치하여 유량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여 보다 원활한 배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 필터의 일 부위에 이물질 배출 구조를 제공하여 유량 변화 및 급격한 마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거품 등의 이물질을 신속히 배출하여 안정된 배수 상태를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는,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인조잔디층(10); 상기 인조잔디층의 하부에 형성된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하부에서, 토사 60 내지 85부피%, 시멘트 15 내지 40부피%로 구성되어 있는 소일시멘트층(4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층(5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상 부위를 함입하여 일정 행렬로 배치된 배수 홈(30); 상기 배수 홈(30) 내에서 일정 부피를 가지도록 충진되어 있는 잔골재(31); 상기 부직포층(20)과 소일시멘트층(30)의 측 단 외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70); 상기 배수 홈(30)의 측 단 부위에서 상기 배수 홈(30)의 바닥면보다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집수탱크(32); 상기 집수 탱크(32)의 상 부위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평 필터(62); 상기 배수 홈(30)과 집수탱크(32)의 측 단과 상기 배수로(70) 사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 필터(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 홈은, 상기 소일시멘트층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0.5 내지 0.7 도로서 하향 경사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수직 필터는, 상 부위에 횡 방향으로 2 내지 3개로서 관통 연장 형성된 이물질 유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의하면,
1) 소일시멘트를 이용하여 인조잔디 설치비용의 절감을 추구함과 동시에 투수성을 확보하여 지하수 보존 및 전체적으로 토사층에서 수분을 일정량 함유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2) 배수 홈을 소일시멘트층의 상부에 형성하여 인조잔디층과 부직포층만을 걷어내고 배수 보수를 시행할 수 있는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3) 잔골재에 의하여 유량 흐름 속도 제어를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집수탱크에 의하여 일정 수준의 유량을 임시 수용하여 급격한 배수 흐름에 의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거품 등의 이물질까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어셈블리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인조 잔디층(10), 부직포층(20), 소일 시멘트층(40), 토사층(5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일 시멘트층(40)은 부직포층(20)과의 경계부위인 상 부위에 함입 구성되어 있는 배수 홈(30)을 포함하고 있다.
인조 잔디층(10)은 공지의 인조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매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공지된 인조 잔디층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조 잔디가 통상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에 심어져 있는 상태를 취하며, 베이스층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이 통공을 통해 빗물을 하부로 유입하게 된다.
부직포층(20)은 인조 잔디층(10) 하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조 잔디층(10)의 통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다시금 하부로 투과하고 친수성 성질을 제공할 뿐 아니라 완충 역할도 겸비하며 부직포(20)층 바로 아래 위치한 배수 홈(30)에 구비된 잔골재(31)의 유실을 방지하고 내부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조절,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직포층(20)의 두께는 과수원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부직포층의 두께를 사용할 수가 있거나 그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일 시멘트층(40)은 토사 60 내지 85부피%, 시멘트 15 내지 40부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부에 위치한 토사층(50)으로 물을 일정량만큼 투수할 수 있는 성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소일 시멘트층(40)은 상기와 같은 토사 및 시멘트의 부피 비율 혼합으로서 대략 15 내지 25% 가량의 수분을 토사층(50)으로 투수하여 토사층(50) 내의 지하수를 보전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다.
도 4는 소일 시멘트층의 상부위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소일 시멘트층(40)의 상 부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장되어 있는, 즉 일정 행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배수 홈(3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 홈(30)은 소일 시멘트층(40)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측 단을 향해 대략 0.5 내지 0.7° 정도의 하향 구배를 가지고 있어 소일 시멘트층(30)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물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또한, 배수 홈(30)의 내부 공간에는 5 내지 7 mm 가량의 직경을 가진 규사로 이루어진 잔골재(31)가 일정 두께(부피)(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물의 흐름에 쉽사리 쓸려가지 않을 정도의 수준)로서 적층되어 있다.
잔골재(31)는 배수 홈(30)에 빗물 등이 찰 경우 물의 흐름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물의 급격한 흐름을 조절하는바 비가 내릴 때 급격하게 빗물이 배수 홈(30)을 타고 소일 시멘트층(40)의 주변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소일 시멘트층(40)의 하부에는 토사층(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 토사층(50)은 일반 지반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토사층과 동일한 성질을 갖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배수 홈(30)을 타고 흘러간 수분(빗물 등)소일 시멘트층(40)의 가장자리(측 단, 끝단, 종단이라고도 칭함) 부위까지 흘러가게 되는데, 소일 시멘트층(40)의 가장 자리 부위에는 배수 홈(30)보다 하방 내측으로 깊게 함입 구성되어 있는 집수 탱크(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집수 탱크(32)의 상 부위, 즉 배수 홈(30)의 바닥 면과 동일 선상인 수평 방향으로 수평 필터(62)가 안착되어 있다.
또한, 부직포층(20)과 소일 시멘트층(40)(집수탱크의 외측 단)의 측 단에는 수직하게 수직 필터(60)가 형성되어 있고, 부직포층(20)과 소일 시멘트층(40)의 외측 단 바깥쪽으로는 배수로(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로(70)의 상 부위, 즉 외측 표면 부위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집수 패널(61)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 필터(60)는 부직포층(20)/소일 시멘트층(40)과 배수로(70) 사이에서 양자(부직포층/소일 시멘트층과 배수로)의 경계를 설정하면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배수공(65)이 형성되어 있되 이 배수공(65)은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즉 3 내지 4.5mm 가량의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수평 필터(62) 역시 3 내지 4.5 mm 가량으로서 잔골재(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 개의 배수공(6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배수 원리를 설명하면, 우선 부직포층(20)과 소일 시멘트층(40) 가장자리 부위 상면, 즉 인조잔디 주변 표면에 설치된 집수 패널(6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가장자리 부위에 잔류한 빗물이 배수로(70)로 유입이 된다. 이와 동시에, 배수 홈(30)을 따라 집수 탱크(32) 위치까지 이른 수분(빗물 등)은 수평 필터(62)의 배수공(65)을 통과하여 집수 탱크(32) 내에 임시적으로 집수가 된다.(물론, 수직 필터의 집수공에 의하여 물이 배수로로 빠져나가 실제 집수탱크에서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순간적으로 집수가 된다는 의미를 표현함 것임)
집수 탱크(32)는 배수 홈(30)을 타고 온 빗물이 임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비가 많이 내려 빗물의 양이 증가하였을 때 급격하게 빗물이 배수로에 집중되어 빗물이 배수로(70)로 원활히 배수되지 못하고 다시 소일 시멘트층(40)의 중앙 부위 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즉, 배수 홈(30)의 측 단 부위를 일정 깊이로서 깊게 함입 형성함으로 빗물이 임시적으로나마 이 함입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여 물이 배수로(70)로 순간적으로 과잉 집중되는 현상을 조절한 다음 서서히 배수로(70)로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거나, 배수 홈(30) 끝단의 폭넓은 수직 길이를 확보하여 빗물이 집중되더라도 역 류 현상 없이 배수로(70)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배수 홈(30)의 끝단 내지 집수 탱크(32)로 흘러온 빗물은 수평 필터(62)의 집수공(65)을 통과하여 배수로(70)로 배수가 되며, 이 때 수직 필터(60)(수평 필터 포함)에 형성된 배수공(65)은 잔골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잔골재(31)가 배수공(65)을 따라 배수로(70) 측으로 유출될 우려는 없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수 홈(30)에서 집수 탱크(32)로 이어지는 모서리 부위를 깎아 챔퍼(chamfer) 처리하여 하 방향(집수 탱크의 바닥 면을 향한 방향)으로 부드럽게 경사지게 이어지도록 하여 빗물이 자연스럽게 집수 탱크(32)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필터의 상 부위에 횡 방향으로 연장된 이물질 유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빗물 흐름 상태라면 빗물이 집수 탱크(32) 내에서 곧바로 또는 배수 홈(30)의 중간 높이 이하 수준 정도까지 찬 다음 수직 필터(60)의 배수공(65)을 타고 배수로(70)로 배출될 것이나,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려 유량이 많아지거나 빗물 흐름이 빨라질 경우 빗물이 배수 홈(30)의 끝단에 위치한 잔골재(31)와의 격한 마찰로 인해 수직 필터(60) 주변, 특히 수직 필터(60)의 상 부위에서 와류 내지 거품이 발생할 개연성이 있게 된다.
특히 거품은 순수한 빗물에서보다 인조 잔디층(10)에 식재된 인조 잔디의 세척을 위해 행여 투입되는 합성세제 내지 화학물질(기타 이물질 포함) 등에 의하 여 보다 많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거품은 수면 상으로 부유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수직 필터(60)의 상 부위에 잔류하여 수직 필터(60)의 배수공(65)을 따라 배수로(70)로 원활하게 물이 배수되는 현상을 방해하는 악영향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수직 필터(60)의 상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예를 들어 2 내지 3개로서 길게 관통(슬릿) 형식으로 연장된 이물질 유출부(66)를 마련하여 이를 통하여 배수 홈(30)의 끝단 상측 높이까지 차오른 거품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배수로(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물질 유출부(66)의 형성 두께는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 이물질 유출부(66)에 의한 공간을 통해 잔골재(31)가 배수로(70)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형성 어셈블리에 의하면 소일 시멘트층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토사층으로 일정량의 수분을 투수함으로 지하수 보존을 유지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인조 잔디 형성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인조 잔디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빗물 및 기타 이물질의 배수를 보다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지 않거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운동장, 골프장과 같은 장소에서의 기존 인조잔디 설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대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소일 시멘트층의 상부위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필터의 상 부위에 횡 방향으로 연장된 이물질 유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조 잔디층 50: 토사층
20: 부직포층 60: 수직 필터
30: 배수 홈 61: 집수 패널
31: 잔골재 62: 수평 필터
32: 집수 탱크 65: 집수공
40: 소일시멘트층 66: 이물질 유출부
70: 배수로

Claims (5)

  1.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로서,
    인조잔디가 식재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인조잔디층(10);
    상기 인조잔디층의 하부에 형성된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의 하부에서, 토사 60 내지 85부피%, 시멘트 15 내지 40부피%로 구성되어 있는 소일시멘트층(4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하부에 형성된 토사층(50);
    상기 소일시멘트층(40)의 상 부위를 함입하여 일정 행렬로 배치된 배수 홈(30);
    상기 배수 홈(30) 내에서 일정 부피를 가지도록 충진되어 있는 잔골재(31);
    상기 부직포층(20)과 소일시멘트층(30)의 측 단 외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70);
    상기 배수 홈(30)의 측 단 부위에서 상기 배수 홈(30)의 바닥면보다 하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집수탱크(32);
    상기 집수 탱크(32)의 상 부위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평 필터(62);
    상기 배수 홈(30)과 집수탱크(32)의 측 단과 상기 배수로(70) 사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잔골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집수공(65)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 필터(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집수 패널이 추가로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은,
    상기 소일시멘트층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0.5 내지 0.7 ° 로서 하향 경사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에서 상기 집수탱크로 이어지는 모서리 경계 부위는, 챔퍼(chamfer)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필터는,
    상 부위에 횡 방향으로 2 내지 3개로서 관통 연장 형성된 이물질 유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KR1020090009623A 2009-02-06 2009-02-06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KR10090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23A KR100903808B1 (ko) 2009-02-06 2009-02-06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623A KR100903808B1 (ko) 2009-02-06 2009-02-06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808B1 true KR100903808B1 (ko) 2009-06-25

Family

ID=4098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623A KR100903808B1 (ko) 2009-02-06 2009-02-06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8375A1 (en) 2010-05-17 2011-11-23 Armacell Enterprise GmbH Drainage system providing damping properties
KR101188204B1 (ko) 2011-01-10 2012-10-09 (주)대원그린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CN105692908A (zh) * 2016-03-09 2016-06-22 四川大学 用于集约化养殖场的生物滞留系统
KR101844463B1 (ko) * 2017-06-29 2018-04-03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 배수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122A (ja) 1996-07-25 1998-02-10 Dyflex Corp 人工芝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00044963A (ko) * 1998-12-30 2000-07-15 윤석구 인조잔디구장의 인조잔디설치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설치된인조잔디구조체
KR20040023416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코리안상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KR100834039B1 (ko) 2007-04-12 2008-05-30 오태주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122A (ja) 1996-07-25 1998-02-10 Dyflex Corp 人工芝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00044963A (ko) * 1998-12-30 2000-07-15 윤석구 인조잔디구장의 인조잔디설치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설치된인조잔디구조체
KR20040023416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코리안상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조성 방법
KR100834039B1 (ko) 2007-04-12 2008-05-30 오태주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8375A1 (en) 2010-05-17 2011-11-23 Armacell Enterprise GmbH Drainage system providing damping properties
KR101188204B1 (ko) 2011-01-10 2012-10-09 (주)대원그린 천연잔디 식생용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CN105692908A (zh) * 2016-03-09 2016-06-22 四川大学 用于集约化养殖场的生物滞留系统
KR101844463B1 (ko) * 2017-06-29 2018-04-03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 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US10385520B2 (en) Sports field construction
CA2904083C (en) Permeable paving system
CN104982249A (zh) 一种用于马路中间绿化带的雨水花园
EP2514870A1 (en) Site surfacing and the use thereof
KR100903808B1 (ko) 인조 잔디 성형 어셈블리
CN109403181A (zh) 一种透水路面
CN112982072B (zh)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CN207619770U (zh) 一种快速排水的透水地坪
CN106499002A (zh) 草坪绿地雨水循环利用系统
CN104878827A (zh) 道路排水结构
CN206233301U (zh) 草坪绿地雨水循环利用系统
CN204690894U (zh) 道路排水结构
KR102072409B1 (ko) 나무여과상자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CN107268379A (zh) 一种结实道路及其施工工艺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CN209760390U (zh) 一种市政雨水调蓄系统
CN209082278U (zh) 一种海绵城市生态道路路基结构
CN208844710U (zh) 一种下凹式绿化带雨水收集渗透排水箱涵
CN104213488B (zh) 顶部可种植绿化植物的复合型雨水排水暗沟渠及施工方法
CN207121779U (zh) 一种轻载道路雨水收集利用系统
CN101606480B (zh) 一种雨水渗集节灌系统
CN205804565U (zh) 一种集水井以及安装该集水井的地下排水系统
CN209759941U (zh) 一种市政雨水渗透装置
CN111395098B (zh) 优先流通道集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