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021A -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021A
KR20040023021A KR1020020054633A KR20020054633A KR20040023021A KR 20040023021 A KR20040023021 A KR 20040023021A KR 1020020054633 A KR1020020054633 A KR 1020020054633A KR 20020054633 A KR20020054633 A KR 20020054633A KR 20040023021 A KR20040023021 A KR 2004002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public
private
network
public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719B1 (ko
Inventor
함영철
이귀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719B1/ko
Priority to US10/650,987 priority patent/US7308257B2/en
Priority to AU2003244562A priority patent/AU2003244562B2/en
Priority to JP2003318336A priority patent/JP4015604B2/ja
Priority to CNB031568327A priority patent/CN1253031C/zh
Publication of KR2004002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알리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각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갖는 홈위치 등록기와,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호 발신 또는 착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설정하는 라우팅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UBLIC BUSY STATE OF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통화중인 구내 이동통신망 가입자에게 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통화중(Busy)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사설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사설용(이하 "구내"라고 함) 이동통신망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두 망은 상호 연동이 불가능하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들은 공중 이동통신서비스이거나 아니면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만이 가능하게 각각 설계되고 구현되어 있어서 각 망에 등록된 이동단말기의 가입자는 자신이 등록된 망에서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공중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이동단말기의 가입자는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으며, 마찬가지로 구내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이동단말기의 가입자는 공중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그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가입자가 하나의 이동단말기로 공중 이동통신서비스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그리고 공중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현될 경우 호 착신시 착신된 호가 공중 이동통신망에서 발신한 호인지 구내 이동통신망에서 발신한 호인가를 구별하는 방법이 요망된다.
그러나 근래 공중 이동통신망에 등록된 이동단말기의 가입자가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2000년 5월 24일 출원된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 출원 번호 제2000-028095호에는 공중망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내 이동통신망에 등록하여 구내 사설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공중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함께 제공받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설망 내에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하면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은 메세지 라우팅(Routing) 과정에서 공중망 발신 여부 및 착신 여부는 알 수 있으나 통화 종료 여부는 알수 없었다. 즉, 공중망과 통화중인 구내 무선 사설망 가입자에게 착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통화중 상태에서 채널의 할당/해제 등의 메시지가 트래픽 상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구내무선시스템에서 분석하는 것이 불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 가능한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설망 영역 내에서 공중망 통화중인 상태를 구내 무선망 시스템이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설망 영역 내에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착신 요구가 온 경우 공중망 통화중임을 알려주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용 및 사설용 이동통신 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용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pHLR에 저장된 사설용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정보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알리는 구내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구내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각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갖는 홈위치 등록기와, 구내 이동통신망에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호 발신 또는 착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설정하는 라우팅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중/사설 이동통신시스템은 ATM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채널의 할당/해제등의 메세지가 트래픽이 아닌 별도의 신호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은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구내무선단말의 공중망 통화종료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여 공중망 통화중 처리기능을 체공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구내 무선망내에서 공중망 통화중인 상태를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이 알수 있도록 하여, 구내 무선망 영역내에서 해당 무선단말로 착신요구가 온 경우 공중망 통화중임을 알려주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하위단 기지국들의 채널들이 공중망호를 위하여 할당되는 것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구내 무선망 시스템 내의 BTMR(pBTS Message Router)은 기지국 또는 상위 BSC로의 메시지를 라우팅하게 된다. BTMR은 구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위 시스템(상위 BSC 및 인접 상위 BSC)으로부터 채널할당 요구가 있는 경우 이 정보를 기록하고 추후 채널할당이 완료된 경우 이 정보를 토대로 사설 HLR내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이 채널에 대한 해제가 이루어진 경우 BTMR은 현재 이 호에 할당딘 공중망 채널의 수를 판단하여 모든 공중망 채널이 해제될 때 사설 HLR내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중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념을 설명하기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중 및 구내 이동통신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 공중 및 구내 공유 통신서비스 영역인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이 있으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는데 유익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정 회사가 하나의 빌딩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 빌딩이 속한 영역(area)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으로 정할 수 있다.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을 정하는 것은 사전에 공중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와의 협의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private BTS: 8-k)이 공중 이동통신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공중 기지국처럼 인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 출원 명세서에서는 공중 이동통신시스템에 속해있는 기지국(BTS)들 즉, 도 1에 일 예로 도시된 BTS들(6-1,,,6-k, 8-1)과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사설 기지국(8-k)을 구별하기 위해서 상기 사설 기지국(8-k)을 "pBTS(private BTS)로 칭한다. pBTS(8-k)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속해 있는 MS(24)와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통해 공중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 예컨대, 도 1의 도시된 BSC(4-m)와 연결된다. 공중/사설 통신서비스 장치(12)는 공중 이동통신시스템의 BSC(4-m), PSTN/ISDN(16), IP망(Internet Protocol Network)(18)과 접속된다.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공중 이동통신서비스 및 구내 이동통신서비스가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에 있는 MS들에게 예컨대, 도 1의 MS(24)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서비스를수행한다. 만약 MS(24)가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MS(24)는 공중 이동통신서비스는 물론이고 구내 이동통신서비스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MS(24)에 대한 구내 이동통신서비스 등록이 상기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장치(12)에 되어 있지 않다면 MS(24)는 공중 이동통신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PSTN/ISDN(16) 및 IP망(18)과의 유선 통신 서비스도 수행한다.
한편 공중 이동통신망은 통상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라 칭해지며, 그 공중 이동통신시스템의 일 예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동 교환국들(MSC: Mobile Switching Center)(2-1,..,2-n), 복수개의 기지국 제어국들(BSC: Base Station Controller)(4-1,..,4-m), 복수개의 기지국들(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6-1,..,6-k, 8-1,..,8-k), 이동단말기들(MS: Mobile Station)(20,22), 및 HLR/VLR(Home Location Regis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1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MSC들(2-1,..,2-n) 각각에는 복수개의 BSC들(4-1,..,4-m)이 연결되며, 복수개의 BSC들(4-1,..,4-m) 각각에는 복수개의 BTS들(6-1,..,6-k, 8-1,..,8-k)이 연결된다. 특히 pBTS(8-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중 이동통신 시스템의 BSC(4-m)에 연결된 복수개의 BTS들(8-1,..,8-k)중 하나로서 연결되어 있다. 복수개의 MSC들(2-1,..,2-n) 각각은 자신에 연결된 복수개의 BSC들(예컨대, 4-1,..,4-m)을 PSTN/ISD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이나 공중 이동통신망내 타 MSC과의 접속 제어를 수행한다. 복수개의 BSC들(4-1,..,4-m) 각각은 무선링크 제어,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BTS들(6-1,..,6-k, 8-1,..,8-k)은 자신의 통신 서비스영역 즉, 자신의 셀 영역에 속해 있는 MS(20,22,24)와 함께 무선통신로를 구성하고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HLR/VLR(10)에서, HLR은 가입자 위치등록 기능 및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VLR은 복수개의 MSC들(2-1,..,2-n)중 대응 MSC가 담당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MS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만약 MS가 다른 MSC가 관리하는 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VLR에 저장된 정보는 삭제된다. 본원 출원명세서에서는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과 구별을 하기 위해서 공중 이동통신시스템의 BTS들(6-1,..,6-k, 8-1,..)의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중 전용 셀 영역으로 칭한다. 도 1에서는 그 일 예로 공중 이동통신 시스템의 BTS들(6-1,..,6-k, 8-1,..)중 BTS(8-1)의 통신 서비스 영역을 공중전용 셀 영역(15)으로서 표기하였다. 통상 상기 공중 전용 셀 영역(15)은 특정 집단의 통신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는데 유익하도록 정해진 공중/사설 공유 셀 영역(14)보다 훨씬 넓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구내 이동통신시스템 하위단 기지국들의 채널들이 공중 호를 위하여 할당되는 것을 관리한다.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프에 의해 많은 기지국들이 공중망 통화에 관여하지만 구내무선시스템의 입장에서는 자신과 연결된 기지국들만의 채널할당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구내단말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수 있다.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에는 기지국과의 메세지를 Routing하기 위한 모듈이 존재한다(이하 BTMR). BTMR은 구내 무선단말에 대하여 상위시스템(상위 BSC 및 인접 상위 BSC)로부터 채널할당 요구가 된 경우 이 정보를 기록하고 추후 채널할당이 완료된 경우 이 정보를 토대로 사설 HLR내 구내단말의 공중망 BUSY상태를 변경한다. 이후 이 채널에 대한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BTMR은 현재 이호에 할당된 공중망 채널의 수를 판단하여 모든 공중망 채널이 해제된 경우 사설 HLR내 구내단말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또한, 메시지 유실 등으로 인한 오류처리 기능이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구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영역(지역 또는 건물)의 이동통신 단말기(MS: mobile Station)(40) 가입자에게 무선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은 pBTS(private BTS)(8-1,8-k), 공중 이동통신시스템의 pBSC(private BSC)와 pMSC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를 포함한다.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는 pBSC/pMSC(50), pHLR(private Home Location Register)(30) 및 PMS DB(Public MS DB)(32)을 포함한다. pBSC/pMSC(50)는 BTMR(pBTS Message Router)(52) 및 pMSC(54)를 포함한다. BTMR(52)는 공중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BSC에 대응하는 기능 즉, 무선링크 제어, 핸드오프 기능들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BTMR(50)은 pBTS(8-k)에서 처리해야 하는 모든 메시지에 대한 경로 지정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내부의 라우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MS(40)의 착, 발호 서비스(공중, 구내)를 위한 제어(시그날) 메시지 경로를 지정하고 pBTS(8-k)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경로를 지정한다. 또한 상기 BTMR(52)은 pHLR(64)과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BTMR(52)은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하위 BTS에 대한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이러한 메시지는 공중망 채널 할당 요구 및 확인(Request 및 Confirm) 메시지 및 공중망 채널의 해제 요구 메시지를 포함한다. 공중망 채널 할당 요구 및 확인(Request 및 Confirm) 메시지는 1. 초기 발신에 대한 채널 할당(구내 무선망 시스템 내에서 공중망 발신), 2. 구내 무선망 시스템의 BSC 내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한 채널 할당 3. BSC 간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한 채널 할당에 관한 메시지를 포함한다. 채널할당 요구 메시지 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MS-ID(ESN/MIN) 정보가 포함되고, 확인 메시지 내에는 MS-ID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결국, 이후 구내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할당 채널의 관리/공중망 통화중 서비스를 위해서는 채널할당 요구시 이동통신단말의 정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채널 할당 요구/확인 메시지 모두 이용한다. 또한, 공중망 채널의 해제 요구 메시지는 1. 호의 종료시 채널의 해제 요구 2. 소프트 핸드오프 드롭시 채널 해제 요구에 관한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제 메시지는 호 종료시 또는 핸드오프 상황에서 드롭이 발생하면 상위에서 기지국으로 채널의 해제를 요구하는 메시지이므로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확인과는 상관없이 채널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한다.
pMSC(54)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구내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있어 기존 공중 이동통신망의 MSC가 하는 역할에 대응된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MSC(54)는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 공중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지 구내 이동통신망 서비스로 처리할 지에 대한 기본적인 전략과 이에 대한 처리절차에 대한 정의하고 있다. pMSC(54)는 기존 공중 MSC와는 다르게 자신이 직접 스위칭 역할을 하지 못한다. pMSC(54)은 소프트웨어 블록이므로 공중 MSC와 같은 스위치가 없다. 따라서 구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시의 본 발명의 공중/사설 통신 서비스 장치(12)에서는 사설 교환기(도시 생략)의 스위치를 이용한다. pHLR(30)은 구내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 정보, 사설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 정보, 각종 기능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이 pHLR에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공중망 할당 채널관리를 위한 PMS DB(Public MS DB)(32)를 구비한다. 이 PMS DB(32)는 특정 구내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PMS DB(32)는 최대 공중망 통화 가능한 수만큼의 크기로 설계되며, 각 호에 대해서는(특정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호) 호 식별정보(call_job_id)가 존재한다. 또한 핸드오프된 채널의 경우에는 채널 식별정보(leg_id)로 구분이 되며, 채널 식별정보는 최대 3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호 해제시 해제 메시지에는 호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기지국 식별 정보(brc_job_id, brc_job-id)만이 포함되므로 채널 할당시 각 채널에 대해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PMS DB(32)는 공중망 통화중 상태와 연동된다. 이상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PMS DB의 특정 인덱스에 호 식별 정보(call_job_id)가 존재하고 또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ESN의 구내 이동통신단말기의 HLR DB(30)의 공중망 상태는 통화중이어야 하지만, 실제적으로 이러한 구현은 어렵고 BTMR(52)은 PMS DB(32)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여부를 판단한 경우 HLR DB 갱신하도록하고 호 역시 공중망 통화중 정보의 정확성을 위하여 호 처리 과정에서 HLR DE 판독/기록시 HLR DB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에 대해 에러 정정 기능을 하도록 한다.
PMS DB(32)의 공중망 통화중 정보에 대해서 BTMR(52)은 채널 관리의 입장에서 채널할당관련 메시지를 구분하지 않는다. 기지국으로 채널할당요구 메시지를 가로챈 경우, BTMR(52)은 메시지 내의 호 식별 정보/채널 식별 정보/이동통신단말기 식별 정보(MSID)를 기록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할당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BTMR(52)은 해당 채널의 할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한해 PMS DB(32)를 검색하여 해당 호 식별 정보 내의 기지국 식별 정보(brc_db_id/brc_job_id)를 저장하고 HLR DB의 MS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통화중 상태로 설정한다.
이후 BTMR(52)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호가 완전히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소프트 핸드오프로 인하여 여러 채널이 할당된 경우에는 각 기지국(채널 식별 정보로 구분됨)으로 메시지가 내려가지만 BTMR(52)에서는 에러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PMS DB의 해당 호 식별 정보 DB 내의 모든 채널 식별 정보를 삭제하고 HLR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또한, BTMR(52)은 이동통신단말기(40)가 구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공중망으로 핸드오프하면 PMS DB(32) 내에서 해당 채널 식별 정보를 클리어하고 HLR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모든 채널이 클리어된 경우에는 핸드오프중 구내 이동통신망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BTMR(52)은 PMS DB(32)를 클리어하고 HLR(30)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Out of control로 변경하다. 여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out of control로변경하는 것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상태에서 구내 이동통신망을 벗어난 것이 확실하므로 이후 페이징 시간 및 공중망 전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BTMR(52)은 공중망호를 위한 채널의 할당 상태를 통해서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예측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 구내 이동통신망 내에서 아이들인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망 통화중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BTMR 태스크와 호 태스크는 HLR DB(30)를 판독/기록할 필요가 있으면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갱신하도록 하여 에러 정정 가능하도록 한다. 첫번째로, 구내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발신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BTMR(52)은 라우팅을 위하여 HLR DB 갱신시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두 번째로, 이동통신단말기(40)의 위치 등록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한다. 호 태스크는 BTMR(52)로부터 MS의 위치 등록을 받은 경우 공중망 상태를 클리어한다. 세 번째로, PMS DB(32)의 정보를 갱신하는 경우에 호 식별정보가 동일하나 ESN/MIN 등의 MS ID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PMS DB 인덱스를 클리어하고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상태를 클리어한다.
pHLR(30)는 구내 이동통신서비스 등록된 가입자정보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S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유선단말 내선번호, 및 가입자 이름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pHLR(30)은 각 구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공중망 통화중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BTMR(5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각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갱신한다. 이에 따라 BTMR(52)는 공중망 통화중인 이동통신단말로 착신이 이루어지면 pHLR(30)에 있는 공중망 통화중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호 처리를 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구내 무선망내에서 공중망 통화중인 상태를 구내 이동통신시스템이 알수 있도록 하여, 구내 무선망 영역내에서 해당 무선단말로 착신요구가 온 경우 공중망 통화중임을 알려주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알리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각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갖는 홈위치 등록기와,
    사설용 이동통신망에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호 발신 또는 착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설정하는 라우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망 통화중 공중 이동통신망에서 사설용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하는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설용 이동통신망 내에서 호를 종료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를 클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용 이동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공중망 통화중 사설용 이동통신망에서 공중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사설용 이동통신망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용 이동통신시스템.
KR1020020054633A 2002-09-10 2002-09-10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4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33A KR100547719B1 (ko) 2002-09-10 2002-09-10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0/650,987 US7308257B2 (en) 2002-09-10 2003-08-29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ublic network busy stat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2003244562A AU2003244562B2 (en) 2002-09-10 2003-09-04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public network busy stat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318336A JP4015604B2 (ja) 2002-09-10 2003-09-10 移動通信端末機の公衆ネットワーク通話中状態情報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私設用移動通信システム
CNB031568327A CN1253031C (zh) 2002-09-10 2003-09-10 提供通信终端的公用网繁忙状态信息的专用移动通信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33A KR100547719B1 (ko) 2002-09-10 2002-09-10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021A true KR20040023021A (ko) 2004-03-18
KR100547719B1 KR100547719B1 (ko) 2006-01-31

Family

ID=3671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633A KR100547719B1 (ko) 2002-09-10 2002-09-10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08257B2 (ko)
JP (1) JP4015604B2 (ko)
KR (1) KR100547719B1 (ko)
CN (1) CN1253031C (ko)
AU (1) AU2003244562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13B1 (ko) * 2003-01-30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분리된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및 그를 이용한 발신호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006B2 (ja) 2004-11-16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561692B2 (en) * 2006-02-27 2009-07-14 Alvarion Ltd. Method of authenticating mobile terminal
JP2007274645A (ja) * 2006-03-31 2007-10-18 Saxa Inc 通信システム
US20090227253A1 (en) * 2008-03-05 2009-09-10 Wes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dual-mode calling instrument in a plurality of networks
TWI416936B (zh) * 2010-09-27 2013-11-21 Tecom Co Ltd 遠端電話話機的忙線提示系統及其方法
US8457292B2 (en) * 2010-12-08 2013-06-04 Tecom Co., Ltd. Busy lamp field system for remote telephones and method for the same
CN103279311A (zh) * 2013-05-15 2013-09-04 江苏奇异点网络有限公司 一种接入专用网络完成打印的方法
CN112312489B (zh) * 2019-07-31 2021-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通信装置和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5257B2 (ja) * 1989-02-17 1998-11-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親装置と移動装置
JP2770430B2 (ja) * 1989-06-23 199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加入者状態管理機能付き交換システム
KR940017931A (ko) * 1992-12-31 1994-07-27 정장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통화요청 처리방법
JPH0723463A (ja) 1993-06-22 1995-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0143051B1 (ko) * 1993-07-31 1998-08-17 정장호 구내 무선전화기 시스템의 통화종료 정보 제공방법
JPH07212826A (ja) * 1994-01-19 1995-08-11 Fujitsu Ltd 携帯端末収容方式
US5953651A (en) * 1995-05-04 1999-09-14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Cellular adjunct to a public wired network
GB2315193B (en) * 1996-07-10 2000-11-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052461A (en) * 1997-07-17 2000-04-18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eal-time busy status information of telephone extensions in a private branch exchange
IL121501A (en) * 1997-08-08 2003-04-10 Icq Inc Telephone-status notification system
JP3400306B2 (ja) 1997-08-15 2003-04-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構内電子交換機の空塞管理装置
JP3225012B2 (ja) 1997-11-21 2001-11-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構内電子交換機の空塞管理装置およびその管理方法
US5991620A (en) * 1997-11-26 1999-11-23 Ericsson Inc. Positioning busy indicator and queuing mechanism
US6400698B1 (en) * 1998-01-29 2002-06-04 Northern Telecom Limited State machine and random reserve access protocol for IS136 based TDMA packet date mobile stations
JPH11317981A (ja) 1998-05-07 1999-11-16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US6400944B1 (en) * 1998-12-22 2002-06-04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s to an optimized mobile station within a satellite network
WO2001060085A2 (en) * 2000-02-08 2001-08-16 Opuswave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mobil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wireless networks
KR100374347B1 (ko) * 2000-05-24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 및 사설 공용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호 서비스방법
KR100369793B1 (ko) * 2000-08-18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중 및 사설 무선망 공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
US7039025B1 (en) * 2000-09-29 2006-05-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s in a private wireless network
EP1198113A1 (en) * 2000-10-13 2002-04-17 Dansk Mobiltelefon I/S Intelligent Call Manager for routing calls to subscriber's fixed or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availability
US6810260B1 (en) * 2000-11-21 2004-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call-back subscriber service
IT1321092B1 (it) * 2000-11-24 2003-12-30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Rete di telecomunicazione fisica privata mobile.
KR100418151B1 (ko) * 2001-04-16 2004-02-11 (주) 콘텔라 사설 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과호처리 방법
KR100450961B1 (ko) * 2001-09-28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40048610A1 (en) * 2001-09-28 2004-03-11 Kim Soo Hwa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subscriber states in network in which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wired/wireless private network are interworked
KR20030095140A (ko) * 2002-06-11 2003-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상태 등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813B1 (ko) * 2003-01-30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중용 이동통신망과 분리된 사설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및 그를 이용한 발신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6151A (zh) 2004-05-12
AU2003244562A1 (en) 2004-03-25
KR100547719B1 (ko) 2006-01-31
CN1253031C (zh) 2006-04-19
JP4015604B2 (ja) 2007-11-28
JP2004104803A (ja) 2004-04-02
US7308257B2 (en) 2007-12-11
US20040048614A1 (en) 2004-03-11
AU2003244562B2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875B1 (ko) 회선-교환 호출 설정 및 인터-msc 패킷 데이터핸드오프와 관련된 호출 경로 지정의 최적화
US6070076A (en) Identification of mobile calls within a mobile telephone system
FI102234B (fi) Digitaal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 ja menetelmiä päättyvän puhelun k äsittelemiseksi
JP3514458B2 (ja) 通話を確立する方法
EP088802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titioned telecommunication service
WO2006012909A1 (en)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JPH08505025A (ja) 通話を確立する方法
JP4133258B2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KR20020014536A (ko) 사설 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로밍 서비스 방법
WO2000041409A2 (en) Management of multiple subscriber identities
KR1005477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CA2333694C (en) Reserving communication capacity in cellular networks
JP4514775B2 (ja) アクセス技術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6185425B1 (en) Call routing using direct in-dialing numbers in place of temporary routing numbers
KR1008865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및장치
CN100401833C (zh) 无线网络接入机制
KR1004934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JP291065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EP14967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oaming and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
KR100335694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491859B1 (ko) 이동통신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일반 호 전환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00871555B1 (ko) 고속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고속 단문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
KR100701231B1 (ko) 가입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10221B1 (ko) 이동 통신망의 음성사서함서비스시스템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