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312A -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312A
KR20040022312A KR1020020053577A KR20020053577A KR20040022312A KR 20040022312 A KR20040022312 A KR 20040022312A KR 1020020053577 A KR1020020053577 A KR 1020020053577A KR 20020053577 A KR20020053577 A KR 20020053577A KR 20040022312 A KR20040022312 A KR 2004002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driver
distanc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100B1 (ko
Inventor
박준기
지동환
지창환
Original Assignee
박준기
지동환
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기, 지동환, 지창환 filed Critical 박준기
Priority to KR10-2002-005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1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일반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또는 음성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녹화할 수 있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조작 모습을 차량의 내부(실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음향을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영상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RECORDING DRIVERS' TRAINING FOR DRIVER'S LICENCE TEST(TRAI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 음성으로 녹화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면허는 일정한 자격을 구비한 자에 한하여 자동차 등의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행정처분으로써, 자동차·선박·항공기·기차·전동차 등의운전·조종은 기술을 필요로 하고 위험이 수반되며 귀중한 인명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것이므로 국가의 방침으로서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에게만 그 운전을 인정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하고자 하는 자는 지방경찰청장의 운전면허를 받아야 한다.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필기, 기능, 주행의 3단계 운전면허시험을 치러야 하며, 운전면허시험관리단 산하의 각 시험장과 일정기준의 시설기준을 신고한 사설 운전면허시험장(자동차운전면허학원)에서 일정한 기능시험 및 주행시험을 통과한 뒤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게 된다.
운전면허를 취득하고자 하는 운전면허 응시자(피교육자)는 자동차운전면허학원에서 운전강사(운전을 교육하는 자)에게 자동차 운전에 관한 기능 교육을 받는다. 이 때, 운전강사는 운전면허 응시자(운전자) 옆에 동승하여 운전 기술을 가르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은 운전강사의 주관적인 판단과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전강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운전교육을 받는 운전면허 응시자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운전 조작을 해야할지 객관적인 상황을 숙지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운전면허 응시자는 같은 코스(운전면허시험을 위한 기능코스)에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해서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운전면허 응시자는 운전면허 시험(모의시험)에서 기능시험 또는 주행시험에 떨어졌을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운전 조작을 잘못을 해서 떨어졌는지확인할 길이 없었다.
또한, 주행 시 차선을 바꿀 때 사각지대에 있는 자동차는 백미러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은 어느 때보다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또는, 자동차 운전연습을 할 수 있는 실내 모의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면허 시험(연습)시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또는 음성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녹화할 수 있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시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 음성으로 녹화한 뒤 녹화된 테이프(기타 영상기록매체)를 운전면허 응시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면허 응시자는 녹화된 테이프를 보고 자신의 운전 모습을 확인하거나 교습할 수 있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또는, 자동차 운전연습을 할 수 있는 실내 모의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 음성으로 녹화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상황이 발생하거나 주의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 시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조작 모습을 차량의 내부(실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음향을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영상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운전자의 기어 조작 모습, 페달을 밟는 발의 모습, 핸들을 조작하는 손의 모습 및 운전자의 옆 또는 앞모습,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후진 시) 모습 및 우측 및 좌측의 모습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자석(magnetic), 부착포,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출력부는 CRT 또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화면으로분할하거나 또는 한 개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는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기(VTR),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기(DVR), 미니 디스크(MD), 컴팩트 디스크(CD), 비디오 메모리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 방법은,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측 방향을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외부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 방법은,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다수개의 거리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 좌·우측 측간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쌍방향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좌·우측 측간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 방법은,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또는 좌·우측 측간거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또는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후방 차간거리가 상기 기준차간거리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검출된 좌·우측 측간거리가 상기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 방법은,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기어, 좌/우 방향 지시등,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및/또는 클러치 등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가속도, 감속도, 충격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 감속도, 충격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X축과 Y축의 +, - 방향, 즉 2차원의 4가지 방향값을 갖는 가/감속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감속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기울어지는 것을 추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는,
차량의 내부(실내)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운전 조작 모습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음향을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입/출력부;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장치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운전자의 기어 조작 모습, 페달을 밟는 발의 모습, 핸들을 조작하는 손의 모습 및 운전자의 옆 또는 앞모습,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후진 시) 모습 및 우측 및 좌측의 모습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자석(magnetic), 부착포,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출력부는 CRT 또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한 개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는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기(VTR),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기(DVR), 미니 디스크(MD), 컴팩트 디스크(CD), 비디오 메모리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측 방향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외부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설치되면,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 좌·우측 측간거리를 검출하는 다수개의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쌍방향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좌·우측 측간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또는 좌·우측 측간거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또는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전·후방 차간거리가 상기 기준차간거리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좌·우측 측간거리가 상기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가/감속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감속도 검출 센서는,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X축과 Y축의 +, - 방향, 즉 2차원의 4가지 방향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감속 검출 센서는, 상기 차량이 기울어지는 것을 추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기어, 좌/우 방향 지시등,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및/또는 클러치 등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여 이를 데이터로 출력하는 운전조작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운전조작검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교습) 기록장치의 영상 신호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교습) 기록장치의 음성 신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교습) 기록장치의 경보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1d : (자동차) 내부용 카메라
2, 2a-2d : (자동차) 외부용 카메라
3 : 음성 입/출력부
4 :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
5, 5a-5c : 거리측정센서6 : 차량정보검출부
7 : 비교부8 : 영상출력부
9 : 경고음발생부10 : 전원공급부
11 : 리모콘20 : 제어부
30 : 자동차(차량)
100 :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 카메라(1a-1d; 1), 외부용 카메라(2a-2d; 2), 음성 입/출력부(3),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 거리측정센서(5a-5c; 5), 차량정보검출부(6), 비교부(7), 영상출력부(8), 경고음발생부(9), 전원공급부(10), 리모콘(11),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는 자동차(30)의 실내에 다수 개(도면에서는 4개의 경우를 예로 들었음)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의 운전 모습과,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또는 클러치를 밟는 발의 모습과, 기어를 조작하는 손의 모습과, 주행 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거나 후진 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한다.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되며, 상기 영상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는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차량의 내부(실내)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는 자동차(30)의 외부의 양 측면에 다수 개(도면에서는 4개의 경우를 예로 들었음)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주행 시 차량의 측면에서 전방 및 측면 모습을 촬영한다.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되며, 상기 영상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도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와 마찬가지로,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3)는 자동차(30)의 실내(및 실외)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운전 시 차량의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3)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3)는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는 자동차(30)의 앞과 뒤, 그리고 양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 시 앞뒤 차량과의 차간거리를 측정하고, 또한 좌/우측의 지형지물이나 다른 차량과의 측간거리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는 쌍방향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에 의해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되며, 상기 영상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는 20KHz 이상의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음파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소나르(sonar)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좌·우측 측간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는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자동차(30)의 앞과 뒤, 그리고 양 측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는 자동차(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충격 및 가/감속도를 검출하고, 주행속도를 검출하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좌/우 방향 지시등, 차폭등, 전조등, 비상등, 브레이크,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클러치), 기어 등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한다. 이 때, 검출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되며, 상기 영상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는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X축, Y축 4방향값을 갖는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격 및 가/감속도를 검출하는 충격 및 가/감속도 검출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주행속도검출센서(도시되지 않음)와, 핸들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좌/우 방향 지시등, 차폭등, 전조등, 비상등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 (클러치)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기어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충격 및 가/감속도 검출 센서는 X축과 Y축의 +, - 방향, 즉 2차원의 4가지 방향값을 갖는 센서로서, 중력가속도(1g=9.8m/s2)를 기본 단위로 하는 A 센서(acceleration sensor)를 이용하여 전·후·좌·우 4 방향에 대한 가/감속도의 측정 및 충격량을 검출한다.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에 있는 각종 센서는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설치되거나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비교부(7)는 자동차(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거리측정센서(5)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또는 측간거리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또는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한다.상기 비교부(7)에서 비교한 결과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되고, 상기 영상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7)에서 비교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경고음 발생부(9)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된다.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는 자동차(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내부용 카메라(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음성 입/출력부(3)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거리측정센서(5)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충격 및 가/감속도 데이터, 주행속도 데이터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비교부(7)로부터 전송된 비교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는 영상 테이프 녹화기(VTR),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VR), 미니 디스크(MD), 컴팩트 디스크(CD),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 등 저장매체는 모두 포함한다.
상기 영상출력부(8)는 자동차(30)의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내부용 카메라(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거리측정센서(5)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 데이터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충격 및 가/감속도 데이터, 주행속도 데이터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데이터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비교부(7)로부터 전송된 비교데이터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영상출력부(8)는 다수 개로 분할된 화면을 통해 각각 다른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로 분할된 화면에 운전자의 운전 모습과,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를 밟는 발의 모습과, 기어를 조작하는 손의 모습과, 차량의 전방 및 측면 모습을 하나의 화면으로 함께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부(8)는 시알티(CRT; 음극선관) 또는 각종 LCD 모니터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음 발생부(9)는 자동차(30)의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한다. 이 때, 경고음의 발생은 상기 비교부(7)에서 현재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차간거리 및/또는 측간거리가 기준치보다 작을 때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경고음 발생부(9)는 자석(magnetic)이나 부착포 등에 의해 설치되거나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자동차(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 상기 음성 입/출력부(3),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 상기 비교부(7), 상기 영상출력부(8), 상기 경고음발생부(9) 및 상기 제어부(20)로 각각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준다.
상기 전원공급부(10)는 자동차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며, 자동차에 무리를 주지않는 과전류 보호회로와, 역방향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방향 방지회로와,스파이크 노이즈(Spike Noise) 방지회로 및 정전압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자동차(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 상기 음성 입/출력부(3),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 상기 비교부(7), 상기 영상출력부(8), 상기 경고음발생부(9) 및 상기 전원공급부(1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0)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7을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모콘(11)은 자동차(30)의 실내에 보관하여 사용한다. 상기 리모콘(1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20)의 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11)에 의해 녹화 및 재생 등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11)은 무선 통신(wireless) 방식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장치로, 녹화시간조절기능, 화면분할기능, 화면선택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상기 리모콘(11)은 다수 개로 분할된 화면 중 한 화면을 선택하여 볼 수 있으며(PIP 기능), 또한 하나의 화면을 여러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볼 수도 있고(QUAD 기능), 또한 한 화면을 풀(full) 상태로 볼 수도 있다(FULL SCREEN 기능).
그러면,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영상 및 음성기록매체(4)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영상 신호 녹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음성 신호 녹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경보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영상 및 음성 신호와 기타 다른 신호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에 운전면허 응시자(운전자)와 운전강사(또는 시험감독관)가 탑승한 다음, 운전강사가 리모콘(11)을 작동시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를 작동시킨다(단계 S100). 이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는 리모콘(11)을 사용하여 전원을 온(ON) 시키거나 또는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에 있는 전원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운전강사는 운전면허 응시자의 요청에 의해, 또는 운전면허 응시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차운전면허학원에서 타 학원과의 차별을 목적으로 운전면허 응시자가 운전하는 모습과 운전 기록 등을 영상으로 녹화시켜서 테이프(기타 영상기록매체)로 전해준다.
그 다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제어부(20)는 외부로부터(리모콘 또는 사람의 손에 의한 조작에 의해) 녹화 시작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110),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 상기 음성 입/출력부(3),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 상기 비교부(7), 상기 영상출력부(8), 상기 경고음발생부(9) 및 상기 전원공급부(10)가 동작하도록 각각 제어한다(단계 S120).
한편, 상기 단계(S110)에서 녹화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단계(S110) 이전으로 돌아간다.
그 다음, 상기 단계(S120)에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단계 S130)와, 상기 음성 입/출력부(3)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단계 S132)와,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검출신호(단계 S134)와,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의 데이터 신호(단계 S136)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하고, 이를 상기 영상출력부(8) 및 상기 음성 입/출력부(3)를 통해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한다(단계 S140).
그 다음, 상기 제어부(20)는 외부로부터(리모콘 또는 사람의 손에 의한 조작에 의해) 녹화 중지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150),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 상기 음성 입/출력부(3),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 상기 거리측정센서(5a-5c; 5),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 상기 비교부(7), 상기 영상출력부(8) 및 상기 경고음발생부(9)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각각 제어한다(단계 S160).
한편, 상기 단계(S150)에서 녹화 명령이 계속 유지된 상태이면, 상기단계(S110) 이전으로 돌아간다.
상기 도 3의 흐름도에서는 상기 거리측정센서(5)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 기준측간거리와 비교하여, 만약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의 값이 기준차간거리 및 기준측간거리의 값보다 작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도시하지 않았다.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면허 응시자는 자신이 운전한 모습과 운전 기록이 저장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를 녹화 및 재생기(도시되지 않음)에 넣고 재생 시작 명령을 내린다(단계 S200∼S210).
그 다음, 상기 녹화 및 재생기는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로딩 한 후 TV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의 모니터에 나타내어 준다(단계 S230).
그 다음, 상기 녹화 및 재생기는 재생 중지 명령이 수신되면 재생 동작을 중지하게 되고, 재생 중지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210) 이전으로 돌아간다(단계 S240).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영상 신호 녹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에 운전면허 응시자(운전자)와 운전강사가 탑승한 다음, 운전강사가 리모콘(11)을 작동시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킨다(단계 S300).
그 다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제어부(20)는 녹화 시작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310),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를 동작시킨다. 이 때,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는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의 운전 모습과,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또는 클러치를 밟는 발의 모습과, 기어를 조작하는 손의 모습과, 주행 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거나 후진 시 차량의 후방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는 차량의 우측 및 좌측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다(단계 S320).
한편, 상기 단계(S310)에서 녹화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단계(S310) 이전으로 돌아간다.
그 다음, 상기 단계(S320)에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상기 영상 출력부(8)를 통해 화면으로 나타내어 준다(단계 S330).
그 다음, 녹화 중지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340), 상기 내부용 카메라(1a-1d; 1) 및 상기 외부용 카메라(2a-2d; 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촬영 동작을 중지한다(단계 S350).
한편, 상기 단계(S340)에서 녹화 명령이 계속 유지된 상태이면, 상기 단계(S310) 이전으로 돌아간다.
그 다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면 동작은 끝이 나고, 전원이 계속 온(ON) 상태이면 상기 단계(S310) 이전으로 돌아간다(단계 360).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음성 신호 녹음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에 운전면허 응시자(운전자)와 운전강사가 탑승한 다음, 운전강사가 리모콘(11)을 작동시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킨다(단계 S400).
그 다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제어부(20)는 녹음 시작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410), 상기 음성 입/출력부(3)를 동작시켜 차량의 내부(실내) 및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S420).
한편, 상기 단계(S410)에서 녹음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단계(S410) 이전으로 돌아간다.
그 다음, 상기 단계(S420)에서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음성 입/출력부(3)로부터 전송된 음성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4)에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상기 음성 입/출력부(3)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430).
그 다음, 녹음 중지 명령이 내려지면(단계 S440),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음성 입/출력부(3)의 동작을 제어하여 녹음을 중지한다(단계 S450).
한편, 상기 단계(S440)에서 녹음 명령이 계속 유지된 상태이면, 상기 단계(S410) 이전으로 돌아간다.
그 다음, 상기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면 동작은 끝이 나고, 전원이 계속 온(ON) 상태이면 상기 단계(S410) 이전으로 돌아간다(단계 460).
끝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의 경보 발생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운전 기록장치(100)에 전원이 들어오면 상기 경고음 발생부(9)에도 전원이 들어와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단계 S500).
상기 경고음 발생부(9)는 운전자(운전면허 응시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경고음을 발생한다(단계 S510 및 S560).
또한, 주행 중 또는 일시정지 시 외부로부터 차량에 충격이 가해 졌을 때 경고음을 발생한다(단계 S520 및 S560). 이 때,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은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의 충격 검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고음 발생부(9)가 동작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일정속도 이상으로 달리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한다(단계 S530 및 S560). 이 때, 차량속도는 상기 차량정보검출부(6)의 가/감속도 검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비교부(7)에서 현재 속도와 기준 속도를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만약, 현재의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고음 발생부(9)가 동작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주행 중 또는 일시정지 시 차간거리가 기준차간거리보다 작을 때 경고음을 발생한다(단계 S540 및 S560). 이 때, 차간거리는 상기 거리측정센서(5)에의해 검출되며, 상기 비교부(7)에서 현재의 차간거리와 기준차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만약, 현재의 차간거리가 기준차간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고음 발생부(9)가 동작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주행 중 또는 일시정지 시 측간거리가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을 때 경고음을 발생한다(단계 S550 및 S560). 이 때, 측간거리는 상기 거리측정센서(5)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비교부(7)에서 현재의 측간거리와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만약, 현재의 측간거리가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고음 발생부(9)가 동작하여 경고음을 발생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은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또는, 자동차 운전연습을 할 수 있는 실내 모의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 주행시 운전자(피교육자)의 운전 조작 모습과 주행하는 자동차의 주변 모습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한 뒤 재생하여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운전시험(연습) 중 녹화된 자신의 운전 모습을 통해 자신이 어떻게운전을 하는지 또는 어떠한 실수를 하는지를 영상과 음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음으로, 정확하고도 신속한 운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 또는 자동차 운전연습을 할 수 있는 실내 모의 자동차에 적용함으로써, 피교육자가 녹화를 원할 경우 일정 금액을 받고 운전 모습을 녹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은 일반 자동차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운전 모습과 차량의 주행 기록 및 주행하는 차량의 주변 모습을 영상 및 음성으로 녹화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주의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 그 방법을 일반 자동차에 적용하면, 운전자의 운전 모습 및 운전 기록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과속 및 난폭 운전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주운전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사고 시 중요한 증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운전자의 운전 조작 모습을 차량의 내부(실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음향을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영상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차량의 실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운전자의 기어 조작 모습, 페달을 밟는 발의 모습, 핸들을 조작하는 손의 모습 및 운전자의 옆 또는 앞모습,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후진 시) 모습 및 우측 및 좌측의 모습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자석(magnetic), 부착포,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CRT 또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한 개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는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기(VTR),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기(DVR), 미니 디스크(MD), 컴팩트 디스크(CD), 비디오 메모리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측 방향을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외부용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다수개의 거리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 좌·우측 측간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쌍방향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좌·우측 측간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또는 좌·우측 측간거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또는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후방 차간거리가 상기 기준차간거리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검출된 좌·우측 측간거리가 상기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기어, 좌/우 방향 지시등,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및/또는 클러치 등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가속도, 감속도, 충격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 감속도, 충격 및 운전자의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검출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X축과 Y축의 +, - 방향, 즉 2차원의 4가지 방향값을 갖는 가/감속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기울어지는 것을 추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방법.
  13.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실내)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운전 조작 모습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
    상기 차량의 내부 및 외부로부터 들려오는 음향을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입/출력부;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장치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운전자의 기어 조작 모습, 페달을 밟는 발의 모습, 핸들을 조작하는 손의 모습 및 운전자의 옆 또는 앞모습,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후진 시) 모습 및 우측 및 좌측의 모습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내부용 카메라는 자석(magnetic), 부착포,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거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진 차체의 일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CRT 또는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거나 또는 한 개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는 영상 테이프 녹화 및 재생기(VTR), 디지털 비디오 녹화 및 재생기(DVR), 미니 디스크(MD), 컴팩트 디스크(CD), 비디오 메모리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차량의 전방, 후방(후진 시) 및/또는 좌우측 방향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개의 외부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설치되면,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 좌·우측 측간거리를 검출하는 다수개의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차간거리 및 측간거리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쌍방향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좌·우측 측간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동차의 전·후방 차간거리 및/또는 좌·우측 측간거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차간거리 및/또는 기준측간거리를 비교하여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전·후방 차간거리가 상기 기준차간거리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거리측정센서에서 검출된 좌·우측 측간거리가 상기 기준측간거리보다 작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가/감속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도 검출 센서는,
    상기 차량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X축과 Y축의 +, - 방향, 즉 2차원의 4가지 방향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감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감속 검출 센서는,
    상기 차량이 기울어지는 것을 추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기어, 좌/우 방향 지시등, 브레이크, 액셀러레이터(가속 페달) 및/또는 클러치 등의 조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여 이를 데이터로 출력하는 운전조작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운전조작검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및 음성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KR10-2002-0053577A 2002-09-05 2002-09-05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KR10046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77A KR100464100B1 (ko) 2002-09-05 2002-09-05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577A KR100464100B1 (ko) 2002-09-05 2002-09-05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312A true KR20040022312A (ko) 2004-03-12
KR100464100B1 KR100464100B1 (ko) 2005-01-03

Family

ID=3732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577A KR100464100B1 (ko) 2002-09-05 2002-09-05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1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10B1 (ko) * 2006-10-10 2008-04-08 영화테크(주)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및 방법
KR101107249B1 (ko) * 2009-10-27 2012-01-19 조부연 족부 영상을 기록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WO2013094869A1 (ko) * 2011-12-20 2013-06-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시험 검증을 위한 영상기록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기록 검색 방법
CN113506196A (zh) * 2021-07-20 2021-10-15 广州星锐传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单向视频交互的模拟驾驶训练课程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68U (ko) * 1988-06-10 1990-01-08
US5134204A (en) * 1989-05-12 1992-07-28 Mitsui Toatsu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 for sealing semiconductors
KR19980058123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환 자동차 방향전환시 안전거리 음성안내장치
JP2000047570A (ja) * 1998-07-30 2000-02-18 Katsuya Matsunaga マルチビデオ式自動車教習装置
JP2000338861A (ja) * 1999-05-27 2000-12-08 Hitachi Techno Eng Co Ltd 車両運転訓練装置
KR20020094459A (ko) * 2001-06-12 2002-12-18 강창민 자동차의 차량교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87166Y1 (ko) * 2002-04-23 2002-08-30 이용수 운전교습용 비디오 카메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10B1 (ko) * 2006-10-10 2008-04-08 영화테크(주)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및 방법
KR101107249B1 (ko) * 2009-10-27 2012-01-19 조부연 족부 영상을 기록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WO2013094869A1 (ko) * 2011-12-20 2013-06-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시험 검증을 위한 영상기록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기록 검색 방법
KR101279542B1 (ko) * 2011-12-20 2013-07-22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시험의 채점과 검증을 위한 영상 기록 및 검색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 기록 및 검색 방법
CN113506196A (zh) * 2021-07-20 2021-10-15 广州星锐传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单向视频交互的模拟驾驶训练课程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4100B1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70980A (zh) 车辆的图象记录器和声音记录器
JP2005538393A (ja) コンピュータ利用運転授業システム
KR20090105257A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KR20060038856A (ko)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룸미러
JP7274793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ー、ドライブレコーダー用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464100B1 (ko) 운전면허 시험(연습)용 자동차의 운전(교습) 기록장치 및그 방법
WO2018150888A1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
JP2002160588A (ja) 車両用電子マニュア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87879B2 (ja) 情報処理装置、自動車、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55285A (ja) 運転危険予測学習支援システム
JP5090891B2 (ja) 安全運転教示システム
JP2003122244A (ja) 自動車教習装置
JP3685574B2 (ja) 運転支援画像取り込み装置
JP2007333784A (ja) 教習状況確認システム
JP202117610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接近検知方法、及び接近検知プログラム
JP2009244660A (ja) 運転研修装置
JP4728941B2 (ja) 運転研修装置
TWI626605B (zh) 影像式車輛防撞模組的測試裝置以及測試方法
JP4739174B2 (ja) 運転研修装置
JP2006200936A (ja) カメラ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50025391A (ko) 충격방향을 감지하고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5208478A (ja) 模擬運転装置
CN213547682U (zh) 一种adas摄像头焦距可调的台架测试系统
JP3238549U (ja) 車両死角モニター装置
JP4750816B2 (ja) 運転研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