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792A -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프린트지 유닛 - Google Patents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프린트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792A
KR20040020792A KR1020030060210A KR20030060210A KR20040020792A KR 20040020792 A KR20040020792 A KR 20040020792A KR 1020030060210 A KR1020030060210 A KR 1020030060210A KR 20030060210 A KR20030060210 A KR 20030060210A KR 20040020792 A KR20040020792 A KR 2004002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image
subject
user
photograph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게카츠유키
미와테츠야
니시다이하지메
쿠로다에이지
아키마마사미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7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07F17/26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for the use of a photocopier or print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업 촬영 시에 노광 과다 상태가 되는 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이용자(50)가 촬영하는 촬영 장치(12·15)와,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28)와, 이용자(50)를 조명하는 스트로브 램프(61)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로브 램프(61)는 조사 방향이 이용자(50)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이다.

Description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프린트지 유닛{Photograph print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ntrol program,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print sheet uni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함과 동시에, 상기 촬영에 의해 취득된 화상에 기초하여, 소망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에 편집 처리를 실시한 후에, 시일(seal)지 등의 프린트지에 프린트 출력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프린트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게임 센터 등의 오락시설에 있어서, 이용자가 촬영함과 동시에, 그 촬영에 의해서 취득된 촬영 화상에 대하여, 배경 화상 등과 합성한 후에 시일 프린트로서 출력하는 사진 시일 자동 판매기가 설치되어 있고, 인기를 떨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진 시일 자동 판매기에는 스트로브 램프 등의 사진 섬광등이, 적어도, 이용자를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촬영 시에는 상기 사진 섬광등이 이용자를 향하여 조사되고, 그 반사광이 촬영 카메라에 입사됨으로써, 촬영 화상이 취득된다.
또한, 상기 사진 시일 자동 판매기 중에는 이용자의 몸의 일부가 화면에 들어가는 사이즈로 촬영되는 업 촬영(클로즈 업 촬영)과, 이용자의 전신이 화면에 들어가는 사이즈로 촬영되는 전신 촬영(풀 촬영)의 양쪽의 기능을 갖는 기종이 있다.
업 촬영을 하는 경우, 가령 촬영 카메라에 줌 기능을 갖더라도, 촬영 카메라에 지나치게 접근하는 이용자가 많다. 이 경우, 촬영 카메라의 부근에 설치된 사진 섬광등에도 지나치게 접근하게 되어, 사진 섬광등으로부터 피사체로의 조사량이 많아져, 노광 과다의 화상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업 촬영 시에 노광 과다 상태가 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의 진행 방향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특히, 본체 장치의 후면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본체 장치의 전면(前面)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본체 장치에 있어서의 업 촬영 장치와 그 수용부를 도시하는 분해 조립도.
도 6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8a 내지 도 8e는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LCD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의 카메라 위치에 대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LCD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의 카메라 위치에 대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에 대한 디지털 줌 배율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가공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에 대한 디지털 줌 배율의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는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에 대한 디지털 줌 배율의 변화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사진 프린트 시스템11: 본체 장치
12: 전신 촬영 장치(촬영 수단)15: 업 촬영 장치(촬영 수단)
17: LCD(촬영 화상 표시 수단)18: 확산 투과판(조명 수단)
19: 반사막(반사 수단) 20: 디스플레이(정보 제공 수단)
21: 스피커(정보 제공 수단)
28: 프린트 출력 장치(화상 출력 수단)
32: 원격 조작기(조작 수단, 이동 검지 수단)
33: 차광막(반사 수단)34: 차광막(반사 수단)
50: 이용자(피사체)60: 형광등(조명 수단)
61: 스트로브 램프(조명 수단)62: 스폿 라이트(보조 조사 수단)
64: 반사벽(조명 수단)91: 프린터(화상 출력 수단)
92: ID 택 리더/라이터(식별 정보 판독 수단)
93: 프린트지 94: ID 택(식별 매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명 수단은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조명 수단의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조명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감소하고, 조명 수단으로부터 다른 부재로 반사하여 피사체에 간접 조사되는 광량이 증가한다. 이 경우, 피사체가 촬영 수단에 접근함으로써 피사체와 조명 수단의 거리가 짧아지더라도, 조명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종래보다도 적기 때문에, 피사체에 조사되는 광량의 증가량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수단에 피사체가 지나치게 접근하더라도, 피사체의 조도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을 하는 공간인 촬영 공간의 측방에는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은 촬영 공간의 측방에 배치된 반사 수단에서 반사된다. 이로써, 조명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더라도, 조명 수단으로부터 반사 수단에서 반사하여 피사체에 간접 조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조명 수단의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의한 피사체의 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촬영 화상과 배경 화상의 합성에는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을, 백색, 청색 등의 특정색으로 함으로써,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과 피사체 영역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분리된 피사체 영역을 배경 화상과 합성하는 크로마키(chroma key) 합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때, 촬영 화상의 배경 부분을 특정색으로 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후방에 특정색의 배경막이나 배경판 등이 배치된다.
그러나, 조명 수단이 피사체를 향하여 조사되는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배경막에 피사체의 그림자가 비치기 때문에, 피사체의 그림자가 배경에 비친 촬영 화상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이 불균일한 밝기로 되고, 촬영 화상에 배경 화상을 합성한 합성 화상의 배경 영역에 불균일함이 생기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구성에서는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은 촬영 공간의 측방의 반사 수단에서 반사함으로써, 피사체를 돌아들어가, 피사체의 후방의 배경막에 도달할 수 있다. 이로써, 배경막에 피사체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이 균일한 밝기가 되므로, 촬영 화상과 배경 화상의 합성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상기 조명 수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기 촬영 수단이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는 광의 반사율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사체의 전면(前面)에는 주로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이 직접 조사되고, 측면에는 주로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이 촬영 공간의 측방의 반사 수단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조사된다. 또한, 피사체를 불균일함 없이 촬영하기 위해서, 피사체의 조도가 균일해지도록, 조명 수단으로부터 온화한 광이 피사체에 조사되고 있다. 한편, 근접 촬영의 경우에는 음영에 의해 입체감이 있는 촬영 화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서는 반사 수단은 조명 수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는 광의 반사율이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근접 촬영의 경우에는 반사 수단에서 반사되어 피사체의 측면에 조사되는 광이 적어진다. 이로써, 피사체의 측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이, 피사체의 전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보다도 적어지기 때문에, 피사체에 음영이 생기고, 그 결과, 입체감 있는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상기 조명 수단의 조명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 생기는 불필요한 음영을 소거하도록,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하는 보조 조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측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을, 피사체의 전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보다도 적게 하면, 피사체에 음영이 생긴다. 이 때, 예를 들면 피사체가 이용자인 경우, 이용자의 턱부의 그림자 등,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그림자도 생겨 버려, 이용자의 촬영 화상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조 조명 수단이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음영을 소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용자의 촬영 화상에 대한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피사체가 이용자인 경우, 이용자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촬영을 하기 위해서, 보조 조명 수단이 조사하는 위치에 머무는 경향에 있다. 그래서, 보조 조명 수단을,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조사하도록 배치하면, 근접 촬영의 경우에 이용자가 촬영 수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인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용자가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촬영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용자는 촬영 수단을 조작하여 촬영을 할 때에는 촬영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의 존재하는 위치, 즉,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머물 필요가 있다. 이로써, 이용자가 촬영 수단에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영 수단은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피사체를 촬영 수단에 접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촬영 수단을 피사체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령 피사체가 촬영 수단에 지나치게 접근하더라도, 피사체가 조명 수단에 지나치게 접근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사체의 조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이용자는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나,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동 검지 수단이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의 음성 출력이나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등에 의해,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거나,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또, 이동 검지 수단으로서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이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한 촬영 수단의 이동을 이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의해 촬영 수단이 이동하므로, 조작 수단을 이동 검지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검지 수단에는 촬영 수단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검지하는 수단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검지하는 수단도 포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검지 수단은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이동량 검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동량 검지 수단은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음성 출력이나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등에 의해, 이용자에게 이동량이나 나머지의 이동 가능량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램프 등의 촬영용 조명 장치의 광량을 조정함으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최적인 광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량 검지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따라서 이용자로의 여러 가지 통지를 할 수 있는 동시에, 최적의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또, 이동량 검지 수단의 예로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이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터에 로터리 인코더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를 이동량 검지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촬영 수단의 이동 가능량이 적기 때문에, 촬영 수단을 이동하는 것만으로는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디지털 줌 수단이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이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피사체가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광학 줌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디지털 줌 수단이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이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광학 줌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수단은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 또는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추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피사체가 중앙부에 촬영되면, 피사체가 적당하게 확대 또는 축소됨과 동시에, 배경이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상기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 검지 수단과, 이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검지 수단이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소정 기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이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 수단으로서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이용자의 시각이나 청각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이동 검지 수단이 촬영 수단의 이동을 소정 기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정보 제공 수단이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거나,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상기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이동량 검지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여,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에 가장 접근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로부터 가장 이격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촬영 수단이 피사체에 대하여 가장 접근 또는 가장 이격한 위치 부근, 즉, 촬영 수단의 이동 한계점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다른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수단이 그 밖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같은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정확한 확대 화상 또는 축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확한 촬영 화상과 재미있는 촬영 화상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광학 줌 기능을 갖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이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광학 줌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이 최대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배율이 최소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이 최대 부근 또는 최소 부근, 즉, 상기 배율의 한계점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다른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있다. 또한, 촬영 수단이 그 밖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같은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정확한 확대 화상 또는 축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확한 촬영 화상과 재미있는 촬영 화상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임의의 컴퓨터상에서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트지 유닛은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린트지 유닛으로서, 화상이 인쇄되는 프린트지와, 상기 프린트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구비된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그 내용이 확인된 후에 상기 프린트지에 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서 판독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프린트지가, 해당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프린터를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프린트지 이외는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별 정보에 용지 매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프린트지를 사용할 때마다 용지 매수를 카운트 다운함으로써, 나머지의 용지 매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나머지의 용지 매수가 적어졌을 때에, 이것을 표시 수단 등에 의해서 경고하는 구성으로 해두면, 이용자의 이용 중에 용지 절단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에 용지 종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들을 고려하여 화상데이터의 색 성분 등을 보정함으로써, 그 용지나 잉크 필름에 정확한 화상 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실시예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인 사진 프린트 시스템 중, 특히 사진 촬영을 하는 촬영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과, 상기 촬영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의 개요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는 이용자(50a·b)를 피사체로서 각각 촬영하는 촬영 장치(촬영 수단; 15·12; 도 2 참조)를 구비하는 본체 장치(11)와, 피사체의 배경이 되는 배경 장치(40)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장치(11)로부터 배경 장치(40)까지의 주위 및 상부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차광막(33·34·37)에 의해서 덮이고, 이로써 촬영 공간이 형성된다. 또, 이하에서는 본체 장치(11)가 배치되는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배경 장치(40)가 배치되는 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또한, 이용자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이용자(50)」라고 기재한다.
본체 장치(11)에는 촬영 장치(12·15) 외에, 피사체인 이용자(50)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형광등(60a·b), 스트로브 램프(61a·b), 반사벽(64), 및 확산 투과판(18a 내지 18e)이 배치된다. 또, 이하에서는 형광등을 총칭하는 경우에는 「형광등(60)」이라고 기재하고, 스트로브 램프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스트로브 램프(61)」라고 기재하며, 확산 투과판을 총칭하는 경우에는 「확산 투과판(18)」이라고 기재하기로 한다.
형광등(60)은 촬영 시의 조명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통상 시의 촬영 공간의 조명으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형광등(60)은 촬영 시에 촬영 장치(12·15)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live view)의 광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아름다운 사진이 얻어질 것이다」라는 인상을 이용자(50)에 주는 듯한, 조명에 의한 촬영 공간을 연출한다. 형광등(60a·60a)은 본체 장치(11)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형광등(60b)은 본체 장치(11)내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트로브 램프(61)는 촬영 시의 사진 섬광등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본체 장치(11)내에서의 촬영 장치(12·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장치로서 업 촬영용과 전신 촬영용의 2대의 촬영 장치(11·12)가 배치되기 때문에, 업 촬영 장치(15)의 양측에 스트로브 램프(61a·61a)가 배치되고, 전신 촬영 장치(12)의 양측에 스트로브 램프(61b·61b)가 배치된다.
스트로브 램프(61)는 전방 외향, 즉 형광등(60a)의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배치된다. 스트로브 램프(61)로부터의 광은 그 양측에 설치된 반사판에 의해, 형광등(60a)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반사벽(64)은 형광등(60) 및 스트로브 램프(61)의 전방에 배치된다.형광등(60) 및 스트로브 램프(61)로부터 전방에 조사된 광은 반사벽(64)에 의해서 후방으로 반사된다.
형광등(60) 및 스트로브 램프(61)로부터 조사된 광, 및 반사벽(64)에서 반사한 광은 확산 투과판(18)에서 확산 투과하여 촬영 공간에 조사된다. 확산 투과판(18)은 본체 장치(11)의 후면부 및 측면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부의 스트로브 램프(61a·61a)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그 대부분이 반사벽(64)에서 반사한 후, 본체 장치(11)의 후면부 양측의 중앙부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배치되는 확산 투과판(18a·18a)에서 확산 투과하여 촬영 공간에 조사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상기 확산 투과판(18a·18a)은 그 법선 방향이 이용자(50)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 즉, 후방 외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확산 투과판(18a·18a)을 통과한 광은 후방 외향으로 조사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용자(50)에게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감소하여, 차광막(33·34) 등으로 반사하여 이용자(50)에게 간접 조사되는 광량이 증가한다.
이 경우, 업 촬영을 하는 이용자(50a)가 업 촬영 장치(15)에 접근함으로써 이용자(50a)와 확산 투과판(18a·18a)의 거리가 짧아지더라도, 확산 투과판(18a·18a)으로부터 이용자(50a)에게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종래보다도 적으므로, 이용자(50a)에게 조사되는 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업 촬영 장치(15)에 이용자(50a)가 지나치게 접근하더라도, 이용자(50a)의 조도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 장치(11)의 양측면부에는 반사막(19·19)이 배치된다. 각 반사막(19)은 측면부의 확산 투과판(18b·18d)을 확산 투과한 외향의 광을 반사하여 후향의 광으로 하도록 경사 방향에 배치된다. 이로써, 이용자(50)에 간접 조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효과도 나타난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게임 센터 등의 점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점포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도,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가로 폭은 가능한 한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구성으로 하면, 본체 장치(11)로부터 후방의 촬영 공간으로 조사하는 발광면이, 종래의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에서, 본체 장치(11)의 양측의 반사막(19·19)까지 넓어지게 되고, 발광면이 넓은, 즉 가로 폭이 큰 본체 장치에 필적하는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반사막(19·19)의 재료로서는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이면, 금속, 수지재, 막재 등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막(19·19)의 대신에, 판 형상의 반사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차광막(33·34·37)은 차광성을 갖는 비닐시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의 광이 촬영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차광막(33·34·37)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사진 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촬영 처리 중에 조명이나 음성에 의한 연출이 효과적으로 된다.
또한, 이용자(50)의 업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의 양측에는 지주(31)가 배치된다. 우측의 지주(31)의 적절한 장소에는 이용자(50)가 사진 촬영에 있어서의 각종 조작을 하는 원격 조작기(조작 수단; 32)가 배치된다. 원격조작기(32)에서 행해지는 조작의 예로서는 촬영 매수나 촬영 시간의 선택 조작, 배경 장치(40)에 있어서의 배경의 선택, 촬영 개시의 조작을 들 수 있다.
원격 조작기(32)가 업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이용자(50)는 사진 촬영을 할 때에는 원격 조작기(32)가 존재하는 위치, 즉, 업 촬영에 적합한 위치 부근에 머물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50)가 업 촬영 장치(15)에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31·31)로부터 후측의 차광막(34·34)은 예를 들면 백색처럼 반사율이 높은 색이 내측에 채색되어 있다. 이로써, 차광막(34·34)의 내측은 확산 투과판(18)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충분한 광량의 광을 이용자(50) 및 배경 장치(40)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위치가 지주(31·31)로부터 후측이 되는 전신 촬영의 이용자(50b)에 대해서는 측방으로부터의 광량이 증가함으로써, 전면의 조도와 측면의 조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용자(50b)를 균일한 밝기로 조명할 수 있고, 이용자(50b)가 음영이 적은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차광막(34·34)의 내측에서 반사한 광은 이용자(50)를 돌아들어가 배경 본체(42)에 도달할 수 있다. 이로써, 배경 본체(42)의 조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특정색이 착색된 배경 본체(42)를 배경으로 하여 촬영한 경우에,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이 균일한 밝기로 된다. 따라서,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과 피사체 영역을 정밀도 좋게 분리할 수 있고, 피사체 영역과 배경 화상의 합성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본체 장치(11)로부터 지주(31·31)에 걸쳐서는 이용자(50)의 출입구가 된다. 따라서, 본체 장치(11)로부터 지주(31·31)에 걸쳐서 배치되는 차광막(33·33)은 커텐 레일에 부착하거나, 상단만 고정함으로써 감아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광막(33·33)은 방범 상의 이유로부터 하부가 비어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지주(31·31)로부터 앞측의 차광막(33·33)은 지주(31·31)보다 후측의 차광막(34·34)과는 달리, 예를 들면 흑색처럼 반사율이 낮은 색이 내측에 착색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차광막(33·33)에서 반사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촬영 위치가 지주(31·31)의 사이 부근 또는 지주(31·31)보다도 앞측인 업 촬영의 이용자(50a)에 대해서는 측방으로부터의 광량이 억제됨으로써, 전면의 조도보다도 측면의 조도쪽이 낮아진다. 이로써, 이용자(50a)가 음영이 많은, 입체감이 있는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그 밖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특히 도 2는 본체 장치(11)의 후측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체 장치(11)의 앞측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체 장치(11)의 각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신 촬영장치(12), 업 촬영 장치(15), 확산 투과판(18a·18c·18e), 디스플레이(20), 코인 투입구(22), 코인 반환구(23), 및 스폿 라이트(62)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상면부에는 확산 투과판(18f), 반사기(65), 및 스피커(21·21)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전면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커(21c), 터치 패널(24·24), 터치 펜(25·25), 및 조명 장치(55)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측면부에는 확산 투과판(18b·18d), 반사막(19·19), 스피커(21d), 및 프린트 배출구(26)가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내부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27), 프린트 출력 장치(28), 코인 처리 장치(81), 및 프린트지 유닛(90)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의 중앙부에는 각종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0)는 CRT(Cathode Ray Tube)나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프린트 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는 피사체인 이용자(50)의 전신 촬영을 하는 전신 촬영 장치(12)가 배치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20)의 상부에는 이용자의 업 촬영을 하는 업 촬영 장치(15)가 배치된다.
전신 촬영 장치(12)는 촬영을 하는 카메라(13)와, 상기 카메라(13)에 의해서 촬영되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14)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카메라(13)는 예를 들면 렌즈군,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 등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용자(50)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측 경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LCD(14)는 그 표시 화면을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측 경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업 촬영 장치(15)는 촬영하는 카메라(16)와, 상기 카메라(16)에 의해서 촬영되는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LCD(17)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카메라(16)는 예를 들면 렌즈군, 조리개, CCD 촬상 소자 등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용자(50)의 일부(특히 이용자의 상반신)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측 경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LCD(17)는 그 표시 화면을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측 경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업 촬영 장치(15)는 본체 장치(11)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업 촬영을 하는 이용자(50a)가 업 촬영 장치(15)에 근접하고자 하는 경우에 업 촬영 장치(15)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령 이용자(50a)가 업 촬영 장치(15)에 지나치게 근접하더라도, 이용자(50a)가 형광등(60a·60b) 및 스트로브 램프(61a·61b)에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용자(50a)의 조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업 촬영 장치(15)와, 본체 장치(11)에 있어서의 업 촬영 장치(15)의 수용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업 촬영 장치(15)에는 케이스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에는 위에서 카메라(16) 및 LCD(17)가 배치된다. 케이스 내에는 카메라(16) 및 LCD(17)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의 디바이스가 배치된다. 또한,케이스의 후면부의 하측에는 이용자(50)가 업 촬영 장치(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77)가 돌출된다.
업 촬영 장치(15)의 케이스의 앞 부분 중앙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에는 모터(71)가 배치되고, 모터(71)의 회전축에는 전자 클러치(72)를 개재하여 피니언(73)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앞 부분 양측으로부터 슬라이더(76···)가 돌출된다.
한편, 본체 장치(11)에 있어서의 업 촬영 장치(15)의 수용부에는 업 촬영 장치(15)의 피니언(73)과 맞물리는 랙(74)과, 업 촬영 장치(15)의 슬라이더(76···)가 슬라이딩하는 레일(75···)이 배치된다. 또, 모터(71), 전자 클러치(72), 피니언(73), 및 랙(74)은 업 촬영 장치(1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 이동 장치(70)로서 기능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자 클러치(72)에 의해 모터(71)와 피니언(73) 사이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50)는 손잡이(77)를 사용하여 업 촬영 장치(15)를 전후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71)와 피니언(73)의 사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50)에 의한 원격 조작기(32)의 조작에 기초하여 모터(71)가 구동됨으로써, 업 촬영 장치(15)를 전후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77)를 사용하여 업 촬영 장치(15)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면, 이용자(50a)는 업 촬영 장치(15)를 전후로 이동 가능한 것을 실감할 수 있고, 다음번의 촬영으로부터, 업 촬영 장치(15)의 이동을 헤매지 않고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진 촬영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모터(71)를 구동하여 업 촬영 장치(15)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면, 이용자(50a)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도 8은 본체 장치(11)에 대한 업 촬영 장치(15)의 위치(이하, 「카메라 위치」라고 부른다.)에 따라서, LCD(17)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의 좌측에는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본체 장치(11)의 수용부와 업 촬영 장치(15)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면의 우측에는 상기 도면 좌측의 카메라 위치에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한 경우에 LCD(17)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8a는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에 최대한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위치(x)를 0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 8e는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로부터 최대한 돌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위치(x)를 10으로 한다.
그리고, 도 8b 내지 도 8d는 업 촬영 장치(15)가 상기 도 8a의 상태로부터 상기 도 8e의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도 8c는 상기 도 8a 및 도 8e의 정확히 중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위치(x)는 5가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 위치(x)가 커짐에 따라서, 즉, 업 촬영 장치(15)가 이용자(50)에게 근접함에 따라서, 이용자(50)가 확대되어 촬영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업 촬영 장치(15)를 이동시켜 카메라 위치(x)를 조정함으로써, 촬영 화상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재차,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에서의 구성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업 촬영 장치(15)의 주위에는 광을 확산 투과하는 확산 투과판(18e)이 배치된다. 이 확산 투과판(18e)에서는 상부의 형광등(60b)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확산 투과하고, 또한, 본체 장치(11)내에서 난반사한 상부의 스트로브 램프(61a·61a)로부터의 광이 확산 투과하여, 이용자(50)의 전면에 조사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0) 및 확산 투과판(18e)의 양측에는 상술한 확산 투과판(18a·18a)이 배치되고, 본체 장치(11)의 측면부에서, 확산 투과판(18a·18a)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확산 투과판(18b·18b)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에서, 전신 촬영 장치(12)의 양측에는 확산 투과판(18c·18c)이 배치된다. 이들의 확산 투과판(18c·18c)에서는 양측의 형광등(60a·60a) 및 하부의 스트로브 램프(61b·61b)로부터의 광이 확산 투과하여, 촬영 공간에 조사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측면부에서, 확산 투과판(18c·18c)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확산 투과판(18d·18d)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상면부에는 확산 투과판(18f) 및 반사기(65)가 배치된다. 상부의 형광등(60b) 및 상부의 스트로브 램프(61a·61a)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광은 확산 투과판(18f)에서 확산 투과하여, 반사기(65)에서 후방으로 반사되어, 촬영 공간에 조사된다.
전신 촬영 장치(12)의 하부에는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하는 보조 조명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폿 라이트(62)가 배치된다. 상기 스폿 라이트(62)는 이용자(50)의 업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이용자(50)가 위치하는 경우에, 이용자(50)의턱부를 조사하도록, 상측 경사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장치(11)로부터 지주(31·31)까지의 차광막(33·33)의 내측이 반사율이 낮은 색인 것에 의해, 업 촬영의 이용자(50a)의 측면에 조사되는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이용자(50a)에게 음영이 생긴다. 이 때, 이용자(50a)의 턱부의 그림자 등, 이용자(50a)가 원하지 않는 그림자도 생겨 버려, 이용자의 촬영 화상에 대한 만족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스폿 라이트(62)를 설치하고, 이용자(50a)의 턱부를 조사하면, 이용자(50a)가 원하지 않는 턱부의 그림자를 소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용자(50a)의 촬영 화상에 대한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폿 라이트(62)는 이용자(50)의 업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이용자(50)가 위치하는 경우에, 이용자(50)의 턱부를 조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용자(50a)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촬영을 하기 위해서, 스폿 라이트(62)의 조사 위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업 촬영의 이용자(50a)가 업 촬영 장치(15)에 지나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폿 라이트(62)에는 이용자(50a)의 얼굴의 피부색을 적절하게 연출하기 위해서, 적갈색계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50a)가 원하지 않는 다른 음영을 소거하기 위해서, 다른 스폿 라이트를 다른 장소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의 적절한 장소(도 2에서는 전신 촬영 장치(12)의 우측 부근)에는 코인 투입구(22) 및 코인 반환구(23)가 배치된다. 코인 투입구(22)는 이용자(50)가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이용 요금으로서 소정의 코인을 소정 매수만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다. 이 코인 투입구(22)에 연통해서, 코인 처리부(81)가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코인 처리부(81)는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27)에 통지하고, 투입된 코인을, 코인을 축적하는 코인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보낸다. 한편, 소정의 코인 이외의 코인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투입된 코인을 코인 반환구(23)에 보낸다.
또, 지폐나 코인을 소정의 코인으로 환전하는 환전기가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가까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롭게 지폐 투입구를 설치하고, 지폐 처리부를 설치하거나, 거스름돈 처리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장치(11)의 전면부의 중앙부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4)이 배치된다. 터치 패널(24)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CRT 등의 표시면에 터치 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24)은 본체 장치(11)의 전면에 있어서, 이용자가 보기 쉽게 또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메시지나 화상 등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용자로부터 각종의 지시나 선택 등이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24)에는 낙서 등의 화상 편집 처리 시에 있어서의 편집 대상의 화상 및 각종 편집 툴 등이 표시된다.
또한,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미세한 조작 입력을 이용자가 행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24)의 근방(도 4에서는 터치 패널(24)의 하측 부근)에는 터치펜(25)이 배치된다. 이용자는 이 터치 펜(24)을 터치 패널(25)에 접촉시킴으로써, 처리의 진행에 따라서 표시되는 버튼을 선택하거나, 낙서 등의 화상 묘화를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는 터치 패널(24) 및 터치 펜(25)이 2세트 병설되어 있다. 이로써, 2개의 터치 패널(24·24)에 각각 표시된 촬영 화상에, 2명의 이용자가 동시에 낙서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 터치 패널(24·24)에는 다른 촬영 화상을 각각 표시시킬 수 있고, 이용자는 각각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낙서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의 터치 패널(24)로부터 입력된 낙서를 다른쪽의 터치 패널(24)에 반영시키는 반영 처리나 낙서 가능 범위를 제한하는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0)은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돌출된 지지 프레임(30)의 양측부 및 전측부에는 각각 차광막(35·36)이 배치된다. 본체 장치(11)와 차광막(35·36)에 의해서 구분된 공간이 편집 공간이 된다. 또한, 편집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 장치(55)가, 본체 장치(11)의 전면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프린트 출력 장치(28)는 화상을 프린트 출력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 프린트 출력 장치(28)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프린트 배출구(26)는 프린트 출력 장치(28)로부터 출력된 사진 프린트를 본체 장치(11)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프린트 배출구(26)는 본체 장치(1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측면부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27)는 본체 장치(11)에 있어서의 각종 구성과, 배경 장치(4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체 장치(11)의 후면부, 전면부, 및 측면부의 적절한 장소에는 스피커(21, 21c, 21d)가 각각 배치된다. 스피커(21·21c·21d)는 각종의 음성 가이던스 및 효과음을 출력한다.
다음에, 본체 장치(11) 및 이용자(50)의 후방에 배치되고, 촬영의 배경이 되는 배경 장치(4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배경 장치(40)는 여러 가지 배경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경 장치(40)는 배경 본체(42)와, 상기 배경 본체(42)를 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배경 이동 장치(41)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배경 본체(42)는 커텐형, 시트형 등, 배경 이동 장치(41)에 의해 이동되기 쉬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경 본체(42)는 실제의 배경용으로서는 여러 가지 모양 및 색채가 채색된 것이 사용되고, 배경 화상의 합성용으로서는 청색, 백색 등의 단색무 모양인 것이 사용된다.
배경 이동 장치(41)로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경 본체(42)를 상부로 감는 권취 장치나, 배경 본체(42)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커텐 레일이나 가이드 레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배경 이동 장치(41)는 배경 본체(42)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모터 등의 구동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배경 본체(42)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배경 본체(42)의 전방에는 배경 본체(42)로의 광, 또는 배경 본체(42)로부터의 광을 굴곡시키는 광 굴곡 부품을 구비한 배경광 굴곡 장치(43)가 배치된다. 여기서, 광의 굴곡이란,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말하며, 광의 굴절, 반사, 회 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배경광 굴곡 장치(43)는 배경으로의 광 및 배경에서의 광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배경으로 할 수 있다.
또, 배경광 굴곡 장치(43)는 배경 장치(40)와 같이, 시트형의 광 굴곡 부품을 전후에 복수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복잡한 배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경광 굴곡 장치(43)에는 상술한 배경 장치(40)와 마찬가지로, 시트형의 광 굴곡 부품을 권취하여 수용하는 권취 장치를 배치하거나, 커텐형의 광 굴곡 부품을 매다는 커텐 레일을 배치함으로써, 광 굴곡 부품을 단부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광 굴곡 부품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복수의 광 굴곡 부품의 몇가지인가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다양한 배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배경광 굴곡 장치(43)는 이용자(50)의 전후 어디에도 배치할 수 있고,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늘고 긴 광 굴곡 부품을 이용자(50)의 전방에 배치하여, 광 굴곡 부품의 사이로부터 이용자(50)가 얼굴을 내밀도록 하면, 이용자(50)의 얼굴 이외의 부분으로부터의 광이 굴곡되어, 보다 환상적인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 배경 본체(42)가 광이 통과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경 본체(42)에 광을 조사하는 배경 조명 장치(63)를배경 장치(40)의 후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경 조명 장치(63)는 배경 본체(42)를 한결같이 조사할 수도 있고, 배경에 액센트를 더하기 위해서, 배경 본체(42)의 특정 부분에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배경 조명 장치(63)는 여러 가지 색의 광을 조사할 수도 있고, 둥근형·삼각형·별형·하트형 등 여러 가지 형상의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이로써, 배경을 다종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상기 배경 장치(40), 배경광 굴곡 장치(43), 및 배경 조명 장치(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막(33 내지 37)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0)에 의해서 지지된다.
다음에, 이용자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조명 장치(66)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부 조명 장치(66)는 케이스(68)내에 스트로브 램프(67)를 구비한 구성이고, 지지 프레임(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케이스(68)의 내면에는 전면(68a)을 제외하고, 예를 들면 백색처럼 반사율이 높은 색이 착색되어 있다. 또한, 스트로브 램프(67)는 케이스(68)내에서 반복하여 반사하도록, 조사 방향이 후방 상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케이스(68) 하면의 전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전신 촬영 장치(12)의 카메라(13)의 촬영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전신 촬영 시에 상부 조명 장치(66)로부터의 광이 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구부에는 유백색의 확산 투과판(69)이, 그 법선 방향이 전방 하향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스트로브 램프(67)로부터 조사된 광이 케이스(68)의 내면에서 반사하고, 확산 투과판(69)을 확산 투과함으로써, 양호한 확산광이 되어 전방 하향으로 조사된다.
또한, 케이스의 전면(68a)은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전면(68a)의 내면에는 예를 들면 흑색처럼 반사율이 낮은 색이 채색되어 있다. 이로써, 전면(68a)으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반사되어 전신 촬영의 이용자(50b)에게 조사되는 광의 광량이 과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부 조명 장치(66)로부터의 확산광은 촬영 시에 전방하향으로 조사되고, 업 촬영의 이용자(50a)의 머리부를 후방으로부터 조사하게 된다. 이로써, 이용자(50a)의 두발의 입체감 및 질감을 촬영 화상에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제어 장치(27)를 중심으로 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 장치(27)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내에서의 상술한 각종 구성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 장치(27)는 예를 들면 PC 베이스의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각종 구성의 동작 제어는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 등의 리무버블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읽어 내어 사용하는 형태라도 좋고, 하드 디스크 등에 인스톨된 것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이 제어 장치(27)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경우, 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하드 디스크 등에 인스톨하여 실행하는 형태 등도 생각된다.
제어 장치(27)는 상기한 하드 디스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는 기억부(80)를 구비한다. 이 기억부(80)에 기억되는 내용으로서는 상기 한 제어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기타 각종 프로그램, 촬영 장치(12·15)에 있어서의 동작 설정치, 촬영한 화상 및 편집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촬영 장치(12·15)에 있어서의 상기 동작 설정치로서는 장치 출하 시나 보수 시 등에 설정되는 화이트 밸런스의 값, 촬영 화상의 명암 등을 조정할 때의 화상 처리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치 등을 들 수 있다.
코인 처리 장치(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인 투입구(22)로부터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27)에 통지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27)는 코인 처리 장치(81)로부터의 통지를 받아들이면, 과금 처리를 한다. 즉, 제어 장치(27)는 코인 처리 장치(81)로부터의 통지를 카운트하여, 이용자가 투입한 금액에 따라서, 이용자에 대한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프린트 출력 장치(28)는 프린터(91) 및 ID 택 리더/라이터(92)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 프린트 출력 장치(28)에 대하여, 사진 프린트의 출력 매체가 되는 프린트지(93) 및 ID 택(식별 매체; 94)이 프린트지 유닛(90)으로서 세트로 납입되게 되고 있다.
프린터(91)는 출력해야 할 화상 데이터가 제어 장치(27)로부터 보내져오면, 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트지(93)에 인쇄하는 것이다. 이 프린터(91)에서는 예를 들면 승화형 프린터가 사용된다. 또, 승화형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린트지(93) 및 ID 택(94)에 가하여, 승화형용 잉크 필름이 세트로 되어 납입되는것으로 된다.
ID 택 리더/라이터(92)는 ID 택(94)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식별 정보를 읽어내어 제어 장치(27)에 출력한다. ID 택(94)은 메모리 기능을 갖는 lC 칩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식별 정보로서는 고유 ID, 용지 매수, 용지 종류, 및, 잉크 고유의 색 정보(잉크 필름이 세트되어 있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제어 장치(27)는 ID 택 리더/라이터(92)에서 판독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장착된 프린트지(93) 및 잉크 필름이, 해당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프린터(91)를 동작 가능하게 한다. 즉,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프린트지(93) 및 잉크 필름 이외는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ID 택(94)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지의 사용마다 용지 매수를 카운트 다운해감에 따라, 나머지의 용지 매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나머지의 용지 매수가 적어졌을 때에, 이것을 표시 수단 등에 의해서 경고하는 구성으로 해두면, 이용자(50)의 이용 중에 용지 조각을 일으킨다는 불량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용지 매수를 카운트다운할 때는 ID 택(94)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도 재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용지를 다 사용한 경우에는 ID 택(94)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도 0이 되고, 이 ID 택(94)을 무효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ID 택(94)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 정보나, 잉크 고유의 색 정보를읽어 냄으로써, 이들을 고려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 등을 보정함으로써, 그 프린트지(93)나 잉크 필름에 정확한 화상 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D 택(94)으로서는 무선(와이어리스)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형 ID 택과, 단자가 설치된 접촉형 ID 택이 있고, ID 택 리더/라이터(92)로서는 이들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이용 가능한 프린트지(93)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ID 택(94)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프린트지(93) 및 잉크 필름을 곤포하는 곤포재 등에 프린트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바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함시킬 수 있는 정보량이 적은 것이나, 예를 들면 용지 매수의 카운트다운에 의한 정보의 재기록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프린트지(93)에서는 통상의 종이형 매체인 종이형 시트라도 좋고,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 시일의 점착면에 접착되어 있는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시일 시트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촬영으로부터 편집, 인쇄에 도달하는 플레이 동작에 관해서,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용자가 사진 프린트 시스템(10)내에 진입하고(스텝 S1. 이하, 단지 「S1」라고 기재하는 것이 있다. 다른 스텝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코인 투입구(22)로부터 대금으로서 코인을 투입하면, 코인 처리 장치(81)로부터 제어 장치(27)에 코인의 투입이 통지되는 것에 의해 과금 처리가 행해진다(S2). 과금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한 것이 확인되면, 플레이 동작이 개시되고, 이하의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촬영 처리가 행해진다(S3). 촬영 처리는 주로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우선, 촬영 매수나 촬영 시간을 설정한다. 즉, 이용자(50)가 희망하는 무늬의 배경 본체(42)를 배경 이동 장치(41)에 의해서 전개한다. 이들의 조작은 이용자(50)가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이용자(50)가 원격 조작기(32)를 조작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27)가 배경 이동 장치(26)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촬영의 설정이 행해진다. 즉, 전신 촬영 장치(12) 또는 업 촬영 장치(15)의 선택이나, 촬영 앵글의 조정이 행해진다. 업 촬영 장치(15)를 선택한 경우에는 업 촬영 장치(15)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본체 장치(11)로부터 후방의 절절한 장소로 이동된다.
다음에, 전신 촬영의 경우에는 전신 촬영 장치(12)의 카메라(13)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을 LCD(14)에 표시하고, 한편, 업 촬영의 경우에는 업 촬영 장치(15)의 카메라(16)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 화상을 LCD(17)에 표시한다. 이용자(50)는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참조하면서 소망의 포즈를 잡아, 소망의 타이밍으로 원격 조작기(32)의 촬영 버튼을 누르면, 카운트다운 후에 촬영이 실행된다.
그리고, 재차 촬영하는 경우에는 스텝(S3)으로 되돌아가 상기 촬영 처리를 반복하여, 촬영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다음 편집 처리에 진행한다(S4).
다음에, 촬영 처리에 의해서 취득된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의 편집 처리를 한다(S5). 편집 처리는 주로 아래와 같이 행해진다. 우선, 복수회의 촬영에 의해취득된 복수의 촬영 화상을 터치 패널(24)에 표시하고, 이들 복수의 촬영 화상 중에서 낙서 등의 편집 처리를 하는 촬영 화상을 선택한다. 이로써, 촬영 시에 눈을 감아 버리거나, 본의가 아닌 상태로 촬영되기도 한 촬영 화상 등을 배제하여, 이용자의 기호에 있던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에, 선택된 촬영 화상을 터치 패널(24)에 표시하고, 터치 펜(25)을 사용하여, 촬영 화상에 대하여 색의 변경, 낙서 등의 화상 편집을 한다. 또, 배경 본체(42)가 무늬가 없는 커텐, 즉 단색무 모양의 커텐인 경우에는 화상 편집 처리에 있어서 배경 화상을 선택하여 촬영 화상에 합성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화상의 배경에 이용자(50)의 그림자가 비치지 않기 때문에, 촬영 화상의 배경은 밝기가 균일하다. 이로써, 촬영 화상의 피사체와 배경 화상을 종래부터도 정밀도 좋게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촬영 화상에 대하여 화상 편집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편집 처리(S5)를 반복하여, 화상 편집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다음 처리에 진행한다(S6).
다음에, 사진 프린트의 출력처리를 한다(S7). 출력 처리는 주로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우선, 프린트지(93)상에서의 분할수 또는 분할 패턴을 이용자에게 선택시켜, 선택된 분할 영역마다, 단계(S5)에서 편집 처리된 편집 화상이 인쇄되도록, 프린터(91)를 제어하여 인쇄를 한다. 그 후, 프린트 배출구(19)로부터 인쇄된 사진 프린트가 배출되어, 이용자의 플레이 동작이 종료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제시한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1개의 스폿 라이트(62)가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더욱이 본체 장치(11)의 후면부의 양측, 예를 들면, 확산 투과판(18a·18a)의 하측 모서리에 각각 스폿 라이트를 배치하여, 이용자(50a)의 상반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복수의 이용자(50a)로 업 촬영을 하는 경우라도, 촬영 시에 생기는 음영을 복수의 스폿 라이트의 광으로 경감시킬 수 있고, 적합한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더욱이, 확산 투과판(18a·18a)의 상측 모서리에 각각 스폿 라이트를 배치하여, 상방으로부터 이용자(50a)를 조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폿 라이트의 광의 색이 적갈색계이면, 이용자의 얼굴의 피부색(살색)을 보다 적절하게 연출할 수 있다.
더욱이, 확산 투과판(18a·18a)의 하측 모서리 및 상측 모서리의 양쪽에 스폿 라이트를 배치하면, 이용자(50a)가 무대에 서서 촬영되고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50a)가 이와 같이 연출된 촬영 공간에서 보다 즐거운 촬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용자(50)가 사진 촬영에 있어서의 각종의 조작을 하는 조작기(32)가 이용자(50)의 촬영 위치 부근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50)에 있어서 취급하기 쉬운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복수의 장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0)의 근방에 조작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경우, 조작기는 표시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으므로, 이러한 시스템에 익숙해져 있는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을 위화감 없이 행할 수 있다.
단지, 상기 구성의 경우, 업 촬영 장치(15)가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조작 중에 업 촬영 장치(15)와 충돌하고, 특히 머리부를 부상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업 촬영 장치(15)가 인출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 또한 업 촬영 장치(15)가 인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측 카메라가 인출되고 있기 때문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스피커(21·21)로부터 음성 출력하고, 이용자의 주의를 환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기를 본체 장치(11)의 좌우, 디스플레이(20)의 근방 등, 복수의 장소에 배치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가장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조작기로부터의 입력에 관해서는 최초에 입력된 조작기로부터만의 조작을 접수한다고 한 입력 배타 제어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혼란하지 않게 입력을 접수할 수 있는 동시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조작에 대하여, 스피드 퀴즈와 같은 재미를 줄 수 있다.
또한, 반사막(19·19)은 본체 장치(11)의 측면부로부터 사진 확대 및 권취가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진 프린트 시스템 옆에 잉여의 공간이 존재할 때에는 반사막(19·19)을 더 빼냄으로써, 더욱 발광면이 확대된 촬영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반사막(19·19)에 대하여, 폭을 좌우로 다르게 한 것에 의해, 면적을 좌우로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촬영 공간 내의 밝기를 좌우로 다르게 할 수 있고, 통상과는 다른 사진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반사막(19·19)을 본체 장치(11)의 측면에, 날개를 닫도록 접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도 9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제 1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과 비교하여, 업 촬영 장치(15)에 배치된 피니언(73; 도 5를 참조)에 로터리 인코더(이동량 검지 수단)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상기 로터리 인코더에 의해 산출되는 카메라 위치(x)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의 확대 및/또는 축소를 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LCD(17)에 표시하는 점과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같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거리가 제약됨으로써, 이용자(50)가 소망하는 배율로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촬영 범위는 고배율이라도 이용자(50)의 허리로부터 위의 범위까지이고, 저배율이라도 이용자(50)의 무릎으로부터 위의 범위까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스트 숏 촬영이나 풀 숏 촬영을 행하고자 하는 이용자(50)의 요망에 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피니언(73)에 설치된 로터리 인코더로부터 업 촬영 장치(15)의 카메라 위치(x)를 산출하고, 산출된 카메라 위치(x)에 따라서, 촬영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디지털 줌 처리를 한 촬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LCD(17)에 표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x)에 따라서 LCD(17)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9a 내지 도 9e의 상태는 제 1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도 8a 내지 도 8e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업 촬영 장치(15)의 카메라(16)에는 제 1 실시예의 업 촬영 장치(15)의 카메라(16)와 비교하여, 광학배율이 1/2인 렌즈군을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줌 처리에 의한 배율(이하, 「디지털 줌 배율」이라고 한다.)의 카메라 위치(x)에 대한 변화를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 도 10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a 내지 e)는 각각 도 9a 내지 도 9e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줌 배율은 도 9b의 상태로 1배(등배)이고, 동일 상태보다 카메라 위치(x)가 커짐에 따라서 증가하고, 도 9c의 상태로 2배가 되어, 도 9d의 상태로 3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라이브 뷰 화상과, 도 8에 도시되는제 1 실시예의 라이브 뷰 화상을 비교한다. 카메라 위치(x)가 5의 상태에서는 도 9c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은 도 8c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과 비교하여, 촬영 범위가 동일한 정도이다.
한편, 카메라 위치(x)가 5보다도 작은 상태에서는 도 9b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은 도 8b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과 비교하여, 촬영 범위가 보다 넓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위치(x)가 5보다도 큰 상태에서는 도 9d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은 도 8d에 도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과 비교하여, 촬영 범위가 보다 좁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풀 숏 촬영이나, 상기 도 8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바스트 숏 촬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로부터 돌출 가능한 거리가 제약되는 경우라도, 디지털 줌 처리를 함으로써, 촬영 범위를 더욱 확대하거나, 더욱 좁힐 수 있고, 촬영 범위에 대한 이용자의 여러 가지 요망에 응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로서 촬영 화상을 확대한 처리만을 함으로써,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카메라(16)와 이용자(50)와의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촬영 범위를 좁게 하면, 이용자의 각 부분 중, 코 등과 같이 카메라(16)에 가까운 부분이 크게 촬영되는 등의 광학 비뚤어짐이 발생하고, 이용자(50)에 의해서는 자신의 촬영 화상에 위화감을 기억하여, 불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촬영 범위를 보다 넓혀 두고, 디지털 줌 처리에 의해 촬영 화상을 확대하여 중앙부를 잘라 반출하는 처리를 한 경우에는 이용자의 눈, 코, 볼등의 각 부분이 같은 배율로 확대되는 것으로 되므로, 이용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서, 만족되는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줌 배율을 도 9c의 상태로 1배로 하고, 상기 도 9c의 상태보다도 카메라 위치(x)가 작아지는 경우에 1배 미만으로 하여, 상기 도 9c의 상태보다도 카메라 위치(x)가 커지는 경우에 1배초로 하도록, 촬영 화상의 확대 및 축소를 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여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서는 도 9a의 상태, 즉,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에 최대한 수용된 상태(카메라 위치(x)가 0인 상태)에서의 디지털 줌 처리로 하고, 촬영 화상의 중앙부를 더욱 축소하고,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이하, 「오목면 미러 가공 처리」라고 칭한다.)를 하고 있다. 이로써, 이용자(50)가 중앙부에 촬영되면, 이용자(50)가 더욱 축소됨과 동시에 배경이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9e의 상태, 즉, 업 촬영 장치(15)가 본체 장치(11)로부터 최대한 돌출한 상태(카메라 위치(x)가 10인 상태)에서의 디지털 줌 처리로서, 촬영 화상의 중앙부를 더욱 확대하여,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이하, 「볼록 거울 가공 처리」(라고 칭한다.)를 하고 있다. 이로써, 이용자(50)가 더욱 확대됨과 동시에 배경이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카메라 위치(x)가 0 또는 10으로 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73)에 설치된 로터리 인코더로부터 산출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 가능한 한계 위치에 접촉센서(78·79)를 설치하여, 접촉 센서(78·79)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카메라 위치(x)가 0 또는 10이 된 것을 검지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처리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처리 동작은 도 7에 도시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처리 동작과 비교하여, 촬영 처리(S3)가 다를 뿐이고, 그 밖의 처리는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촬영 처리에 관해서 도 11 내지 도 13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밖의 처리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27)내에 설치된 30초 타이머를 스타트한다(S10). 다음에, 1 게임 시간(실시예에서는 2분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1),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경과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로터리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위치(x)를 검지한다(S12).
다음에, 검지한 카메라 위치(x)가, 전회 검지한 카메라 위치(x)와 상이할지, 혹은 같은지를 판단한다(S13). 동일한 경우에는 30초 타이머가 타임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
타임업한 경우, 즉 업 촬영 장치(15)가 30초 이상 이동시켜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는 움직입니다! 자꾸자꾸 움직일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0)나 스피커(21)로부터 출력함으로써,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 가능한 것을 이용자(50)에 알린다(S15). 이로써, 이용자(50)에 대하여,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 가능한 것을 알아차리거나, 업 촬영 장치(15)의 이동을 재촉할 수있다.
또, 스텝(S13)의 처리는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면 되므로, 업 촬영 장치(15)에 진동 센서를 설치하고, 스텝(S12) 대신에, 진동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검지하는 처리를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업 촬영 장치(15)가 원격 조작기(32)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텝(S12) 대신에, 원격 조작기(32)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검지하는 처리를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스텝(S12 내지 S15)의 처리는 로터리 인코더와 같이 업 촬영 장치(15)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대신에, 업 촬영 장치(15)의 이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지하는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스텝(S15)의 후, 30초 타이머를 0으로부터 재스타트한다(S16). 또한, 스텝(S13)에서, 카메라 위치(x)가 전회의 카메라 위치(x)와 상이한 경우에는 업 촬영 장치(15)가 이동시켜지고 있기 때문에, 스텝(S14 및 S15)을 행하지 않고서, 30초 타이머를 0으로부터 재스타트한다(S16).
스텝(S16)의 후,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가공 처리를 한다(S17). 또한, 스텝(S14)에서 30초 타이머가 아직 타임업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S15 및 S16)을 행하지 않고서,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가공 처리를 한다(S17).
도 13은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가공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카메라 위치(x)를 판단한다(S30). 카메라 위치(x)가 0보다 크고 또한 10보다 작은 경우에는 배율(y)이 (1/5)×x+1이 되도록 디지털 줌 가공을 한다(S33). 그 후, 원래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카메라 위치(x)가 0인 경우에는 「오목 거울 가공 모드」라는 나레이션(narration)을 디스플레이(20)나 스피커(21)로부터 출력한다(S31). 다음에, 촬영 화상에 대하여, 배율(y)이 0.5가 되도록 디지털 줌 가공을 하고, 또한 오목면 미러 가공을 한다(S32). 그 후, 원래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른 한편, 카메라 위치(x)가 10인 경우에는 「볼록 거울 가공 모드」라는 나레이션을 디스플레이(20)나 스피커(21)로부터 출력한다(S34). 다음에, 촬영 화상에 대하여, 배율(y)이 4가 되도록 디지털 줌 가공을 하고, 또한 볼록 거울 가공을 한다(S35). 그 후, 원래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촬영 화상의 디지털 줌 가공 처리(S17)의 후, 가공된 촬영 화상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LCD(17)에 표시한다(S18). 다음에,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 버튼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9). 촬영 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1)으로 되돌아가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촬영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 스트로브 램프의 발광 및 카메라의 셔터를 작동하여 사진 촬영을 한다(S20). 다음에, 사진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디지털 줌 가공 처리를 하여(S21), 가공된 촬영 화상을 이번은 디스플레이(20)에 표시한다(S22).
다음에,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화상으로 좋은지의 여부를 이용자(50)에게 판단시킨다(S23).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화상으로서는 불만인 경우에는 촬영 화상을 파기한 후, 스텝(S11)으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화상으로 만족한 경우에는 가공된 촬영 화상을 기억부(80)에 기억한다(S24). 그 후,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또, 업 촬영 장치(15)에 광학 줌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디지털 줌과 광학 줌 을 병용할 수도 있다. 도 14는 디지털 줌과 광학 줌을 병용한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 위치(x)에 대한 디지털 줌 배율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또, 광학 줌은 카메라 위치(x)에 대하여 선형으로 확대시키는 것으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2.5≤x≤7.5)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줌 배율을 2배로 고정하고, 광학 줌만으로 확대·축소를 행하고 있다. 이로써, LCD(17)에 표시되는 화상의 줌 배율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촬영범위의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이용자는 이 영역(2.5≤x≤7.5)에서 조정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보다도 본체 장치측(0≤x<2.5) 또는 이용자측(7.5<x≤1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학 줌에 의한 확대 또는 축소에 더하여, 카메라 위치(x)에 대하여 선형으로 디지털 줌에 의한 확대 또는 축소 처리를 하고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에서 본체 장치측으로 이동하면, 광학 줌에 의한 축소에 더하여, 디지털 줌에 의한 축소 처리가 행해진다. 이로써, 광학 줌만의 경우보다도 촬영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에서 이용자측으로 이동하면, 광학 줌에 의한 확대에 더하여, 디지털 줌에 의한 확대 처리가 행해진다. 이로써, 광학 줌만의 경우보다도 촬영 범위를 더욱 좁힐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보다도 본체 장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줌 배율을 1배에 고정하고, 광학 줌만으로 축소를 행하고, 또한 오목 거울 가공 처리를, 카메라 위치(x)가 작아짐에 따라서 커지도록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에서 본체 장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광학 줌에 의한 축소에 더하여, 오목 거울 가공에 의한 비뚤어짐이 커지기 때문에, 이용자(50)의 소망하는 비뚤어짐의 정도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보다도 이용자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줌 배율을 3배로 고정하여, 광학 줌만으로 확대를 하고, 더욱이 볼록 거울 가공처리를, 카메라 위치(x)가 커짐에 따라서 비뚤어짐이 커지도록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카메라 위치(x)가 중앙 부근에서 이용자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광학 줌에 의한 확대에 더하여, 볼록 거울 가공에 의한 비뚤어짐이 커지기 때문에, 이용자(50)가 소망하는 비뚤어짐의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업 촬영 장치(15)가 고정이고, 카메라 위치(x) 대신에 광학 줌 배율에 기초하여,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줌 배율을 변화시키더라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업 촬영 장치(15)가 모터(71)에 의해 이용자(50)의 손에 의하지 않고서 이동시키는 경우로서, 모터(71)에 로터리 인코더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터(71)에 내장한 로터리 인코더를 이동량 검지 수단으로서 이용하면 좋고, 피니언(73)에 로터리 인코더를 설치하는 것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내는 범위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터 시스템은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명 수단은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인 구성이다.
이로써, 피사체가 촬영 수단에 접근함으로써 피사체와 조명 수단의 거리가 짧아지더라도, 조명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종래보다도 적으므로, 피사체에 조사되는 광량의 증가량을 종래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수단에 피사체가 지나치게 접근하더라도, 피사체의 조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하는 공간인 촬영 공간의 측방에는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조명 수단으로부터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더라도, 조명 수단으로부터 반사 수단에서 반사하여 피사체에 간접 조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므로, 조명 수단의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의한 피사체의 조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은 촬영 공간의 측방의 반사 수단에서 반사함으로써, 피사체를 돌아들어가고, 피사체의 후방의 배경막에 도달할 수 있다. 이로써, 배경막에 피사체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촬영 화상의 배경 영역이 균일한 밝기가 되므로, 촬영 화상과 배경 화상과의 합성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상기 조명 수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기 촬영 수단이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는 광의 반사율이 작은 구성이다.
이로써, 피사체의 측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이, 피사체의 전면에 조사되는 광의 양보다도 적어지기 때문에, 피사체에 음영이 생기고, 그 결과, 입체감이 있는 촬영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근 촬영을 하는 경우에 상기 조명 수단의 조명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 생기는 불필요한 음영을 소거하도록,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하는 보조 조사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보조 조명 수단이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음영을 소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용자의 촬영 화상에 대한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보조 조명 수단을,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조사하도록 배치하면, 근접 촬영의 경우에 이용자가 촬영 수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이용자가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촬영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이용자는 촬영 수단을 조작하여 촬영을 할 때에는 촬영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의 존재하는 위치, 즉,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머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용자가 촬영 수단에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피사체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로써, 피사체를 촬영 수단에 접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촬영 수단을 피사체쪽으로 이동시키면, 가령 피사체가 촬영 수단에 지나치게 접근하더라도, 피사체가 조명 수단에 지나치게 접근하는 것으로는 되지 않으므로, 피사체의 조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노광 과다의 촬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이동 검지 수단이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피커의 음성 출력이나 디스플레이의 화상 출력 등에 의해,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거나,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검지 수단은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이동량 검지 수단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량에 따라서, 이동량, 나머지의 이동 가능량 등의 여러 가지 통지를 이용자에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촬영용 조명 장치의 광량 등의 각종 설정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촬영 수단은 광학 줌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광학 줌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수단은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 또는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추가로 행하는 구성이다.
이로써, 피사체가 중앙부에 촬영되면, 피사체가 적당하게 확대 또는 축소됨 과 동시에, 배경이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상과 같이, 이동 검지 수단이 촬영 수단의 이동을 소정 기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이이동 가능한 것을, 정보 제공 수단이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이용자에게 알리거나, 촬영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이용자에게 재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상과 같이,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여,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방법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상과 같이,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에 가장 접근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여,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로부터 가장 이격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이동 한계점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다른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촬영 수단이 그 밖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같은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정확한 확대 화상 또는 축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확한 촬영 화상과 재미있는 촬영 화상과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상과 같이,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촬영 화상을 확대 및/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방법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광학 줌만으로는 불충분한 피사체의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디지털 줌 처리로 보충할 수 있고, 피사체의 충분한 확대 촬영 또는 축소 촬영을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참조하면서, 적당한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상과 같이,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이 최대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배율이 최소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이로써,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이 한계점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다른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비뚤어진 재미있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촬영 수단이 그 밖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배율이 같은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정확한 확대 화상 또는 축소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정확한 촬영 화상과 재미있는 촬영 화상의 양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시킴으로써, 임의의 컴퓨터 상에서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트지 유닛은 이상과 같이,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린트지 유닛으로서, 화상이 인쇄되는 프린트지와, 상기 프린트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구비된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그 내용이 확인된 후에 상기 프린트지에 화상이 출력되는 구성이다.
이로써,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프린트지 이외는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 정보에 용지 매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프린트지를 사용할 때마다 용지 매수를 카운트다운함으로써, 나머지의 용지 매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 정보에 용지 종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들을 고려하여 화상데이터의 색 성분 등을 보정함으로써, 그 용지나 잉크 필름에 정확한 화상 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1)

  1.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명 수단은 조사 방향이 피사체로의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을 하는 공간인 촬영 공간의 측방에는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상기 조명 수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기 촬영 수단이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에 가까운 위치까지는 광의 반사율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촬영을 하는 경우에 상기 조명 수단의 조명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 생기는 불필요한 음영을 소거하도록, 피사체의 일부를 조사하는 보조 조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5. 이용자가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촬영 수단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촬영에 적합한 피사체 위치 부근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6.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 검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검지 수단은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이동량 검지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10.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단은 광학 줌 기능을 갖고 있고,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는 디지털 줌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은 디지털 줌 수단에 의해서 디지털 줌 처리되는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수단은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 또는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추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12.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상기 피사체 쪽으로 이동 가능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검지하는 이동 검지 수단과, 이용자에게 각종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검지 수단이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을 소정 기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영 수단이 이동 가능한 것을, 상기 정보 제공 수단이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상기 피사체쪽으로 이동 가능한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이동량을 검지하는 이동량 검지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량 검지 수단이 검지한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에 가장 접근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확대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피사체로부터 가장 이격한 위치 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으로서, 광학 줌 기능을 갖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에 기초하여 화상을 작성하여 프린트지에 출력하는 화상 출력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의 촬영에 의해 취득된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촬영 화상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디지털 줌 처리를 하고,
    상기 디지털 줌 처리된 화상을 촬영 화상으로서 상기 촬영 화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줌 처리는 상기 촬영 수단의 광학 줌 기능에 의한 배율이 최대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확대한 동시에 주변부를 축소하는 처리를 하고, 상기 배율이 최소 부근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에 관해서 중앙부를 축소하는 동시에 주변부를 확대한 처리를 하고, 또한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촬영 화상을 등배로 확대 또는 축소하는 처리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18. 제 17 항에 기재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린트지 유닛으로서,
    화상이 인쇄되는 프린트지와, 상기 프린트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구비된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그 내용이 확인된 후에 상기 프린트지에 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지 유닛.
  20. 제 4 항에 기재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린트지 유닛으로서,
    화상이 인쇄되는 프린트지와, 상기 프린트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구비된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그 내용이 확인된 후에 상기 프린트지에 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지 유닛.
  21. 제 11 항에 기재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프린트지 유닛으로서,
    화상이 인쇄되는 프린트지와, 상기 프린트지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식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구비된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서, 상기 식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판독되고, 그 내용이 확인된 후에 상기 프린트지에 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지 유닛.
KR1020030060210A 2002-08-30 2003-08-29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프린트지 유닛 KR200400207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5164 2002-08-30
JPJP-P-2002-00255164 2002-08-30
JP2003026439A JP2004145245A (ja) 2002-08-30 2003-02-03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プリント紙ユニット
JPJP-P-2003-00026439 2003-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792A true KR20040020792A (ko) 2004-03-09

Family

ID=3209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210A KR20040020792A (ko) 2002-08-30 2003-08-29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프린트지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76414A1 (ko)
JP (1) JP2004145245A (ko)
KR (1) KR20040020792A (ko)
CN (1) CN1495510A (ko)
TW (1) TWI2346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6596A (zh) * 2019-08-16 2019-11-15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驱动切换装置及应用其的成像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375B2 (ja) * 2006-03-20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JP4790555B2 (ja) * 2006-09-27 2011-10-12 綜合警備保障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90185727A1 (en) * 2008-01-22 2009-07-23 Image Quest Worldwide, Inc. Photo Pod Imaging Portal
JP2013025016A (ja) * 2011-07-20 2013-02-04 Tatsumi Denshi Kogyo Kk 写真撮影遊戯装置、写真撮影遊戯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65640B2 (ja) * 2012-02-09 2014-08-06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49699B2 (ja) * 2013-08-09 2016-07-13 フリュー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0589B2 (ja) * 2013-08-13 2017-10-11 株式会社メイクソフトウェア 写真撮影遊戯機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135435A (ja) * 2014-01-17 2015-07-27 辰巳電子工業株式会社 写真撮影遊戯装置
JP6312133B2 (ja) * 2014-06-25 2018-04-18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遊技機
JP5970026B2 (ja) 2014-07-04 2016-08-17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7553A (en) * 1955-11-07 1958-03-18 Edwin S Riches Photographic lighting apparatus
DE3809168A1 (de) * 1988-03-18 1989-10-05 Fotoking Passbildsysteme Fotografische aufnahmevorrichtung
US5016035A (en) * 1989-08-28 1991-05-14 Myles Jr Robert E Enclosed self-portrait photographic studio with camera located behind one-way mirror
US5067049A (en) * 1990-02-12 1991-11-19 Milaire Daniel P F Photographic studio light reflecting apparatus
US5117283A (en) * 1990-06-25 1992-05-26 Eastman Kodak Company Photobooth compositing apparatus
US6343184B1 (en) * 2000-03-09 2002-01-29 Roger F. Huebner Controlled environment photo studio
JP3240411B1 (ja) * 2000-08-25 2001-12-17 オムロン株式会社 写真シール自動販売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6596A (zh) * 2019-08-16 2019-11-15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驱动切换装置及应用其的成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4685B (en) 2005-06-21
US20040076414A1 (en) 2004-04-22
CN1495510A (zh) 2004-05-12
JP2004145245A (ja) 2004-05-20
TW200405114A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576B1 (ko) 사진촬영장치, 프린트 시트,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사진촬영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이것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527618B1 (ko) 사진 실 자동 판매 방법과 그 장치, 사진 실지 유닛 및사진 실 시트
WO2001044868A1 (fr) Procede de photographie d&#39;objet brillant, procede de photographie de lunettes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atalogue electronique pour lunettes
JP2000196980A (ja) 携帯型プリンタ及びカメラ
JP5018896B2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920175B2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20792A (ko) 사진 프린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프린트지 유닛
JP2005295163A (ja) 写真プリント装置、写真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236793A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107574A (ja) 撮影システム
JP7132492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87369A (ja) 写真プリント装置、写真プリント装置における撮影方法、およびプリント媒体ユニット
JP6820478B2 (ja) 画像撮影装置
JP2004126389A (ja) 画像表示装置、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プリント紙ユニット
JP2017203989A (ja) 撮影装置
JP7319534B2 (ja) 撮影装置
JP3928060B2 (ja) 写真プリント方法、写真プリント装置、写真プリント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プリント紙ユニット
JP4214754B2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JP7364866B2 (ja) 画像処理装置、編集装置
JP2004140528A (ja) 写真撮影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プリント紙ユニット、および写真撮影装置の制御方法
JP2004109642A (ja) 写真プリント作成装置
JP6933799B2 (ja) 写真作成ゲーム機および撮影方法
JP2004126235A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JP2021026173A (ja) 撮影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03652A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