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19A - 섬유 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19A
KR20040018519A KR10-2004-7001147A KR20047001147A KR20040018519A KR 20040018519 A KR20040018519 A KR 20040018519A KR 20047001147 A KR20047001147 A KR 20047001147A KR 20040018519 A KR20040018519 A KR 20040018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ftener
composition
softener composition
oil
cat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론데필리페
피치세바스티엔
하베이제니퍼
Original Assignee
지보당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보당 에스아 filed Critical 지보당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40018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3Esters;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는 수층, 및 향료를 포함하는 소수성 층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분산액이 사용 후 수층 및 소수성 층으로 분리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사용 전 흔들어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섬유에 유쾌한 느낌을 제공하고 섬유 상에 향료가 배출되는 것을 7일 이하로 연장시키기 위한 섬유 유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 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
가정용 섬유 유연제의 주된 역할은 섬유에 대한 유쾌한 느낌을 제공하고, 신선함 또는 유쾌한 향기를 부여하며, 취급 및 의복 착용시 편안함을 저해하는 정전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유연제는 활성 물질로서 양이온성 유연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이다.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활성 물질, 즉 양이온성 유연제로 인해 일반적으로 4 미만의 pH를 갖지만, 활성 성분으로서 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제의 pH는 적용대상(예를 들어, 섬유 또는 피부)에 따라 5 초과, 바람직하게는 7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 내지 10이다.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97/16516 호에는 양이온성 섬유 유연제, 향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이온화 무기염 및 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수층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개별 소수성 입자를 갖는 수층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유형의 수성분산액은 향료가 다른 성분과 직접 혼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부 성분, 예를 들어 양이온성 유연제는 시간에 따라 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향의 감소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 중에 함유된 pH 4 미만의 공격적 산성 매질에 의해 촉진된다.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WO 01/98450 호에는 육안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층들을 갖는 다층 섬유 보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은 향수를 포함하는 섬유 보호제를 개시하고는 있으나, 향수 및 양이온성 유연제가 개별적인 층들에 함유되어야 하는 효과에 대해 교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향료 및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이 공격적 매질 중에 저장되는 동안 향 물질의 감소와 관련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게 제조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향료를 포함하는 소수성 상층 및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는 수성 하층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의 한 양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섬유 유연제, 특히 수층 및 소수성 층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수의 이점을 갖는다. 2개의 개별적인 층을 제공함으로써 양이온성 유연제와 같은 향료가 공격적 매질, 즉 pH가 4 미만, 특히 3 내지 1, 보다 특히 2.5 내지 1인 산성 수층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는 수성 분산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료와 비교하여 지속시간이 긴 효과가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모든 향료가 상부 수층 위에 있는 소수성 층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포장(예를 들어, 병) 개봉시 향료가 조성물 중에 보다 덜 농축된 방식으로 분산된 수성 분산 시스템과 비교하여 강화된 향료의 퍼짐성(burst)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조성물은 2층 시스템으로서 제공되므로, 모든 성분의 양호한 혼합을 위해 사용전 흔들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향이 감소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 후 조성물은 가능한 한 빨리 2층 형태로 복귀되어야 하고, 진탕 이후 약 10 내지 약 40분 내에 뚜렷한 상 분리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유연제가 신속한 층 분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유연제는 양이온성 유연제, 보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성 4차 암모늄 염;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 이미다졸리늄 염; 및 아미도 아민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양이온성 유연제의 특정 예를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4차 암모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4의 탄화수소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R3및 R4는 탄소수 1 내지 4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X-는 음이온으로서, 임의의 적당한 유연제와 상용가능한 음이온, 예를 들어 할라이드(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메틸설페이트, 에틸설페이트, 포르메이트, 설페이트, 니트레이트 및 아세테이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4차 암모늄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디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메틸 설페이트, 디헥사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수소화된 탈로우) 디메틸 암모늄 메틸 설페이트, 디헥사데실 디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코코넛유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적당한 물질로는 연질 지방산을 기본으로 하는 디알킬 에톡시 메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 경질 지방산을 기본으로 하는 디알킬 에톡시 메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 및 R3및 R4가 메틸이고 R2가 탄소수 13 내지 15의 탄화수소 기이고 R3이 CH2CH2OCOR5(여기서, R5는 스테아릴이다)이고 X-는 메틸설페이트 음이온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용한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유연제는 하기 화학식의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8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이고;
T는 화학식(여기서, R8은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다)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이다.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의 바람직한 물질은 하기 화학식의 물질이다:
상기 식에서,
R9는 각각 11개 이상의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쇄, 예를 들어, 탈로우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 특히 메틸설페이트이다.
R11이 탈로우이고 X-가 메틸설페이트 음이온인 화합물은 위트코(Witco)사에서 등록상표명 리워퀘이트(Rewoquat) WE 18로 시판중이다. 이러한 유형의 물질의 또다른 예는 R11이 부분적으로 경질화된 탈로우이고 X-가 메틸설페이트 음이온인 화합물이다.
2개의 에스테르 기를 갖는 양이온성 유연제의 또다른 바람직한 부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10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잔기, 예를 들어, 탈로우, 또는 부분적으로 경질화된 탈로우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 특히,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설페이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알킬, 알케닐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기이고;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8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알킬 및 알케닐 기이고;
T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할라이드, 메틸설페이트 및 에틸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양이온성 유연제의 가장 바람직한 부류는 하기 화학식의 생물분해성 지방산 에스테르 4차 암모늄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R1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2의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이고;
R14는 화학식 (CH2)sR16(여기서, R16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콕시 카보닐 잔기, 벤질, 페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치환된 페닐, OH 또는 H이다)의 화합물이고;
R15는 화학식 (CH2)tR17(여기서, R17은 벤질, 페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치환된 페닐, OH 또는 H이다)의 화합물이고;
q, r, s 및 t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이고, "a"는 음이온의 이온가를 의미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이온성 유연제는 하기 화학식의 하이드로카빌이미다졸리늄염이다:
상기 식에서,
R18은 탄소수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21은 탄소수 8 내지 25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R19는 탄소수 8 내지 25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잔기이고;
R20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탄화수소 잔기이고;
X-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음이온, 특히 할라이드, 메틸설페이트 또는 에틸설페이트이다.
바람직한 이미다졸리늄 염으로는 1-메틸-1-(탈로윌아미도)-에틸-2-탈로윌-4,5-디하이드로이미다졸리늄 메토설페이트 및 1-메틸-1-(팔미토일아미도)-에틸-2-옥타데실-4,5-디하이드로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다른 유용한 이미다졸리늄 물질로는 2-헵타데실-1-메틸-1-(2-스테아릴아미도)-에틸-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 및 2-라우릴-1-하이드록시에틸-1-올레일-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유연제의 또다른 부류는 하기 화학식의 아미도 아민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R22및 R23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2 내지 30의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이고;
R24는 (CH2CH2O)pH, CH3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m은 1 내지 5이고;
p는 1 내지 10이다.
그러나, 전술한 양이온성 유연제 중에서,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은 다른 부류의 양이온성 유연제와 비교하여 유화제로서의 경향이 감소하여, 조성물이 2개의 뚜렷한 층으로의 신속한 분리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유연제의 다른 이점은 양호한 생물분해성 및 효율적인 유연화 결과를 갖는다는 점이다. 전술한 이점으로 인해,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성 유연제로는 상표명 리워퀘이트 WE18 및 리워퀘이트 WE15가 있다.
전술한 유연제는 허용가능한 시간 내에서 층을 분리시키지만, 이들은 역시계면활성제이고 층 분리를 어느 정도 방해하는 계면활성제의 성질을 가지므로, 가능한 한 적은 양이온성 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양이온성 유연제가 필요하므로, 신속한 층 분리에 대한 필요성과 허용가능한 섬유 유연성에 대한 경쟁적 필요성 사이의 균형에 직면하게 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은 일상 실험의 범주 내에서 이러한 경쟁적 요인의 적절한 균형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는 약 1 내지 약 18%(w/w),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w/w),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w/w)의 양이온성 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유연제와 조합되어 종래 기술의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층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유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층에 염을 첨가하는 것이 층 분리 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수층은 유기 염(예를 들어, 알칼리 시트레이트) 및 무기 염(예를 들어, 나트륨 클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에 이러한 염을 공급하는 것은 시간에 따라 표류할 수 점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조성물이 시간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품질을 나타내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w/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w/w)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w/w) 이하의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무기 염으로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 할라이드(예를 들어, Mg-, Na-,Li-, Ca-, K- 및 Al-할라이드), 알칼리 및 알칼리토 니트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및 실리케이트(이들의 수화물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 염으로는 카복실산의 알칼리 및 알칼리토 염(포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페라고네이트, 시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및 락테이트 방향족 산을 포함한다)을 들 수 있다.
수층에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부형제로는 발포방지제, 증점제, 형광 미백제, 광학 표백제, 주름방지제, 수축방지제, 태양광차단제, 색상 보호제, 착색제 및 다림질 보조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8%(w/w)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w/w)의 다른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층은 오일 및 향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진탕 후 신속한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이 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인 상기 오일이 바람직하다. 이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예를 들어 석유(특히 석유 젤리)로부터 수득된 탄화수소 오일의 혼합물, 또는 예를 들어 엑손(Exxon)에서 제조된 상표명 이소파(Isopar), 특히 상표명 이소파 L, 이소파 M 또는 이소파 H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오일은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디메티콘 폴리실록산 또는 상표명 테고프렌(Tegopren); 또는 에스테르 오일,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에틸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옥틸 아디페이트 및 에틸헥실 코코에이트이다. 에스테르 오일, 탄화수소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환경적 이유로 인해, 생물분해성 오일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롤 트리올리에이트 또는 글리세릴 트리헵타노에이트이다. 오일에 의한 향 특성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증발 속도를 갖는 상기 오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1 내지 50%(w/w),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w/w),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w/w)의 소수성 층을 포함한다.
오일은 수층에 함유된 공격성 매질로부터 향료를 분리하기 위한 지지층을 제공하는 역할 이외에도,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일이 존재함으로써 오일보다 비교적 고가인 양이온성 유연제를 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오일은 향료를 피복시켜, 섬유에 조성물의 적용시 향료의 배출을 연장시켜 섬유 상의 향료의 지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처리 후 7일 이하의 기간 동안 섬유에 향을 부여할 수 있다). 헹굼 주기 도중의 향의 헹굼 손실 및/또는 도전 건조 공정 도중의 향 손실이 수성 분산 섬유 유연제와 비교하여 훨씬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헤드스페이스(headspace)로 측정하는 경우 건조 섬유에서 종래 기술의 수성 분산 섬유 유연제보다 3 내지 5배 강한 향의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헤드스페이스 분석은 문헌[the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Vol. 19, No. 6(1971), 1049-1056]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든 종류의 천연 및/또는 합성 향료, 예를 들어 제라니올, 시틀넬리 아세테이트, d-리모넨, 오렌지 테르펜 및 바닐린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하나의 향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향이 소수성 층으로부터 수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수용성 향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의 수 용해도는, 예를 들어 에츠와일러(Etzweiler) 등의 문헌[Analytical Chemistry, Vol. 67, No. 3(1995)]에 개시된 방법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방법에 의해 통상적으로 측정되거나(향료 용액 중의 g당 g으로 표시됨); 향료의 옥탄올과 물 사이의 분배계수로부터 직접 측정될 수 있으며(log P. Log P로서 표시됨), 보다 용이하게는, 시판중인 다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하나(예를 들어, AC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자 구조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값을 clogP로서 약칭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향료는 20000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00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pp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ppm 미만의 수 용해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페닐에틸알콜 및 디에틸말로네이트와 같은 향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향료는 2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초과의 clogP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3%(w/w)의 향료를 포함한다. 2 초과의 clogP를 갖는 향료를 80%(w/w) 이상 포함하는 향료가 가장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 소수성 층은 친유성 염료, 예를 들어 상표명 푸리컬러(Puricolor) 블루 FBL5, 푸리컬러 블루 FBL5 푸리컬러 블루 ABL9, 푸리컬러 그린 U3 또는 푸리컬러 옐로우 AYE23(제조사: 시바(Cib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양이온성 유연제 2 내지 15%(w/w), 에스테르 오일 3 내지 20%(w/w), 향료 0.1 내지 3%(2/2), 물 57 내지 92.9%(w/w), 및 다른 부형제 2 내지 5%(w/w)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섬유 유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섬유(또는, 구체적으로 의복) 4kg 당 35 내지 150㎖의 양으로 최종 헹굼 주기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예시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섬유 유연 조성물(이후부터 "2층 섬유 유연제"라 지칭한다)을 다음과 같이 제형화하였다:
물 및 상표명 리워퀘이트 WE 18을 개별적으로 50℃까지 가열하였다. 예비가열된 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리워퀘이트 WE 18(50℃로 예비가열됨)의 1/2을 첨가하였다. 칼슘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상기 리워퀘이트 WE 18의 나머지 1/2을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상표명 마이애시드(Myacide) BT330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분 B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2
향료 평가: 지속성 프로필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2층 섬유 유연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형화된 1층 섬유 유연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부분 A를 교반하면서 65℃까지 가열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부분 B(65℃로 예비가열됨)를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부분 C를 첨가하였다.
면 테리 타월을 포함한 4kg의 혼합 섬유를 유럽형 세척기에 넣었다. 최종 세척 주기에서 섬유 유연제 35g을 첨가하였다. 전문 패널이 상기 면 테리 타월을 사용하여 각각의 섬유 유연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패널리스트들은 건조 섬유에서의 향료의 강도를 비교하였다(표 1).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2층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제형에 따른 1층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개선된 건조 섬유 상의 향료 강도 및 향료 품질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향료 평가: 헤드스페이스
상기 실시예 2의 세척 프로토콜에 따라 면 테리 타월을 세척하였다. 타월을 라인 건조시키고, 건조 후 1일/5일 동안 유리 용기에 방치하였다. 15분 동안 분당 30㎖의 속도로 추출 유동시켜 헤드스페이스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GC/MS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2층 섬유 유연제는 보다 많은 향료를 면 테리 타월에 전달하였다.
실시예 4
향료 조성

Claims (12)

  1. 향료를 포함하는 소수성 상층, 및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고 pH가 4 미만인 수성 하층
    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연제가 이미다졸리늄 염, 아미도 아민 및 에스테르-연결된 4차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8%(w/w) 이하의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및 에스테르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친수성-친유성 균형(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이 5 미만인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내지 50%(w/w)의 오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연제 2 내지 18%(w/w);
    오일 1 내지 50%(w/w);
    향료 0.1 내지 3%(w/w); 및
    물 29 내지 96.9%(w/w)를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료가 2 초과, 바람직하게는 3 초과의 clogP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9. 진탕시 분산하도록 조정되고, 분산액이 진탕 후 약 10 내지 약 40분 이내에 소수성 층 및 수층으로 분리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섬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로부터의 향료의 배출을 7일 이하로 연장시키는 방법.
  11. 향료를 포함하는 소수성 상층, 및
    양이온성 유연제를 포함하고 pH가 4 미만인 수성 하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섬유 유연제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유연제 2 내지 18%(w/w);
    오일 1 내지 50%(w/w);
    향료 0.1 내지 3%(w/w); 및
    물 29 내지 96.9%(w/w)를 포함하는,
    포장된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004-7001147A 2001-07-27 2002-07-25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20040018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118341A EP1279726A1 (en) 2001-07-27 2001-07-27 Fabric softener composition
EP01118341.5 2001-07-27
PCT/CH2002/000420 WO2003012022A1 (en) 2001-07-27 2002-07-25 Fabric softener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19A true KR20040018519A (ko) 2004-03-03

Family

ID=817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147A KR20040018519A (ko) 2001-07-27 2002-07-25 섬유 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49173A1 (ko)
EP (2) EP1279726A1 (ko)
KR (1) KR20040018519A (ko)
AT (1) ATE310798T1 (ko)
DE (1) DE60207577T2 (ko)
ES (1) ES2252480T3 (ko)
WO (1) WO2003012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21B1 (ko) * 2001-11-07 2008-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7396A1 (en) 2002-11-14 2004-05-20 Myriam Peeters Concentrate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sterquat with specific ester distribution and an electrolyte
US20040097395A1 (en) 2002-11-14 2004-05-20 Andre Crutz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sterquat with specific ester distribution and sequestrant
GB2419361A (en) * 2004-10-20 2006-04-26 Reckitt Benckiser Fabric softener comprising a sublimable carrier
EP2053119B1 (en) * 2007-10-26 2016-09-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upon storage
JP5210360B2 (ja) * 2009-07-30 2013-06-12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相乗的殺微生物組成物
PL2579839T3 (pl) * 2010-06-10 2016-07-29 Firmenich & Cie Kompozycje perfumeryjne i ich zastosowania
WO2012072369A1 (en) * 2010-12-03 2012-06-07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ers
MY162962A (en) 2010-12-03 2017-07-31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ers
MX2014013942A (es) 2012-05-17 2015-02-24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 de fragancia de tensoactivo de fase multiple.
DE102012220466A1 (de) * 2012-11-09 2014-05-15 Henkel Ag & Co. Kgaa Textilpflegemittel
US9340757B2 (en) 2013-04-18 2016-05-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materials
EP3636732B1 (en) * 2015-12-28 2024-01-31 Colgate-Palmolive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GB2547685A (en) * 2016-02-26 2017-08-30 Reckitt Benckiser Laundry Detergents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83534A (en) * 1965-06-15 1968-04-23 Unilever Limi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GB8827698D0 (en) * 1988-11-28 1988-12-29 Unilever Plc Fabric-treatment composition
GB9403242D0 (en) * 1994-02-21 1994-04-13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GB9617612D0 (en) * 1996-08-22 1996-10-02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GB9804283D0 (en) * 1998-02-27 1998-04-22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ing concentrate
PL351748A1 (en) * 1999-05-21 2003-06-16 Unilever Nv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DE19936727A1 (de) * 1999-08-06 2001-02-08 Henkel Kgaa Niotensidbasiertes wäßriges mehrphasiges Reinigungsmittel
DE19945503A1 (de) * 1999-09-23 2001-04-05 Henkel Kgaa Mehrphasiges Reinigungsmittel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DE20014021U1 (de) * 2000-07-27 2001-01-11 Henkel Kgaa Textilreinigungsk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21B1 (ko) * 2001-11-07 2008-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0798T1 (de) 2005-12-15
DE60207577D1 (de) 2005-12-29
EP1279726A1 (en) 2003-01-29
ES2252480T3 (es) 2006-05-16
DE60207577T2 (de) 2006-07-27
US20050049173A1 (en) 2005-03-03
EP1412467B1 (en) 2005-11-23
WO2003012022A1 (en) 2003-02-13
EP1412467A1 (en)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515B1 (ko) 액상 직물 연화제
EP0385534B1 (en) Microcapsules containing hydrophobic liquid core
CZ42694A3 (en) Process for preparing particles protecting water-responsive material
US20080234172A1 (en) Substrate Care Product
KR20040018519A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EP0385535A1 (en) Microcapsules containing hydrophobic liquid core
RU2423415C2 (ru) Кондиционер для белья, не требующий ополаскивания
JPH0329908B2 (ko)
CZ285938B6 (cs) Práškový prostředek do máchací lázně
JP2004211215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EP2857579A1 (en) Treatment agent composition for fiber product
RU2408667C2 (ru) Маслосодержащие крахмальные гранулы для доставки парфюмерного масла в качестве оказывающих благоприятное действие добавок к субстрат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казанных гранул и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тирки
JP7005329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KR101025570B1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JP3921022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01181972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EP1633836A1 (en) Use of surface tension reducing agents in a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EP1077251B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
EP1673427B1 (en) Perfumed fabric rinsing composition
KR20020044741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WO2000040687A1 (en) Fabric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protein
JP7106359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21134436A (ja) 繊維製品処理剤組成物
JP2023051095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EP1061125A2 (en) Composition containing di(2-ethylhexyl) adipate and tricyclic isochroman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enzyme-active detergents and fabric soft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