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331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331A
KR20040018331A KR10-2003-7010092A KR20037010092A KR20040018331A KR 20040018331 A KR20040018331 A KR 20040018331A KR 20037010092 A KR20037010092 A KR 20037010092A KR 20040018331 A KR20040018331 A KR 2004001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governor
hoistway
overspee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852B1 (ko
Inventor
오카다미네오
오카모토켄이치
쿠기야타쿠오
유무라타카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8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eventing overwinding

Abstract

승강로(1)를 승강하는 카(8)의 속도가 제1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승강로 (1)에 매달리게 설치된 조속기 로프(13)의 순환이동을 구속해서 안내레일에 걸어맞춤하는 비상정지장치(10)를 제동 동작시키는 제1 조속기(121)를 설치한다. 또, 카(8)에 제2 조속기를 설치해서 카속도가 제1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제2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비상정지장치(10)를 제동 동작시킨다. 또, 승강로(1)에 종단영역 구동수단 (55)을 설치해서 카(8)가 종단영역을 승강할 때에 제2 조속기(42)를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8)의 과속 하강시에 승강로(1)의 종단영역에서는 승강로(1)의 중간영역에서의 비상제동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과속도에 의해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이로써, 카(8)의 승강로 종단에서의 승강 여유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승강로(1)의 구축비, 완충기(111)의 제작비를 절감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도 8 ~ 도 14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8은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카 개소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된 조속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조속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10 상당도, 도 13은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속도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완충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8 상당도이다.
도면에서, 1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정상부, 201 ~ 203은 각각 정상부(2) 근처에 설치된 종단층 승차장으로, 201은 최상부에 설치된 제1 정상부 승차장, 202는 제1 정상부 승차장(201)의 밑에 설치된 제2 정상부 승차장, 203은 제2 정상부 승차장(202)의 밑에 설치된 제3 정상부 승차장이다.
3은 승강로(1)의 저부, 301 ~ 303은 각각 저부(3) 근처에 설치된 종단층 승차장으로, 301은 최하부에 설치된 제1 저부 승차장, 302는 제1 저부 승차장(301) 위에 설치된 제2 저부 승차장, 303은 제2 저부 승차장(302) 위에 설치된 제3 저부 승차장이다.
4는 승강로(1)의 상방에 설치된 기계실, 5는 기계실(4)에 설치된 제어반, 6은 기계실(4)에 설치된 권양기, 7은 권양기(6)에 감긴 주삭으로, 일단에 카(8), 타단에 균형추(9)가 연결되어 있다. 10은 카(8)의 하부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로, 필요시에 동작해서 승강로(1)에 세워설치되어 카(8)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100)에 걸어맞춤해서 제동 동작한다.
101은 카(8)의 하면에 설치된 베어링대, 102는 레버로, 일단이 베어링대 (101)에 지지되고 타단에는 안내레일(100)에 대향해서 배치된 비상정지장치(10)의 제동편(103)이 장착되어 있다. 11은 승강로(1) 저부(3)에 세워설치되어 카(8)에 대향해서 배치된 완충기이다. 12는 기계실(4)에 설치된 조속기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13은 무단상으로 형성되어 조속기(12)에 감겨서 승강로(1)에 매달리고, 한쪽이 카(8), 즉 레버(102)의 길이 중간에 보존된 조속기 로프, 14는 인장차륜으로, 승강로(1) 저부(3)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13)의 아래방향 만곡부에 걸쳐져 조속기 로프(13)에 장력을 부여한다.
15는 조속기(12)의 프레임, 16은 프레임(15)에 수평축을 통해서 지지되어 조속기 로프(13)가 감겨진 조속차, 17은 프레임(15)에 힌지된 수직축, 18은 조속차(16)의 회전을 수직축(17)에 전동하는 기어기구, 19는 수직축(17)에 틈새에 끼워져 프레임(15)의 상측에 배치된 슬라이딩통, 191은 응동통으로, 수직축(17)에 틈새에 끼워져 슬라이딩통(19)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슬라이딩통(19)과 함께 상하변위한다.
20은 수직축(17)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암, 21은 상단이 지지암(20)의 단부에 힌지되어 지지암(20)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암, 22는 회동암(21)의 하단에 장착된 추, 23은 일단이 회동암(21)의 길이 중간에 힌지되고 타단은 슬라이딩통(19)의 상단에 힌지된 연결암, 24는 수직축(17)에 틈새에 끼워져 슬라이딩통(19)과 지지암 (20)의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된 작동체이다.
25는 길이 중간이 응동통(191)의 측면에 힌지된 작동암, 26은 하단에 갈고리 (27)가 설치되어 상측의 도 10에서의 좌측이 프레임(15)에 힌지된 갈고리금구, 28은 일단이 프레임(15)의 상단쪽으로 힌지되고 타단은 작동암(25)의 일단부에 힌지된 지지링크, 29는 일단이 작동암(25)의 타단부에 힌지되고 타단은 갈고리금구 (26)의 상측의 도 10에서의 우측에 힌지된 작동링크이다.
30은 프레임(15)의 하부 외측으로 쏠리게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13)와 대향해서 배치된 로프받이체, 31은 프레임(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양측의 조속기 로프(13)의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가 수평으로 배치된 회동축(32)을 지지하는 베어링체이다. 33은 프레임(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양측의 조속기 로프(13)의 사이에 배치되어 한쪽의 조속기 로프(13)를 통해서 로프받이체(30)에 대향해서 배치된 로프누름체이다.
34는 로프누름체(33)의 상부에 형성되어 갈고리(27)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 35는 길이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로프누름체(33)에 지지된 지지축, 36은 길이가 지지축(35)의 길이에 직교해서 배치되어 일단이 지지축(35)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어링체(31)의 회동축(32)에 틈새 끼우기로 된 연결봉이다.
37은 연결봉(36)에 틈새 끼우기로 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된 제동스프링으로,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연결봉(36)에 틈새 끼우기로 된 스프링 받침구(38)를 통해서 베어링체(31)와 로프누름체(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39는 로프받이체 (30), 베어링체(31), 로프누름체(33), 제동스프링(37)을 주요부재로서 구성된 조속기 로프(13)의 구속기구이다.
또, 도 13에서, 40은 제3 정상부 승차장(203) 위치보다도 아래쪽에 설정된 정상부 감속위치, A는 정상부 감속위치(40)와 제1 정상부 승차장(201) 위치 사이에 형성된 정상부의 소정종단영역, B는 소정종단영역 A에서의 소정감속특성선이다. 41은 제3 저부 승차장(303) 위치보다도 위쪽에 설정된 저부 감속위치, C는 저부 감속위치(41)와 제1 저부 승차장(301) 위치 사이에 형성된 저부의 소정종단영역, D는 소정종단영역 C에서의 소정감속특성선이다.
또, V0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 Vs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해서 카(8)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초과속도로 승강했을 때에 조속기(12)의 동작을 통해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을 할 때의 카(8)속도로, 초과속도 Vs는 일반적으로 정격속도 V0의 130% 정도로 설정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통상시는 조속기(12)의 구속기구(39)에서의 걸어맞춤부(34)가 갈고리금구(26)의 갈고리(27)와 걸어맞춤해서 로프누름체(33)가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보존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속기 로프(13)가 로프받이체(30) 및 로프누름체(33)의 양자 사이에 이들 양자에 접촉하지 않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어반(5)의 동작에 의해 권양기(6)가 작동되면, 주삭(7)이 구동되어 카(8) 및 균형추(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해서 예를 들면 정상부 감속위치 (40)와 저부 감속위치(41)의 사이를 정지하지 않고 승강하는 경우는 정격속도 V0에 의해 승강한다. 또, 소정종단영역 A, C에서 제1 정상부 승차장(201) 또는 제1 저부 승차장(301)의 방향으로, 즉 종단방향으로 운전될 때는 소정감속특성선 B, D에 의해 감속제어된다.
또, 카(8)의 승강에 의해 조속기 로프(13)가 구동되어서 조속기(12)의 조속차(16)가 회전한다. 이로써, 수직축(17)이 회전해서 추(22)가 수직축선 주위를 회전한다. 그리고, 수직축(17)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데 따른 원심력에 의해 추(22)가 상승변위한다. 이 추(22)의 상승변위에 의한 회동암(21)의 회동을 통해서 작동체(24)의 작동력에 반해서 슬라이딩통(19) 및 응동통(191)이 상승변위한다.
그리고, 카(8)의 하강속도가 초과속도 Vs에 도달함으로서 응동통(191)의 상승변위, 즉 소정위치를 초과한 슬라이딩통(19)의 상승변위에 의해 작동암(25)이 도 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작동암(25)의 회동에 의해 작동링크(29)를 통해서 갈고리금구(26)가 도 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갈고리(27)와 로프누름체(33)의 걸어맞춤부(34)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서 로프누름체(33)가 자중에 의해 하강해서 도 12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속기 로프(13)가 로프받이체(30) 및 로프누름체(33)에 의해 제동스프링(37)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협압되어서 조속기 로프(13)의 이동이 구속된다. 떠나, 계속해서 카(8)가 하강하므로 카(8)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13)를 보존한 레버(102)가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102)의 회동변위에 의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비상정지장치(10)의 제동편(103)이 안내레일(100)에 걸어맞춤해서 제동 동작한다. 이로써, 카(8)의 초과속도 Vs에 의한 하강이 제동되어 정지한다.
또, 비상정지장치(10)의 제동 동작에 의한 카(8)의 정지거리 SA는, 대략 정지거리 SA = 초과속도 Vs2/ (2 × 9.8 m/s2)이다. 또, 카(8)가 초과속도 Vs로 완충기(11)에 충돌했을 때의 완충기(11)의 완충작동행정 SB도, 비상정지장치(10)의 제동 동작에 의한 카(8)의 정지거리 SA와 대략 같다.
또, 카(8)가 하강운전되어 소정종단영역 C에서 제1 저부 승차장(301)의 방향으로 운전될 때는 소정감속특성선 D에 의해 감속제어된다. 이 때문에 통상상태에서 조속기(12)가 동작하는 일은 없고, 제어반(5) 및 권양기(6)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하거나 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완충기(11)의 완충작동행정 SB를 더욱 짧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권양기(6)의 제동기(도시하지 않음)의 고장을 상정해서 소정종단영역 C에서도 카(8)가 초과속도 Vs직전의 속도에 의해 완충기(11)에 충돌하는 사태를고려해서 전술한 완충작동행정 SB를 갖는 완충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로 완충작동행정 SB가 10m를 초과할 때에 완충기 (11)의 자유높이가 20m를 초과한다. 따라서, 제1 저부 승차장(301)으로부터 승강로 (1)의 저부(3)면까지의 깊이가 20m를 초과하게 된다.
또, 고장에 의해 카(8)가 완충기(11)에 충돌해서 완충기(11)를 압축한 상태에서는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저부 승차장(301)으로부터 완충작동행정 SB에 대응한 거리에 따라 아래쪽으로 카(8)가 하강한다. 또, 이 상태에서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균형추(9)가 통상상태에서의 상승위치에서 더욱 완충작동행정 SB에 대응한 거리에 따라 상승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의 고속화에 대응해서 키가 큰 완충기(11)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완충기(11)의 키에 따라 제1 저부 승차장(301)으로부터 승강로(1)의 저부(3)면까지의 깊이, 즉 승강로(1)의 피드 깊이가 특히 깊어진다. 또, 승강로(1)의 피드 깊이에 따라 승강로(1) 정상부 (2)에서의 균형추(9)의 상승 여유높이도 높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로(1)의 구축비, 완충기(11)의 제작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승강로(1)의 정상부(2)에서의 균형추(9)의 상승 여유를 얻기 힘들게 되므로 제1 정상부 승차장(201) 내지 제2 정상부 승차장(202)이 설치불능케 되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계획에 지장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고속운전되는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승강로 종단에서의 승강 여유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카의 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제1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승강로에 매달리게 설치된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해서 안내레일에 걸어맞춤하는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제1 조속기를 설치한다. 또, 카에 제2 조속기를 설치해서 카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제1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제2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킨다. 또, 승강로의 종단영역에 종단영역 구동수단을 설치해서 카가 종단영역을 승강할 때에 제2 조속기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승강로의 종단영역에서는 승강로의 중간영역에서의 비상제동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과속도에 의해 비상정지장치가 제동 동작한다. 이로 인해 카의 승강로 종단에서의 승강 여유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승강로의 구축비, 완충기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 계획에서의 제약을 감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조속기가 동작하고, 이 조속기의 동작을 통해서 비상정지장치가 제동 동작해서 카의 운전이 제동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속도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카 개소의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의 조속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3 상당도.
도 5는 도 1의 카가 승강로의 중간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 3 상당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카가 승강로의 중간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전술한 도 5 상당도.
도 7은 도 6에서의 카가 승강로의 종단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전술한 도 3 상당도.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카 개소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설치된 조속기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조속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10 상당도.
도 13은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속도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도 8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완충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8 상당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의해 이를 설명한다.
도 1 ~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속도 특성을 표시하는 그래프, 도 3은 도 1의 카 개소의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의 조속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도 3 상당도, 도 5는 도 1의 카가 승강로의 중간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 3 상당도이다.
도면에서, 1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2는 승강로(1)의 정상부, 201 ~ 203은 각각 정상부 2쪽에 설치된 종단층 승차장으로, 201은 최상부에 설치된 제1 정상부 승차장, 202는 제1 정상부 승차장(201)의 밑에 설치된 제2 정상부 승차장, 203은 제2 정상부 승차장(202)의 밑에 설치된 제3 정상부 승차장이다.
3은 승강로(1)의 저부, 301 ~ 303은 각각 저부(3)쪽에 설치된 종단층 승차장으로, 301은 최하부에 설치된 제1 저부 승차장, 302는 제1 저부 승차장(301) 위에 설치된 제2 저부 승차장, 303은 제2 저부 승차장(302) 위에 설치된 제3 저부 승차장이다.
4는 승강로(1)의 위쪽에 설치된 기계실, 5는 기계실(4)에 설치된 제어반, 6은 기계실(4)에 설치된 권양기, 7은 권양기(6)에 감겨진 주삭으로, 일단에 카(8), 타단에 균형추(9)가 연결되어 있다. 10은 카(8)의 하부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필요시에 동작해서 승강로(1)에 세워설치되어 카(8)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00)에 걸어맞춤해서 제동 동작을 한다.
101은 카(8)의 하면에 설치된 베어링대, 102는 레버로, 일단이 베어링대 (101)에 지지되고 타단에는 안내레일(100)에 대향해서 배치된 비상정지장치(10)의제동편(103)이 장착되어 있다. 121은 기계실(4)에 설치된 제1 조속기로, 전술한 도 10에 표시한 조속기(12)와 같은 구조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1은 승강로(1) 저부(3)에 세워설치되어 카(8)에 대향해서 배치된 완충기, 13은 무단상으로 형성되어서 제1 조속기(121)에 감겨져 승강로(1)에 매달리고, 한쪽이 카(8), 즉 레버(102)의 길이 중간에 보존된 조속기 로프, 14는 인장차륜으로, 승강로(1) 저부(3)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13)의 하수만곡부에 걸쳐져 조속기 로프(13)에 장력을 부여한다.
42는 카(8)에 장착된 제2 조속기로, 부착판(43)의 축(44)에 지지된 마찰차로 된 조속차(45), 조속차(45)의 측면에 축(44)에 대해서 대칭위치에 핀(46)에 의해 힌지된 플라이웨이트(47), 양단이 각각 대향한 플라이웨이트(47)에 힌지되어 한쪽의 플라이웨이트(47)의 회동을 다른쪽의 플라이웨이트(47)에 전동하는 링크(48), 축(44)에 틈새끼우기되어 조속차(45)의 측면에 배치되어 플라이웨이트(47)의 단부에 설치된 래치(49)에 대응하는 래칫휠(50)이 설치된다.
또 제2 조속기(42)에는 래칫휠(50)에 일단이 고정되어 카(8) 측방향으로 돌설된 작동암(51), 양단이 작동암(51)의 돌출단 및 레버(102)의 반제동편(103)측의 단부에 힌지된 연결봉(52),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되고 양단이 플라이웨이트(47)의 래치(49)측의 단부 및 조속차(45)의 측면에 보존되어 래치(49)를 래칫휠(5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체(53)가 설치된다.
54는 마찰조체로, 하단이 승강로(1) 저부(3)로부터 세워설치되어 상단은 제3 저부 승차장(303)과 제2 저부 승차장(3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55는 종단영역구동수단으로, 조속차(45) 및 마찰조체(54)에 의해 구성되고, 승강로(1)의 종단영역에 설치되어 이 종단영역에서 조속차(45)가 마찰조체(54)에 접촉하고, 카(8)의 승강에 의해 조속차(45)가 회전하여 제2 조속기(42)를 구동한다.
또, 플라이웨이트(47)는 통상시에 작동체(53)의 작동력에 의해 래치(49)를 래칫휠(50)에서 떨어진 소정위치에 보존되고, 조속차(45)의 회전에 의해 조속차 (45)와 함께 공전한다. 그리고, 카(8)의 승강속도가 후술하는 제2 과속도에 도달하면 작동체(53)의 작동력에 반해서 자전하고, 래치(49)가 래칫휠(50)에 걸어맞춤한다. 이로써, 작동암(51)이 회동하고, 즉 제2 조속기(42)의 동작에 의해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또, 도 2에서, 40은 제3 정상부 승차장(203) 위치보다도 아래쪽에 설정된 정상부 감속위치, A는 정상부 감속위치(40)와 제1 정상부 승차장(201) 위치의 사이에 형성된 정상부의 소정종단영역, B는 소정종단영역 A에서의 소정감속특성선이다. 41은 제3 저부 승차장(303) 위치보다도 위쪽에 설정된 저부 감속위치, C는 저부 감속위치(41)와 제1 저부 승차장(301) 위치의 사이에 형성된 저부의 소정종단영역, D는 소정종단영역 C에서의 소정감속특성선이다.
E는 승강로(1)에서의 종단영역 구동수단(55)의 마찰조체(54)의 상단위치, V0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이다. 또, Vs는 제1 과속도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해서 카(8)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제1 과속도 Vs로 승강했을 때에 제1 조속기 (121)의 조속기 로프(13)를 구속하는 구속기구(39)의 동작을 통해서 비상정지장치 (10)가 제동 동작할 때의 카(8)속도이다. 또, 제1 과속도 Vs는 정격속도 V0의 130%로 설정된다.
또, Vt는 제2 과속도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상이 발생해서 카(8)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과속도에 의해 종단영역을 승강했을 때, 즉 소정감속특성선 D에 표시되는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하강했을 때에, 종단영역 구동수단(55)에 의해 구동된 제2 조속기(42)의 래치(49)와 래칫휠(50)과의 걸어맞춤을 통해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할 때의 카(8)속도이다. 그리고, 제2 과속도 Vt는 제1 과속도 Vs보다도 낮은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통상시는 제1 조속기(121)의 구속기구(39)에서의 걸어맞춤부(34)가 갈고리금구(26)의 갈고리(27)와 걸어맞춤해서 로프누름체(33)가 전술한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보존된다. 이 상태에서는 조속기 로프(13)가 로프받이체(30) 및 로프누름체(33)의 양자 사이에 이들 양자에 접촉하지 않고 배치된다. 또, 제2 조속기(42)의 플라이웨이트(47)는 통상시에 작동체(53)에 의해 래치(49)가 래칫휠(5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보존된다.
그리고, 제어반(5)의 동작에 의해 권양기(6)가 작동되면, 주삭(7)이 구동되어서 카(8) 및 균형추(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고, 예를 들면 정상부 감속위치(40)와 저부 감속위치(41)의 사이를 정지하지 않고 승강하는 경우는 정격속도 V0에 의해 운전된다. 또, 카(8)가 소정종단영역 A, C에서 제1 정상부 승차장(201) 또는 제1 저부 승차장(301)의 방향으로, 즉 종단방향으로 운전될 때는 소정감속특성선 B, D에 의해 감속제어된다.
또, 카(8)의 승강로(1)에서의 승강위치에 관계없이 카(8)의 승강에 의해 조속기 로프(13)가 구동되어 제1 조속기(121)의 조속차(16)가 회전한다. 이로써, 수직축(17)이 회전해서 추(22)가 수직축선의 주위를 회전하고, 또 수직축(17)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으로 인한 원심력에 따라 추(22)가 상승변위한다. 이 추(22)의 상승변위에 의한 회동암(21)의 회동을 통해 작동체(24)의 작동력에 반해서 슬라이딩통 (19) 및 응동통(191)이 상승변위한다.
그리고, 카(8)의 하강속도가 제1 과속도 Vs에 도달함으로 인한 응동통(191)의 상승변위, 즉 소정위치를 초과한 응동통(191)의 상승변위에 의해 작동암(25)이 전술한 도1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작동암(25)의 회동에 의해 작동링크 (29)를 통해서 갈고리금구(26)가 도 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갈고리(27)와 로프누름체(33)의 걸어맞춤부(34)와의 걸어맞춤이 해소되어 로프누름체 (33)가 자중에 의해 하강해서 전술한 도 12에 표시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속기 로프(13)가 로프받이체(30) 및 로프누름체(33)에 의해 제동스프링937)의 누르는 압력에 의해 협압되어 조속기 로프(13)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러나, 계속해서 카(8)가 하강하므로 카(8)에 설치되어 조속기 로프(13)를 보존한 레버(102)가 전술한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레버(102)의 회동변위에 의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비상정지장치(10)의 제동편(103)이 안내레일 (100)에 걸어맞춤해서 제동 동작한다. 이로 인해 카(8)의 제1 과속도 Vs에 의한 하강이 제동되어서 정지한다.
또, 승강로(1)의 소정종단영역 C에서 제2 조속기(42)가 종단영역 구동수단 (55)에 의해 구동되는 범위를 카(8)가 승강중인 경우에 소정감속특성선 D에 의해종단방향 운전되고 있는 카(8)가 고장 등 때문에 카(8)의 하강속도가 제2 과속도 Vt를 초과했을 때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서 제2 조속기(42)가 동작한다.
즉, 소정종단영역 C에서의 카(8)의 승강속도가 제2 과속도 Vt를 초과하면 플라이웨이트(47)가 작동체(53)의 작동력에 반해서, 조속차(45)에 대해 자전해서 래치(49)가 래칫휠(50)에 걸어맞춤한다. 이로 인해 작동암(51)이 회동하고, 즉 제2 조속기(42)가 동작해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이로써, 카(8)의 제2 과속도 Vt에 의한 하강이 제동되어 정지한다.
요컨대, 카(8)의 승강위치가 종단영역 구동수단(55)의 상단보다도 위쪽, 즉 승강로(1)의 중간영역인 경우에는 제 2 조속기(42)가 구동되는 일이 없다. 이 상태에서, 카(8)의 속도가 제1 과속도 Vs를 초과했을 때에는 제1 조속기(121)가 동작해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또, 카(8)의 승강위치가 종단영역 구동수단(55)의 상단보다도 아래쪽, 즉 승강로(1)의 종단영역일 때는 제2 조속기(42)가 구동된다. 이로써, 카(8)의 속도가 제1 과속도 Vs보다도 저속인 제2 과속도 Vt를 초과했을 때는 제2 조속기(42)가 동작해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그리고, 종단영역 구동수단(55)의 마찰조체(54)의 상단위치를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설정한다. 즉 제2 조속기(42)의 조속차(45)가 마찰조체(54)의 상단에 대향했을 때의 카(8)의 위치와, 카(8)의 하부가 완충기(111)에 닿을 때의 카(8)의 위치와의 높이의 차를 La로 하고, La = (제1 과속도 Vs2- 제2 과속도 Vt2) / (2 ×9.8m/s2)로 한다.
이로 인해 카(8)가 마찰조체(54)의 상단위치 바로 위에서 제1 과속도 Vs에 도달해서 제1 조속기(121)가 동작함으로서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하는 경우에도 하강하는 카(8)가 완충기(111)를 압압할 때까지 카(8)를 제2 과속도 Vt로 감속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완충기(111)는 제1 과속도 Vs에 대응한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고, 이 보다도 저속의 제2 과속도 Vt에 대응한 기능을 갖는 것, 즉 제1 과속도 Vs 대응기능의 것보다도 전술한 도 14에서의 완충작동행정 SB의 짧은 완충작동행정의 것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저부 승차장(301)으로부터 승강로(1)의 저부 3면까지의 깊이, 즉 승강로(1)의 피트 깊이를 얕게 할 수가 있다.
또, 카(8)가 완충기(111)에 접할 때의 속도가 낮아지고, 완충작동행정 SB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 정상부(2)에서의 균형추(9)의 상승 여유높이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의 구축비, 완충기(11)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
또, 승강로(1) 정상부(2)에서의 균형추(9)의 상승 여유가 작아지므로 제1 정상부 승차장(201) 내지 제2 정상부 승차장(202)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계획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2 조속기(42)의 동작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하등의 급전도 필요치 않으므로 정전의 경우에도 지장없이 과속도가 검출되고, 또 비상정지장치(10)를 제동 동작시킬 수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도 6은 카가 승강로의 중간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전술한 도 5 상당도, 도 7은 도 6에서의 카가 승강로의 종단영역을 승강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전술한 도 3의 상당도이다. 또, 도 6 및 도 7의 다른 것은 전술한 도 1 ~ 도 5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 1 ~ 도 5와 같은 부호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56은 제2 조속기(42)의 조속차로, 부착판(43)의 축(44)에 지지된 피니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57은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조속차((56)와 맞물리는 랙봉, 58은 랙봉(57)의 상단에 설치된 저지체이다.
59는 지지암으로, 일단이 카(8)에 고정되어 돌출하여 2개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타단에 의해 의해 랙봉(57)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존된다. 60은 완충재로, 승강로(1) 저부(3)면에 설치되어 랙봉(57)의 하단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61은 종단영역 구동수단으로, 조속차(56) 및 랙봉(57)을 주요부재로서 구성되고, 카(8)가 승강로(1)의 중간영역을 승강하는 경우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지체(58)가 지지암(59)에 닿아 카(8)에 대해 랙봉(57)이 하강위치에 보존된다. 그리고, 카(8)가 승강로(1)의 중간영역을 승강할 때는 도 6에 표시하는 상태로 랙봉(57)이 카(8)의 승강과 함께 승강하므로 조속차(56)에 대해 상대변위하는 일은 없고 조속차(56)가 구동되는 일은 없다.
또, 카(8)가 승강로(1)의 저부(3) 근처의 종단영역 C를 하강하면, 랙봉(57)이 완충재(60)에 닿아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카(8)가 하강을 계속하면 도 7에 표시하는 상태에 의해 랙봉(57)이 조속차(56)에 대해 상대변위하여 조속차(56)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종단영역 구동수단(61)의 랙봉 (57)이 완충재(60)에 지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카(8)가 승강하는 경우, 즉 카(8)의 승강위치가 승강로(1)의 중간영역일 때는 제2 조속기(42)가 구동되는 일이 없다.
또, 종단영역 구동수단(61)의 랙봉(57)이 완충재(60)에 지지된 상태에서 카(8)가 승강하는 경우, 즉 카(8)의 승강위치가 승강로(1)의 저부(3) 근처의 종단영역 C를 하강할 때에는 제2 조속기(42)의 조속차(56)가 랙봉(57)에 대해 상대변위한다.
이로써, 조속차(56)가 구동되고, 카(8)의 속도가 제2 과속도 Vt를 초과했을 때에 비상정지장치(10)가 제동 동작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도 6 및 도 7의 실시의 형태에서도 도 1 ~ 도 5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또, 카(8)의 하강에 의해 랙봉(57)이 승강로(1) 저부(3)면의 완충재(60)에 닿는다. 이 때문에 랙봉(57)이 승강로(1) 저부(3)면에 접촉할 때의 진동을 감쇄할 수가 있고, 제2 조속기의 제2 과속도 Vt의 검출정밀도를 향상할 수가 있다.
또, 랙봉(57)이 완충재(60)에 지지된 상태에서 카(8)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도 7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랙봉(57)이 조속차(56)를 회전시켜서 카(8)에 대해 하강한다. 그리고, 저지체(58)가 지지암(59)에 닿음으로서 랙봉(57)이 카(8)에 대한 하강이 저지되어 카(8)와 함께 상승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에 세워설치된 안내레일에 의해 카의 승강을 안내하고, 또 무단상을 이루고 카의 승강과 함께 소정경로를 순환이동하는 조속기 로프를 승강로에 매달리게 설치한다. 그리고, 필요시에 동작해서 안내레일에 걸어맞춤하여 제동 동작하는 비상정지장치를 카에 설치해서 비상정지장치에 조속기 로프의 한쪽을 연결한다.
또, 카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제1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하고,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제1 조속기를 설치한다. 또, 카에 제2 조속기를 설치하여 카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해서 제1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제2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해서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킨다. 또, 승강로의 종단영역에 종단영역 구동수단을 설치해서 종단영역에서 제2 조속기를 구동한다.
이로 인해, 카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승강로의 종단영역에서는 승강로의 중간영역에서의 비상제동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과속도에 의해 비상정지장치가 제동 동작한다. 이 때문에, 카의 승강로 종단에서의 승강 여유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서 승강로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승강로의 구축비, 완충기의 제작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실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에 적합하다.

Claims (3)

  1. 승강로에 세워설치된 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를 승강하는 카와, 이 카에 설치되어 필요시에 동작해서 상기 안내레일에 걸어맞춤해서 제동 동작하는 비상정지장치와, 무단상을 이루고 상기 승강로에 매달리게 설치되고 한쪽이 상기 비상정지장치에 연결되어서 상기 카의 승강과 함께 소정경로를 순환이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상기 카의 속도가 제1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제1 조속기와, 상기 카에 설치되어 이 카의 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상기 제1 과속도보다도 저속의 제2 과속도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동을 구속해서 상기 비상정지장치를 제동 동작시키는 제2 조속기와, 상기 승강로의 종단영역에 설치되어 이 종단영역에서 상기 제2 조속기를 구동하는 종단영역 구동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종단영역 구동수단을, 승강로 저부에서 세워설치된 마찰조체와, 제2 조속기의 조속차를 구성하고 승강로의 종단영역에서 상기 마찰조체에 접하고, 카의 승강에 의해 구동되는 마찰차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종단영역 구동수단을, 제2 조속기의 조속차를 구성하는 피니언과,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카로부터 돌설된 지지암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존되어 상기 제2 조속기에 대해 하강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카의 승강로 종단영역 하강에 의해 하단이 승강로 저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2 조속기에 대해 상승해서 상기 피니언을 구동하는 랙봉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3-7010092A 2001-12-11 2001-12-11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11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10848 WO2003050029A1 (fr) 2001-12-11 2001-12-11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331A true KR20040018331A (ko) 2004-03-03
KR100511852B1 KR100511852B1 (ko) 2005-09-02

Family

ID=1173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092A KR100511852B1 (ko) 2001-12-11 2001-12-1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54867B1 (ko)
JP (1) JP3944482B2 (ko)
KR (1) KR100511852B1 (ko)
CN (1) CN1297465C (ko)
WO (1) WO20030500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95B1 (ko) * 2009-01-21 2012-01-31 조항민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9226C (zh) * 2004-04-30 2008-12-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4292215B2 (ja) * 2004-12-27 2009-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調速機装置
ES1060583Y (es) 2005-07-04 2006-01-16 Dominguez Luis Fernando Simal Limitador de velocidad para aparatos de elevacion
CN100581971C (zh) * 2006-10-31 2010-01-20 中山市南区机电产业技术中心 一种电梯的无绳限速系统
EP2682359B1 (en) * 2006-11-20 2016-08-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maintenance with detection of a person on top of the car.
JP5600399B2 (ja) * 2009-05-19 2014-10-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056679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KR101212523B1 (ko) 2010-08-06 2012-12-14 한국고벨주식회사 풍력발전기 타워리프트용 권양장치
CN102070059A (zh) * 2011-01-04 2011-05-25 张向阳 一种液压限速电梯
TWI483888B (zh) * 2012-11-01 2015-05-11 Hiwin Tech Corp 具有安全緩降機制的升降裝置
ES2404488B1 (es) * 2012-11-13 2014-08-07 Aplicaciones Electromecánicas Gervall, S.A. Bastidor portador de los mecanismos de seguridad de un ascensor
ES2404487B1 (es) * 2012-11-13 2014-03-14 Aplicaciones Electromecánicas Gervall, S.A. Sistema limitador de velocidad para ascensor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1459A (en) * 1924-07-11 1926-04-20 Otis Elevator Co Elevator safety appliance
US1934508A (en) * 1932-02-06 1933-11-07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safety
LU50149A1 (ko) * 1965-12-28 1967-06-28
GB1118399A (en) * 1967-04-25 1968-07-03 Alimak Verken Aktiebolag Improvements in catch apparatus for the cages of scaffold elevators and the like
JPS522857U (ko) * 1975-06-24 1977-01-10
US5183979A (en) * 1991-07-22 1993-02-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rope restraint when elevator car moves with car doors open
JPH0522857U (ja) * 1991-09-06 1993-03-2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プライン継手
US5713434A (en) * 1995-07-07 1998-02-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JP3532349B2 (ja) * 1996-06-1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00055085A1 (fr) * 1999-03-17 2000-09-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95B1 (ko) * 2009-01-21 2012-01-31 조항민 초고층 건물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50029A1 (ja) 2005-04-21
CN1297465C (zh) 2007-01-31
EP1454867A1 (en) 2004-09-08
JP3944482B2 (ja) 2007-07-11
EP1454867B1 (en) 2012-08-22
WO2003050029A1 (fr) 2003-06-19
EP1454867A4 (en) 2010-07-07
CN1489548A (zh) 2004-04-14
KR100511852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118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8600014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327241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調速装置
KR101371282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460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192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20013543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14145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WO2000055085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CN215047819U (zh) 多位置电梯缓冲装置与电梯系统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JP419094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58440A (ja) エレベータ
JP43020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4955759B (zh) 电梯系统
CN114364627B (zh) 施工用升降机
CN114955786B (zh) 电梯缓冲装置与电梯系统
WO2023233462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2011256001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