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730A -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730A
KR20040015730A KR10-2003-7015939A KR20037015939A KR20040015730A KR 20040015730 A KR20040015730 A KR 20040015730A KR 20037015939 A KR20037015939 A KR 20037015939A KR 20040015730 A KR20040015730 A KR 20040015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ugh
elongate
gap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카와미치오
우에노사다오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5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5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with one or more rollers moving perpendicularly to its rotation axis, e.g. reciprocally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2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 A21C3/024Dough-sheeters; Rolling-machines; Rolling-pins using one or more rollers with an axis of rotation substantially parallel or oblique to the direction of dough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 시트(dough sheet)를 형성하기 위해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 및 압연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제 1 컨베이어(15)는 상기 반죽(9) 스트립의 덩어리에 평행한 이행 방향을 따라 상기 반죽(9) 스트립의 덩어리를 지속적으로 운반한다. 상기 반죽(9)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는 반죽 시트 형태로 연신 및 압연되도록 일차 롤러(11)와 상기 일차 롤러(11)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는 이차 롤러(13)를 통해 그 사이로 통과한다.

Description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haping a dough piece}
예를 들어, 반죽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빵 반죽과 같은 음식 품목(들)으로 이루어지는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신장시키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종래의 연신 장치는 일본 특허 제2860938호(일본 특허공개 제10-075705호) 및 일본 특허공개 제54-9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연신 장치에 있어서, 빵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는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운반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에는 롤러들로 이루어진 체인을 포함하는 유성 롤러(planetary roller)군이 그 운동 방향을 따라 휠과 같이 권취된다. 상기 유성 롤러군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바로 위에 위치되는 선행 세그먼트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행 방향을 따라 이행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상의 상기 빵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는 상기 유성 롤러군의 상기 선행 세그먼트 아래의 통로로 이동되고, 상기 선행 세그먼트의 각각의 롤러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빵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시켜 빵 반죽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종래의 연신 장치가 상기 빵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성공적으로 신장시켜 시트를 형성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장치는 휠과 같이 배열된 상기 롤러들로 이루어진 체인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용이하게 연신시켜 반죽 시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간략화된 형태의 신규한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략화된 방식으로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시켜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죽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빵 반죽과 같은 음식 품목(들)으로 이루어지는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가 용이하게 연신되어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간단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장치의 롤러들과 컨베이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장치의 일차 및 이차 롤러와 컨베이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4a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이차 롤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인 이차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회전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장치의 일차 및 이차 롤러와 컨베이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6a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일차 롤러를 대체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궤도에 복수의 세장형 유성 롤러를 구비하는, 대안적인 일차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대안적인 이차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7a는 상기 제 4 실시예의 일차 롤러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일차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이차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본 발명은 빵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 및 압연하여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필요성을 달성한다. 상기 방법은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반죽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를 수용하기 위해 사이에 갭을 제공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이차 롤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롤러가 대응하는 세장형 롤러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가 상기 갭 내에서 연신 및 압연되어 반죽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 및 압연하여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필요성을 달성한다. 상기 장치는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이행 방향을 따라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제 1 운반 수단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행 방향에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이차 롤러는 상기 제 1 운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반죽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를 수용하기 위한 갭을 사이에 제공하도록 서로 대향된다. 진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롤러가 대응하는 세장형 롤러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가 상기 갭 내에서 반죽 시트로 연신 및 압연된다. 제 2 운반 수단은 상기 반죽 시트를 상기 갭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반죽 시트를 상부에서 운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세장형 이차 롤러는 상기 진입 반죽의 이행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는 개별적인 모터들에 의해 또는 공통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단은 개별적인 모터 또는 상기 공통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수단은 제 1 갭 및 제 2 갭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갭들사이의 크기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진입 반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회전 롤러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약간 이격되도록 상기 갭 내의 음식 반죽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를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쪽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유성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유성 롤러는 그 궤도에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 장점 및 목적은 하기에서 기술되며, 부분적으로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동일한 요소 및 유사하게 기능하는 요소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연신 장치(1A)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세장형 반죽(9)이 상기 장치(1A)에 지속적으로 이송되지만, 상기 세장형 반죽(9)의 일부분은, 선행 구역에서 예를 들어, 빵 반죽으로서 반죽되어 준비되며,공지된 가공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로서 형성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신 장치(1A)는 일반적으로 기부(3), 상기 기부(3) 위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구조체(5, 7), 및 상기 구조체들(5 및 7)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대향 수평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대향 수평 롤러는 상기 세장형 반죽(9)의 상부면에 일차 압력을 가하는 세장형 상부 롤러(일차 롤러)(11)와, 상기 세장형 반죽(9)의 하부면에 이차 압력을 가하는 세장형 하부 롤러(이차 롤러)(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롤러(11) 및 상기 하부 롤러(13)는 그들의 회전 표면이 소정의 갭 만큼 이격되도록 각각의 대응 회전축(23, 29)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소정의 갭은 연신해야 할 반죽(9)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반죽의 두게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수평 통로이지만, 그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A)는 그 상류 단부로부터 그 하류 단부까지의 사이에 대향 수평 롤러(11, 13)가 배치되도록 제 1 컨베이어(15) 및 제 2 컨베이어(17)(양자 모두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들(23, 29)의 길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컨베이어(15, 17)의 이행 방향에 직교한다. 상기 롤러들(11, 13)의 회전 방향은 상기 컨베이어(15, 17)의 이행 방향으로 된다. 도 1b의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 반죽(9)의 초기 두께보다 작은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진입 반죽(9)을 연신시키고 그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상부 롤러(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하부 롤러(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베이어(15)의 이행 속도는 V1이고, 상기 제 2컨베이어(17)의 이행 속도는 V2이며, 여기서 V2 > V1 이다. 도 1a에서, 상기 세장형 반죽(9)이 상기 롤러들(11, 13)의 바로 앞에 있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5)상에서는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세장형 반죽(9)은 상기 롤러들(11, 13)에 의해서 압연, 평탄화 및 신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컨베이어(17)상에서는 반죽 시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수평 롤러(11)의 회전축(23)의 양 단부는 상기 구조체(5, 7)로부터 매달리는 베어링(19, 21)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23)의 일단부[베어링(19)측]는 브래킷(24)을 통해 상기 구조체(5)에 장착되는 제 1 모터(M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3)과 상부 롤러(11)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제 1 모터(M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제 1 모터(M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를 가변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와 같은 변속 모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상부 롤러(11)의 원주 속도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베이어(15, 17)의 이행 속도와 동일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롤러(11) 아래의 상기 반죽(9) 스트립의 이행 덩어리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주름이나 균열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 수평 롤러(13)는 상기 상부 수평 롤러(11)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요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13)의 요동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배치구조의 일예는 도 1a에 도시된다.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축(29)의 양 단부는 베어링(25, 27)을 통해 상기 구조체(5, 7)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하부 롤러(13)의단부들에서, 상기 회전축(29)은 상기 회전축(29)을 중심으로 하는 편심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한쌍의 부재, 예를 들어 편심 부싱(31)을 구비한다. 상기 편심 부싱(31)은 베어링(33)을 통해 상기 하부 롤러(13)를 지지한다. 상기 회전축(29)상의 적절한 위치에는 평형기(30)가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평형기(30)의 기능은 상기 편심 부싱(31)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하부 롤러(13)의 요동 운동의 관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평형기(30)는 상기 편심 부싱(31)의 위상에 대해서 반대 위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축(29)상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29)의 일단부[베어링(27)측]는 종동 풀리(35)에 결합된다. 상기 종동 풀리(35)의 아래에서는, 구동 풀리(37)가 상기 기부(3)에 장착되는 제 2 모터(M2)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모터(M2)는 상기 구동 풀리(37), 상기 풀리들(35, 37) 주위로 탑재되는 제 1 엔드리스 벨트(39; endless belt), 및 종동 풀리(35)를 통해 상기 회전축(29)에 구동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 3 모터(M3)는 구동 풀리(41)에 결합되며 상기 기부(3)에 장착된다. 상기 제 3 모터(M3)는 상기 구동 풀리(41)를 통해 상기 하부 롤러(13)에 구동식으로 결합되며, 제 2 엔드리스 벨트(43)는 상기 구동 풀리(41) 및 상기 하부 롤러(13) 주위로 탑재된다.
상기 하부 롤러(13)는 상기 제 3 모터(M3)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29)은 상기 하부 롤러(13)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롤러(13)는 그 일회전동안 상기 상부 롤러(11)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빈번하게 요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들(M1, M2, 및 M3)의 속도는 제어기(5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장치(1A)상에 제어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갖추거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영구적인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상부 롤러(11)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M1)에 결합되는 상기 축(23)의 회전 속도, 상기 모터(M2)에 결합되는 상기 축(29)의 회전 속도, 및 상기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50)는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 R1[r.p.m.], 상기 축(29)의 회전 속도 R2[r.p.m.], 및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 R3[r.p.m.]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 속도들(R1, R2 및 R3)은 상기 제 1 컨베이어(15)의 이행 속도(V1), 상기 제 2 컨베이어(17)의 이행 속도(V2), 상기 반죽(9)의 특징, 또는 상기 롤러들(11, 13) 사이의 통로로부터 압연된 반죽(9)의 소망 두께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R1) 및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R2)는 상기 반죽(9)과 각각의 롤러(11 또는 13)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베이어(15)의 이행 속도(V1)와 상기 제 2 컨베이어(17)의 이행 속도(V2)(여기서, V2 > V1) 사이의 임의의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R1) 및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R2)는 상기 반죽(9)의 특징 또는 상기 압연된 반죽(9)의 소망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컨베이어(17)의 이행 속도(V2)와 동일하게, 또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5)의 이행 속도(V1)와 상기 제 2 컨베이어(17)의 이행속도(V2) 사이의 중간 속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롤러(11, 13)의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진입 반죽(9)은 상기 반죽(9)이 세장형 덩어리 형태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5)로부터 상기 상부 롤러(11)와 하부 롤러(13) 사이의 통로로 이송된다. 그후, 상기 반죽(9)의 시트 형태로의 평탄화 및 형상화는 상기 롤러(11, 13)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11)는 상기 반죽(9)의 상부면을 압연 및 연신시킨다. 동시에, 상기 하부 롤러(13)는 상기 반죽(9)의 하부면을 압연 및 연신시키며, 상기 반죽에 대향되어 이격되도록 요동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들(11, 13)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반죽(9)은 바람직하지 않은 주름이나 균열이 없이 상기 제 2 컨베이어(17)상에 시트 형태로 위치된다.
상기 하부 롤러(13)는 상기 반죽(9)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요동하기 때문에, 상기 반죽(9)은 상기 롤러들(11, 13)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 및 감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들(11, 13) 사이의 상기 반죽(9)은 일시적으로 그 이전보다 더욱 유동화되므로, 상기 반죽은 고압의 필요성을 배제하고 상기 롤러들(11, 13)에 의해 반죽 시트로 용이하게 압연, 평탄화 및 신장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빵 반죽의 겔(gel)의 망 구조를 바람직하지 않게 파괴하지 않고도 반죽 시트를 소정의 두께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들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상기 반죽과 상기 롤러들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고착(들러붙음)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분말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반죽에 흩뿌려지는 고착 방지제의 사용량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13)의 요동 운동이 상기 축(29)의 진동을 야기할 수 있지만, 상기 평형기(30)는 과도한 진동을 회피하도록 상기 축의 진동을 최소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A)는 하나의 일차 롤러(11) 및 하나의 이차 롤러(13)를 포함하는 한쌍의 롤러를 사용한다. 특히, 상기 일차 롤러(11) 및 상기 이차 롤러(13)는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상에 위치되는 상부 롤러(11) 및 수직 방향으로 상기 일차 롤러(11)에 대향되며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진입 반죽(9)에 적용되는 하부 롤러(13)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상술한 디자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1) 상기 제 1 수평 컨베이어(15)와 상기 제 2 수평 컨베이어(17)는 상기 진입 반죽(9)이 수직 방향으로 운반되도록 수직 컨베이어들(도시되지 않음)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롤러가 다른 롤러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롤러가 상기 진입 반죽(9)의 특징에 적합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2) 상기 제 1 수평 컨베이어(15)는 상기 진입 반죽(9)이 수직 컨베이어 상에서 운반되어 상기 제 2 수평 컨베이어(17)로 진행하도록 수직 컨베이어(도시되지 않음)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한쌍의 롤러(11, 13)는 상기 일차 롤러가 상기 이차 롤러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롤러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롤러들은 상기 수직 컨베이어와 상기 제 2 수평 컨베이어(17) 사이의 전환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3)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들, 1) 및 2) 에 있어서, 한쌍의 롤러는 다수 쌍의, 예를 들어 두쌍 또는 세쌍 또는 그 이상의 쌍을 이루는 롤러들로 대체될 수 있다.
4)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들, 1), 2) 및 3) 에 있어서, 상기 일차 롤러 및 이차 롤러는 결합 롤러들로 이루어진 그룹 및 보조 롤러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룹들 중 하나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고, 나머지 그룹은 상기 하나의 그룹의 롤러보다 많거나 적은 롤러를 구비할 수 있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5)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들, 1) 내지 4) 에 있어서, 상기 일차 롤러(또는 상기 일차 롤러들)의 직경은 상기 이차 롤러(또는 상기 이차 롤러들)의 직경과 상이할 수 있다.
6)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 5) 에 있어서, 상기 일차 롤러[예를 들어, 상부 롤러(11)] 또는 상기 일차 롤러들의 직경이 상기 이차 롤러[예를 들어, 하부 롤러(13)] 또는 상기 이차 롤러들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각각의 상대 롤러가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면적은 상기 진입 반죽(9)의 운반 방향으로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이차 롤러에 의해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에 하중이 점진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진입 반죽(9)은 두꺼워지게 된다.
7)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들, 4) 및 5) 의 조합으로서, 하나의 이차 롤러[예를 들어, 하부 롤러(13)]와 다수의(예를 들어, 3개) 일차 롤러들은 각각 상기 이차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대안적인 디자인 6) 과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일차 롤러들은 상기 제 1 컨베이어의 운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하류 단부에 있는 일차 롤러는 상류 단부에 있는 일차 롤러보다는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오프셋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연신 장치(1B)를 도시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신 장치(1B)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롤러(13)를 회전시키는 제 3 모터(M3)는 생략된다. 상기 제 3 모터(M3) 대신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9)을 회전시키는 제 2 모터(M2)가 상기 하부 롤러(13)도 회전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모터(M2)는 연장된 출력축(40)을 구비한다. 상기 연장된 출력축(40)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상기 구동 풀리(37: 도 1a 참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동 풀리(37a)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모터(M2)의 상기 연장된 출력축(40)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상기 제 3 모터(M3)에 결합되는 구동 풀리(41)에도 결합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엔드리스 벨트(39)는 상기 종동 풀리(35)와 상기 구동 풀리(37a) 주위로 탑재된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풀리(37a)와 상기 제 1 엔드리스 벨트(39)는, 상기 구동 풀리(37a)가 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종동 풀리(35)와 상기 구동 풀리(37a) 사이에서 전동장치(45)를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M2)만으로 상기 하부 롤러(13)와 상기 회전축(29)을 구동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29)에 대한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의 비율이 제한없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풀리(37a)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장치(45)에 제공되는 V-풀리로 이루어진다.
단지 2개의 모터(M1, M2)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연신 장치(1B)의 구조는 단순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의 상기 연신 장치(1B)는 적절한 전동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 롤러(11)와 하부 롤러(13)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모터(M1)를 생략하여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도 2b는 상기 전동 수단의 일예로서 전동 기구(47)를 도시한다. 상기 전동 기구(47)에서, 상부 기어(11G) 및 하부 기어(13G)는 상기 상부 롤러(11) 및 상기 하부 롤러(13)(양 롤러 모두 도 2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기어(11G)는 제 1 중간 기어(49)에 안정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하부 기어(13G)는 상기 제 1 중간 기어(49)에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제 2 중간 기어(51)에 안정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상부 기어(11G)는 중심 피벗 핀(53A)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중간 기어(49)는 제 1 연동 아암(55)을 통해 상기 중심 피벗 핀(53A)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중심 피벗 핀(53B)을 구비한다. 유사하게, 상기 하부 기어(13G)는 중심 피벗 핀(53C)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중간 기어(51)는 제 2 연동 아암(57)을 통해 상기 중심 피벗 핀(53C)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중심 피벗 핀(53D)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중간 기어(49)의 중심 피벗 핀(53B)은 제 3 연동 아암(59)을 통해 상기 제 2 중간 기어(51)의 중심 피벗 핀(53D)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동 기구(47)에 의하면, 상기 제 2 모터(M2)에 의한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은 상기 하부 기어(13G), 상기 제 2 중간 기어(51), 상기 제 1 중간 기어(49), 및 상기 상부 기어(11G)를 통해 상기 상부 롤러(11)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롤러(11)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모터(M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기어(11G)의 직경이 상기 하부 기어(13G)의 직경과 동일하며, 상기 제 1 중간 기어(49)의 직경이 상기 제 2 중간 기어(51)의 직경과 동일한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는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와 동일해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기어들의 직경들을 상이하게 구성하면,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 속도는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 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동 기구(47) 외에 다른 전동 수단이 고려될 수도 있다. 단순화된 전동 수단의 일예인, 비틀린 엔드리스 벨트(도시되지 않음)는 "8"자 형태로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주위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들(11, 13) 및 상기 컨베이어들(15, 17)의 배치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술한 1) 내지 8) 과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입 반죽(9)의 두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사이의 갭을 조절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연신 장치(1C)가 도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컨베이어(15)의 바로 하류에서 상기 진입 반죽(9)은 상기 장치(1C)의 상부 롤러(11) 및 하부 롤러(13) 사이의 통로를 통과한다. 이 지점에서 상기 진입 반죽(9)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축(23)의 양 단부의 베어링(19, 21)은 상기 구조체(5, 7)에 직접적으로 매달린다. 반대로, 제 3 실시예의 베어링(19, 21)은 상부 단부에 너트(61A, 61B)를 갖는 베어링 블럭(59A, 59B)상에 장착된다. 상기 너트(61A, 61B)는 상기 구조체(5, 7)로부터 수직으로 매달리는 스터드(63A, 63B)에 조절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63A, 63B)에 대한 상기 너트(61A, 61B)의 체결 위치를 고려하면, 상기 회전축(23)의 높이 및 그에 따른 상부 롤러(11)가 조절될 수 있고, 그러면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사이의 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진입 반죽(9)의 두께는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사이의 갭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축(23)이 두 위치(즉, 양 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너트(61A, 61B)와 상기 스터드(63A, 63B)의 임의의 불균일한 체결은 회피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그에 따라 두개의 너트(61A, 61B)를 일제히 균일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너트(61A, 61B)에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로켓(65A, 65B)이 제공된다. 또한, 엔드리스 체인(67)은 상기 스프로켓(65A, 65B)주위로 탑재되므로, 상기 스프로켓들을 일제히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두개의 베어링 블럭(59A, 59B)의 높이 및 그에 따른 회전축(23)의 양 단부의 높이는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입 반죽(9)의 두께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사이에서 소망 갭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로켓(65A, 65B)과 상기 엔드리스 체인(67)은 두개의 너트(61A, 61B)를 일제히 균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롤러(11)와 상기 하부 롤러(13) 사이의 갭은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축(2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 롤러(11)의 회전축(23)의 높이 또는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축(29)의 높이(또는 양자 모두)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13)의 회전축(29)의 높이는 도 3을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3)과 동일한 배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들(11, 13) 및 상기 컨베이어들(15, 17)의 배치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1) 내지 7) 과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하부 롤러(또는 이차 롤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인 이차 롤러(13A)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실척은 아니다. 상기 롤러(13A)는 상기 일차 롤러(또는 상부 롤러)(11)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요동할 수 있다.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는 이차 롤러(13A)는 브래킷(69)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브래킷(69)은 볼 부싱(75)과 같은 슬라이드식 부재를 통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구조체)에 부착되는 안내 칼럼(73)상에 수직하게 슬라이드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브래킷(69)은 상기 롤러(13A)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평행한 슬롯(77)을 구비한다. 상기 슬롯(77)은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그 회전 축선(P)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부재(79)의 핀(81)을 수용한다. 상기 회전 부재(79)는 상기 이차 롤러(13A)와 상기 브래킷(69) 등의 균형을 잡기 위해 평형추(79W)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79)가 그 회전 축선(P)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핀(81)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롯(77)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브래킷(69)의 수직 진동 운동이 야기된다. 상기 수직으로 진동하는 브래킷(69)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도 4a 참조), 실제로는 그 수직 진동 운동의 범위는 수 mm 정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8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79)의 방사상 나사식 스터드(83)상의 너트(85)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핀(81)과 상기 회전 축선(P) 사이의 방사상 길이는 상기 방사상 나사식 스터드(83)상의 너트(8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차 롤러(13A)의 진동 운동의 범위가 상기 반죽(9)의 특징 또는 상기 압연된 반죽의 소망 두께에 기초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차 롤러(11) 대신에 대안적인 일차 롤러 또는 상부 롤러(11A)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연신 장치(1D)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부품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지시되고, 그들의 배치구조 및 기능도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 일차 롤러(11A)의 상기 회전축(23)과 그 관련 기구는 제 1 실시예의 일차 롤러(11)의 경우와 동일하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된다.
상기 일차 롤러(11A)는 상기 일차 롤러(11A)의 양 단부를 한정하는 한쌍의 원형 디스크(11P)와, 상기 원형 디스크(11P)들 사이에 위치된 회전축(2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의 유성 롤러(11R)를 포함한다. 각각의 유성 롤러(11R)는 상기 회전축(23) 주위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원형 디스크(11P)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즉, 상기 일차 롤러(11A)의 회전 표면은 상기 유성 롤러(11R)의 궤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유성 롤러(11R)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제 1 모터(M1) 및 그 관련 부품에 의해 시계방향(도 5b에서는 R로 지시됨)으로 회전될 때 상기 진입 반죽(9)의 이행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각각의 유성 롤러(11R)는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에 접촉함으로써 그 자체의 축선상에서 회전한다. 이는 상기 진입 반죽(9)이 양호하게 연신되도록 하며, 상기 진입 반죽(9)의 초기 두께보다 작은 갭[상기 유성 롤러(11R)와 상기 이차 롤러(13)의 사이]을 통해 상기 진입 반죽이 통과함으로써 그 두께가 감소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차 롤러(11A)는 상기 유성 롤러(11R)들의 회전을 촉진하거나 활성화하기에 적합한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성 롤러(11R)의 회전을 활성화하도록 벨트(22)와 같은 부재를 설치하기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일차 롤러(11A)는 그 단부들 중 한 단부측(도 5a의 좌측)으로 상기 이차 롤러(13)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하나의 유성 롤러(11R)가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과 접촉하면, 상기 유성 롤러(11R)의 일단부(도 5a의 좌측)는 그 회전을 활성화하도록 상기 벨트(22)와 마찰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상기 유성 롤러(11R)와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미끄러짐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의 바람직하지 않은 주름이나 균열은 충분히 회피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망 형태의 진입 반죽 시트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차 롤러(11)와 상기 제 4 실시예의 일차 롤러(11A)를 비교하면, 상기 일차 롤러(11A)는 복수의 유성 롤러(11R)를 포함하는 것인데 반해 상기 일차 롤러(11)는 단일 롤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실시예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더라도, 상기 제 4 실시예의 일차 롤러(11A)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차 롤러(11)와는 일부 상이한 특징을 갖는다.
도 5a를 참조로, 상기 일차 롤러(11A)의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이차 롤러(13)는 회전하며, 상기 일차 롤러(11A)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요동한다. 이 때, 상기 일차 롤러(11A)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일차 롤러(11)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한다.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 사이의 갭은 하나의 유성 롤러(11R)가 회전축들(23, 29)의 중심들에 가까운 가상의 수직 축선(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될 때 최소로 된다. 그 후, 상기 유성 롤러(11R)는 상기 일차 롤러(11A)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상의 수직 축선으로부터 상기 진입 반죽(9)의 운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이차 롤러(13)는 상기 일차 롤러(11A)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요동하며, 상기 요동은 상기 이차 롤러(13)의 요동 운동에 의해 야기된다. 그 후, 상기 이차 롤러(13)와 상기 일차 롤러(11)[또는 상기 가상의 수직 축선으로부터 이동된 하나의 유성 롤러(11R)] 사이의 갭은 상기 최소 갭보다 커지도록 약간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 사이의 갭은 상기 진입 반죽(9)을 압연하도록 상기 최소 갭과 상기 약간 증가된 갭 사이에서 선택된다.
그 후, 실질적으로 상기 가상의 수직 축선상에 위치되는 인접하는 유성 롤러(11R)들 사이의 간격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이차 롤러(13)는 상기 일차 롤러(11A)에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요동한다. 이러한 운동에 의해 상기 진입 반죽(9)이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 사이에서 약간 상승되므로, 상기 진입 반죽의 상부면이 약간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입 반죽은 상기 롤러들(11A, 13)에 의해 용이하게 압연, 평탄화 및 신장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더욱 유동화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 사이의 상기 진입 반죽(9)의 상부면은 상기 이차 롤러(13)의 요동 운동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약간 볼록한 형상(이 때, 그 반대쪽 표면은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가짐) 및 약간 오목한 형상(이 때, 그 반대쪽 표면은 약간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 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이차 롤러(13)를 요동시키는 기구는 상기 이차 롤러(13) 대신에 상기 일차 롤러(11A)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치구조에서, 상기 일차롤러(11A)가 상기 이차 롤러(13)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진입 반죽(9)보다 약간 낮게 요동하면, 상기 진입 반죽의 상부면은 약간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는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이차 롤러(13)의 요동 운동은 상기 진입 반죽(9)에 타격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차 롤러(13)가 요동하기 때문에, 상기 일차 롤러(11A)와 상기 이차 롤러(13) 사이의 갭 및 그에 따른 상기 타격 동작의 강도는 무작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일차 롤러(11A)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이차 롤러(13)의 진동수는 상기 진입 반죽(9)의 운반 속도에 대해 그 특징들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상기 롤러들 및 상기 컨베이어들(15, 17)의 배치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1) 내지 7) 과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실질적으로 타원형 궤도에 복수의 세장형 유성 롤러(95)를 갖는 대안적인 일차 롤러(11B)를 도시한다. 상기 일차 롤러(11B)는 운반 방향으로 배열되는 단부 스프로켓(91) 쌍 주위로 탑재되는 한쌍의 엔드리스 체인(93)을 포함한다. 각각의 세장형 유성 롤러(95)의 양 단부는 상기 세장형 유성 롤러(95)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엔드리스 체인(93)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안내 부재(97) 예를 들어, 레일이 상기 유성 롤러(95)들의 회전을 안내 및 활성화하도록 상기 컨베이어(15, 17)의 횡방향 양 측부 근처에 제공된다.
명확하게는, 상기 일차 롤러(11B; 도 6a 및 도 6b 참조)는 상기 일차 롤러(11A; 도 5a 및 도 5b 참조)보다 긴 궤도를 갖는다. 후자의 경우보다 전자의 경우에, 상기 유성 롤러(95)들이 상기 반죽(9)을 신장 및 압연하기 위한 힘을 가하는 범위가 더욱 연장된다. 상기 보다 긴 궤도에 의해, 각각 상기 이차 롤러(13)와 유사한 두개 이상의 이차 롤러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추가의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들(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인접하는 이차 롤러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성 롤러(95)들의 궤도가 타원형 궤도로서 도시되지만, 직사각형 궤도, 또는 삼각형 궤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상기 이차 롤러(13) 및 상기 컨베이어들(15, 17)에 대향되는 상기 유성 롤러(95)들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궤도가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된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대안적인 일차 롤러(94)를 도시한다. 상기 진입 반죽(9)의 통로의 횡방향 측부에는 한쌍의 안내 레일(90; 도 7b에는 하나만 도시됨)이 제공된다. 각각의 안내 레일(90)은 슬라이딩 부재(92)를 슬라이드식으로 수용하는 세장형 리세스를 구비하고, 리세스들은 서로 대향된다. 상응하는 슬라이딩 부재(92)는 상기 일차 롤러(94)의 각각의 단부를 슬라이드식으로 지지한다. [도 7a 및 도 7b가 단지 하나의 일차 롤러(94)를 도시하지만, 복수의 일차 롤러가 제공된다.] 각각의 일차 롤러(94)에는 한쌍의 아암(96)(도 7a 및 도 7b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이 제공된다. 각각의 아암(96)의 하나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92)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크랭크 기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왕복운동 기구에 구동식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92)는 상기 세장형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안내 부재(97)와 유사한 한쌍의 안내 부재(98; 도 7b에는 단지 하나만이 도시됨)는 상기 일차 롤러(94)들의 회전을 안내 및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들(15, 17)의 횡방향 양 측부 근처에 제공된다.
상기 왕복운동 기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92)를 상기 반죽(9)의 운반 방향으로 상기 안내 레일(90)들 내에서 왕복식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일차 롤러(94)들은 상기 안내 부재(98)들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반죽(9)의 운반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일차 롤러(94)들의 상기 반죽(9)의 운반 방향으로의 능동적인 회전은 상기 반죽(9)을 용이하게 신장 및 압연시키도록 상기 이차 롤러(13)의 진동 및 회전 운동과 협동한다.
본 발명이 몇가지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취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Claims (12)

  1.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 및 압연하여 반죽 시트(dough sheet)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덩어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반죽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를 수용하기 위해 사이에 갭을 제공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이차 롤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롤러가 대응하는 세장형 롤러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는 상기 갭 내에서 연신 및 압연되어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반죽 시트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을 제 1 갭과 제 2 갭 사이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갭들 사이의 크기의 차이는 약간 상이한 반죽 시트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반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회전 롤러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그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상기 갭 내의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를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반죽 시트 형성 방법.
  4. 음식 반죽 스트립의 덩어리를 연신 및 압연하여 반죽 시트를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덩어리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이행 방향을 따라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덩어리를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운반하는 제 1 운반 수단과,
    상기 제 1 운반 수단으로부터 상기 반죽 스트립의 진입 덩어리를 수용하기 위해 사이에 갭을 제공하도록 서로 대향되며 상기 이행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이차 롤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롤러가 대응하는 세장형 롤러에 대향되어 그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가 상기 갭 내에서 연신 및 압연되어 반죽 시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회전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과,
    상기 반죽 시트를 상기 갭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반죽을 상부에서 운반하는 제 2 운반 수단을 포함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는 상기진입 반죽의 이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는 개별적인 모터들에 의해 구동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개별적인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는 공통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공통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갭을 제 1 갭과 제 2 갭 사이에서 선택하고, 상기 갭들 사이의 크기의 차이는 약간 상이한 반죽 시트 형성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반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회전 롤러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그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상기 갭 내의 상기 음식 반죽 스트립의 상기 진입 덩어리를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적어도 하나의 롤러 쪽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일차 롤러 및 상기 세장형 이차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유성 롤러(planetary roller)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유성 롤러는 그 궤도에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반죽 시트 형성 장치.
KR10-2003-7015939A 2002-04-02 2003-02-21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15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0275 2002-04-02
JP2002100275A JP3949992B2 (ja) 2002-04-02 2002-04-02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PCT/JP2003/001904 WO2003082017A1 (en) 2002-04-02 2003-02-21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haping a dough pie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730A true KR20040015730A (ko) 2004-02-19

Family

ID=2844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939A KR20040015730A (ko) 2002-04-02 2003-02-21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501139B2 (ko)
EP (1) EP1492408B1 (ko)
JP (1) JP3949992B2 (ko)
KR (1) KR20040015730A (ko)
CN (1) CN100493361C (ko)
AT (1) AT503347B1 (ko)
AU (1) AU2003208015B2 (ko)
BR (1) BR0303678A (ko)
CA (1) CA2449539C (ko)
CH (1) CH695202A5 (ko)
CZ (1) CZ20033255A3 (ko)
DE (1) DE10392124B4 (ko)
ES (1) ES2264307B1 (ko)
GB (1) GB2391193B (ko)
HK (1) HK1067012A1 (ko)
IL (1) IL159037A0 (ko)
MX (1) MXPA03011160A (ko)
NZ (1) NZ529826A (ko)
PL (1) PL367422A1 (ko)
RU (1) RU2262850C2 (ko)
SE (1) SE527408C2 (ko)
WO (1) WO2003082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8140C9 (ru) * 2005-02-25 2016-12-27 Олег Петрович Макаров Высоко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из теста с начинкой
JP5186131B2 (ja) * 2007-04-17 2013-04-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生地計量コンベア及び生地計量切断装置
JP5647777B2 (ja) * 2009-08-11 2015-01-0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切断片旋回装置
US8740602B2 (en) * 2010-09-28 2014-06-03 J.C. Ford Company Sheeter with thickness control
AT518997B1 (de) * 2016-10-21 2018-03-15 Koenig 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und Transportieren von Teigbändern
CN106386926A (zh) * 2016-11-10 2017-02-15 安徽省久阳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滚压式揉面机
TWI636732B (zh) * 2017-01-26 2018-10-01 統一企業股份有限公司 Dough positioning forming device
CN107691546B (zh) * 2017-08-10 2019-07-19 宁波北仑思行硅胶制品有限公司 一种揉面装置及揉面方法
CN108056125B (zh) * 2017-12-20 2021-07-30 上海特英进出口有限公司 一种内置式的电动手动两用面辊
US11000978B2 (en) * 2018-06-26 2021-05-11 The Boeing Company Gap filler roller assembly
CN112535189A (zh) * 2019-09-20 2021-03-23 山东江泷机械有限公司 一种面条压延机组及其应用
PT3815534T (pt) 2019-10-29 2022-12-19 Rondo Burgdorf Ag Processo para operação de uma máquina de processamento de massa e máquina de processamento de massa
WO2021112026A1 (ja) * 2019-12-02 2021-06-1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整形装置
IT202000008182A1 (it) * 2020-04-17 2021-10-17 Rollmatic S R L Sfogliatrice automatica
GB2594984B (en) * 2020-05-14 2022-06-08 Frito Lay Trading Co Gmbh Improvements in roller apparatus
CN115211444A (zh) * 2022-07-09 2022-10-21 安徽麦丰食品有限公司 一种非油炸方便面切丝、装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004A (en) * 1967-07-24 1969-02-11 United Co The Can shaking device
JPS5022109B1 (ko) * 1971-01-13 1975-07-28
US3991665A (en) * 1975-06-23 1976-11-16 N.P.I. Corporation Meatball cooker
JPS54991A (en) * 1977-06-06 1979-01-06 Panafacom Ltd Semiconductor ic
JPS61100144A (ja) * 1984-10-20 1986-05-19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生地の圧延装置
ES282342Y (es) * 1984-10-22 1986-09-01 Suay Balaguer Enrique Mejoras en las maquinas formadoras de barras de pan
ES8801877A1 (es) * 1986-06-25 1988-03-16 Sermont S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laminado en continuo de masa de pasta para panaderia y bolleria.
SU1400576A1 (ru) * 1986-07-31 1988-06-0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втоматика" Установка дл приготовлени арм нского лаваша
JPH01206942A (ja) * 1988-02-15 1989-08-21 Rheon Autom Mach Co Ltd パン生地等の延展成形方法及び装置
JPH0640794B2 (ja) * 1988-07-26 1994-06-01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またはペーストリーの成形保存方法
US6322345B1 (en) * 1993-07-14 2001-11-27 Doge Food Processing Machinery S.R.L. Apparatus for forming edible bakery paste
JPH08196195A (ja) * 1995-01-20 1996-08-06 Oshikiri:Kk 生地の延展方法及びその装置
JP2917002B2 (ja) * 1995-05-02 1999-07-1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生地等の延展方法および装置
TW313513B (ko) * 1995-05-22 1997-08-21 Reon Zidoki Kk
JP2750843B2 (ja) * 1996-01-09 1998-05-13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分割されたパン生地の連結供給方法および装置
MY115084A (en) * 1996-05-22 2003-03-3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and quantitatively supplying bread dough
JP2860938B2 (ja) 1996-09-02 1999-02-2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延展装置における手粉供給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89789A (ja) 2003-10-14
RU2003137002A (ru) 2005-04-20
WO2003082017A1 (en) 2003-10-09
EP1492408B1 (en) 2013-04-10
HK1067012A1 (en) 2005-04-01
AU2003208015A1 (en) 2003-10-13
SE0303152L (sv) 2004-02-02
GB2391193A (en) 2004-02-04
ES2264307A1 (es) 2006-12-16
ES2264307B1 (es) 2007-11-16
DE10392124B4 (de) 2009-08-20
EP1492408A1 (en) 2005-01-05
CZ20033255A3 (cs) 2004-04-14
MXPA03011160A (es) 2004-02-26
CH695202A5 (de) 2006-01-31
RU2262850C2 (ru) 2005-10-27
NZ529826A (en) 2006-04-28
CA2449539A1 (en) 2003-10-09
BR0303678A (pt) 2004-05-04
US20030185927A1 (en) 2003-10-02
PL367422A1 (en) 2005-02-21
GB2391193B (en) 2006-04-05
CN1516552A (zh) 2004-07-28
AU2003208015B2 (en) 2005-07-28
JP3949992B2 (ja) 2007-07-25
SE0303152D0 (sv) 2003-11-26
US7501139B2 (en) 2009-03-10
DE10392124T5 (de) 2004-10-07
GB0327428D0 (en) 2003-12-31
IL159037A0 (en) 2004-05-12
SE527408C2 (sv) 2006-02-28
AT503347A1 (de) 2007-09-15
CN100493361C (zh) 2009-06-03
AT503347B1 (de) 2010-02-15
CA2449539C (en)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5730A (ko) 반죽 피스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2198714B1 (en) A method for beating and rolling a food dough belt
US4692110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plastic dough
JPS61100144A (ja) 可塑性生地の圧延装置
JPS6354335B2 (ko)
JP3965409B2 (ja) 食品生地延展装置及びその方法
JP3847588B2 (ja) 食品生地の延展方法及び装置
KR100199354B1 (ko) 연속적인 이동웹을 정지위치의 스테이션에서 처리하기위한이송기구
AU621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TW590743B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haping a dough piece
JP4358254B2 (ja) 食品生地延展装置及びその方法
RU22816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азмятия и раскатывания полосы хлебного теста
JP3745188B2 (ja) 方向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