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575A -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 Google Patents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575A
KR20040013575A KR1020020046570A KR20020046570A KR20040013575A KR 20040013575 A KR20040013575 A KR 20040013575A KR 1020020046570 A KR1020020046570 A KR 1020020046570A KR 20020046570 A KR20020046570 A KR 20020046570A KR 20040013575 A KR20040013575 A KR 2004001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rce
gate
nmos transistor
sensing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509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509B1/ko
Priority to US10/627,855 priority patent/US6972601B2/en
Publication of KR2004001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82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 H03K3/356191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with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82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가지며 구현이 간단하고 속도가 빠른 감지증폭기가 개시된다. 상기 감지증폭기는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와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감지증폭기는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셋시키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리셋시키는 제2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프로세서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의 중요패쓰(Critical path)에서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래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Sense amplifier having synchronous reset or asynchronous reset}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기식 리셋(Synchronous reset) 또는 비동기식 리셋(Asynchronous reset)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장치에서는 메모리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비트라인 쌍 및 입출력라인 쌍을 통해 독출된다. 그런데 독출동작시 비트라인 쌍 사이의 전압차 및 입출력라인 쌍 사이의 전압차는 매우 작으며, 따라서 그 작은 전압 차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증폭기가 사용된다.
한편 고속 프로세서(Processor)에서는 중요패쓰(Critical path)에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래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래치는 중요패쓰에서 많은 타이밍을 소요하며 이로 인하여 프로세서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의 동작속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요패쓰에 래치 대신에 감지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감지증폭기는 리셋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고속 프레서서와 같은 집적회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현이 간단하고 속도가 빠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현이 간단하고 속도가 빠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 제2감지증폭부, 제1제어부, 제2제어부, 전류소스, 제1반전 버퍼, 및 제2반전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반전 버퍼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반전 버퍼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를 리셋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킨다. 상기 전류소스는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 제2감지증폭부, 제어부, 전류소스, 제1반전 버퍼, 및 제2반전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전류소스, 상기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제2반전 버퍼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것들과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를 통합한 것으로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를 리셋시키고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킨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 제2감지증폭부, 제1제어부, 제2제어부, 전류소스, 제1반전 버퍼, 및 제2반전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클럭신호 및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상기 클럭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반전 버퍼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반전 버퍼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를 리셋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킨다. 상기 전류소스는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 제2감지증폭부, 제어부, 전류소스, 제1반전 버퍼, 및 제2반전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전류소스, 상기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제2반전 버퍼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것들과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를 통합한 것으로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최종 출력신호를 리셋시키고 상기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11), 제2감지증폭부(13), 제1제어부(15), 제2제어부(17), 전류소스(1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를 구비한다.
제1감지증폭부(11)는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N-H)를 감지증폭하여 제1출력노드(O1)로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제2감지증폭부(13)는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입력신호의 상보신호(IN-L)를 감지증폭하여 제2출력노드(O2)로 상기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제1반전 버퍼(B1)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OUT-H)를 발생한다. 제2반전 버퍼(B2)는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발생한다.
제1제어부(15)는 제1감지증폭부(11)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제2제어부(17)는 제2감지증폭부(13)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즉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전류소스(19)는 제1감지증폭부(11), 제2감지증폭부(13), 제1제어부(15), 및 제2제어부(17)에 연결되고 클럭신호(CLK)에 응답한다.
제1감지증폭부(11)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11,P12)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11-N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11)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12)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2감지증폭부(13)의 제2출력노드(O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11)는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2출력노드(O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1제어부(15)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12)는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제2출력노드(O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1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11)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입력신호(IN-H)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1제어부(15)에 연결된다.
제2감지증폭부(1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31,P32)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1-N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1)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2)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1감지증폭부(11)의 제1출력노드(O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1)는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1출력노드(O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2제어부(17)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2)는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1출력노드(O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31)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입력신호의 상보신호(IN-L)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2제어부(17)에 연결된다.
제1제어부(15)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51-N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5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1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52)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1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5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52)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제2제어부(17)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71-N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71)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1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72)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1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7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72)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전류소스(19)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9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11), 제2감지증폭부(13), 제1제어부(15), 및 제2제어부(17)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된다.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동작을 좀더 설명하면, 리셋신호(RESET)가 논리"로우"로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3)와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3)가 턴오프되고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1)와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1)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증폭기는 정상동작을 수행하며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N-H) 및 이의 상보신호(IN-L)를 감지증폭하여 최종출력신호(OUT-H) 및 이의 상보신호(OUT-L)를 발생한다.
리셋신호(RESET)가 논리"하이"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3)와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3)가 턴온되고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1)와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1)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증폭기로 입력신호(IN-H) 및 이의 상보신호(IN-L)는 받아 들여지지 않으며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과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최종 출력신호(OUT-H) 및 이의 상보신호(OUT-L)의 값들이 결정된다.
다시말해 엔모스 트랜지스터(N52)는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어 턴오프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72)는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어 턴온되어 있으므로, 클럭신호(CLK)에 제어되어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감지증폭기는 클럭신호(CLK)에 동기식으로 리셋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1제어부(1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52)의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제2제어부(1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72)의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11), 제2감지증폭부(13), 제어부(25), 전류소스(1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를 구비한다.
제1감지증폭부(11), 제2감지증폭부(13), 전류소스(1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는 도 1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제어부(25)는 도 1에 도시된 제1제어부(15)와 제2제어부(17)를 통합한 것으로서, 제1감지증폭부(11) 및 제2감지증폭부(13)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논리"하이"로 셋시키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즉 제어부(25)는 최종 출력신호(OUT-H)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키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제어부(25)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51-N3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1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1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351)의 소오스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의 소오스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4)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11) 및 제2감지증폭부(13)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반전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19)에 연결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리셋신호(RESET)가 논리"하이"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253)는 턴온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254)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증폭기로 입력신호(IN-H) 및 이의 상보신호(IN-L)는 받아 들여지지 않으며 제어부(2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251)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과 제어부(2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25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최종 출력신호(OUT-H) 및 이의 상보신호(OUT-L)의 값들이 결정된다.
다시말해 엔모스 트랜지스터(N251)는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어 턴오프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252)는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어 턴온되어 있으므로,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251)의 게이트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제어부(2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252)의 게이트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제1감지증폭부(31), 제2감지증폭부(33), 제1제어부(35), 제2제어부(37), 전류소스(3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를 구비한다.
제1감지증폭부(31)는 클럭신호(CLK) 및 리셋신호(RESET)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N-H)를 감지증폭하여 제1출력노드(O1)로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제2감지증폭부(33)는 클럭신호(CLK) 및 리셋신호(RESET)에 응답하여 입력신호의 상보신호(IN-L)를 감지증폭하여 제2출력노드(O2)로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한다. 제1반전 버퍼(B1)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OUT-H)를 발생한다. 제2반전 버퍼(B2)는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반전 버퍼링하여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발생한다.
제1제어부(35)는 제1감지증폭부(31)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제2제어부(37)는 제2감지증폭부(33)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즉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감지증폭부(31)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311-P313)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11-N3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11)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된다. 피모스트랜지스터(P312)는 소오스가 피모스 트랜지스터(P31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13)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2출력노드(O2)의 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11)는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2출력노드(O2)의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1제어부(35)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12)는 드레인이 제1출력노드(O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2출력노드(O2)의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3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1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311)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입력신호(IN-H)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1제어부(35)에 연결된다.
제2감지증폭부(33)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331-P333)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31-N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31)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32)는 소오스가 피모스 트랜지스터(P33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1)에 연결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P333)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제1출력노드(O1)의 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31)는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1출력노드(O1)의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2제어부(37)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32)는 드레인이 제2출력노드(O2)에 연결되고 게이트에제1출력노드(O1)의 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3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33)는 드레인이 엔모스 트랜지스터(N331)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입력신호의 상보신호(IN-L)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제2제어부(37)에 연결된다.
제1제어부(35)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51,N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3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3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3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제2제어부(37)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371,N3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71)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3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전류소스(39)에 연결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72)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3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된다.
전류소스(39)는 엔모스 트랜지스터(N3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39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31), 제2감지증폭부(33), 제1제어부(35), 및 제2제어부(37)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클럭신호(CLK)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된다.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의 동작을 좀더 설명하면, 제1감지증폭부(31)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312)와 제2감지증폭부(3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332)는 리셋신호(RESET)가 논리"로우"로 디스에이블될 때 턴온되어 상기 감지증폭기가 정상동작되도록 한다. 제1제어부(35)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와 제2제어부(37)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372)는 리셋신호(RESET)가 논리"하이"로 인에이블될 때 턴온되고, 이에 따라 클럭신호(CLK)와 무관하게 그리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과 엔모스 트랜지스터(N37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최종 출력신호(OUT-H) 및 이의 상보신호(OUT-L)의 값들이 결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감지증폭기는 클럭신호(CLK)와 무관하게 비동기식으로 리셋된다. 다시말해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는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372)는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클럭신호(CLK)와 무관하게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엔모스 트랜지스터(N352)의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372)의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는,제1감지증폭부(31), 제2감지증폭부(33), 제어부(45), 전류소스(3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를 구비한다.
제1감지증폭부(31), 제2감지증폭부(33), 전류소스(39), 제1반전 버퍼(B1), 및 제2반전 버퍼(B2)는 도 3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제어부(45)는 도 3에 도시된 제1제어부(35)와 제2제어부(37)를 통합한 것으로서, 제1감지증폭부(31) 및 제2감지증폭부(33)에 연결되고 리셋신호(RESET) 및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에 응답하여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를 논리"하이"로 셋시키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킨다. 즉 제어부(45)는 최종 출력신호(OUT-H)를 논리"로우"로 리셋시키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를 논리"하이"로 셋시킨다.
제어부(45)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451-N4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451)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3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452)는 드레인이 제2감지증폭부(33)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RESET)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된다. 엔모스 트랜지스터(N453)는 드레인이 제1감지증폭부(31) 및 제2감지증폭부(33)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리셋신호의 반전신호(/RESET)가 인가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클럭신호(CLK)와 무관하게 비동기식으로 리셋된다. 다시말해 엔모스 트랜지스터(N451)는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452)는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어 있으므로, 클럭신호(CLK)와 무관하게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엔모스 트랜지스터(N451)의 소오스에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452)의 소오스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출력노드(O1)의 신호는 논리"로우"로 리셋되고 제2출력노드(O2)의 신호는 논리"하이"로 셋된다. 즉 최종 출력신호(OUT-H)는 논리"하이"로 셋되고 최종 출력신호의 상보신호(OUT-L)는 논리"로우"로 리셋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의 고속 감지증폭기에 리셋회로를 첨가함으로써 간단히 구현될 수 있고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프로세서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의 중요패쓰(Critical path)에서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래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들어 한정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원 발명에 대한 각종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증폭기는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의 고속 감지증폭기에 리셋회로를 첨가함으로써 간단히 구현될 수 있고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기식 리셋기능 또는 비동기식 리셋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는 프로세서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의 중요패쓰(Critical path)에서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래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셋시키는 제1제어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리셋시키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전류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리셋시키는 제1제어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키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전류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기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2반전 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출력되는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소스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1.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셋시키고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리셋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전류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2.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리셋시키고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럭신호에 응답하는 전류소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기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2반전 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출력되는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및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4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및 상기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4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소스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어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19. 클럭신호 및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셋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리셋시키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0. 클럭신호 및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리셋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키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기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2반전 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3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출력되는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3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8.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소스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 상기 제2감지증폭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29. 클럭신호 및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셋시키고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리셋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0. 클럭신호 및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감지증폭부;
    상기 클럭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를 감지증폭하여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발생하는 제2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1감지증폭부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셋신호 및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리셋시키고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셋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증폭기는,
    상기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1반전 버퍼;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2반전 버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3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3.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증폭부는,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는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상기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출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출력되는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2피모스 트랜지스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감지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3피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전류소스에 연결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입력신호의 상보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가 상기 제2제어부에 연결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기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드레인이 상기 제1감지증폭기 및 상기 제2감지증폭부에 공통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리셋신호의 반전신호가 인가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36.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소스는,
    드레인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클럭신호가 인가되며 소오스에 접지전압이 인가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증폭기
KR10-2002-0046570A 2002-08-07 2002-08-07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KR10043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70A KR100434509B1 (ko) 2002-08-07 2002-08-07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US10/627,855 US6972601B2 (en) 2002-08-07 2003-07-25 Sense amplifier having synchronous reset or asynchronous reset cap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570A KR100434509B1 (ko) 2002-08-07 2002-08-07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75A true KR20040013575A (ko) 2004-02-14
KR100434509B1 KR100434509B1 (ko) 2004-06-05

Family

ID=3284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570A KR100434509B1 (ko) 2002-08-07 2002-08-07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72601B2 (ko)
KR (1) KR100434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0B1 (ko) * 2005-02-17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차아지 펌핑회로
US7777529B1 (en) * 2005-11-07 2010-08-17 Altera Corporation Leakage compensation in dynamic flip-flop
US7444463B2 (en) * 2006-09-29 2008-10-28 Sandisk Corporation System for phased garbage collection with state indicators
US8742796B2 (en) * 2011-01-18 2014-06-03 Nvidia Corporation Low energy flip-flops
US9911470B2 (en) 2011-12-15 2018-03-06 Nvidia Corporation Fast-bypass memory circuit
US9435861B2 (en) 2012-10-29 2016-09-06 Nvidia Corporation Efficient scan latch systems and methods
US8988123B2 (en) 2012-12-14 2015-03-24 Nvidia Corporation Small area low power data retention flop
US9842631B2 (en) 2012-12-14 2017-12-12 Nvidia Corporation Mitigating external influences on long signal lines
US10141930B2 (en) 2013-06-04 2018-11-27 Nvidia Corporation Three state latch
US9525401B2 (en) 2015-03-11 2016-12-20 Nvidia Corporation Low clocking power flip-flop
JP6937201B2 (ja) * 2016-10-04 2021-09-22 ローム株式会社 データ保持装置、不揮発性データ保持装置、データ読出方法
US11961580B2 (en) 2022-06-01 2024-04-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nse amplifie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212A (en) * 1993-03-19 1994-05-31 Wahlstrom Sven E Dynamic control of configurable logic
JP3597655B2 (ja) * 1996-04-17 2004-12-0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
US6215331B1 (en) * 1998-02-02 2001-04-10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ely controlling the sensing and reset phases of a sense amp/regenerative latch
US6201418B1 (en) * 1998-08-13 2001-03-1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with reduced hold time
US6633188B1 (en) * 1999-02-12 2003-10-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nse amplifier-based flip-flop with asynchronous set and reset
US6400186B1 (en) * 1999-04-21 2002-06-04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Settable digital CMOS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S6700425B1 (en) * 2001-10-30 2004-03-0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phase clock generators that utilize differential signals to achieve reduced setup and hold ti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0244A1 (en) 2004-08-19
KR100434509B1 (ko) 2004-06-05
US6972601B2 (en)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509B1 (ko) 동기식 리셋 또는 비동기식 리셋 기능을 갖는 감지증폭기
US5537066A (en) Flip-flop type amplifier circuit
KR20020069552A (ko) 전류소모가 작고 dc전류가 작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입출력라인 감지증폭기
KR930008311B1 (ko) 센스 앰프의 출력 제어회로
KR20040001944A (ko) 스위칭포인트 감지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US5436866A (en) Low-power, high-speed sense amplifier
JP3632819B2 (ja) 半導体装置の入力バッファ
KR20050003879A (ko) 데이터 비트 수에 따라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 회로 및 시스템
JP2000076869A (ja) 構成可能なハ―フ・ラッチによる高速シングルエンド・センシング
KR100930400B1 (ko) 차동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입력 회로
JP4485224B2 (ja) センスアンプ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ビット比較回路
KR2003007907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62866B1 (ko) 센스 앰프의 이중 전원공급회로
JP2005339590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912158B2 (ja) 信号線切替回路
JP3618144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読出し回路
KR100706778B1 (ko) 입력버퍼
KR100265330B1 (ko) 고속 동작과 전류 감소를 위한 반도체 장치의 감지증폭기
KR20000043230A (ko) 데이타 입력버퍼
KR100743621B1 (ko) 저 전력용 감지증폭기
KR20000044569A (ko) 반도체 소자의 로컬 입출력 드라이버
KR100373350B1 (ko) 저전력 내장형 에스램
KR1006292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11214979A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030002504A (ko) 높은 동작 주파수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라인 감지 증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