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416A -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 - Google Patents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416A
KR20040012416A KR1020020060659A KR20020060659A KR20040012416A KR 20040012416 A KR20040012416 A KR 20040012416A KR 1020020060659 A KR1020020060659 A KR 1020020060659A KR 20020060659 A KR20020060659 A KR 20020060659A KR 20040012416 A KR20040012416 A KR 2004001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llision
protection
protection memb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알우어르베르거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에스 슈츠플란켄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에스 슈츠플란켄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에스피에스 슈츠플란켄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4001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분기점에서 양쪽의 주요운행방향으로 충돌할 경우에 에너지를 흡수하는 부재를 구비하여 도로교통사고에 있어서 안전성의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도로표지판, 전기설비, 전주 등과 같은 도로분기점에 위치하는 물체들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충격완충기과 전방보호벽를 구비한 충돌영역과 보호부재, 후방보호벽 및 후방충돌부재를 구비한 과도영역으로 이루어진 충격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IMPACT-MITIGATOR WITH BACKWARD-PROTECTION-ELEMENT}
본 발명은 반대방향으로 운행하고자 할 때 도로분기점을 위한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과 관계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출구 또는 터널입구와 같은 도로분기점은 종종 분기점의 중간영역 즉 도로에서 이격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간영역은 두 개로 분기되는 부분도로의 사이에 놓여지고 보호담장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호담장시스템은 그 끝부분 즉 중간영역의 끝부분에서 충격완충기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완충기는 자동차가 충돌한 경우에 에너지를 흡수하여 한편으로는 그러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찬가지로 사고를 당한 자동차가 중간영역에서의 설치물 예를 들어 도로표지, 전주 또는 도로에 설치되는 전광판의 기둥같은 설치물을 파괴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이 된다. 도로분기점에서의 구성요소의 전형적인 배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로(1)는 두 개의 분기도로(1a,1b)로 분기되며 여기에서 이들 사이에는 중간영역(2)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영역(2)에는 통상적으로 녹지대가 형성된다. 도로의 성질에 따라서는 2개의 운행방향 즉 도로(1)로부터 분기도로(1a,1b)로 진행하는 제1 방향(4) 그리고 제2(반대) 방향(5)이 있으며 제2 방향은 본질적으로 제1 방향(4)과는 반대방향이다. 고속도로 등에서는 제1 운행방향(4)이 통상의 운행방향이 됨에 반하여 하위등급의 도로의 경우에 있어서는 2개의 반대차도(미도시)가 예정된 경우에 통상반대방향(5)으로의 통행도 가능하다. 도로분기점에서 주행의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운행방향(4)로부터 진행하는 자동차가 정확하게 분기도로(1a,1b) 중 하나의 도로로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운전실수 등에 의해 측면경계부분, 예컨대 가드레일(3)에 부딪치거나 아니면 중간지역(2)의 끝부분(2a)에 부딪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가드레일(3)은 통상적으로 작은 각도로 충돌하는 자동차를 딴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큰 힘이 자동차에 작용하지 않도록 그리고 함께 압축되지 않도록 혹은 승객에 부상을 입히지 않도록 부설된다. 끝부분(2a)의 영역에서는 돌출영역이 예정될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자동차는 안으로 진행하여 천천히 멈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돌출영역의 형성에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으나 거기에서는 바닥이 평평할 것이고 주행표지판, 전주 등과 같은 방해물(6)으로부터 자유로워질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완충기(10)은 중간영역(2)의 끝부분(2a)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충격완충기(10)는 특수한 에너지흡수부재에 의해 자동차의 충돌을 견디고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하여 생존가능한 영역에까지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산업분야의 수준에서의 그러한 충격완충기는 압착될 수 있는 에너지흡수파트와 고정된 보호부재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너지흡수파트의 예로는 원통형부재를 들 수 있다. 기존의 가드레일은 고정된 보호부재영역의 측면에 구비되고 그 결과 측면으로 충돌하는 자동차가 통상적으로 옆으로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산업분야의 공지된 충격완화시스템은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보통의 운행방향에서 반대반향으로 도로분기점의 도로를통행할 경우 충격완화시스템이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가드레일로 진행하여 충돌하는 자동차는 가드레일을 돌파하여 고정된 보호부재에 충돌하게 되어 자동차 승객에게 큰 부상을 입히고 자동차를 파손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브레이크를 걸지 않고 보호부재에 충돌한 경우에는 가드레일의 파괴가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차가 전광판 등과 같은 보호되는 대상을 돌파하여 파손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속하는 산업분야의 공지된 충격완화시스템은 한 방향으로만 보호가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적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통행할 경우에 있어서 충돌시 자동차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요청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는 독립항 1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유리한 측면, 상세설명, 형태 등은 종속항,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후방충돌보호부재가 설치된 충격완화시스템에 대한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두 개의 분기도로로 분할되는 도로분기점에서 두 개의 분기도로사이의 중간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에서는 도로로부터 분기도로 중의 하나로 진행하는 제1 운행방향으로부터 충격완충기에 충돌한 경우에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앞 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와 전방보호벽를 구비한 충돌영역; 하나 내지 두개의 분기도로의 도로가장자리에서 중간영역에 구비되는 보호부재와 결합되는 하나 내지 두 개의 과도영역을 제시하며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과도영역에는 제1 운행방향에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인 제2 운행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충돌이 있는 경우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두 개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완충기와 결합한다. 즉 하나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제1 운행방향으로 운행될 경우에 분기되지 않은 도로로부터 분기점에서 분기된 도로의 하나로 진행될 때 적용되고, 다른 하나는 후방충돌보호부재로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자동차가 충격완화시스템과의 충돌시에 적용된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로에 속하지는 않으나 공동도로에서 파생되는 2개의 분기도로사이에 있는 영역이 중간영역 내에 존재함은 당연하다.
상기 충돌영역은 전방보호벽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보호벽은 보호벽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의 보호에 기여하나 또한 충돌한 자동차가 보호부재의 영역까지에 돌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돌각도에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동차의 충돌 파편이 밀고 들어가는 것을 방해할 수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충돌영역은 충격완충기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완충기는 변형을 통해 에너지의 흡수에 기여한다. 상기 충돌영역은 제1 방향으로 진행하여 충돌하는 자동차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제1 운행방향은 자동차가 도로로부터 분기도로 중 하나로 진행됨을 통하여 정의된다.
더욱이 충격완화시스템은 과도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과도영역은 충격완화시스템의 측면충돌시에 충돌하는 자동차가 보호부재 위로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에 구비된 가드레일 또는 콘크리트 둔턱과 같은 보호부재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충격완화시스템으로 자동차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부재는 예상되는 충돌각도의 근처에서 제1 운행방향으로 진행하는 자동차를 통상적으로 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가드레일을 통하여 관통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은 후방충돌보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는 제1 운행방향의 본질적인 반대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충돌이 있는 경우 충돌영역처럼 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반대방향으로부터 제1 운행방향으로 진행하여 충돌완화시스템의 영역으로 도로를 이탈한 자동차가 스스로 충격완화시스템 위로 충돌할 경우 보호부재 또는 본래의 충돌완화시스템을 통과하여 부술 수 없으며 자동차의 운동에너지가 가능한한 승객의 보호를 위해 소멸되도록 하는 것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방충돌보호부재는 보호부재 배면에 구비되고 충돌한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는 보호부재의 표면에서 후방충돌보호부재로 전달된다. 여기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보호부재는 자동차가 안쪽으로 밀고 들어올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미끄러지기 쉬운 표면을 구비하여 충돌하는 자동차를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로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 보호부재 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벌집모양의 보호부재를 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자동차 충돌시에 함몰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호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 보호부재는 자동차가 충돌할 경우 평평하게 찌그러지며, 상기에서 보호부재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가 소모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충돌되는 자동차는 천천히 진행한다. 그러나 원통형 보호부재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서 속도감속구간은 더 길어지고 그 결과 속도감속구간이 일정한 방해물로서 작용하여, 자동차 승객과 자동차에 가해지는 속도감속을 위한 영향이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벌집구조의 보호부재를 배치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과도영역은 후방보호벽을 제시하며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는 후방보호벽과 보호부재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후방충돌보호부재의 에너지흡수기능은 고정된 보호벽과 연결하여 생각되어야 하며 상기의 연결로 인해 자동차의 진행은 충격완화시스템의 안쪽에서 제한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후방보호벽의 경사부분은 보호부재와 연결되고 상기에서 후방보호벽과 보호부재 사이의 거리는 제2 운행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줄어들며, 그 결과 제2 운행방향으로 후방보호벽에 충돌하는 자동차는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후방보호벽의 일부분이 도로와 작은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각의 변은 분기된 도로의 방향을, 상기 각의 끝은 분기전 도로를 지시하며 따라서 자동차가 보호벽 위로 충돌한 경우 자동차가 후방충돌보호부재를 함몰한 후에 미끄러질 수 있다. 후방보호벽에 구비된 경사부분을 통해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더 나은 안전개선의 조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충격완화시스템에서 정면으로 충돌하는 자동차가 안쪽으로 밀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충격완충기, 즉 제1 운행방향으로 충돌할 경우 기여하는 충격완화시스템의 영역에는 충돌시에 함몰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보호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충격완충기의 영역에서 전방보호벽의 경사부분이 보호부재에 구비되고 상기에서 전방보호벽과 보호부재사이의 거리는 제1 운행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감소하며, 그 결과 제1 운행방향으로 충돌하는 자동차는 전방보호벽의 경사부분에서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후방충돌보호부재의 영역에서의 상응하는 조치와 같은 동일한 기능과 동일한 목적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경사부분이 보호부재에 연결되는 전방보호벽과 보호부재 사이에서는 제1 운행방향으로부터 보호부재 위로 충돌할 경우에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완충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또한 자동차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정상위치로 되돌아 가며, 정상위치로 되돌아감으로서 충격완충기와 부딪치지 않고 측면으로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충격완충기의 후측으로 그러나 작은 각도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과 충돌한다. 이러한 추가적인 조치를 통해서 에너지흡수시스템은 제공되며 상기 제공을 통해서 대다수의 사고에 있어 양 운행방향에서 발생되는 충돌이 있음에도 승객보호차원에서 강한 충격이 뒤따르지 않으면서 자동차충돌에너지를 감소시키거나 보호부재를 따라 자동차가 인도되게 된다.
특히 전방보호벽과 후방보호벽은 보호벽시스템의 견고함을 개선하기 위해 상호 결합된다. 견고함을 위한 또 다른 개선은 중간영역의 양측 위에서 후방충돌보호부재가 예정되고 전방보호벽과 후방보호벽들이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원형의 보호벽이 형성된다는 점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개선은 또한 예컨대 전방보호벽의 경사진 영역과 마찬가지로 후방보호벽들의 경사진 영역이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더 정확하게는 하나의 덩어리 모양으로 이들을 제작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자동차가 충격완충기의 영역에서 측면으로 충돌했을 때 보호부재에서 자동차가 확실히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앞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에까지 부설된다.
자동차가 운행할 수 있는 가장자리로 이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충기와 결합되는 보호부재는 강철로 형성된 보호담장이 되거나 또는 콘크리트 담장 더 정확히 말하면 콘크리트 난간부 또는 도로에서 표준화된 형태와 같은 유사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난간은 움푹 들어가기 어려움으로 인해 후방충돌보호부재는 후방에 강철가드레일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는 도로분기점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의 첫 번째 실시예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4는 도3에서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중간영역 3a,3b:보호부재
6:내실 10:충격완화시스템
11:충돌영역 12,12a:과도영역
15:충격완충기 16:후방보호벽
17,19:원통형보호부재 18:후방충돌보호부재
22,24:보호판 27,28,29:볼트 또는 리벳
하기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관계가 명확해 질 것이고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분기점의 평면도로서 상기 도로분기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의 첫 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에서 표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첫 번째 실시예를 표현하고 있다. 도로분기점에서의 두 개의 분기도로사이에 있는 중간영역(2)에 구비된 충격완화시스템(10)을 평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은 충돌영역(11)과 과도영역(12,12a)를 제시한다. 상기 충돌영역(11)은 제1 운행방향으로부터 충돌시 보호에 이용되고 있으며 반면에 과도영역(12,12a)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이 있을 때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후방충돌보호부재를 구비하도록 준비된다. 충돌영역(11)은 앞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15)와 보호벽(13,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격완충기(15)가 6개의 원통형태의 충돌부재(17)를 포함하며 자동차가 정면(도2의 도면과 연결하여)으로 충돌할 때 안으로 함몰하게 되며 그 결과 대량의 자동차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힘이 생기도록 할 필요없이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는 흡수된다. 상기 전방보호벽은 제1 운행방향에 수직이고 충돌하는 자동차가 부딪히는 영역(13) 및 경사진 가장자리영역(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영역(14)은 측면이나 작은 각도로 자동차가 충돌할때 전방보호벽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원통형보호부재(17)은 전방보호벽의 돌출부(20)에 의해 지지된다. 전방에 있는 충돌영역(11)과 보호부재(3a)사이에 위치하는 과도영역(12)는 후방충돌보호부재로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보호부재(18)를 구비한다. 원통형보호부재(18)은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보호부재(3a)와 나사결합되고 후방보호벽(1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후방보호벽(16)은 차도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영역(16a)과 차도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6b) 및 받침대영역(1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운행방향으로 진행되는 자동차가 충돌할 때 보호부재(3a)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며 그 결과 자동차의 충돌에너지는 후방충돌보호부재(18)로 전달되며 후방충돌보호부재(18)의 원통형부재는 충돌에너지가 흡수되도록 압착된다. 후방보호벽(16)의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6b)은 경계로서 이용되고 그 결과 자동차가 충격완화시스템 내인 영역 6에까지 밀고 들어올 수 없다. 동시에 후방보호벽(16)의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6b)의 경사진 형태는 작은 각도로 충돌한 자동차가 힘을 수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량의 에너지에 의해 충격완화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일없이 빗나가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보호벽들은 받침대영역(13a, 16c)위에서 토대와 함께 결합된다.
추가적으로 충돌영역(11)에는 더 넓은 충돌보호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원통형보호부재(17)(제1 운행방향에서 보일 경우)의 후방과 상기 전방보호벽의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4)의 측면으로 원통형보호부재(19)가 구비되고 자동차가 충돌영역(11)의 측면으로 충돌하여 앞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15)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상기 원통형보호부재(19)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돌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러한 경우에 원통형보호부재(19)는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함에 반하여 전방보호벽의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4)는 자동차가 충격완화시스템으로 미끄러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충돌보호부재의 구성요소로는 보호판(22)이 있으며 상기 보호판(22)은 보호부재(3a,3b)의 연장으로서 충격완충기(15)에까지 연장되고 미끄러운 표면을 구비하여 충돌하는 자동차가 원통형보호부재(19)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과도영역(12a)에서는 후방충돌보호부재를 위한 장치가 예정되지 않았다. 보호부재(3b)는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부재이며 상기 콘크리트부재는 원추형으로 쭉 뻗은 영역(21)위에서 전방보호벽의 경사지게 위치되는 영역(14)쪽으로 진행되며 도로쪽으로 향하는 외측면은 안내벽(22)과 나란히 늘어서서 결합된다.상기 콘크리트는 안쪽으로 함몰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원통형보호부재(18)가 구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험방지 기술상의 기술에 의거할 때, 분기점이 있는 분기도로에서 충돌하는 자동차는 위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재(3b)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3에서 표현되고 있다. 여기에서도 본 발명의 특성과 내재적으로 동일한 관련표현을 특징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중복해서 기술하는 것은 생략한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2에서 표현된 것과는 구별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의 후방충돌보호부재가 양측면에 예정된다는 측면에서 그러하다. 추가적으로 이로 인해 폐쇄된 원형보호벽시스템이 생기게 되며 상기 보호벽시스템의 구비로 인해 내벽 안의개선된 능력을 유도하여 더욱더 개선된 내실(6)의 보호가 제시되며, 상기 내실(6) 내에는 보호되는 객체, 예를 들어 도로표지판, 전기설비, 전주 등이 구비될 수 있다.또한 여기서 받침대영역(13a,16c)를 구비한 보호벽들은 바닥에 구비된 토대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충돌보호부재를 구비한 충격완화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부재(3a), 여기서는 표준화된 가드레일은 볼트 또는 리벳(25)에 의해 과도영역에서 보호판(24)와 결합된다. 상기 보호판(24)은 보호부재(3)의 일부분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기 보호판(24)의 뒷면에는 후방충돌보호부재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 보호부재(18)가 점선으로 표현되어 구비되고 상기 보호판과 볼트 또는 리벳(25)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보호부재(3)의 보호판(24)은 볼트 또는 리벳(27)에 의해 보호판(22)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에 의해 보호부재(3)의 기능이 충격완충기(15)의 영역에까지 확장된다. 보호판(22)는 볼트 또는 리벳(29)에 의해 원통형보호부재(17)의 적어도 하나와 볼트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다. 추가적인 원통형보호부재(19)는 볼트 또는 리벳(28)에 의해 보호판(22)와 결합되고, 상기 원통형보호부재(19)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에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에 충돌보호부재로써 이용된다. 받침대고정볼트(23)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화시스템에서 보호벽의 받침대영역(13a, 16c)과 토대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로분기점을 위한 시스템으로 양쪽의 주요운행방향으로 충돌시에 도로분기점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보호부재를 제공하며 그 결과 도로교통사고에 있어서 안전성의 확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도로표지판, 전기설비, 전주 등과 같은 도로분기점에 위치하는 물체들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과도영역(12,12a)에는 제1 운행방향에 본질적으로 반대방향인 제2 운행방향(5)으로부터 자동차의 충돌이 있는 경우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후방충돌보호부재(1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1)로부터 분기도로 중의 하나로 진행하는 제1 운행방향(4)으로부터 충격완충기(15)에 충돌한 경우에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앞 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15)과 전방보호벽(13)를 구비한 충돌영역(11);
    하나 내지 두 개의 분기도로의 도로가장자리에서 중간영역(2)에 구비되는 보호부재(3a,3b)와 결합되는 하나 내지 두 개의 과도영역(12,12a)이 구비되어
    도로분기점에서 도로(1)가 두 개의 분기도로(1a,1b)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의 분기도로(1a,1b)사이의 중간영역(2)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는 보호부재(3a)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부재(3a)위로 충돌된 자동차의 운동에너지가 후방충돌보호부재(18)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는 충돌시에 안으로 함몰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보호부재(18)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는 충돌시에 안으로 함몰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벌집구조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영역(12)이 후방보호벽(16)을 나타내며, 상기 후방충돌보호부재(18)가 후방보호벽(16)과 보호부재(3a)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후방보호벽의 경사면 부분(16b)이 보호부재에까지 연장되고, 상기에서 후방보호벽(16)과 보호부재(3a, 22)사이의 거리가 제2 운행방향(5)을 향하여 줄어들며, 그 결과 제2 운행방향(5)으로부터 충돌되는 자동차가 미끄러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기(15)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함몰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원통형보호부재(17)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보호벽(13,14)의 경사면 부분(14)이 보호부재(3)에까지 연장되고 상기에서 전방보호벽(13,14)과 보호부재(3a,22)사이의 거리가 제1운행방향을 향하여 줄어들며, 그 결과 제1 운행방향(5)으로부터 충돌되는 자동차가 전방 보호벽의 경사진 부분(14)에서 미끄러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면이 보호부재(3a,22)에 구비되는 전방보호벽의 일부분(14)와 보호부재(3a,22)사이에 제1 운행방향(4)으로부터 보호부재(3a,22)위로 충돌한 경우에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충격완충기(19)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보호벽과 후방보호벽이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영역(2)의 양측면에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되며 전방보호벽(13,14)과 후방보호벽들(16)이 상호결합되어 폐쇄된 원형보호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2)가 앞방향에 가로놓인 충격완충기(15)에까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가 스틸보호담장(3a)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가 콘크리트담장(3b)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시스템
KR1020020060659A 2002-08-02 2002-10-04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 KR20040012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11943.2 2002-08-02
DE20211943U DE20211943U1 (de) 2002-08-02 2002-08-02 Anpralldämpfer mit Rückanfahrschu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16A true KR20040012416A (ko) 2004-02-11

Family

ID=797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659A KR20040012416A (ko) 2002-08-02 2002-10-04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012416A (ko)
DE (1) DE20211943U1 (ko)
WO (1) WO20040152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31B1 (ko) * 2006-08-21 2007-05-1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전주 보호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606B (zh) * 2016-11-23 2018-11-27 昆明理工大学 一种下坡路避险车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5936A (en) * 1973-05-25 1974-11-05 Steel Corp Modular crash cushion
DE8905428U1 (ko) * 1989-04-28 1989-07-20 Sps Schutzplanken Gmbh, 8750 Aschaffenburg, De
US6126144A (en) * 1997-03-03 2000-10-03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Barrel crash cush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31B1 (ko) * 2006-08-21 2007-05-1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전주 보호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5205A1 (de) 2004-02-19
DE20211943U1 (de)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4010B1 (en) Slotted rail terminal
US7104720B2 (en)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KR100912376B1 (ko)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US7913981B2 (en) Cable release lever
DE69937360D1 (de) Aufprallenergieabsorbtionsanlage für aufprall gefährdeter objekte entlang der strasse
US7059590B2 (en) Impact assembly for an energy absorbing device
US11447919B2 (en) Vehicle gate assembly
KR100649365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KR20060100968A (ko) 차량용 방호장치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20040012416A (ko) 후방충돌보호부재가 구비된 충격완충기
US20140203229A1 (en)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CN215518549U (zh) 一种公路护栏防撞气囊装置
KR101256454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CN113356112A (zh) 一种公路护栏防撞气囊装置
US11326314B2 (en) Deflector bracket and cable anchor for guardrail terminal
KR200255813Y1 (ko) 교각구조물 보호를 위한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US7100903B1 (en) Impact barrier system
KR20040086115A (ko) 가드레일의 충격흡수 구조체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215173Y1 (ko)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101764833B1 (ko) 중앙분리대 및 노측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가드레일의 슬라이딩 지지구조물
KR100631185B1 (ko) 도로 안전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