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578A -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578A
KR20040011578A KR1020040002077A KR20040002077A KR20040011578A KR 20040011578 A KR20040011578 A KR 20040011578A KR 1020040002077 A KR1020040002077 A KR 1020040002077A KR 20040002077 A KR20040002077 A KR 20040002077A KR 20040011578 A KR20040011578 A KR 2004001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water
food
vacuum
p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식
Original Assignee
백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식 filed Critical 백성식
Priority to KR1020040002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578A/ko
Publication of KR2004001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5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生)무청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상품(건식의 시래기 및/또는 습식의 무우거지)으로 상식화(常食化), 대중화 할 수 있으며, 양념이 같이 포장되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국이나, 찌개용 또는 이에 첨가하여 바로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MAKING METHOD OF FOOD FOR BY USING RADISH GREENS}
본 발명은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생(生)무청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상품(시래기 및/또는 무우거지)으로 상식화(常食化), 대중화 할 수 있으며, 양념이 같이 포장되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국이나, 찌개용 또는 이에 첨가하여 바로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무(Radish)는 뿌리와 잎에 비타민 등과 같은 다량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주요 채소류의 하나이다. 특히 무잎에는 광합성 작용을 하는 엽록소가 넓게 분포되어 있고 당질 함량이 낮은 반면, 비타민 AㆍB1ㆍB2ㆍ C, 나이아신, 단백질, 지질(脂質) 및 철분, 칼슘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풍부한 섬유질 식품으로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비만, 변비의 치료에 유용하고, 전분 분해효소인 디아스타아제(Diastase)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위장에도 유익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우리네 식단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통상 무청은 무(Radish) 뿌리의 윗부분 즉, 줄기와 잎부분에 해당하며, 이를 건조시킨 시래기(시래기 및/또는 무우거지)는 우리 국민 대부분이 좋아하는 기호식품이지만 수확시기가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년중 상식(常食)할 수 있게 상품화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여타의 다른 전통식품들 처럼 상품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시래기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무로부터 채취된 생(生)무청을 짚이나 새끼줄 나이론끈 등으로 엮은 다음 적당한 장소에 매달아 자연 건조시킨 후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삶아 식용하는 전근대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서 영양손실이 많은편이고, 또한 비위생적이어서 먹거리로서의 가치가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무청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 제조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제조원가가 비싸고 상품성이 떨어져 대중화와는 거리가 먼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生)무청을 수확시 상태 그대로의 맛과 보존기간을 유지하면서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상품(건식의 시래기 및/또는 습식의 무우거지)으로 상식화(常食化), 대중화 할 수 있는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무청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품을 포장할 때 양념류를 같이 넣어 포장함으로서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국이나, 찌개에 첨가하여 바로 조리해 먹을 수 있는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건식상태의 무청(시래기)은 건조에 의해 부피가 적어 운송, 보관이 보다 용이하고, 생무(Radish)잎이 갖고 있는 영양소나 색상의 변질없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은 습식상태의 무청(무우거지)은 선별 및 세척된 무청을 끓는 물에 소정시간 넣어 삶고 우려낸 다음 절단하고 살균시켜 양념과 함께 진공포장시켜 대기중의 산소와 격리시킴으로서 변질(산화)이 방지되어 장기간 보관 유통할 수 있게된다.
도 1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청의 일 실시 예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무청은, 가공한 무청을 건조시킨 시래기와, 가공한 무청을 비건조 상태의 무우거지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은 서로 상이하다. 이하 각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
무청을 이용한 건조 시래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무청 준비공정
김치공장이나 무 공장 또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무 작목반(또는 무 재배지)등으로부터 20㎝ ~ 50㎝ 길이의 생(生)무청(원료)을 선별 수거하도록 한다.
일반 무청의 길이(L1)는 대략 30㎝ ~ 50㎝이며, 알타리 무청의 경우 20㎝ ~ 30㎝ 정도로 길이가 짧지만 일반 무청보다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봄철이나 여름철에 수확되는 무청은 가을철에 수확되는 무청에 비하여 다소 맛이 떨어지므로 가을철에 수확된 무청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품성이 우수한 싱싱한 상태의 생(生)무청을 수거하도록 한다.
이 때, 무 뿌리(2)와 무청(4)을 연결하는 밑둥(6) 부분(L2)은 억센부분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도 1과 같이 무청(4)의 하부를 2㎝ ~ 5㎝ 정도 절단 제거하도록 한다.
2. 무청 선별공정
준비된 무청중에서 부드럽고 싱싱하며 변색이 안된 부분을 선별하여 상품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선별할 때 큰 이물등을 제거하도록 하고, 먹기에 억센부분이나 떨어져 나간 부분, 탈색 및 변색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부분등은 선별하여 분리 제거하도록 한다. 물론 선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3. 무청 세척공정
지하수나 상수 등으로 선별된 무청을 1회 이상 세척하여 무청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이나 흙, 그리고 잔류농약 및 비료 등이 거의 제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으로 상기 잔류농약이나 비료등을 제거 및 제독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4. 열처리 공정
선별된 무청을 100℃ 온도로 끓는 물에 넣어 약 15분간 삶는다. 본 공정에서 무청을 삶을 때 15분을 훨씬 초과하여 너무 익게되며, 무청의 영양이 파괴되고 손실될 뿐 아니라 맛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15분 전후의 시간 동안 삶도록 하되 줄기 부분이 말랑 말랑하게 익는 정도로 삶는 것이 무청의 영양보호와 고유의 맛을 보존하는데 바람직하다. 즉, 본 열처리 공정에서 무청의 대부분이 약하게 익혀지게 되므로 미감(味感)이 좋아진다.
본 열처리 공정에 의해 무잎 중의 산화효소가 정지되고 녹색이 고정된다. 즉, 무잎의 세포벽은 섬유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포벽 사이에는 콜로이드성 다당류의 일종인 펙틴이 점착되어 있는데 열처리에 의해 용해 및 제거되므로 여타의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촉감이나 외관이 나빠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품성이 보다 향상된다.
5. 세척공정
삶은 무청을 깨끗한 물로 1회 또는 1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무잎을 우선 물로 세척하여 불필요한 이물질등을 제거하여 식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한다.
6. 우려내기 공정
세척된 무청을 약 70℃의 물에 2시간 가량 넣어 물냄새가 거의 우려나면 건져내도록 한다. 무청이 열처리공정에서 우려나오는 특유의 녹색수와 물냄새가 거의 제거된다.
7. 탈수공정
우려내기 공정에서 건져낸 무청에는 많은 물이 묻어 있으므로 무청으로부터물이 안떨어질 정도로 탈수시켜 제거하도록 한다.
본 탈수공정에서는 우려내기 공정에서 건져낸 무청을 물빠짐이 좋은 거물이나 걸름망과 같은 곳에 얹거나 컨베어를 따라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면서 무청에 묻어 있던 물이 거의 떨어질 정도로 자연탈수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탈수공정에서는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게 탈수하도록 한다.
8. 절단공정
우려낸 무청을 건져낸 다음 먹기에 좋고 포장하기에 좋은 크기인 1㎝ ~ 5㎝의 길이로 절단하도록 한다. 무청을 절단할 때 절단기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자동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청을 절단할 때 길이가 작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재선별 과정을 통하여 분리 제거하도록 한다. 이 때에도 선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9. 건조공정
1㎝ ~ 5㎝의 길이로 절단된 무청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70℃ ~ 80℃의 온도로 10시간 ~ 24시간 건조시켜 무청의 수분함량이 8% ~ 12%로 유지되게 한다. 열풍건조기를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건조하도록 함으로써 무청 고유의 맛이나 색감이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건조시간은 건조량이나 건조 조건등에 따라 적절한 시간이 결정되며, 충분히 건조된 시래기는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유통과정에서의 변질이 방지되고 포장부피를 줄일 수 있게된다.
일반적으로 보관이나 유통과정에서 건조된 시래기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함량은 9% ~ 12% 이며, 장기 보관하는 경우 완전건조에 준하는 8%이하의 수분함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시래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포장지로부터 끄집어 내어 잠깐 방치하면 상대적으로 수분이 높은 대기중의 수분이 시래기로 유입되면서 시래기의 수분함량이 증가되므로 부서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무청을 건조할 때 태양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조과정에서의 탈색이나 영양손실 및 이물 유입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공정에서 건조된 시래기의 수분함량이 8% 이하일 때 손으로 만질 경우 쉽게 부서질 수 있으므로 수시간 내지 십수시간에 걸쳐 상온의 온도로 자연냉각시키는 냉각공정을 포함하거나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상온의 온도란 주변의 대기온도를 말하며, 따라서 그날 일기에 따라 상온과 냉각시간이 다소간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시래기의 수분함량이 9% 내지 10% 이상인 경우 냉각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10. 계량공정
알맞게 건조된 시래기를 소비하기에 적당한 무게, 이를테면, 100g, 200g, 300g, 400g, 500g, 1㎏, 2㎏, 3㎏, 5㎏, 8㎏, 10㎏ 등의 단위로 계량한 다음 용기등에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11. 양념 준비공정
계량된 시래기 무게를 감안한 적당한 무게의 양념(양념 및 스프 등)을 용기에 넣어 진공포장하도록 한다. 예컨데, 계량된 무청의 무게 1㎏을 기준으로 할 때들깨가루 200g ~ 500g과, 된장 200g ~ 500g과,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 약 200g ~ 500g을 서로 섞이지 않도록 칸으로 구획된 용기 또는 분리된 각각의 용기에 담은 다음 진공포장하여 양념을 준비하도록 한다. 상기 양념의 무게는 200g ~ 500g으로 예를 들었으나 다소간 가감할 수 있으며,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은 무게비로 4:6 또는 6:4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념은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넣어 진공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에 열거한 양념 이외에도 마늘이나 소금, 설탕등의 감미료나 기타 양념을 첨가 포장하는 방법으로 양념을 준비하도록 한다.
12. 포장공정
계량된 시래기와 진공 포장된 양념을 비닐봉지에 넣은 다음 개봉부를 열압착이나 고주파열접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등의 방법으로 실링하여 포장하도록 한다. 상기 포장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포장되며, 양념이 추가 포장된 시래기는 다시 소정개수로 박스(box)에 담아 출하 및 유통하도록 한다.
(실시 예 2)
본 발명 실시 예 2로 제시하는 '무청을 이용한 습식 무우거지 제조방법'은, 1. 무청 준비공정, 2. 무청 선별공정, 3. 무청 세척공정, 4. 열처리 공정, 5. 세척공정, 6. 우려내기 공정, 7. 탈수공정, 8. 절단공정은 상기 실시 예(실시 예 1)와 같으나 그 이후 공정은 상이하다.
이하 본 발명 '실시 예 2'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청 준비공정
김치공장이나 무 공장 또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무 작목반(또는 무 재배지)등으로부터 20㎝ ~ 50㎝ 길이의 생(生)무청(원료)을 선별 수거하도록 한다.
일반 무청의 길이(L1)는 대략 30㎝ ~ 50㎝이며, 알타리 무청의 경우 20㎝ ~ 30㎝ 정도로 길이가 짧지만 일반 무청보다 부드러워 상품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봄철이나 여름철에 수확되는 무청은 가을철에 수확되는 무청에 비하여 다소 맛이 떨어지므로 가을철에 수확된 무청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품성이 우수한 싱싱한 상태의 생(生)무청을 수거하도록 한다.
이 때, 무 뿌리(2)와 무청(4)을 연결하는 밑둥(6) 부분(L2)은 억센부분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도 1과 같이 무청(4)의 하부를 2㎝ ~ 5㎝ 정도 절단 제거하도록 한다.
2. 무청 선별공정
준비된 무청중에서 부드럽고 싱싱하며 변색이 안된 부분을 선별하여 상품성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선별할 때 큰 이물등을 제거하도록 하고, 먹기에 억센부분이나 떨어져 나간 부분, 탈색 및 변색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부분등은 선별하여 분리 제거하도록 한다. 물론 선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3. 무청 세척공정
지하수나 상수 등으로 선별된 무청을 1회 이상 세척하여 무청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이나 흙, 그리고 잔류농약 및 비료 등이 거의 제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으로 상기 잔류농약이나 비료등을 제거 및 제독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4. 열처리 공정
선별된 무청을 100℃ 온도로 끓는 물에 넣어 약 15분간 삶는다. 본 공정에서 무청을 삶을 때 15분을 훨씬 초과하여 너무 익게되며, 무청의 영양이 파괴되고 손실될 뿐 아니라 맛이 떨어지게되므로 바람직하게는 15분 전후의 시간 동안 삶도록 하되 줄기 부분이 말랑 말랑하게 익는 정도로 삶는 것이 무청의 영양보호와 고유의 맛을 보존하는데 바람직하다. 즉, 본 열처리 공정에서 무청의 대부분이 약하게 익혀지게 되므로 미감(味感)이 좋아진다.
본 열처리 공정에 의해 무잎 중의 산화효소가 정지되고 녹색이 고정된다. 즉, 무잎의 세포벽은 섬유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포벽 사이에는 콜로이드성 다당류의 일종인 펙틴이 점착되어 있는데 열처리에 의해 용해 및 제거되므로 여타의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촉감이나 외관이 나빠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5. 세척공정
삶은 무청을 깨끗한 물로 1회 또는 1회 이상 세척하여 불순물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한다. 무잎을 우선 물로 세척하여 불필요한 이물질등을 제거하여 식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6. 우려내기 공정
세척된 무청을 약 70℃의 물에 2시간 가량 넣어 물냄새가 거의 우려나면 건져내도록 한다. 무청이 열처리공정에서 우려나오는 특유의 녹색수와 물냄새가 거의제거된다.
7. 탈수공정
우려내기 공정에서 건져낸 무청에는 많은 물이 묻어 있으므로 무청으로부터 물이 안떨어질 정도로 탈수시켜 제거하도록 한다.
본 탈수공정에서는 우려내기 공정에서 건져낸 무청을 물빠짐이 좋은 거물이나 걸름망과 같은 곳에 얹거나 컨베어를 따라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면서 무청에 묻어 있던 물이 거의 떨어질 정도로 자연탈수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탈수공정에서는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게 탈수하도록 한다.
8. 절단공정
우려낸 무청을 건져낸 다음 먹기에 좋고 포장하기에 좋은 크기인 1㎝ ~ 5㎝의 길이로 절단하도록 한다. 무청을 절단할 때 절단기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자동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청을 절단할 때 길이가 작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부분은 재선별 과정을 통하여 분리 제거하도록 한다. 물론 선별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9. 살균공정
냉각된 무청을 살균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살균에는 자외선이나 오존 및 음이온으로 살균처리하거나, 또는 105℃ ~ 130℃의 온도에서 수초 내지 수분간 급속살균처리하거나, 105℃ ~ 130℃의 증기 또는 공기로 수초 내지 수분간 급속살균하거나,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살균처리하되 무청의 영양분 파괴 또는 영양손실을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취하도록 한다.
오존으로 살균하는 경우 공기중에서 또는 수중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 살균을 실시하는 경우 탈수를 필요로 한다.
본 공정에서는 105℃ ~ 140℃의 온도로 급속살균함으로써 영양분의 파괴나 변질을 예방할 수 있다.
10. 계량 및 진공포장공정
건조된 무청을 소비량에 맞게 적정 무게별로 포장하도록 한다. 이를테면, 100g, 200g, 300g, 400g, 500g, 1㎏, 2㎏, 3㎏, 5㎏, 8㎏, 10㎏ 등의 단위로 계량한 다음 레토르트 파우치등에 진공포장시켜 장기간의 보관이나 유통에도 변질이 방지되도록 한다.
즉, 계량된 무청(무우거지)를 포장용기에 담아 탈기(脫氣)시킨 다음 진공포장하도록하고, 장기 포장을 위하여 식용이 가능한 식염수나 희석된 간수를 침지 또는 살포시켜 진공포장함으로써 보존기간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11. 양념 준비공정
계량된 무청의 무게를 감안한 적당한 무게의 양념(양념 및 스프 등)을 용기에 넣어 진공포장하도록 한다.
예컨데, 계량된 무청의 무게 1㎏을 기준으로 할 때 들깨가루 200g ~ 500g과, 된장 200g ~ 500g과,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 200g ~ 500g을 서로 섞이지 않도록 칸으로 구획된 용기 또는 분리된 각각의 용기에 담은 다음 진공포장하여 양념을 준비하도록 한다. 상기 양념의 무게는 200g ~ 500g으로 예를 들었으나 다소간 가감할 수 있으며,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은 무게비로 4:6 또는 6:4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념은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넣어 진공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에 열거한 양념 이외에도 마늘이나 소금, 설탕등의 감미료나 양념등을 첨가 포장하는 방법으로 양념을 준비하도록 한다.
12. 포장공정
진공포장된 무우거지와 진공 포장된 양념을 비닐봉지에 넣은 다음 개봉부를 열압착이나 고주파열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등의 방법으로 실링하여 포장하도록 한다. 상기 포장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으로 포장되며, 양념이 추가 포장된 무우거지는 박스(box)에 소정개수씩 담아 최종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포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무청(무우거지)은 진공포장에 의해 공기와 완전 격리되므로 포장된 무청의 산화가 방지되며, 용기는 위생적인 합성수지 봉지 또는 레토르트 파우치등이 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조하여서 된 본 발명 시래기 및 무우거지는 위생적이고, 쉽고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으며, 원래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미류 등이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무공해 식품이며, 레저용으로도 손색없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온(25℃)에서는 2개월 가량, 냉장보관시는 12월정도 변질없이 보존할 수 있으며 이상의 기간동안 음식물로서의 무청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우거지는 운송보관이 편리하고 생무(Radish) 잎이 갖고 있는 영양소와 색상의 변질없이 장기보관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호식품의 하나인 시래기, 무우거지를 수퍼마켓 등을 통하여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대량 제조 공급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구미와 요구에 부응하는 식품이다.
본 발명에서 양념을 추가할 때, 제조된 무우거지 또는 시래기를 용기에 담아 일반포장 또는 진공포장하되, 된장과 다시마국물 및 멸치국물과 들깨가루를 각각의 용기 또는 용기는 하나이지만 구획된 칸에 각각 담아 밀봉시킨 다음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양념없이 동봉된 양념과 적당량의 식수를 첨가하여 바로 조리해 먹을 수 있게된다. 물론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조리시에 동봉된 양념을 가감하거나 별도의 양념을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무청은 위생적으로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으며, 원래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고, 조미료 등이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건강에 유익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의 변화가 있더라도 기존의 시래기(무우거지)보다 오래 유통시킬수 있으며, 인공적으로 맛을 가미하지 않아 각자의 취향에 따라 시래기(무우거지) 맛을 선택하여 조리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청을 지나치게 가공처리하지 않아 수확시의 무청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가 수확되는 계절에 상관없이 언제라도 무청을 이용한 음식을 즐길 수 있으며, 습식 제조의 경우 필수적인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아 제조가 비교적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우거지는 운송보관이 편리하고 생무(Radish) 잎이 갖고 있는 영양소와 색상의 변질없이 장기보관이 가능하며 이를 식용으로 재사용하고져 하는 경우 간단한 방법으로 맛과 외관에서 원래의 생무잎과 근접한 상태로 조리해 먹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호식품의 하나인 무우거지를 수퍼마켓 등에서 판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 선별된 무청을 세척한 다음 100℃ 온도로 끓는 물에 넣어 말랑 말랑하게 익도록 삶고, 재차 세척한 다음 70℃ 정도의 물에 2시간 가량 넣어 우려낸 다음 무청으로부터 물이 안떨어질 정도로 탈수하고, 탈수된 무청을 1㎝ ~ 5㎝의 길이로 절단 계량한 다음 70℃ ~ 80℃의 온도로 10시간 ~ 24시간 건조시켜 무청의 수분함량이 8% ~ 12%로 유지되게 하여서 된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수분함량을 8% ~ 12%로 건조된 무청과 진공 포장된 양념을 봉지에 같이 넣어 포장하여서 된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 양념은 계량된 무청의 무게 1㎏을 기준으로 들깨가루 200g ~ 500g과, 된장 200g ~ 500g과,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 200g ~ 500g을 서로 섞이지 않도록 용기에 담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4.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 선별된 무청을 세척한 다음 100℃ 온도로 끓는 물에 넣어 말랑 말랑하게 익도록 삶고, 재차 세척한 다음 70℃ 정도의 물에 2시간 가량 넣어 우려낸 다음 무청으로부터 물이 안떨어질 정도로 탈수하고,탈수된 무청을 1㎝ ~ 5㎝의 길이로 절단 계량하여 105℃ ~ 130℃의 온도에서 수초 내지 수분간 살균처리한 다음 진공포장하여서 된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 살균처리한 다음 진공포장할 때 진공 포장된 양념과 함께 봉지에 넣어 포장하여서 된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 양념은 계량된 무청의 무게 1㎏을 기준으로 들깨가루 200g ~ 500g과, 된장 200g ~ 500g과,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 및 멸치를 우려낸 국물 200g ~ 500g을 서로 섞이지 않도록 용기에 담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 살균처리한 다음 진공포장하기 전에 희석된 식용 간수를 침지 또는 살포시켜 진공포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1020040002077A 2004-01-12 2004-01-12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20040011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077A KR20040011578A (ko) 2004-01-12 2004-01-12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077A KR20040011578A (ko) 2004-01-12 2004-01-12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578A true KR20040011578A (ko) 2004-02-05

Family

ID=3731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077A KR20040011578A (ko) 2004-01-12 2004-01-12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15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042B1 (ko) * 2012-07-05 2013-04-30 주식회사 디미 배무채 시래기의 제조방법 및 조리방법
KR101426310B1 (ko) * 2012-01-17 2014-08-06 사비팜영농조합법인 시래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래기
KR101672360B1 (ko) * 2015-05-06 2016-11-03 김종인 건조 시래기 제조방법
KR20190015842A (ko) * 2017-08-07 2019-02-15 농업회사법인 농신 주식회사 식감이 부드러운 건조 무청 시래기의 제조방법
KR20210133035A (ko) 2020-04-28 2021-11-05 농업회사법인 착한 주식회사 말린 무청(시래기)을 이용한 간편조리식품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310B1 (ko) * 2012-01-17 2014-08-06 사비팜영농조합법인 시래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래기
KR101255042B1 (ko) * 2012-07-05 2013-04-30 주식회사 디미 배무채 시래기의 제조방법 및 조리방법
KR101672360B1 (ko) * 2015-05-06 2016-11-03 김종인 건조 시래기 제조방법
KR20190015842A (ko) * 2017-08-07 2019-02-15 농업회사법인 농신 주식회사 식감이 부드러운 건조 무청 시래기의 제조방법
KR20210133035A (ko) 2020-04-28 2021-11-05 농업회사법인 착한 주식회사 말린 무청(시래기)을 이용한 간편조리식품 제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i et al. Post harvest technology of mushrooms
WO2015119321A1 (ko) 산채 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산채 김
Thakur Advances in post-harvest technology and value additions of edible mushrooms
CN103876202A (zh) 一种生鲜板栗包装产品的加工方法
CN104939216A (zh) 一种速食东北酸菜汤及其加工、冲调、包装方法
CN1140024A (zh) 一种速食油茶
KR20040011578A (ko)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N101073393A (zh) 菜泡饭的加工方法
CN107373563B (zh) 一种方便朝鲜族大酱汤粉及其食用方法
CN112493429A (zh) 一种冲泡型高纤维低热量方便菜花饭及其制备方法
KR100294387B1 (ko) 산나물무침의제조방법
KR20200077418A (ko) 곤드레를 이용한 간편식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KR20180011498A (ko) 생 무청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100443941B1 (ko) 미꾸라지를 이용한 즉석식품과 그 제조방법
KR100888006B1 (ko) 즉석 뚝배기 찌개 제조방법
JP4076051B2 (ja) わさび風味のオクラの製造方法
KR101510685B1 (ko) 기호성을 갖는 산채류 및 그의 보존성 연장 방법
KR102575998B1 (ko) 브로콜리순과 콜리플라워 외엽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방법
JP4035946B2 (ja) わさび風味の菜の花の製造方法
KR101429690B1 (ko) 깻잎 쌈밥의 제조방법
CN102150700A (zh) 一种无花果微加工技术方法
CN1052861C (zh) 能恢复原状的金薯尖的加工方法
JP4076052B2 (ja) わさび風味のつるむらさきの製造方法
KR100334396B1 (ko) 생쑥김치 제조방법
KR930003884B1 (ko) 김치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