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421A - 비드보다 사이드월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드보다 사이드월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421A
KR20040011421A KR10-2003-7005059A KR20037005059A KR20040011421A KR 20040011421 A KR20040011421 A KR 20040011421A KR 20037005059 A KR20037005059 A KR 20037005059A KR 20040011421 A KR20040011421 A KR 2004001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ead
carcass
cords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929B1 (ko
Inventor
코트렐로저씨.
윌러드월터엘.2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Publication of KR2004001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18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not folded around the bead core, e.g. floating or down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4Bead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17/0018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two or more inserts in each side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292Carcass ply curv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이어는,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서, 타이어 장착용 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사이드월부에 의해 반경방향 상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비드(1)에 고정된 카커스 구조체(5)와, 보강 서미트(11)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부들은 상기 서미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내에 상기 카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역(2)을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5)는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코드들의 적어도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코드들의 적어도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비드의 고정 구역(2)에 포함하고, 상기 두가지의 카커스 코드 정렬부들 사이에는 런플랫 보강 부재(92)가 배치되며, 상기 런플랫 보강 부재는 상기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들의 코드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Description

비드보다 사이드월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Tire having more carcass layers in sidewall than in bead}
각종 타이어 구성은 공기압 런플랫 타이어(pneumatic runflat tires)를 위해 제안되어 있다. 즉, 이러한 타이어는 팽창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또한 수축된 상태에서 제한된 작동을 허용한다. 이들 타이어 구성은 각 비드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반경방향(래디얼) 카커스로 형성되어 비드 와이어 둘레에 넓은 곡선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배열의 중요성은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지는 카커스 통로가 비드 와이어와 측벽의 축방향 내부 한계 사이에서 비드의 반경방향 내부로 자동적으로 통과한 다음, 비드 와이어를 아래로 감아서 비드의 축방향 외부 구역에 도달하는 것이다. 상기 통로는 형상의 폭넓은 변화를 제공하지 않는 설계자에게 제한된 융통성을 제공한다. 카커스의 상기 원형 또는 곡선형 통로는 커다란 용적을 점유한다.
수축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동성을 얻기 위해, 많은 타이어는 카커스들 사이에 또는 카커스와 타이어 인너 라이너 사이에 부가적인 고무층을 사이에 끼우므로써 보강하여 두껍게하는 사이드월을 부가로 사용한다.
또한, 적합한 수축된 비드 유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런플랫 타이어는 수축 작동 중에 림상에 장착되어 유지된다.
많은 해결책은 기계적 비드 로크, 특정 림 프로파일 또는 긴 단면의 비드 와이어 번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긴 비드 와이어 번들은 카커스에서 전개되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해 비드에 카커스를 정착하고 수축 작동 중에 림 시트상에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한다. 이러한 이중 작용은 설계 타협을 필요하게 한다.
미국 특허 공보 제5,660,656호에는 카커스 위에 배치된 원형 보강 와이어 또는 코드의 배열을 갖는 비드 부분에 정착되는 카커스를 포함하는 타이어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비드 와이어 주위에서 권취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정 구역은 사이드월의 내부를 향해 카커스를 안내하도록 배치되거나 배향된다.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축 상태에서 계속 이동할 수 있는 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비드 및 서미트에 하나의 카커스 층을 가지며 사이드월에 두개의 카커스 층을 가지는, 회전축을 통한 자오면을 따라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런플랫 타이어의 사이드월 및 비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사이드월에 세개의 카커스 층을 가지며, 비드에 두개의 카커스 층을가지고, 서미트에 하나의 카커스 층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런플랫 타이어의 제 2 실시예의 사이드월 및 비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 1 및 제 2 카커스 층의 공통적인 원주방향 배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응하는 런플랫 타이어의 비드부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서, 타이어 장착용 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사이드월부에 의해 반경방향 상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비드에 고정된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부들은 상기 서미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내에 상기 카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역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공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코드들의 적어도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코드들의 적어도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비드의 고정 구역에 포함하고, 상기 두가지의 카커스 코드 정렬부들 사이에는 런플랫 보강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런플랫 보강 부재는 상기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들의 코드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부에서의 상기 카커스 구조체의 분할은 최적화된 카커스 코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비드에서의 상기 고정은 적절하며, 상기 사이드월에서는, 두개의 카커스 층은 취급성 및 내구성과 같은 양호한 런플랫 성능에 적합한 런플랫 보강 부재의 층들 사이로의 삽입을 허용한다. 두개의 인접하는 카커스 층들의 코드들과 런플랫 인서트(runflat insert)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은 0-psi 성능(0-psi performance) 면에서 뛰어난 내구성으로 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기계적 특성의 양호한 균일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조는 그 제조에 필요한 최소한의 고무 혼합물로 인해 간략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구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드 보강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 및 상기 카커스 구조체를 상기 비드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비드 보강재 및 상기 카커스 구조체와 협동하는 탄성 계수가 높은 엘라스토머 물질이 제공된다. 상기 비드 보강재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에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커스 구조체와 비드 보강재 사이에서의 협동 형태는 여러 면에서 설계상의 융통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구역은 치밀하며 매우 견고하다.
상기 배치구조는 상기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 상태에서의 사용 도중에 상기 카커스에서 전개되는 신장을 구속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타이어의 상기 서미트부에 단지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타이어의 상기 서미트의 두께를 제한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타이어는 중량 및 구름 저항이 감소하고 팽창 및 수축 상태에서의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서, 타이어 장착용 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사이드월부에 의해 반경방향 상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비드에 고정된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부들은 상기 서미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내에 상기 카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역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공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코드들의 적어도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코드들의 적어도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비드의 고정 구역에 포함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타이어의 상기 서미트부에 단지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포함한다.
"축방향(axial)" 및 "축방향으로(axially)"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라인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경방향(radial)" 및 "반경방향으로(radially)"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축방향에 대해 규정된 각도(angle defined with respect to an axial direction)"는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측정된 0°와 180°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타이어 장착용 림(rim)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시트(12; seat)가 제공된 비드(1; bead)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는 사이드월(13; sidewall)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미트(11; summit)는 공지된 형태의 보강층을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는 카커스 구조체(5)를 포함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비드에서 비드까지 연장되거나, 두개의 절반 구조들 사이에, 즉 실질적으로 상기 서미트의 중앙부에 갭을 두고 연장된다. 상기 카커스 구조체(5)의 반경방향 최내측 범위는 상기 비드(1)의 고정 구역(2)에서 종결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비드 코어 또는 다른 비드 보강재 둘레로 턴업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상기 카커스 구조체의 프로파일을 규정하는 각각의 축방향 좌표는 타이어 균분원(tire equator)의 위치보다 적은 각각의 반경방향 위치에 대한 단일의 반경방향 위치를 갖는다.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비드 보강재(3)에 의해 상기 비드부에 고정된다. 상기 보강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에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cord)가 제공된, 코드 배열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비드부에 "고정된(anchored)"이라는 표현은 종래의 비드 코어 둘레에 감기는 구조가 아닌 상기 코드 배열구조를 사용하는 카커스 보강 구조의 횡방향으로의 고정에 의해 상기 코드 배열구조가 팽창 또는 수축된 타이어의 사용 도중에 상기 카커스 구조체에서 전개되는 신장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 구역(4)의 기계적인 특성은 탄성 계수가 높은 엘라스토머 비드 충전재를 사용하여 최적화된다.
상기 카커스 층들의 상기 비드부에서의 다른 대안적인 카커스 고정 또는 배치구조는 참조에 의해 본원에 합체되는 Herbelleau 등에 의한 미국 특허 공보 제5,660,65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카커스 구조체(5)가 타이어의 일부분 내에 하나 이상의 카커스 층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카커스 구조체(5)는 코드들의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서미트(11) 내에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부(13)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5)는 반경방향(래디얼) 코드들의 두가지의원주방향 정렬부(51, 52)로 분할된다. 이러한 코드들의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는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비드(1)에서, 상기 코드들의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51, 52)는 합류하여, 코드들의 공통의 원주방향 정렬부(5)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비드(1)에는 코드들의 단지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만이 존재한다.
이러한 카커스 구조체는 가요성이 뛰어나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위치에 카커스 코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커스 층(52)의 코드들의 밀도는 유리하게는, 카커스 층(51)의 코드들의 카커스 밀도보다 높다. 외측 카커스 층의 코드들은 팽창 및 수축 작동시에 높은 신장 응력-변형율 주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코드들은 상기 높은 신장 주기를 지탱하도록 설계되고, 그에 따라 코드의 개수가 규정된다. 내측 카커스 층의 코드들은 수축 작동시에 압축에 의해 응력-변형율 주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압축 응력을 지탱하도록 설계시에 고무 혼합물이 채택된다. 코드의 개수는 많아질 필요가 없다. 상기 서미트에서의 카커스 구조체의 두께 및 상기 비드부에서의 적절한 고정방법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기 카커스 구조체(5)의 고정은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들의 두가지의 권취부(41, 42)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권취부는 탄성 계수가 높은 고무층이 개재된 카커스 구조체의 코드들의 원주방향 정렬부(51)에 축방향으로 인접한다.
유리하게는, 양호한 0-psi 성능을 가지기 위해, 런플랫 인서트(92)는 상기 사이드월에서 상기 카커스 층들(51, 52) 사이에 위치되고, 런플랫 인서트(91)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5)와 상기 타이어의 내측부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런플랫 인서트는 인접하는 카커스 층들의 코드들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는 상기 런플랫 인서트들을 구성하는 고무 혼합물이 상기 코드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와 긴밀하게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제조 도중에, 탄성 계수가 낮은 일반적인 완충용 고무 혼합물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월 구조는 수축 작동시에는 뛰어난 내구성을 가진다.
도 2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5)가 코드들의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서미트(11)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부(13)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5)는 반경방향 코드들의 세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511, 512, 52)로 분할된다. 이러한 코드들의 세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는 서로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비드(1)에서, 코드들의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511, 512)는 합류하여, 코드들의 공통의 원주방향 정렬부(51)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비드(1)에는 코드들의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51, 52)가 존재한다.
카커스 층(52)의 코드들의 밀도는 유리하게는, 카커스 층들(511, 512)의 코드들의 카커스 밀도보다 높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서미트에서의 상기 카커스 구조체의 두께 및 상기 비드부에서의 적절한 고정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커스 구조체(5)의 고정은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들의 세가지의 권취부(41, 42, 43)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권취부는 탄성 계수가 높은 고무층이 개재된 카커스 구조체의 코드들의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51, 52)에 축방향으로 인접한다.
유리하게는, 다른 런플랫 인서트(93)는 0-psi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월에서 상기 카커스 층들(512, 52)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런플랫 인서트는 인접하는 카커스 층들의 코드들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도 3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상기 비드(1)에서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 코드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고정 구역에서, 축방향 외측을 향해 차례로 제 1 원주방향 배향 권취부(41), 제 1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부(51), 제 2 원주방향 배향 권취부(42), 제 2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부(52) 및 제 3 원주방향 배향 권취부(43)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구역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상기 제 1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부(51)가 두가지의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부(511, 512)로 분할된다. 상기 고무 혼합물은 명료화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든 코드들은 적어도 상기 고정 구역에서 탄성 계수가 높은 고무 혼합물에 매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 혼합물은 70 이상의 쇼어 A 강도(shore A hardness)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모든 카커스 코드는, 상기 타이어의 서미트부에 단독의 정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원주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커스 구조체(5)에는 실질적으로 직선부(6)가 제공된다. 이러한 직선부는 상기 고정 구역(2)과 전이 구역(8)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직선부(6)의 일반적인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1)의 축방향 내부로부터 상기 사이드월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외부를 향해 약간 경사진다.
삼차원으로 고려하면, 상기 사이드월을 따르는 상기 고정 구역과 상기 전이구역 사이의 카커스 구조체는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6)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어 측부 높이(H)의 25% 내지 7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어 측부 높이(H)의 대략 40% 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타이어 측부 높이(H)는 상기 고정 구역의 저부 또는 반경방향 내측부로부터 상기 서미트 보강재층의 베이스 또는 반경방향 내측부까지 연장되는 반경방향 직선의 길이이다.
상기 전이 구역은 실질적으로 상기 직선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상기 카커스 통로의 부분에 대응하고, 상기 통로는 방향 또는 형상이 변한다. 상기 전이 구역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카커스에는 상기 전이 구역으로부터 상기 서미트의 축방향 외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이 제공된다. 상기 전이 구역의 바람직한 위치는 상기 타이어 측부 높이(H)의 25% 내지 7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이어 측부 높이(H)의 대략 40% 정도이다.
상기 전이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선부(6)와 상기 제 2 부분(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커스의 상기 두 부분(6, 7)을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곡선부를 포함한다. 작은 반경은 상기 카커스 통로의 방향 변화를 좁은 구역에 집중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이 구역(8)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더이상 직선형이 아니며 곡선형이다. 상기 전이 구역으로부터 상기 서미트 구역을 향해, 상기 카커스 구조체(5)의 일반적인 형상 및 방향은 축방향 내측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향된 통로에서 상기 전이 구역(8)으로부터 상기 타이어 서미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2 부분또는 상부 사이드월부(7)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부분(7)은 중심선(14)에 대해 상기 사이드월의 외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제 2 부분(7)은 상기 서미트까지 연장되고, 이 경우에, 상기 부분은 실시예에 따라 중절되거나 연속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부 사이드월부(7)는 큰 반경의 실질적으로 곡선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상부 사이드월부(7)는 상기 전이 구역(8)과 상기 서미트의 경계부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선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타이어 사이드월의 상부 구역에서는, 상기 제 1 직선부와 유사하게, 상기 카커스 구조체 통로를 상기 타이어 사이드월 두께 및 형상에 적응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사이드월 프로파일에 따라, 다소 긴 비율의 직선 통로 또는 곡선 통로를 카커스 구조체에 제공하는 것이 더욱 적절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부에 제공된 런플랫 인서트(91)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서트는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기밀(airtight) 인서트이다. 실질적으로 두꺼운 런플랫 인서트가 사용될 경우에, 유효한 불투과성이 가능해진다. 상기 배치구조에 의하면, 대부분의 상기 사이드월부에는 인너 라이너(inner liner)가 불필요해진다. 상기 실질적으로 두꺼운 런플랫 인서트는 적절한 불투과성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서미트를 분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서미트부를 따라 상기 타이어 프로파일의 제한된 부분에서 부틸 기반의 인너 라이너와 같은 기밀 인너 라이너(10)를 사용할 수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고정 구역(2)은 실질적으로 경사진다. 상기 구역(2)의 일반적인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내부로부터 상기 비드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외부를 향해 약간 경사진다. 축방향에 대해 측정된 각도 α는 상기 고정 구역(2)에 매립된 상기 카커스 구조체의 내부의 구배를 지시한다. 이러한 구배는 유리하게는, 110° 내지 14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이다. 상기 배치구조(4)의 협동하는 코드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 또는 정렬된다.
상기 고정 구역 내부에 상기 카커스 통로의 경사진 고정 구역 또는 경사진 부분을 갖는 배치구조에 의하면, 상기 카커스 구조체의 상기 부분(6)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기 고정 구역의 전체적인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구역의 반경방향 외부 구역의 종래의 굴곡된 카커스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 또는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구역은 타이어가 수축될 때 양호한 수준의 비드 유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커스 구조체를 중심선(14)에 대해 축방향 외측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구역(2)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카커스 통로는 상기 사이드월의 축방향 외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보강 코드를 최대한 정밀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캐비티의 형상을 강제하는 강성 코어와 같은 강성 지지체상에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최종 위치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타이어의 모든 구성요소는 상기 제조 중의 임의의 순간에 형상화를 진행하지 않고 최종 구성에 필요한 정도로 상기 코어상에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타이어는 미국 특허 공보 제4,895,692호에 개시된 방식으로 성형 및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그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되었지만, 전술한 기술내용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변경,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한 상기 모든 변경,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8)

  1.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서, 타이어 장착용 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사이드월부에 의해 반경방향 상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비드에 고정된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부들은 상기 서미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내에 상기 카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역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로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코드들의 적어도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circumferential alignment of cords)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코드들의 적어도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비드의 고정 구역(anchoring zone)에 포함하고, 상기 두가지의 카커스 코드 정렬부들 사이에는 런플랫(runflat)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타이어의 상기 서미트부에 단지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런플랫 보강 부재는 상기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들의 코드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타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역에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드 보강재, 및 상기 비드 보강재 및 상기 카커스 구조체와 협동하는 엘라스토머 물질이 제공되는 타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측부상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에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6. 타이어의 각각의 측부에서, 타이어 장착용 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를 각각 구비하며 사이드월부에 의해 반경방향 상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비드에 고정된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월부들은 상기 서미트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 내에 상기 카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역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코드들의 적어도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코드들의 적어도 한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상기 비드의 고정 구역에 포함하고,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상기 타이어의 상기 서미트부에 단지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가지의 카커스 코드 정렬부들 사이에는 런플랫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런플랫 보강 부재는 상기 두가지의 원주방향 정렬부들의 코드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타이어.
KR1020037005059A 2000-10-10 2001-10-08 비드보다 측벽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KR100810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PCT/US00/27877 2000-10-10
US0027877 2000-10-10
PCT/EP2001/011572 WO2002030691A1 (en) 2000-10-10 2001-10-08 Tire having more carcass layers in sidewall than in b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421A true KR20040011421A (ko) 2004-02-05
KR100810929B1 KR100810929B1 (ko) 2008-03-10

Family

ID=2174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59A KR100810929B1 (ko) 2000-10-10 2001-10-08 비드보다 측벽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326755B1 (ko)
JP (1) JP4030868B2 (ko)
KR (1) KR100810929B1 (ko)
CN (1) CN1599675A (ko)
AT (1) ATE361206T1 (ko)
AU (1) AU2002223602A1 (ko)
DE (1) DE60126500T2 (ko)
WO (1) WO2002030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9150B2 (ja) * 2002-04-19 2009-06-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DE60323675D1 (de) * 2002-12-26 2008-10-30 Michelin Soc Tech Notlaufreifen mit seitenwänden mit unterschiedlicher steifigkeit
WO2005068166A1 (ja) * 2004-01-13 2005-07-28 Bridgestone Corporation タイヤの製造方法
WO2006071229A1 (en) * 2004-12-29 2006-07-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Extended-mobility tire comprising a two-zone insert
WO2006071230A1 (en) * 2004-12-29 2006-07-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Extended-mobility tire comprising an insert having two zones with substantially different sizes
JP4040067B2 (ja) * 2005-06-01 2008-01-30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環状同芯撚りビードコ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733901A1 (en) * 2005-06-16 2006-12-20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Extended-mobility tire having separated carcass portions in summit
JP6050564B2 (ja) * 2010-03-11 2016-12-21 テイカ製薬株式会社 フィルム状製剤
JP5576908B2 (ja) * 2012-08-06 2014-08-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8622106B1 (en) * 2012-08-27 2014-0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ad structure for a pneumatic tire
JP6910284B2 (ja) * 2017-12-18 2021-07-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1984A (en) * 1921-10-17 1923-07-17 Pfeiffer Fred Brown Tire construction
FR1452730A (fr) 1965-07-28 1966-04-15 Michelin & Cie Perfectionnements aux enveloppes de pneumatiques
US5660656A (en) * 1992-08-05 1997-08-26 Sedepro Tire with anchored carcass
WO2000002740A1 (en) * 1998-07-10 2000-01-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hread reinforcement means for extended mobility tire
KR20010053607A (ko) * 1999-05-27 2001-06-25 폴 겔리 최적화된 카카스 경로를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6500T2 (de) 2009-10-01
EP1326755B1 (en) 2007-05-02
DE60126500D1 (de) 2007-11-15
CN1599675A (zh) 2005-03-23
KR100810929B1 (ko) 2008-03-10
ATE361206T1 (de) 2007-05-15
JP4030868B2 (ja) 2008-01-09
JP2004510628A (ja) 2004-04-08
WO2002030691A1 (en) 2002-04-18
AU2002223602A1 (en) 2002-04-22
EP1326755A1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242B2 (en) Runflat tire having optimized carcass path
JP2011016529A (ja) ビード構造が改良された航空機用タイヤ
NZ196235A (en) Pneumatic tyre:inextensible bands restrain breaker structure edges
KR100810929B1 (ko) 비드보다 측벽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KR20010053607A (ko) 최적화된 카카스 경로를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
KR20010012980A (ko) 타이어
KR100322321B1 (ko)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KR20060072055A (ko) 공기 래디얼 타이어
US20050230021A1 (en) Tire having more carcass layers in sidewall than in bead
KR20040022450A (ko) 타이어용 런플랫 인서트
JP4184083B2 (ja) 付加リングおよび外側に傾斜したシートを有するビードを備えたタイヤ
KR20040011420A (ko)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US5556488A (en) Tire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removable and reinforced sectors
US6276416B1 (en) Run-flat tire with pair of rigid rings in shoulders inside carcass
EP0288986B1 (en) Improvements in the beads of pneumatic tires for vehicle wheels
JP4394292B2 (ja) 可動性が拡張されたタイヤ用の補強ウェッジインサート構造
JP2003320822A (ja) タイヤサポートリング
WO2002030690A1 (en) Tire bead with soft heel
JP2006502906A (ja) 対称的な荷重分布を有するビードを備えた長期移動性タイヤ
US7152646B2 (en) Heavy duty tire
WO2002030689A1 (en) Tire bead with angled anchoring zone
US20050006017A1 (en) Tire having a carcass portion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O2002030688A1 (en) Tire having an outer carcass path
WO2002030686A1 (en) Tire with optimized interior contour
JP2000158922A (ja) エラストマ材料からなる射出成形可能なタイヤ用安全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