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21B1 -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 Google Patents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21B1
KR100322321B1 KR1019950000658A KR19950000658A KR100322321B1 KR 100322321 B1 KR100322321 B1 KR 100322321B1 KR 1019950000658 A KR1019950000658 A KR 1019950000658A KR 19950000658 A KR19950000658 A KR 19950000658A KR 100322321 B1 KR100322321 B1 KR 10032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carcass
tire
beads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550A (ko
Inventor
에르베이에우입세
프라델르쟝-쟈크
Original Assignee
쟈끄 보비르
쎄데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끄 보비르, 쎄데쁘로 filed Critical 쟈끄 보비르
Publication of KR95003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18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not folded around the bead core, e.g. floating or down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4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 B60C9/06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the cords extend diagonally from bead to bead and run in opposite directions in each successive carcass ply, i.e. bias angle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23Carcasses built up from narrow strips, individual cords or filaments, e.g. using filament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타이어의 카카스는 하나의 비드로부터 다른 비드까지 전진 및 귀환 경로로 통과한 단일 카카스 코드로부터 형성된다. 비드의 전진 및 귀환 경로에는 고무의 층(8)에 의해 분리된 두개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가 형성되어 있다. 카카스는 비드(축 방향에서)의 각 측면상에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중 하나이상의 파일(61, 62)을 제공함으로서 비드(2)내에 고정된다. 각각의 파일은 상기 얼라인먼트중 하나에 인접해 있다. 쇼어 A 경도가 70 이상인 고무 혼합물 층(5)이 삽입된다(제 1 도).

Description

비드내에 카카스 코드를 고정한 타이어{Anchoring of the carcass of a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측벽 및 비드(bead)내에 보강 코드(reinforcement cord)를 배치한 것이며, 비드내에 카카스 코드(carcass cord)를 고정시키는(anchoring)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타이어의 카카스 보강재는 비드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둘레에서 방사상으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플라이(ply)로 형성된다. 비드는 타이어를 림(rim)상에 고정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비드의 강성(stiffness)은 매우 크다.
측벽의 방향으로 방사상 상방(radially upward)으로 이동할때 비드의 강성이 점진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술의 현재 상태에서, 측벽과 비드 사이의 강성을 점진적으로 전개시키는 것은 어렵다. 측벽은 실질적인 가요성을 가져야 하며, 비드는 실질적인 강성(stiffness)을 가져야 한다. 사실상 타이어의 이러한 부분에 배치된 보강재(reinforcements)는 항상 필연적으로 불연속성을 갖고 있다. 카카스 턴업(turn-up)의 방사상 상단부에서, 카카스 턴업이 없는 영역, 따라서 필연적으로 덜 강성인 영역으로 카카스가 전이되지 않고 통과한다. 상기시켜 말하자면, "방사상 상방" 또는 "방사상 상부" 는 보다 큰 반경 방향쪽을 의미한다.
방사상 카카스의 경우에, 비드 와이어 둘레에 턴업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다른 설계 원리는 종래 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 3,072,171호에는 카카스 파일의 턴업을 제거하고 원주방향으로 향한 카카스 코드를 방사상으로 향한 코드와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구조에서는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에 카카스 코드를 고정하는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제안은 실제로 이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드에 접근할때 타이어의 측벽의 굴곡 강성을 가능한한 점진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카카스 보강 코드를 배열하고 많은 수의 카카스 코드를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자체를 손쉽게 기계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타이어의 보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부가 림 시트상에 장착되는 비드(bead)내에 방사 방향 하향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카카스(carcass)를 포함하며, 각각의 비드는 측벽에 의해 방사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며, 측벽은 타이어 트레드(tread)를 향해 방사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고, 카카스는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파일(pile)에 의해 상기 비드내에 고정되고, 카카스는 서로 인접 배치된 카카스 코드 부분으로 형성되고, 코드 부분은 측벽의 상부에서는 측벽내를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한 단일 원주방향 얼라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단일 원주방향 얼라인먼트는 측벽의 상부로부터 비드의 하부쪽으로 방사상으로 이동시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로 분할되며, 이들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는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를 포함하지 않고 필러재료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이격되며,
비드에서 상기 원주방향 얼라인먼트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필러 재료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에 의해 경계 설정되며,
상기 카카스는 연속한 카카스 코드로 형성되며, 각 원주방향 얼라인먼트의 비드의 코드부분은 루프에 의해 2 개씩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는 방사상으로 비드의 기부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설명에서, 용어 "코드(cord)" 는 단일필라멘트 및 다중필라멘트 또는 케이블 꼬인 것 또는 동등한 조립체 형태와 같은 조립체를 의미하며, 이들 코드의 재료 및 처리 예를들면 고무에 잘 접착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 또는 코팅 또는 예비가호(presizing)는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카카스는 90° 또는 90° 에 가까운 각도로 코드가 배치될때도 방사상 카카스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드에서 측벽으로부터 비드로 향할때 카카스 코드 자체는 필러 재료의 양측벽상에 분리되어 있다. 양호하게, 카카스 코드 부분의 각각이 팽창으로 인한 힘이 동일하게 분포되도록, 비드의 얼라인먼트의 각각은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대향 측면상에서 상기 필러 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열함으로서 측방으로 경계 설정된다.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는 방사상으로 향한 코드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이 양호하다. 실제 응력이 가해지는 타이어에 대해서 카카스 코드 부분과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 사이의 힘을 양호하게 전달하도록, 탄성계수가 높은 고무, 즉 쇼어 A 경도가 70 이상인 고무 혼합물은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와 카카스 코드의 인접 얼라인먼트 사이에 삽입된다.
현재의 본 기술 상황에서, 카카스 플라이(ply) 또는 플라이들은 비드 와이어 둘레에 턴업되어 있다. 다음에, 비드 와이어는 카카스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데, 즉 팽창 압력하에서 카카스 코드내에 전개되는 장력을 발생한다. 여기에 청구된 장치는 카카스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기술에는 림상에 비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비드 와이어 자체가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청구된 장치는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한 구조체의 하나 또는 다른 측면상에 특정 변형예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카카스 부분이나 고정부를 형성하는 다른 요소를 부가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동일 종류의 카카스를 배가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카카스에 다른 형태의 카카스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조를 위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제조하기에 가장 간단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특히 관련있는 타이어의 다양한 공지된 부분, 즉 측벽(1) 및 비드(2)가 도시되어 있다. 카카스 보강재는 측벽(1)에서 방사상으로 향한 카카스 코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카카스 코드는 특히 원주 방향의 코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경계 설정되는 경우에 방사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강재는 단일 카카스 형태이다. 달리 말하면, 카카스 코드는 측벽내의 단일 층에 배열되며, 그에 따라 단일 얼라인먼트(3)로 배치된다.
비드의 기부에서, 카카스 코드는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루프를 형성한다. 루프내에 코드를 배열함으로서, 모든 절단 에지가 불연속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실 보강 코드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이며, 케이블 단부들은 절단 위치에서 플레어(flarings)가 발생하여 모든 단일 단필라멘트는 서로 이격 연장된다. 이것은 타이어의 파열 개시점을 형성한다. 코드가 직물(textile)을 구성하는 경우 고무에 대한 매우 우수한 접착력을 보장하기 위해 코드를 가호시킨다. 공교롭게도, 코드가 절단된 후에는 양쪽 케이블 단부에 예비 가호를 할 수 없어서, 또한 고무가 절단위치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비드 내부에서 초기 파열의 위험이 초래된다.
본원에 설명한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결점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전진 경로와 귀환 경로 사이에 루프가 존재함으로서, 카카스는 "단일 코드"형태이다. 즉 카카스는 단일 코드로부터 제조되며 플라이(ply)를 형성하도록 모두이전에 캘린더 가공되어 카카스내에 방사상 아치(arch)가 있을 때 많은 길이부(개별적으로 절단됨) 로부터 제조된 것은 아니다. 물론, 카카스는 단일 코드와는 달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의 코드만을 사용하고 코드의 단부를 비드가 아닌 트레드(tread)하부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각 측벽(1)에 전진 및 귀환 경로를 형성하는 병렬로 설치된 코드부분의 단일 원주 얼라인먼트(3)가 형성되는 카카스 코드는, 비드(2)의 기부에 도달하도록 측벽으로부터 출발하는 카카스가 서로 축방향으로 점차 이격 이동하는 방사방향 코드(radial cord)의 두개의 원주방향 얼라인먼트(31, 32)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카카스 코드 부분은 측벽에서 카카스 코드의 두개의 인접 부분이 비드(2)의 다른 얼라인먼트가 되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양호하다. 달리 말하면, 비드(2)의 얼라인먼트(31, 32)의 각각으로부터 나오는 코드의 측벽내에 교대로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는 타이어의 측벽(1)의 레벨에서 코드 부분의 단일 원주 얼라인먼트(즉, 코드의 단일 층)만이 있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측벽에 매우 큰 가요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강 구조체가 제공된 타이어가 붕괴되는 것에 대한 측벽의 굴곡부의 강성은, 강한 응력의 타이어의 경우에 많은 카카스 코드가 사용될때, 또는 저항 코드가 덜 사용될때의 현재 이용된 구조물과 같이 두개의 카카스 플라이가 있을때 보다 약간 덜 강하게 된다.
이것은 제 2 도의 사시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엇물림 배열로 된다. 두개의 얼라인먼트는 소위 필러 고무층(8)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더욱이 코드를 함침할 수 있고 비드를 완전히 결합할 수 있고, 얼라인먼트(31, 32)를 서로 축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드의 분포는 고무에 의해 양호하게 함침되는 코드 또는 루프의 부분을 완전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수의 얼라인먼트로의 분리가 발생하는 높이는 선택된 높이의 고무층(8)을 삽입시킴으로서 그리고 점차 변화하는 축방향 두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굴곡부의 강성은 매우 증가한다.
물론, 측벽의 단일 얼라인먼트는 2 개 이상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로 나누고 각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를 비드내에서 서서히 축선방향으로 서로 이격 이동시킬 수 있다.
모든 경우에, 비드의 각각의 얼라이먼트의 코드의 수는 측벽의 얼라인먼트의 코드의 수와 비교할때 두개 또는 두개 이상으로 분리되는데, 이것은 반경이 비드의 수준과 비슷할때 측벽내에서 보다 정렬된 코드를 수용하는 공간이 적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보다 큰 밀도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달리 말하면, 카카스 코드의 수를 증가시키면 다른 카카스를 추가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않되지만 그렇게 하면 코드 전부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비드내의 공간이 부족하다.
설명한 실시예의 모든 경우에, 타이어는 하기의 인접 층들에 이해 형성된 층상의 합성 구조물을 갖는다;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61, pile), 쇼어 A 경도가 70 이상인 고무 혼합물 층(5), 카카스 코드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31), 고무 혼합물로 이루어진 필러 층(8), 카카스 코드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32), 쇼어 A 경도가 70 이상인 고무 혼합물 층(5) 및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62)로 구성된다. 이것은 팽창 압력의 영향하에서 카카스 코드내에 존재하는 장력을 흡수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한다.
타이어의 조립시에 고무는 상기 층을 제조할 한가지 목적을 위해 부착되기 때문에 또는 파일(61, 62)을 얻기 위해, 그리고 카카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코드는 상술한 층(5)이 몰딩후에 존재하도록 고무로 피복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층(5)은 가류 타이어에서 제조될 수 있다.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에 사용된 코드는 황동 코팅 금속 와이어가 양호하다. 각각의 파일(61, 62)에서, 코드는 동심상으로 중첩 배치된다. 코드의 상기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링을 다른 링의 상부상에 위치시키거나 코드를 수회 권선할 수 있다.
실험은 고무 혼합물층(5)으로서 합성 SBR 탄성중합체 자체 또는 폴리부타디엔이 혼합된 합성 SBR 탄성중합체를 함유한 것이 매우 만족스러운 피로 강도가 얻어졌으며, 상기 SBR 은 -70℃ 와 -30℃ 사이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가지며 상기 폴리부타디엔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0℃ 와 -10℃ 사이이며, 상기 합성 탄성중합체 또는 탄성 중합체들은 탄성중합체의 전체 중량중 적어도 40% 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천연 고무로 형성된다. 문제가 되는 Tg 는 시차 열적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용액 SBR 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컨대, 혼합물은 Tg 가 -48℃ 인 50% 용액 SBR 을 함유하고, 원하는 쇼어 A 경도를 얻도록 보강 필러 및 수지를 첨가한 50% NR 을 함유하여 사용된다.
파일(61, 62)의 황동 코팅 금속 와이어 및 카카스의 직물 코드에 고무 혼합물 층(5)을 양호하게 접착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이러한 접착이 고온에서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무 혼합물 층(5)은 많은 양의 유황을 함유하고, 접착증진 첨가제(예컨대, 코발트 또는 니켈의 금속염)를 잘 조정된 비율로 사용한다. 예컨대, 탄성중합체의 전체 중량중 5 내지 8% 의 유황과, 탄성중합체의 전체 중량중 0.2% 의 코발트를 사용한다.
파일(61, 62)을 형성하는 코드 와인딩 또는 카카스 코드의 함침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단독으로 조제한 고무 혼합물을 첨가할 필요는 없다. 상기 고무 혼합물의 층(5)과 동일한 형태의 고무 혼합물을 사용하여 몰딩시에 함침에 의해 파일의 코드 부분과 동일 파일 사이 그리고 코드의 다른 파일 사이를 접착 및 캘린더링하는 기능을 한다. 편의상, 필러 재료 층(8)은 고무 혼합물 층(5)과 동일할 수 있다.
팽창 압력의 영향하에서 카카스 코드에 존재하는 장력을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루프는 원주 방향으로 향한 인접 코드 파일의 최하위 부분 아래의 높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카스 코드는 트레드 아래를 통과하여 타이어의 하나의 비트(2)로부터 다른비드까지 전진 및 귀환 경로를 형성하며, 그에 따라 코드는 하나의 비드로부터 다른 비드로 연속된다. 트레드 아래의 타이어 구조체의 다른 보강 수단은 본 발명의 부분이 아니다. 이 수단은 삼각형 벨트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된 코드와 같은 적합한 보강 방법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다. 더우기, 매우 강성의 고무 혼합물은 종래의 타이어내의 비드 와이어상에 비드 필러로서 사용된 형태의 비드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필러 고무는 카카스 보강재의 한측면 및 다른 측면상에 배열된다.
제 3 도에서, 비드(2)내에는 원주방향 코드 파일(63, 64)이 부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드 사이에는 고무의 얇은 층, 즉 파일 또는 얼라인먼트의 코드 직경보다 두껍지 않은 층만이 존재한다. 이들 얇은 층들은 타이어의 조립시에 고무화 코드가 파일(63, 64) 또는 가능하게는 파일(61, 62)을 얻도록 권선되기 때문에 몰딩후에 얻어질 수 있다.
필요하다면, 원주방향 코드의 와인딩의 인접 파일은 비드를 보강하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많은 인접 파일(61, 63 또는 62, 64)의 그룹에 다른 가능한 파일을 더하면 일종의 한다발의 코드를 형성한다. 다른 해결책은 코드의 조립체가 대략 동등한 방사상 섹션을 차지하기 때문에 실제로 방사상으로 향한 파일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들 코드 모두를 배열하는 것이다.
제 3 도에서, 균분원(equator) 아래에 위치된 측벽(1)의 부분에서 방사상 상방으로 융기한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 권선(65)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팽창한 방사상 카카스의 자연적인 평형상태의 다른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타이어가 휠에 끼워져 팽창될때 타이어의 형상 및 강성을 유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측벽 및 비드내에 또는 이들의 내측상의 다른 성질의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정렬은 상술한 실시예중 어느 것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밀도는 비드(2)에서 보다 측벽(1)에서 작은 것이 양호하다. 밀도의 변화는 타이어의 비드와 측벽사이에서 점진적 전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원주방향으로 권선된 코드의 파일의 각각, 예컨대 파일(61, 62)은 작은 밀도의 영역의 상부에서 방사상으로 종료할 수 있다.
림과 접촉한 영역과 균분원 사이에서, 림과 접촉한 영역위에 그리고 균분원 아래에서 가능한 점진적 전이를 위해서, 카카스의 두개 측면상에 위치된 고무 성분은 하기 식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에서, Ei또는 Ej는 방사상 방향에서의 계수이며, ei또는 ej는 카카스코드 얼라인먼트의 조립체의 각각의 외측(70) 및 내측(71)상에서 고무내의 각 성분 "i" 또는 "j" 의 두께이다. 타이어의 이 부분에 많은 카카스 얼라인먼트가 있을 때, 최외측 코드의 외측상에 그리고 최내측 코드의 내측상의 성분은 상기 식을 적용하기 위해 고려했다.
사용된 모든 성분의 계수를 비교할때, 이것은 측벽의 내부 측면상에 가장 많이 카카스가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보다 부드러운 고무 성분(즉,보다 낮은 계수의)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타이어의 수명과 승차감을 적절히 절충해야 한다.
제안된 보강 구조체는 측벽과 비드 사이의 강성을 점차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구조체는 설계자에게 원주 방향 코드의 밀도 및 비드내의 카카스코드의 원주방향 얼라인먼트의 가능한 수와, 코드의 특성을 간단히 변화시킴으로서 매우 큰 자유도로 타이어 강성과 변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합성 구조체는 림상의 비드의 양호한 위치를 얻을 수 있는 반면에, 크기가 작으며 사용할 재료를 최고로 이용할 수 있다.
제안된 구조체는 보강재의 불연속성이 없기 때문에 타이어의 수명이 매우 우수하며 타이어의 안락함을 의외로 크게 한다.
가능한한 정밀하게 보강 코드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강성 지지체의 타이어에 내부가 공동인 형상의 강성 코어를 삽입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최종 위치에 직접 배치된 타이어의 모든 성분은 구조물의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최종 구조에서 필요한 정도로 이 코어상에 적용된다. 이 경우에, 타이어는 미국 특허 제 4,895,692호에 설명된 방법으로 성형 및 가류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측벽 및 비드를 도시한 방사상 단면도.
제 2 도는 고무의 특정층 및 보강 코드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방사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벽 2 : 비드
3 : 얼라인먼트 5 : 층
61, 62, 63, 64 : 파일 70 : 외측
71 : 내측

Claims (11)

  1. 기부(20)가 림 시트상에 장착되는 비드(2 : bead)내에 방사 방향 하향으로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카카스(carcass)를 포함하며, 각각의 비드는 측벽(1)에 의해 방사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며, 측벽(1)은 타이어 트레드(tread)를 향해 방사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고, 카카스는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파일(61 또는 62 : pile)에 의해 상기 비드(2)내에 고정되고, 카카스는 서로 인접 배치된 카카스 코드 부분으로 형성되고, 코드 부분은 측벽의 상부에서는 측벽(1)내를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한 단일 원주방향 얼라인먼트(3)를 형성하고 있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단일 원주방향 얼라인먼트(3)는 측벽의 상부로부터 비드의 하부쪽으로 방사상으로 이동시에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31, 32)로 분할되며, 이들 원주 방향 얼라인먼트(31, 32)는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를 포함하지 않고 필러 재료에 의해 축전 방향으로 이격되며,
    비드(2)에서 상기 원주방향 얼라인먼트(31, 32)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필러 재료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61 또는 62)에 의해 경계 설정되며,
    상기 카카스는 연속한 카카스 코드로 형성되며, 각 원주방향 얼라인먼트(31, 32)의 비드(2)의 코드부분은 루프(30)에 의해 2 개씩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30)는 방사상으로 비드의 기부(2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비드의 상기 얼라인먼트(31, 32)의 각각은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하나이상의 파일(61, 62)에 의해 상기 필러 재료에 대향한 측면상에서 측방 및 축방향으로 경계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파일(61, 62)과 카카스 코드의 대응 얼라인먼트 사이에 쇼어 A 경도가 70 보다 큰 고무 혼합물 층(5)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30)는 원주방향 코드의 인접 파일의 최하위 부분보다 낮은 높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혼합물 층(5)은, Tg(유리 전이 온도)가 -70℃ 와 -30℃ 사이인 SBR 합성 탄성중합체를 탄성중합체의 전체 중량중 적어도 40% 함유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BR 은 Tg 가 -40℃ 와 -10℃ 사이인 PB(폴리부타디엔)가 혼합되어 사용되며, SBR 및 PB 합성 탄성중합체의 전체 비율이 탄성중합체의 전체 중량의 적어도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한 SBR 이 용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혼합물층(5)의 유황 함유량이 탄성중합체의 저체 중량중 5 내지 8% 이며, 상기 고무 혼합물이 접착 증진 첨가제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는 많은 인접 파일이 배열된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균분원(equater) 아래에 위치된 측벽(1)의 부분 내에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 권선(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향한 코드의 밀도가 비드(2)내에서 보다 측벽(1)내에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19950000658A 1994-01-21 1995-01-17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KR100322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0796 1994-01-21
FR9400796A FR2715350A1 (fr) 1994-01-21 1994-01-21 Ancrage de la carcasse d'un pneu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550A KR950031550A (ko) 1995-12-18
KR100322321B1 true KR100322321B1 (ko) 2002-06-20

Family

ID=945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658A KR100322321B1 (ko) 1994-01-21 1995-01-17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664233B1 (ko)
JP (1) JP3535911B2 (ko)
KR (1) KR100322321B1 (ko)
CN (1) CN1056344C (ko)
BR (1) BR9500263A (ko)
DE (1) DE69501967T2 (ko)
FR (1) FR2715350A1 (ko)
RU (1) RU212674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2200B1 (fr) * 1996-08-09 1998-09-11 Michelin & Cie Enveloppe de pneumatique depourvue de tringle
JP4131587B2 (ja) * 1997-08-15 2008-08-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3652116B2 (ja) * 1998-05-28 2005-05-2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BR9917672B1 (pt) * 1998-12-17 2009-05-05 aparelho para fabricação de componentes de um pneu para rodas de veìculo.
JP2001097010A (ja) * 1999-09-30 2001-04-1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ATE301045T1 (de) * 1999-12-03 2005-08-15 Michelin Soc Tech Reifenwulst mit verlängerter mobilität
AU2001281889A1 (en) * 2000-06-29 2002-01-08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yre lateral reinforcing element
WO2002000454A1 (fr) * 2000-06-29 2002-01-03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Pneumatique a structure d'ancrage d'armature de carcasse perfectionnee
FR2810923A1 (fr) * 2000-06-29 2002-01-04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a structure d'ancrage d'armature de carcasse perfectionnee
ATE304456T1 (de) * 2001-05-21 2005-09-15 Michelin Soc Tech Luftreifen mit einer karkasse, die zweiverankerung enthält
FR2827549A1 (fr) * 2001-07-20 2003-01-24 Michelin Soc Tech Ancrage de la carcasse d'un pneumatique
WO2004002756A1 (en) * 2002-06-27 2004-01-08 Pirelli Pneumatici S.P.A. Tyre for vehicle wheels with reinforced bead structure
JP4496461B2 (ja) * 2004-02-12 2010-07-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FR2870264B1 (fr) 2004-05-12 2006-07-14 Michelin Soc Tech Cable metallique pour pneumatique
JP5247852B2 (ja) 2010-11-05 2013-07-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5225431B2 (ja) 2010-12-06 2013-07-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5227C (ko) * 1957-03-14 Michelin & Cie
FR1256432A (fr) * 1959-05-08 1961-03-17 Dunlop Sa Perfectionnements aux enveloppes pneumatiques
GB940792A (en) * 1959-05-08 1963-11-06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neumatic tyres
FR2132509B1 (ko) * 1971-04-05 1974-03-08 Kleber Colombes
FR2241418B1 (ko) * 1973-05-23 1976-04-23 Kleber Colombes
JPS5945341A (ja) * 1982-09-09 1984-03-1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トレツド用ゴム組成物
FR2694521A1 (fr) * 1992-08-05 1994-02-11 Sedepro Ancrage de la carcasse d'un pneuma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195A (zh) 1995-11-08
RU2126745C1 (ru) 1999-02-27
RU95101239A (ru) 1996-12-10
KR950031550A (ko) 1995-12-18
CN1056344C (zh) 2000-09-13
DE69501967D1 (de) 1998-05-14
DE69501967T2 (de) 1998-11-05
EP0664233B1 (fr) 1998-04-08
JPH07223405A (ja) 1995-08-22
JP3535911B2 (ja) 2004-06-07
BR9500263A (pt) 1995-10-17
FR2715350A1 (fr) 1995-07-28
EP0664233A1 (fr)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321B1 (ko) 비드내에 카카스코드를 고정한 타이어
JP3535909B2 (ja) タイヤカーカス固定法
US5660656A (en) Tire with anchored carcass
JP4392062B2 (ja) 改良されたカーカスを有するランフラットタイヤ
KR100548893B1 (ko) 타이어
KR100564512B1 (ko) 타이어
KR100286626B1 (ko) 타이어의양면에서비드속에고정된카커스를포함하는레디알타이어
KR100396107B1 (ko) 런-플랫 레이디얼 플라이 공압식 타이어
JP5124143B2 (ja) 非対称自立型サイドウォールを備えたタイヤ
JP3535910B2 (ja) タイヤカーカス固定法
JP2012162204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
KR20060072055A (ko) 공기 래디얼 타이어
CA2294794C (en) Tire bead core and filler construction
US7201199B2 (en) Tire with bead core with hexagonal section
EP0810107B1 (en) Pneumatic radial tire
US7249622B2 (en) Tire with deep tread grooves
WO2020255832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GB203331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neumatic tires
JP5635172B2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2010274818A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WO2002030690A1 (en) Tire bead with soft heel
US20100051164A1 (en) Modular ply tire with dissimilar materials
EP3256336B1 (en) A runflat tire with sidewall-reinforcing inserts
WO2019244773A1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334328A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