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420A -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420A
KR20040011420A KR10-2003-7005058A KR20037005058A KR20040011420A KR 20040011420 A KR20040011420 A KR 20040011420A KR 20037005058 A KR20037005058 A KR 20037005058A KR 20040011420 A KR20040011420 A KR 2004001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ead
carcass
carcass structure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트렐로저씨.
윌러드월터엘.2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Publication of KR2004001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17/0018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two or more inserts in each side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3/00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 B60C3/04Tyres characterised by the transverse sec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dimensions of the section, e.g. low prof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에서 타이어의 각 측면에 정착되는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비드는 타이어의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가지며 또한 상기 서미트와 접합되는 사이드월 부분에 의해 방사방향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에 카커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링 존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사이드월 부분을 따라 상기 앵커링 존과 변형 존 사이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연장하여 실질적인 선형 부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Tire having a carcass portion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각종 타이어 구성은 공기압 안전 타이어를 위해 제안되어 있다. 즉, 이러한 타이어는 팽창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나 또한 수축된 상태에서 제한된 작동을 허용한다. 이들 타이어 구성은 각 비드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진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방사형 카커스로 형성되어 비드 와이어 둘레에 넓은 곡선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배열의 중요성은 비드 와이어 둘레에 감겨지는 카커스 통로가 비드 와이어와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부 한계 사이에서 비드의 방사방향 내부로 자동적으로 통과한 다음, 비드 와이어를 아래로 감아서 비드 축방향 외부 존에 도달하는 것이다. 상기 통로는 형상의 폭넓은 변화를 제공하지 않는 설계자에게 제한된 융통성을 제공한다. 카커스의 상기 원형 또는 곡선 통로는 커다란 용적을 점유한다.
수축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동성을 얻기 위해, 많은 타이어는 카커스들 사이에 또는 카커스와 타이어 내부 라이너 사이에 부가적인 고무층을 사이에 끼우므로써 보강하여 두껍게하는 사이드월을 부가로 사용한다.
또한, 적합한 수축된 비드 유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안전 타이어는 수축 작동 중에 림상에 장착되어 유지된다.
많은 해결책은 기계적 비드 로크, 특정 림 프로파일 또는 긴 단면의 비드 와이어 번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긴 비드 와이어 번들은 카커스에서 전개되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해 비드에 카커스를 정착하고 수축 작동 중에 림 시트상에 비드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한다. 이러한 이중 작용은 설계 타협을 필요하게 한다.
미국 특허 공보 제5,660,656호에는 카커스위에 배치된 원형 보강 와이어 또는 코드의 배열을 갖는 비드 부분에 정착되는 카커스를 포함하는 타이어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비드 와이어 주위에서 권취부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앵커링 존은 사이드월의 내부를 향해 카커스를 안내하도록 배치되거나 배향된다.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축 상태에서 계속 이동할 수 있는 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회전 축을 통해 중심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사이드월과 비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회전 축을 통해 중심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제 2 실시예의 사이드월과 비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전 축을 통해 중심 평면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제 3 실시예의 사이드월과 비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회전 축을 통해 중심 평면을 따라 절취하고 사이드월에서 3개의 카커스 층을 가지며 비드에서 두개의 층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타이어의 제 4 실시예의 사이드월과 비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1 및 제 2 카커스 층의 공통 원주 위치를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응하는 안전 타이어의 비드 부분의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은 비드에서 타이어의 각 측면에 정착되는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비드는 타이어의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가지며 또한 상기 서미트와 접합되는 사이드월 부분에 의해 방사방향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에 카커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링 존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사이드월 부분을 따라 상기 앵커링 존과 변형 존 사이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연장하여 실질적인선형 부분을 형성한다.
사이드월 부분을 따르는 변형 존과 앵커링 존 사이에서 3 차원을 고려하면, 카커스 구조체는 절두 원추형상이다.
이러한 최적 카커스 통로는 수축 작동 중에 최적 응력 분배를 허용한다. 이러한 동등한 분배는 피크 값에 있어서 감소를 제공하고 수축 작동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여한다. 특정 통로는 연속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 재료 제거의 매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두꺼운 벽 두께는 향상된 안락성과 롤링 저항성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타이어 카커스 통로는 높은 공칭 종횡비에서 더 양호하다. 이것은 높이(H)가 120㎜ 이상인 "큰" 사이드월을 갖는 타이어이다.
이것은 "직선"에서 작동되는 타이어를 위해 0-psi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미국의 각주간 고속도로에서 직선 고속도로 운전을 위해 특히 접합하다.
비록 표준형 타이어로서 사용될지라도 상기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이동성을 위해 특히 채용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실질적인 선형 부분은 비드의 축방향 내부 측면 부분으로부터 사이드월의 축방향 외부 측면 부분을 향해 실질적으로 방사방향 외향으로 연장한다.
카커스 구조체는 타이어 벽 프로파일 및 배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통로를 따른다. 사실, 비드 존에서 타이어 벽은 비드의 축방향 내부 측면 부분으로부터사이드월의 축방향 외부 측면 부분까지 실질적으로 방사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통로를 통상 따른다. 타이어 사이드월의 각도와 유사한 각도를 갖는 카커스 구조체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타이어의 내부로부터 약간 이격된 비드와 사이드월에 있는 카커스 구조체 위치가 특히 양호하다. 안전 타이어 인서트를 배치하는 위치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사이드월을 따를 가능성이 있는 내부 라이너의 부분적인 억제를 만든다. 사실 이 경우에, 안전 타이어 인서트는 필요한 공기 배리어를 제공한다. 또한 팽창된 취급성을 향상시키고, 수축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더 양호한 안락성, 매스 등과 같은 통상적인 팽창 성능에 대한 수축 성능을 처리하기 위해 더 양호한 융통성을 제공한다.
실질적인 선형 부분은 축방향에 대해 110도 내지 140도 사이의 각도, 적합하게는 120도 내지 130도 사이의 각도를 양호하게 한정하고, 타이어는 그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될 때와 공칭 압력에서 팽창될 때 유사한 위치에 있다. 특정 실예에서, 이 각도는 대응하는 영역에서 타이어 사이드월의 중간부 또는 중심 라인의 각도 또는 일반적인 배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상기 실질적인 선형 부분의 길이는 타이어 측면 높이(H)의 20% 내지 50% 사이가 적합하고, 타이어 측면 높이(H)의 20% 내지 40% 사이가 가장 적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측면 높이(H)는 앵커링 존의 바닥 또는 방사방향 내향 부분으로부터 서미트 보강층의 방사방향 내향 부분까지 연장하는 직선 방사 라인의 길이이다.
변형 존은 실질적인 선형 부분의 방사방향 외향으로 카커스 통로의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여기서 통로는 방향 또는 형상을 변경한다. 변형 존의 방사방향 외향에서 카커스는 변형 존으로부터 서미트의 축방향 외부까지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제 1 변형에서, 제 2 부분은 실질적인 곡선 부분을 포함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실질적인 곡선 부분은 상기 변형 존에서의 반경 보다 큰 반경을 구비한다.
앵커링 존은 상기 카커스 구조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비드 보강제와, 상기 비드 보강제와 협동하고 상기 비드에 상기 카커스 구조체를 정착하기 위해 상기 카커스 구조체와 협동하는 높은 모듈 탄성재를 양호하게 구비한다.
카커스 구조체와 비드 보강제 사이에서 이러한 형태의 협동은 다양한 형상의 설계 융통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카커스 구조체는 비드를 다른 형상 또는 각도로 진입하게 한다. 벽 등의 방사상 내부 측면 이외의 다른 위치에 비드를 진입시킨다. 더욱이, 상기 앵커링 존은 콤팩트하고, 매우 강하며 신뢰성이 있다.
비드 보강제는 적어도 일 측면상에서 카커스 구조체와 측방으로 경계지는 실질적인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배열은 타이어의 팽창 또는 수축 사용중에 카커스에서 전개되는 장력을 채택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부에 제공된 안전 타이어 인서트를 양호하게 포함한다. 이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기밀성인 것이 양호하다. 효과적인불침투성은 실질적으로 두꺼운 안전 타이어 인서트가 사용될시에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지된 형태의 뷰틸계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의 두께의 7배를 갖는 안전 타이어 인서트는 뷰틸계 재료의 얇은 층보다 확산에 대해 더 낮은 저항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배열에 대해, 내부 라이너가 사이드월 부분의 대부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장 적합하게는, 비드 보강제는 축방향에 대해 110 내지 140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고 120 내지 130도 사이의 각도가 가장 양호하며, 상기 타이어는 그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될시에 및 공칭 압력에서 팽창될시에 유사한 위치에 있다.
"축"과 "축방향"은 타이어의 회전 축과 평행한 라인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방사상"과 "방사방향"은 타이어의 회전 축을 방사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축 방향에 대해 형성된 각도"는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축방향과 방사방향 외향으로 측정한 각도, 즉 0도 내지 180도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타이어 장착 림상에 정착되기 특히 적합한 시트(12)를 구비하는 비드(1)를 포함한다. 비드는 사이드월(13)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연장한다. 서미트(11 ; summit)는 공지된 형태의 보강층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비드에서 비드까지 연장하고 서미트의 실질적인 중앙부에서 두개의 반부 구조체사이의 갭을 이탈하는 카커스 구조체(5)를 포함한다. 카커스 구조체(5)의 방사방향 최내측 범위는 비드(1)의 앵커링 존(2)에서 종료한다. 양호하게는, 카커스 구조체는 비드 코어 또는 다른 비드 보강제 주위에 감겨져 있지 않다. 다시 말하면, 카커스 구조체의 프로파일을 한정하는 각 축방향 좌표는 타이어 적도의 위치보다 약간의 방사방향 위치에 의한 단일 방사방향 위치를 갖는다. 카커스 구조체는 비드 보강제(3)에 의해 비드 부분에 정착된다. 상기 보강제의 적합한 실시예는 상기 카커스 구조체를 적어도 하나의 측면상에서 측방으로 경계지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를 구비하는 코드 배열(4)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드 부분에서 "앵커된"은 코드 배열이 통상적인 비드 코어 주위에 권선되기 보다는 코드 배열의 측방으로 카커스 보강 구조체의 접착에 의해 타이어의팽창 또는 수축 사용 중에 카커스 구조체에서 전개되는 장력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한다.
앵커링 존(4)의 기계적 특성은 높은 탄성 모듈을 갖는 탄성중합체 비드 필러를 사용할시 가장 적합하다.
다른 대안적인 카커스 앵커링 또는 비드 부분에 카커스 층의 배치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한 헤르베레우(Herbelleau)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60,65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커스 구조체(5)는 실질적인 선형 부분(6)을 구비한다. 이 부분은 앵커링 존(2)과 변형 존(8)사이에서 연장한다. 이 부분(6)의 일반적인 배향은 축방향 내부를 비드(1)로부터 상기 벽의 방사방향 및 축방향 외부를 향해 약간 경사진 것이 적합하다.
사이드월 부분을 따르는 앵커링 존과 변형 존 사이에서 3차원을 고려하면, 카커스 구조체는 절두 원추형상이다.
상기 선형 부분(6)의 길이는 타이어 측면 높이(H)의 20% 내지 50%사이가 적합하고, 높이(H)의 20 내지 40%가 가장 적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측면 높이(H)는 앵커링 존의 방사방향 내향 부분 또는 바닥으로부터 서미트 보강층의 방사방향 내향 부분 또는 베이스까지 연장하는 직선 방사상 라인의 길이이다.
변형 존은 실질적인 선형 부분의 방사방향 외향을 향해 카커스 통로의 부분에 대응하고, 여기서 통로는 방향 또는 형상을 변경한다. 변형 존의 방사방향 외향을 향해, 카커스는 변형 존으로부터 서미트의 축방향 외부까지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한다. 변형 존의 적합한 시작은 타이어 측면 높이(H)의 20% 내지 50% 사이이고, 높이(H)의 약 40%가 가장 적합하다.
변형 존은 실질적인 선형 부분(6)과 제 2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카커스의 이들 두 부분(6, 7)을 연결하는 실질적인 곡선 부분을 양호하게 포함한다. 작은 반경은 콤팩트 영역에서 카커스 통로의 배향의 변경을 집중시킬 수 있다.
변형 존(8)에서 카커스 구조체는 긴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다. 이 존으로부터 서미트 존을 향해, 카커스 구조체(5)의 일반적인 형상과 배향은 축방향 내향 및 방사방향 외향으로 배향된 통로에서 변형 존(8)으로부터 타이어 서미트를 향해 연장하여 제 2 부분 또는 상부 벽 부분(7)을 형성한다.
적합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7)은 중심선(14)에 대해 벽의 외부로 연장한다. 제 2 부분(7)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차단될 수 있거나 또는 되지 않는 서미트까지 연장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벽 부분(7)은 큰 반경을 갖는 실질적으로 곡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벽 부분(7)은 변형 존(8)과 서미트의 경계부 사이에서 실질적인 직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카커스 통로는 두개의 실질적인 선형 부분(6, 7)을 구비한다.
사실, 타이어 벽의 상부 단면에서, 제 1 직선 부분과 유사하게 카커스 구조체 통로를 벽 두께와 형상으로 채용하는 것이 또한 양호하다. 사이드월 프로파일에 따르면, 다소 긴 비율의 직선 또는 곡선 통로중 하나의 카커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사이드월(도 2)의 축방향 내부에 설치된 안전 타이어 인서트(9)를 적합하게 포함한다. 인서트는 실질적인 기밀성이 양호하다. 효과적인 불침투성은 실질적으로 두꺼운 안전 타이어 인서트가 사용될 때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에 대해, 내부 라이너가 사이드월 부분의 대부분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이것은 서미트를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서미트 부분을 따라 타이어 프로파일의 한정된 부분에서 뷰틸계 내부 라이너와 같은 실질적인 기밀성 내부 라이너(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앵커링 존(2)은 실질적으로 경사져 있다. 존(2)의 일반적인 배향은 비드의 방사방향 및 축방향 내부로부터 비드의 방사방향 및 축방향 외부를 향해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이 양호하다. 축 평면에 대해서 측정된 각도(α)는 앵커링 존(2)에 매설된 카커스 구조체의 내부의 경사를 지시한다. 이 경사는 축 방향에 대해서 110 내지 140도 사이가 양호하고, 120 내지 130도 사이가 적합하며, 이 타이어는 상기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될 때와 공칭 압력에서 팽창될 때에 유사한 위치에 있다. 상기 배열(4)의 협동 코드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양호하게 배치되거나 정렬되어 있다.
경사진 앵커링 존 또는 이 앵커링 존 내에서 카커스 통로의 경사진 부분을 갖는 상기 배열은 카커스 구조체의 부분(6)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렬된 앵커링 존의 일반적인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앵커링 존의 방사방향 외부 존에서 통상적인굴곡 카커스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 또는 균등하게 억제될 수 있다. 이 경사진 존은 타이어가 수축될 시에 비드 유지의 양호한 레벨을 제공한다. 또한, 중심선(14)에 대해 축방향 외향으로 카커스 구조체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링 존(2)의 방사방향 외향을 향해, 카커스 통로는 사이드월의 축방향 외부로 연장한다.
도 4는 카커스 구조체(5)가 타이어의 어떤 부분내에서 하나의 카커스 층 보다 많이 갖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커스 구조체(5)는 서미트(11)에서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를 포함한다. 타이어의 사이드월 부분(13)에서, 카커스 구조체(5)는 3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방사상 코드(511, 512, 52)로 나누어진다. 이들 3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는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비드(1)에서,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511, 512)는 접합되어 공통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51)를 부여한다. 따라서, 비드(1)에는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51, 52)가 있다.
이 카커스 구조체는 매우 융통성이고 이들이 매우 유용한 카커스 코드를 배치한다. 예를 들면, 카커스 층(52)의 코드 밀도는 카커스 층(511, 512)의 코드의 카커스 밀도보다 우수하다. 외부 카커스 층의 코드는 팽창과 수축 작동시 높은 장력 응력-스트레인 사이클을 받는다. 이들 코드는 높은 장력 사이클을 지지하기 위해 잘 설계되어 있고, 따라서 코드의 수는 한정된다. 내부 카커스 층의 코드는 수축 작동시 압축에 대해 응력-스트레인 사이클을 받는다. 이 경우, 이들 압축 응력을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고무 혼합물이 있다. 코드의 수는 많을 필요는 없다.또한 서미트에서 카커스 구조체의 제한된 두께와 비드 부분에서 적합한 앵커링을 허용한다. 카커스 구조체(5)의 앵커링은 높은 모듈 고무층의 삽입물을 갖는 카커스 구조체의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51, 52)와 축방향으로 경계진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코드의 세개의 권선(41, 42, 43)에 의해 달성된다.
양호하게는, 안전 타이어 인서트(92, 93)는 카커스 층(511-512와 512-52) 사이의 사이드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안전 타이어 인서트(91)는 양호한 0-psi 성능을 갖기 위하여 타이어의 내측과 카커스 구조체(5) 사이에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이들 안전 타이어 인서트는 인접한 카커스 층의 코드와 직접 접촉한다. 이것은 안전 타이어 인서트를 구성하는 고무 혼합물이 코드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와 즉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며, 타이어의 제조 중에 낮은 모듈 탄성의 유용한 쿠션 고무 혼합물이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이드월 구조체는 수축 동작시 양호한 내구성을 갖는다.
도 5는 제 4 실시예의 비드(1)에서 방사방향 및 원주방향 코드의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앵커링 존에는 축방향 외향으로 제 1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권선(41)과, 제 1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체(51)와, 제 2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권선(42)과, 제 2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체(52), 및 제 3 원주방향으로 배향된 권선(43)을 갖는다. 앵커링 존으로부터 방사방향 외향으로, 제 1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체(51)는 두개의 카커스 원주방향 정렬체(511, 512)로 나누어진다. 고무 혼합물은 명확성을 위해 이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모든 이들 코드는 적어도 앵커링 존에서 높은 모듈 고무 혼합물에 의해 실시된다. 양호하게는, 이들 고무 혼합물은 70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모든 카커스 코드는 이들이 타이어의 서미트 부분에서 하나의 정렬체만을 형성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은 서미트 부분의 두께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정신 내에서, 카커스 구조체는 사이드월에서 두개 또는 세개로 나누어지는 서미트와 비드에서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를 나타낸다.
가능한 정확하게 보강 코드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내부 캐비티의 형상을 부과하는 강성 코어와 같은 강성 지지체상에서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양호하다. 이들 최종 위치에 직접 배치된 타이어의 모든 부품은 제조 순간에 형상의 변형 없이 최종 구조체를 요구하기 위하여 이 코어에 적용된다. 이 경우에, 타이어는 미국 특허 제4,895,692호에 설명된 방법으로 성형되어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그 실시예의 조합으로 설명되었지만, 많은 다른 변경과, 수정 및 변화가 상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나타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와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모든 변경과, 수정 및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Claims (20)

  1. 비드에서 타이어의 각 측면에 정착되는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비드는 타이어의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가지며 또한 상기 서미트와 접합되는 사이드월 부분에 의해 방사방향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에 카커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링 존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로서,
    상기 사이드월 부분을 따라 상기 앵커링 존과 변형 존 사이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연장하여 실질적인 선형 부분을 형성하는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선형 부분은 상기 비드의 축방향 내측 부분으로부터 사이드월의 축방향 외측 부분을 향해 실질적으로 방사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선형 부분은 축방향에 대해 110 내지 140도 사이의 각도, 양호하게는 120 내지 130도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타이어는 그 설계 장착림상에 장착될시와 공칭 압력에서 팽창될시에 유사한 위치에 있는 타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선형 부분의길이는 타이어 측면 높이(H)의 25% 내지 75% 사이인 타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타이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부에 제공된 안전 타이어 인서트를 부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실질적인 기밀성인 타이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적어도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의 사이드월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비드의 앵커링 존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카커스 원주방향 코드 정렬체 사이에 안전 타이어 인서트가 배치되고, 상기 안전 타이어 인서트는 상기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와 직접 접촉하는 타이어.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타이어의 서미트 부분에서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만을 포함하는 타이어.
  11. 비드에서 타이어의 각 측면에 정착되는 카커스 구조체와, 보강 서미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비드는 타이어의 설계 장착 림상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가지며 또한 상기 서미트와 접합되는 사이드월 부분에 의해 방사방향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비드는 상기 비드에 카커스를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링 존을 부가로 구비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 부분을 따라 상기 앵커링 존과 변형 존 사이에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연장하여 실질적인 선형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 존의 방사방향 외향을 향해 상기 카커스는 상기 변형 존으로부터 상기 서미트의 축방향 외부까지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타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존은 실질적인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타이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실질적인 곡선 부분을 포함하는 타이어.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곡선 부분은 상기 변형 존에서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구비하는 타이어.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타이어.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부에 제공된 안전 타이어 인서트를 부가로 포함하는 타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실질적인 기밀성인 타이어.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적어도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의 사이드월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분할되는 비드의 앵커링 존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카커스 원주방향 코드 정렬체 사이에 안전 타이어 인서트가 배치되고, 상기 안전 타이어 인서트는 상기 두개의 원주방향 정렬체 코드와 직접 접촉하는 타이어.
  20. 제 1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커스 구조체는 타이어의 서미트 부분에서 하나의 원주방향 정렬체만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03-7005058A 2000-10-10 2001-10-08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KR20040011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027879 2000-10-10
USPCT/US00/27879 2000-10-10
PCT/EP2001/011573 WO2002030687A2 (en) 2000-10-10 2001-10-08 Tire having a carcass portion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420A true KR20040011420A (ko) 2004-02-05

Family

ID=2174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58A KR20040011420A (ko) 2000-10-10 2001-10-08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26754A2 (ko)
JP (1) JP2004510627A (ko)
KR (1) KR20040011420A (ko)
CN (1) CN1326714C (ko)
AU (1) AU2002218212A1 (ko)
WO (1) WO20020306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7185B2 (ja) * 2008-05-19 2013-08-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20110049422A (ko) * 2009-11-05 2011-05-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돌기승월능력을 향상시킨 중하중차량용 타이어
JP6043554B2 (ja) * 2012-09-10 2016-1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43553B2 (ja) * 2012-09-10 2016-12-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640057B2 (ja) * 2012-09-24 2014-1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133066B2 (ja) * 2013-01-25 2017-05-2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CN104626885B (zh) * 2013-11-11 2018-01-05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充气轮胎
CN106457896B (zh) * 2014-06-17 2018-09-21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5161B2 (ko) * 1973-06-21 1977-09-07
FR2271947B1 (ko) * 1974-05-24 1977-03-11 Kleber Colombes
JP2807489B2 (ja) * 1989-07-06 1998-10-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航空機用ラジアルタイヤ
US5772811A (en) * 1995-06-19 1998-06-3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Heavy duty radial tire with specified bead core inside diameter
EP0798139B1 (en) * 1996-03-26 2001-08-2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Pneumatic ty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30687A3 (en) 2002-07-25
WO2002030687A2 (en) 2002-04-18
AU2002218212A1 (en) 2002-04-22
JP2004510627A (ja) 2004-04-08
CN1326714C (zh) 2007-07-18
CN1474755A (zh) 2004-02-11
EP1326754A2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666B1 (ko) 가황처리된레이디얼플라이공기타이어
US6494242B2 (en) Runflat tire having optimized carcass path
KR20070064279A (ko) 공압식 래디얼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11654A (ko) 비대칭 자가 지지 측벽을 갖는 타이어
KR20010053607A (ko) 최적화된 카카스 경로를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
KR100810929B1 (ko) 비드보다 측벽에 더욱 많은 카커스 층을 갖는 타이어
KR20060072055A (ko) 공기 래디얼 타이어
KR20040011420A (ko) 절두 원추형상의 카커스 부분을 갖는 타이어
US20050230021A1 (en) Tire having more carcass layers in sidewall than in bead
US6883571B2 (en) Tire with double half-carcasses and adapted crown zone
JP4184083B2 (ja) 付加リングおよび外側に傾斜したシートを有するビードを備えたタイヤ
US6276416B1 (en) Run-flat tire with pair of rigid rings in shoulders inside carcass
JP2006502906A (ja) 対称的な荷重分布を有するビードを備えた長期移動性タイヤ
US20050006017A1 (en) Tire having a carcass portion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O2002030688A1 (en) Tire having an outer carcass path
JP2001347808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02030690A1 (en) Tire bead with soft heel
JP2013520355A (ja) 高い耐離座性を備えたタイヤ
EP1674294A1 (en) Pneumatic run-flat tire
WO2002076767A1 (en) Pneumatic tire with reinforced bead part
EP2022650A1 (en) Pneumatic tire
JP2001260246A (ja) 空気入りタイヤの成型方法およびタイヤ成型装置
WO2002030686A1 (en) Tire with optimized interior contour
JPH06171323A (ja) 空気入りタイヤ
AU2007203377B2 (en) Pneumatic tire with reinforced bead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