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509A -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509A
KR20040002509A KR1020030028118A KR20030028118A KR20040002509A KR 20040002509 A KR20040002509 A KR 20040002509A KR 1020030028118 A KR1020030028118 A KR 1020030028118A KR 20030028118 A KR20030028118 A KR 20030028118A KR 20040002509 A KR20040002509 A KR 2004000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cradle
camera
sig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163B1 (ko
Inventor
다카하시기미히데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3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 H04N1/0024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using an image reading or reproducing device, e.g. a facsimile reader or printer, as a local input to or local output from a computer using an image reading device as a local input to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496Changing the task performed, e.g. reading and transmit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cop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8Docking-station, cradl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성이 좋은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크레이들(100)의 카메라 장착부(104)에 장착되어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디지털 카메라(10)를 전방으로 넘어뜨리면, 앞 스윗치(122A)가 온으로 되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에 스토리지 모드로 변경하는 지령이 나온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를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뒤 스윗치(122B)가 온으로 되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에 PC 카메라 모드로 변경하는 지령이 나온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DIGITAL CAMERA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크레이들을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에 넣을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와 디지털 카메라의 접속에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러나, 케이블에 의한 접속은 번거롭고, 품이 드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 퍼스널 컴퓨터와 디지털 카메라의 접속 작업을 보다 간단하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크레이들을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하는 카메라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원 2001-8067호 명세서). 이 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에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크레이들에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와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근년, 디지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통신 모드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카드 리더로서 기능하게 하는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로서 기능 시키는 PC 카메라 모드가 있고, 스토리지 모드의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적당히 판독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하고, PC 카메라 모드의 경우에는,비디오 회의 등이 가능하도록 현재 촬영중의 동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크레이들을 사용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통신 모드의 설정을 카메라측에서 행하도록 되어 있고, 통신 모드를 설정한 후에 디지털 카메라를 크레이들에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성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측의 설정을 확인하지 않으면 현재의 통신 모드의 설정 상태를 모르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행하여진 것으로, 조작성이 양호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와 크레이들(cradle)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디지털 카메라와 크레이들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디지털 카메라의 상면도.
도 5는 디지털 카메라의 저면도.
도 6은 크레이들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디지털 카메라와 크레이들의 내부 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와 크레이들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의 저면도와 크레이들의 평면도.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와 크레이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
도 11은 제 4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크레이들의 정면도.
도 13은 제 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크레이들의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크레이들의 사시도.
도 15는 제 6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크레이들의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 … 디지털 카메라, 12 … 촬영 렌즈, 14 … 스트로보, 16 … 파인더창, 18 … 파인더, 20 … 십자 보턴, 22 … 메뉴/OK 보턴, 24 … 캔설 보턴, 26 … 액정 모니터, 28 … 셔터 보턴, 30 … 전원 보턴, 32 … 모드 스윗치, 34 … 재생 보내기 보턴, 36 … 재생 되돌리기 보턴, 38 … 카메라 코넥터, 52 … 촬상부, 54 … 신호처리부, 58 … 조리개, 60 … 고체 촬상 소자, 62 … 시스템 콘트롤러, 64 … 앰프, 66 … A/D 변환기, 6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70 … 압축 처리부, 72 … USB 콘트롤러, 74 …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 76 … 충전 전지, 78 … DC-DC 컨버터, 80 … 메모리 콘트롤러, 82 … 메모리 카드, 100 … 크레이들, 102 … 크레이들 본체, 104 … 카메라 장착부, 106 … 오목부, 106A … 앞내(前內)부 벽면, 106B … 뒤내(後內)부 벽면, 108 … DC 잭, 110 … USB 잭, 112 … 크레이들 코넥터, 114 … 베어링 부재, 118 … 샤프트, 122A … 앞 스윗치, 122B … 뒤 스윗치, 124 … 스윗치 검출 회로, 200 … 퍼스널 컴퓨터, 210 … USB케이블, 300 … 크레이들, 302 … 장착부, 304A, 304B … 구멍, 306A, 306B … 스윗치, 308 … 돌기, 400 … 크레이들, 402 … 다리, 404 … 장착부, 406 … 오목부, 408 … 회전축, 410 … 베어링, 412 … 스윗치, 510 … 디지털 카메라, 518 … 크레이들 접속 단자, 522 … 전지, 600 … 크레이들, 602 … 다리부, 604 … 카메라 장착부, 608 … 접속 단자, 610 … 전원 입력 단자, 612 … 디지털 통신 단자, 614 … 전원 보턴,700 … 크레이들, 800 … 크레이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크레이들로 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 상기 크레이들은,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는 지령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지령 신호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공급하는 신호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의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지령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공급된 상기 지령 신호에 의하여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의 가동부를 움직이면, 그 가동부의 위치가 검출되어, 가동부의 위치에 따른 지령 신호가 생성된다. 이 지령 신호는, 크레이들에 장착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보내져서, 지령 신호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 즉, 기능)가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말하는 "디지털 카메라"라는 용어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촬상 장치를 가르키는 것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 "카메라"라고 하는 제품 분류에 속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 이것에 속하지 않는 제품이라도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 카메라가 부착된 PDA, 카메라가 부착된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탑재한 기기에 대해서도 "디지털 카메라"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템에 사용되는 크레이들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태양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크레이들의 카메라 장착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와 함께 카메라 장착부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태양에 의한는 크레이들은, 상기 카메라 장착부와,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가동 기구를 통하여 상기 다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 가동 기구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상기 다리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이동 형태에는, 기울어 움직임(傾動), 슬라이드, 회전 및 상하 움직임 중 적어도 1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 기구의 구조로서, 일정의 가동 범위내에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카메라측에서 변경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의 종류에 대응시켜 가동부의 정지 위치가 정해진다. 2종류의 모드를 절환하는 경우에는, 정지 위치는 가동 범위내에서 적어도 2개소 설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이들의 다른 태양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이 크레이들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이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을 경유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크레이들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절환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시스팀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크레이들에 장착되고, 또, 카메라 전원 온의 상태 시에, 상기 지령 신호에 의한 동작 모드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태양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전원 오프의 상태에서 상기 크레이들에 장착된 때에는, 상기 크레이들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카메라내의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충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 상기 크레이들은,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를 변경하는 아오리 각도 변경 수단과, 상기 아오리 각도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의 변경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기능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지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기능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에 따라 외부 기기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에 의해 한눈에 현재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표리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기능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지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기능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외부 기기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절환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에 의하여 한눈에 현재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서,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표리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한편,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의 장착부에 장착된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며, 그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외부 기기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절환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그리고,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에 의해 한눈에 현재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10)와 크레이들(100)로 구성되며, 크레이들(100)은 퍼스널 컴퓨터(200)와 쌍방 통신 가능한 통신 케이블(본 실시 형태에서는 USB 케이블)(210)에 접속된다.
도 2, 도 3은 각각 디지털 카메라(10)과 크레이들(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정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렌즈(12), 스트로보(14), 파인더창(16) 등이 설치되어 있고, 배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인더(18), 십자 보턴(20), 메뉴/OK 보턴(22), 캔설 보턴(24), 액정 모니터(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보턴(28), 전원 보턴(30), 모드 스윗치(32), 재생 보내기 보턴(34), 재생 되돌리기 보턴(36)이 설치되며, 저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카메라 코넥터(38)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상면에 설치된 모드 스윗치(32)는 카메라의 모드의 전환 스윗치로서 기능한다. 디지털 카메라(10)는 이 모드 스윗치(32)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촬영 모드 또는 재생 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상면에 설치된 재생 보내기 보턴(34)과 재생 되돌리기 보턴(36)은 재생 모드시에 재생 화상의 보내기와 되돌리기를 지시하는 보턴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배면에 설치된 십자 보턴(20)은 각각 대응하는 4방향의 지시를 입력하는 보턴으로서 기능하고, 이 십자 보턴(20)에서 메뉴 화면으로부터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각 메뉴로부터 각종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또한, 메뉴/OK 보턴(22)은 메뉴 화면의 표시 및 선택 내용의 확정, 실행 등에 사용되며, 캔설 보턴(24)는, 메뉴로부터 선택한 항목의 취소나 하나 전의 조작 상태로 되돌릴 때에 등에 사용된다. 액정 모니터(26)는 촬영한 화상의 재생용 모니터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메뉴의 표시 화면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촬영 모드시에는 화각 확인용의 전자 뷰파인더로서 사용된다.
크레이들(100)은 도 2,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로 크레이들 본체(102)와, 크레이들 본체(102)에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카메라 장착부(104)로 구성되어 있다.
크레이들 본체(102)는 표면에 오목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06)내에 디지털 카메라(10)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104)가 수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크레이들 본체(102)의 정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보턴(30)이 설치되어 있고, 배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 잭 (108)과 USB 잭(110)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장착부(104)는, 디지털 카메라(10)의 저부가 감합 가능한 네모진 접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 중앙에 크레이들 코넥터(112)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를 카메라 장착부(104)에 장착하면, 디지털 카메라(10) 저면에 설치된 카메라 코넥터(38)가 이 크레이들 코넥터(112)에 접속된다.
카메라 장착부(104)의 하부에는 베어링 부재(114)가 설치되어 있고, 베어링 부재(114)는 오목부(106)내에 설치된 샤프트(118)에 축지되어 있다. 카메라 장착부(104)는, 이 샤프트(118)를 중심으로 오목부(106)내를 요동한다.
여기서, 크레이들 본체(102)의 오목부(106)의 앞내부 벽면(106A)와 뒤내부 벽면(106B)은 각각 소정 각도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요동 자유롭게 지지된 카메라 장착부(104)는 이 앞내부 벽면(106A)과 뒤내부 벽면(106B)에 당접하여 계지된다. 그리고, 카메라 장착부(104)가 이 앞내부 벽면(106A)과 뒤내부 벽면(106B)에 계지됨으로써, 카메라 장착부(104)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가 크레이들(100)의 설치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10)는 도 6에 파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장착부(104)가 오목부(106)의 앞내부 벽면(106A)에 계지됨으로써, 앞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며, 동일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내부 벽면(106B)에 계지됨으로써 뒤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아오리각이 변화한다.
또한, 이 오목부(106)의 앞내부 벽면(106A)과 뒤내부 벽면(106B)에는 각각 앞 스윗치(122A)와 뒤 스윗치(122B)가 설치되어 있고, 각 스윗치는 카메라 장착부(104)가 각 내부 벽면에 당접함으로써 온으로 되고, 떨어짐으로써 오프로 된다. 즉, 앞 스윗치(122A)는, 카메라 장착부(104)가 앞내부 벽면(106A)에 당접함으로써, 카메라 장착부(104)의 전면으로 눌리어 온으로 되며, 뒤 스위치(122B)는, 카메라 장착부(104)가 뒤내부 벽면(106B)에 당접함으로써, 카메라 장착부(104)의 배면으로 눌리어 온으로 된다. 이 앞 스윗치(122A)와 뒤 스윗치(122B)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는 스윗치 검출 회로(124)에 출력되며,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이 앞 스윗치(122A)와 뒤 스윗치(122B)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현재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를 검출한다.
도 7은 디지털 카메라(10)와 크레이들(100)의 내부 회로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는 촬상부(52)와 신호 처리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부(52)는 촬영 렌즈(12), 조리개(58), 고체 촬상 소자(60)을 구비하고 있고, 신호 처리부(5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피사체를 촬상한다. 고체 촬상 소자(60)는, 예를 들어 CCD로 구성되며, CCD는 그 수광면에서의 전하의 축적, 전송, 배출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서 화상을 촬상한다.
신호 처리부(54)는 시스템 콘트롤러(62)의 제어 하에서, 촬상부(52)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앰프(64)를 통하여 받아 들여, A/D 변환기(66)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68)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화이트 밸런스 조정, 감마 보정, 색차 신호 처리 등)를 실시한 후, 압축 처리부(70)에서 압축 처리한다. 압축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콘트롤러(80)를 통하여 카드 슬롯에 장전된 메모리 카드(82)에 기록된다.
크레이들(100)의 전원 보턴(30), DC 잭(108), USB 잭(110),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각각 크레이들 코넥터(112)내의 대응하는 단자와 배선을 통하여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를 크레이들(100)에 장착하면, 크레이들(100)의 USB 잭(110)은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USB 콘트롤러(72)에 접속된다.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카메라 전원이 온 상태 시에 USB 접속을 확인하면,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USB 모드로 하여,USB 콘트롤러(72)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200)와 USB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DC 잭(108)은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 내의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74)에 접속된다. 따라서, DC 잭(108)에 AC 어댑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직류 전원이 공급되면, 이 직류 전원은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74)에 공급된다.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74)는, 카메라 전원이 오프 상태 시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 전지(76)로의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충전 전지(76)가 만충전되면 충전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충전 회로 및 스위치 회로(74)는 카메라 전원이 온 상태 시에는 상기 충전 동작은 행하지 않고, 시스템 콘트롤러(62)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DC 입력 단자로부터 입력하는 직류 전원을 DC-DC 컨버터(78)에 공급하도록 절환한다. DC-DC 컨버터(78)는 입력하는 직류 전원으로부터 카메라의 각 회로에 따라서 요구되는 각종의 전압 전원을 생성하여, 카메라 내의 각 회로에 공급한다.
또한,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를 통하여 시스템 콘트롤러(62)에 크레이들(100)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카메라 전원이 온 상태 시에 USB 접속을 확인하면,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USB 모드로 하지만, 이 USB 모드로 설정되면, 디지털 카메라(10)는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200)에 대해서 2종류의 다른 디바이스 클래스의 기기로서 기능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는, 카메라 내의 메모리 카드(82)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로서 기능하는 스토리지 모드와, 테레비전 회의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촬영 중의 영상 신호를 리얼타임으로 송출하는 PC 카메라로서 기능하는 PC 카메라 모드를 갖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0)는 이 USB 모드하에서의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의 모드 선택을 크레이들(100)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아오리 각도에 의해 행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져 있음을 검지하면 스토리지 모드로 절환하고, 후방으로 넘어져 있음을 검지하면 PC 카메라 모드로 절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아오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스토리지 모드와 PC카메라 모드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측에서 설정하는 수고가 덜어져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저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자세를 보는 것만으로, 현재의 설정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아오리 각도의 절환의 검출 방법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검출하여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와 크레이들(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가 크레이들(300)에 대해서 표리 어느 방향으로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크레이들(300)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방향에 따라 USB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가 절환한다.
크레이들(300)은 상면부에 디지털 카메라(10)가 장착되는 장착부(3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부(302)의 저면 중앙에 크레이들 코넥터(1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부(302)의 저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레이들 코넥터(112)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 위치로 한쌍의 구멍(304A, 304B)이 형성되어 있고, 각 구멍(304A, 304B)에는 각각 스윗치(306A, 306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의 저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우측 위치에 돌기(30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08)는, 디지털 카메라(10)의 표측을 앞으로 하여 크레이들(300)에 장착하면, 크레이들(300)의 우측의 구멍(304A)에 감합하여, 우측의 스윗치(306A)를 압압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이측을 앞으로 하여 크레이들(300)에 장착하면, 크레이들(300)의 좌측의 구멍(304B)에 감합하여, 좌측의 스윗치(306B)를 압압한다.
각 스윗치(306A, 306B)는 돌기(308)로 압압됨으로써 온으로 되고, 떨어짐으로써 오프가 된다. 이 스윗치(306A, 306B)의 온/오프 신호는 스윗치 검출 회로(124)에 출력된다.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이 스윗치(306A, 306B)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현재의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이측인가 표측인가)를 검출한다. 또한,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에 크레이들(300)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크레이들에는, 전원 스윗치, DC 잭, USB 잭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크레이들(100)과 같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를 크레이들(300)에 장착하면, 크레이들(300)의 USB 잭이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USB 콘트롤러(72)에 접속되며, DC 잭이 크레이들 코넥터(112)와 카메라 코넥터(38)을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내의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74)에 접속되는 점도 같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표면을 앞으로 하여 디지털 카메라(10)를 크레이들에 장착하면, 디지털 카메라(10)의 저면에 설치된 돌기(308)가 크레이들(300)의 우측의 구멍(304A)에 감합하여, 우측의 스윗치(306A)가 온으로 된다.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이 우측의 스윗치(306A)로부터의 온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가 표측을 향하여 장착된 것을 검출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에 카메라의 모드를 PC 카메라 모드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모드를 PC 카메라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이면을 앞으로하여 디지털 카메라(10)를 크레이들에 장착하면, 디지털카메라(10)의 저면에 설치된 돌기(308)가 크레이들(300)의 좌측의 구멍(304B)에 감합하여, 좌측의 스윗치(306B)가 온으로 된다.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이 좌측의 스윗치(306B)로부터의 온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가 이측을 향해 장착된 것을 검출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에 카메라의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도, 크레이들에 장착하는 디지털 카메라(10)의 방향에 따라서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측에서 설정하는 수고가 덜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저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방향을 보는 것만으로, 현재의 설정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장착 방향의 검출 기구는 상기의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검출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의 장착 방향을 크레이들(300)에 설치한 스윗치(306A, 306B)에서 검출하고 있지만, 디지털 카메라(10)측에서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카메라 코넥터에 디지털 카메라(10)의 장착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게 하고, 이 검출 결과에 따라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모드를 절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팀의 제3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와 크레이들(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크레이들(400)의 바닥에 절첩식의 다리(40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다리(402)에 의해서 크레이들(400)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10)의 아오리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다리(402)의 접음과 폄에 의해서 USB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가 절환한다.
크레이들(400)은 상면부에 디지털 카메라(10)가 장착되는 장착부(40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부(404)의 저면 중앙에 크레이들 코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크레이들(400)의 저면에는 오목부(4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406)내에 접혀진 다리(402)가 수용된다. 다리(402)는 기단부에 회전축(408)이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408)이 오목부(406)내에 설치된 베어링(410)에 축지되어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406)내에는 스윗치(412)가 설치되어 있고, 스윗치(412)는 다리(402)가 접혀지면, 접혀진 다리(402)에 눌려져 오프로 되며, 다리(402)가 펴지면, 압압이 해제되어 온으로 된다. 이 스윗치의 온/오프 신호는 스윗치 검출 회로(124)에 출력된다.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이 스윗치(412)로부터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크레이들(400)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를 검출한다.
즉,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스윗치(412)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다리(402)가 펴진 것을 검출하고, 디지털 카메라(10)가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 스윗치(412)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크레이들 코넥터와 카메라 코넥터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에 카메라의 모드를 PC 카메라 모드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모드를 PC 카메라 모드로 설정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스윗치(412)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다리(402)가 접혀진 것을 검출하고, 디지털 카메라(10)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이 스윗치(412)로부터 오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스윗치 검출 회로(124)는 크레이들 코넥터와 카메라 코넥터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에 카메라의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로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털 카메라(10)의 시스템 콘트롤러(62)는 이 스윗치 검출 회로(124)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의 모드를 스토리지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크레이들(400)에는 전원 스윗치, DC 잭, USB 잭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크레이들(100)과 같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를 크레이들(400)에 장착하면, 크레이들(400)의 USB 잭이 크레이들 코넥터와 카메라코넥터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의 USB 콘트롤러(72)에 접속되고, DC 잭이 크레이들 코넥터와 카메라 코넥터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10)내의 충전 회로 및 스윗치 회로(74)에 접속되는 점도 같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서도, 크레이들에 장착하는 디지털 카메라(10)의 유지 상태에 의해서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측에서 설정하는 수고가 덜어져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저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10)의 자세를 보는 것만으로, 현재의 설정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크레이들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크레이들에 A/V 잭을 설치하여 텔레비전 등과 접속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10)는 아오리 각도 또는 장착 방향에 의해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를 절환하도록 구성하고, 재생 모드의 경우에만, 상면에 설치된 재생 보내기 보턴(34)과 재생 되돌리기 보턴(36)이 기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의 모드로서 PC 카메라 모드와 스토리지 모드의 2개의 모드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3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는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를 3단계로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와 장착 방향의 조합에 의해서 복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 4의 실시 형태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에 설명한 블록도와 같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510)의 1 측면부에는 메모리 카드(512)가 착탈 자유롭게 세트되는 카드 슬롯(514)이 설치되어 있다. 카드 슬롯(514)은 먼지의 침입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폐식의 보호 커버(516)에 의해서 보호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510)의 저면부에는 크레이들 접속 단자(518) 및 전지 덮개(5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크레이들 접속 단자(518)는 도 7에서 설명한 카메라 코넥터(38)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11의 크레이들 접속 단자(518)는 카메라 보디의 외주(저면의 평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면으로의 먼지 침입 방지 등을 위해서 개폐식의 단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 덮개(520)는 카메라 보디의 저면부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전지 덮개(520)를 열면 내부의 배터리실(도시하지 않음)에 억세스할 수 있다. 배터리실에는 전원용의 전지(522)가 세트된다. 전지(522)로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사용된다.
크레이들(600)은, 베이스(토대)부로서 기능하는 다리부(602)와, 다리부(602)에 지지되어 있는 카메라 장착부(604)로 된다. 카메라 장착부(604)는 디지털 카메라(510)의 저부의 외주 형상에 맞춘 오목 형상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부(606)과, 그 설치부(605)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활모양을 그리는 대략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방부(606)가 일체로 고착된 구조를 갖고 있다.
설치부(605)의 내부(오목부)의 저면에는 접속 단자(6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 단자(608)는 도 7에서 설명한 크레이들 코넥터(112)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11의 접속 단자(608)는, 설치부(605)에 디지털 카메라(510)가 설치되었을 때에 카메라측의 크레이들 접속 단자(518)에 감합하여 디지털 카메라(510)와 크레이들(6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크레이들(600)은 디지털 카메라(510)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재치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5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충전이나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중계하는 터미널로도 기능한다.
카메라 장착부(604)의 하방부(606)의 1측면에는 전원 입력 단자(610) 및 디지털 통신 단자(예를 들어, USB 단자)(612)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입력 단자(610)에는 도시하지 않은 AC 파워 어댑터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디지털 통신 단자(612)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가 접속된다. 이들 단자(610, 612)는 크레이들(600)내부에서 접속 단자(60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602)측에 단자(610, 612)를 설치하는 태양도 가능하다.
또한, 하방부(606)의 전면에는 전원 보턴(614)과, 상태 표시용의 발광부(616)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보턴(614)은 크레이들(600)에 접속된 디지털카메라(510)의 전원의 온/오프 조작에 사용된다. 상태 표시용의 발광부(616)는 디지털 카메라(5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 상태(점등/소등/점멸, 발광색 등)가 변화한다.
또한, 설치부(605)에서 디지털 카메라(510)의 하부를 홀드하는 기립벽(618)내, 카메라 배면측의 일부에 개구부(6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619)로부터 디지털 카메라(510)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도 12의 (a), (b)는 크레이들(600)의 정면도이다. 크레이들(600)의 카메라 장착부(604)는, 다리부(602)에 대해서 도 12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여 둔다. 이용자는 손 힘으로 간단하게 카메라 장착부(604)를 움직일 수 있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장착부(604)를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가동 한계의 위치(오른쪽 끝위치)에서 정지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 스위치가 작동하여 그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접속 단자(608)를 경유하여 디지털 카메라(510)측에 전달된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장착부(604)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가동 한계의 위치(왼쪽 끝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센서 스위치(도 12중에 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그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어, 디지털 카메라(510)측에 전달된다.
디지털 카메라(510)는 크레이들(600)로부터 받은 카메라 장착부(604)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착부(604)의 슬라이드 정지 위치에 따라 USB 모드의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를 절환하는 태양, 재생 모드와 USB 모드를 절환하는 태양, 재생 모드와 촬영 모드를 절환하는 태양 등이 있다.
USB 모드의 변경이 행하여지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510)는 버스 리세트를 걸쳐, 통신 모드의 콘피규레이션를 다시 하여, 스토리지 모드로부터 PC 카메라 모드(혹은 그것의 역)으로 절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USB 모드의 종류는 상기한 스토리지 모드와 PC 카메라 모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510)의 조작계를 이용하여 카메라측에서 전송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소정의 순서로 전송 조작을 행하는(예를 들어, 카메라측의 전송 보턴를 누름) 것으로, 선택에 의한 화상을 외부 기기측에 송신할 수 있는 PTP (Picture Transfer Protocol) 모드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12에는 좌우 양단의 2개소에서 카메라 장착부(604)를 정지시키는 예를 기술하였지만, 가동 범위내에서 3개소 이상의 정지 위치(다점 포지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모드의 절환에 대응한 각 정지 위치에서 확실히 카메라 장착부(604)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힘의 계지 기구(클릭 기구 등)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크레이들(600)에 디지털 카메라(510)가 장착되어, 크레이들(600)을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510)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또 디지털 카메라(510)의 전원이 온으로 있는 경우에, 크레이들(600)의 카메라 장착부(604)를 디지털 카메라(510)와 함께, 도 12의 (a), (b)와 같이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 만으로, 디지털 카메라(510)의 동작 모드를절환할 수 있다.
한편, 크레이들(600)에 디지털 카메라(5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51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충전 모드로 이행해, 크레이들(6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카메라 내의 전지(522)가 충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크레이들(700)의 정면도, 도 14는 그 사시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 중, 도 11 및 도 12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낸 크레이들(700)은 카메라 장착부(604)와 다리부(602)의 연결 부분(702)에 회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도 13상에서 크레이들(700)의 상하방향과 병행한 회전축(703)을 중심으로 하여 카메라 장착부(604)가 다리부(602)에 대해서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용자는 손 힘으로 간단하게 카메라 장착부(60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 기구를 갖는 크레이들(700)의 경우, 전원 입력 단자(610)나 디지털 통신 단자(612)는 다리부(602)측에 설치하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시에, 회전 기구의 가동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리부(602)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510)의 방향을 18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태양이 바람직하다. 최대 가동 범위가 180도의 회전 기구를 채용하면, 다리부(602)를 고정한 채로, 카메라 장착부(604)만을 회전축(703)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디지털 카메라(510)의 촬영 렌즈를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카메라 배면의 액정 모니터를 정면을 향한 상태로(또는 그 역으로) 할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510)를 정면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이것을 기준 위치라고 함.)로부터, 카메라 장착부(604)를 180도 회전시킨 위치(디지털 카메라(510)를 뒤를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위치)까지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이 가동 범위를 규정하는 가동 한계의 끝위치(즉, 기준 위치와 180도 위치)에서 카메라 장착부(604)를 정지시키면, 그 정지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카메라 장착부(604)의 정지 위치에 따른 신호는 접속 단자(608)를 경유하여 디지털 카메라(510) 측으로 보내져서, 디지털 카메라(510)의 모드가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물론, 도 13에 나타낸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 각각의 방향으로 180도의 범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회전축(703)을 중심으로 360도 회동할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범위에 제한을 설정하지 않는 구성(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갖지 않는 엔드레스 구조)도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510)의 모드의 절환에 대응된 카메라 장착부(604)의 정지 위치의 수는 2개소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다수의 정지 위치를 설정하여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켜, 다종류의 모드 변경 제어를 행하는 태양도 가능하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술의 회전 기구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510)의 아오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착부(604)가 다리부(602)에 대해서 기울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510)의 아오리 각도와 회전 위치를 각각 검출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디지털 카메라(510)의 모드를 절환하는 태양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크레이들(800)의 정면도이다. 도 15중, 도 11 및 도 12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낸 크레이들(800)에서는 카메라 장착부(604)가 다리부(60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15중의 부분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602)의 지주 부분(802)에 계지용의 돌기부(804)가 형성되어 있고, 카메라 장착부(604)의 지주 받이부(806)에 상기 돌기부(804)가 계합할 수 있는 오목부(808A, 808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장착부(604)를 다리부(602)로부터 올라오도록 끌어 올리면, 돌기부(804)가 하측의 오목부(808A)에 계합되어 정지한다.
또한, 도 15의 (a)의 상태로부터 카메라 장착부(604)를 하방으로 눌러 내리면, 그 눌러 내리는 힘에 의해 돌기부(804)와 오목부(808A)의 계합이 떨어져서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804)는 상측의 오목부(808B)와 계합하여 정지한다.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나타낸 각 정지 위치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디지털 카메라(510)측으로 보냄으로써 디지털 카메라(510)의 모드가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도 15에 예시한 신축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도 15에서는 상하의 2단계 방식을 예시했지만, 3단계 이상의 다단계 방식의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시에는, 아오리 각도를 변경하는 기울어 움직임(傾動) 기구, 슬라이드 기구, 회전 기구 및 상하 이동 기구 등 다른 종류의 이동 기구를 적당히 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자세, 방향, 혹은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크레이들의 구조를 기술했지만, 이러한 구조는 외관상 디지털 카메라의 자세, 방향, 혹은 위치에 주목하면, 한눈에 현재의 설정 상태(모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시에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자세, 방향, 혹은 위치 등을 바꾸지 않고, 크레이들의 가동부가 변위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에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한 상태에서 크레이들의 가동부를 움직이면, 그 가동부의 위치에 따른 지령 신호가 생성되고, 이 지령 신호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즉, 기능)가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이들에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또는 방향에 따라 외부 기기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 번거로운 설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크레이들에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에 의해 한눈으로 현재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크레이들(cradle)로 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는 지령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지령 신호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공급하는 신호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의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지령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공급된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팀.
  2.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크레이들로서,
    이 크레이들은,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변경하는 지령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신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지령 신호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공급하는 신호 전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장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카메라 장착부와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가동 기구를 통하여 상기 다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기구는, 상기 카메라 장착부를 상기 다리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이동 형태로는 기울어 움직임(傾動), 슬라이드, 회전 및 상하 움직임 중 적어도 1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기구는 일정한 가동 범위내에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그 크레이들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그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을 경유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크레이들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절환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9. 크레이들에 장착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이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의 가동부의 위치에 따라 생성되는 지령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접수 수단과,
    상기 신호 접수 수단을 통하여 취득한 상기 지령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에 장착되고, 또한, 카메라 전원 온의 상태 시에, 상기 지령 신호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카메라 전원 오프의 상태에서 상기 크레이들에 장착된 때에는, 상기 크레이들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카메라 내의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충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2.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를 변경하는 아오리 각도 변경 수단과, 상기 아오리 각도 변경 수단에 의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아오리 각도의 변경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기능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지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기능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13.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표리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기능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지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기능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14. 크레이들에 장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표리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한편,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크레이들의 장착부에 장착된 방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며, 이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KR1020030028118A 2002-06-25 2003-05-02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KR100570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3789 2002-06-25
JPJP-P-2002-00183789 2002-06-25
JP2003104965A JP2004088729A (ja) 2002-06-25 2003-04-09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JP-P-2003-00104965 2003-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509A true KR20040002509A (ko) 2004-01-07
KR100570163B1 KR100570163B1 (ko) 2006-04-12

Family

ID=3000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118A KR100570163B1 (ko) 2002-06-25 2003-05-02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38792B2 (ko)
JP (1) JP2004088729A (ko)
KR (1) KR100570163B1 (ko)
CN (1) CN122589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31B1 (ko) * 2005-08-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주석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29496B1 (ko) * 2006-11-29 2013-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이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761A (ja) * 2001-05-31 2002-12-13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
US7253840B2 (en) * 2001-06-11 2007-08-07 Fujifilm Corporation Cradle for digital camera
US6812971B2 (en) * 2001-09-11 2004-11-02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apparatus, stand and electronic apparatus stand system
US7265790B2 (en) * 2003-07-07 2007-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n image capture device to an operational mode
JP4502360B2 (ja) * 2003-08-27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50088572A1 (en) * 2003-10-28 2005-04-28 Pandit Amol S. System and method for a camera docking station
US7551225B2 (en) * 2003-12-09 2009-06-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sitioning accessory for camera-equipped wireless terminals
US7479759B2 (en) * 2004-02-26 2009-01-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battery configuration, and associated method
EP1600886A1 (en) * 2004-05-18 2005-11-30 Aiptek International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expansible function module
JP4457805B2 (ja) * 2004-08-13 2010-04-28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6157349A (ja) * 2004-11-29 2006-06-15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機器用補助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US20060118624A1 (en) * 2004-12-06 2006-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use of card skimmers on electronic card terminals
JP4396511B2 (ja) * 2004-12-20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
CN100375070C (zh) * 2004-12-31 2008-03-12 联想(北京)有限公司 采用照相手机作为计算机摄像头获取视频数据的方法
KR100750117B1 (ko) * 2005-01-19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디바이스의 클래스 설정 방법 및 장치
JP4759322B2 (ja) * 2005-06-08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53603B2 (ja) * 2005-09-09 2012-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132259A1 (en) * 2005-12-09 2007-06-14 Arkady Ivannikov Transport frame and optional fixture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s
US7684090B2 (en) * 2005-12-20 2010-03-23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printer for use with docked display device
US8035368B2 (en) * 2006-02-13 2011-10-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universal serial bus on-the-go power sour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2007300387A (ja) * 2006-04-28 2007-11-15 Eastman Kodak Co デジタルカメラ用基台
JP2008083149A (ja) * 2006-09-26 2008-04-10 Olympus Corp 光学ユニット着脱式撮像装置
US20090024769A1 (en) * 2007-05-08 2009-01-22 Atsuhito Nakatani Operat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operat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external equipment connecting device
US8009228B2 (en) * 2007-07-12 2011-08-30 Ricoh Company, Ltd. Camera and direction indicating switch
US20090090864A1 (en) * 2007-10-03 2009-04-09 Tracy Glatzmaier Thermal imager having integrated support assembly
JP4636132B2 (ja) 2008-07-09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カメラ
US8323040B2 (en) * 2008-09-05 2012-12-04 Apple Inc. Docking station with moveable connecto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983784B2 (ja) * 2008-12-18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画像提示方法、制御装置、プログラム
US9131135B2 (en) 2009-06-09 2015-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flash shutter
JP4873050B2 (ja) * 2009-07-10 2012-0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KR101701922B1 (ko) 2009-11-17 2017-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US8223483B2 (en) 2010-01-04 2012-07-17 Apple Inc. Dock with moveable connector for display device
CN102713948A (zh) * 2010-02-01 2012-10-03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终端、活动历史描写方法及活动历史描写系统
JP5790248B2 (ja) * 2011-07-27 2015-10-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
US9160124B2 (en) * 2012-09-07 2015-10-13 Apple Inc. Compliant mount for connector
US8721356B2 (en) 2012-09-11 2014-05-13 Apple Inc. Dock with compliant connector mount
US8986029B2 (en) 2012-09-11 2015-03-24 Apple Inc. Dock connector with compliance mechanism
US20140085491A1 (en) * 2012-09-27 2014-03-27 JVC Kenwood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cradle
US9201453B2 (en) 2012-10-26 2015-12-01 Apple Inc. Self-retracting connector for docking device
US9835933B2 (en) * 2013-02-18 2017-12-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amera and camera assembly
US9454183B2 (en) * 2013-08-02 2016-09-27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9836086B2 (en) 2013-08-02 2017-1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with ej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9774767B2 (en) * 2015-11-29 2017-09-26 Jianhua Cao Digital memory card window arrangement for IP camera
CN105578004A (zh) * 2015-12-18 2016-05-11 苏州翠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相机
JP7076994B2 (ja) * 2017-12-06 202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111602B (zh) * 2017-12-20 2021-06-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数据推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511178B1 (ja) 2018-03-02 2019-05-15 任天堂株式会社 通電装置
US11388324B2 (en) * 2020-06-15 2022-07-12 Intel Corporation Camera device, base unit, comput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6323B1 (en) * 1991-02-20 2004-01-14 Hitachi, Ltd. Television telephone
US5374971A (en) * 1993-03-12 1994-12-20 Picturetel Corporation Two-view video camera stand and support method
US5452180A (en) * 1993-07-15 1995-09-19 Dell Usa, L.P. Docking apparatus for a portable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n arcuate support member with a card extension pivotally mounted on a base member
US5734414A (en) * 1994-03-03 1998-03-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mera apparatus for electronic conference
JPH07327162A (ja) * 1994-06-02 1995-12-12 Nec Corp 画像入力装置
US6081422A (en) * 1997-08-19 2000-06-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Universal mount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
US7016595B1 (en) * 1999-05-28 2006-03-21 Nikon Corporation Television set capable of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image storage controlled by television set
JP4434501B2 (ja) * 2001-01-16 2010-03-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クレードル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040201774A1 (en) * 2001-05-15 2004-10-14 Gennetten K. Douglas Docked camera becomes electronic picture frame
JP2002354306A (ja) * 2001-05-22 2002-12-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撮像装置
JP4192441B2 (ja) * 2001-05-28 2008-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クレードル装置
US6812971B2 (en) * 2001-09-11 2004-11-02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apparatus, stand and electronic apparatus stand system
US6572282B1 (en) * 2001-12-18 2003-06-03 Intel Corporation Digital camera stand with indexed tilt feature
JP3535495B2 (ja) * 2001-12-26 2004-06-07 株式会社東芝 クレードル設置型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とクレードル設置型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US7170557B2 (en) * 2002-03-26 2007-01-30 Eastman Kodak Company Modular digital imag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31B1 (ko) * 2005-08-10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주석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229496B1 (ko) * 2006-11-29 2013-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이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38792B2 (en) 2009-05-26
CN1225894C (zh) 2005-11-02
JP2004088729A (ja) 2004-03-18
US20040004671A1 (en) 2004-01-08
CN1469637A (zh) 2004-01-21
KR100570163B1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163B1 (ko)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US7414668B2 (en) Digital camera system
US7253840B2 (en) Cradle for digital camera
US7911530B2 (en) Digital camera and system capable of sharing power with a mobile device
CN100549796C (zh) 带有照相机的便携式信息终端
US6741287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separable monitor device
US7542093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necting mounting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ing system includ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ing mounting
US6803963B2 (en) Mobile communications unit with teleconferencing capability when open and digital camera feature when closed
CN101426042A (zh) 便携式装置和摄像装置
US5828986A (en) Video camera for photographing animated images
JP3784589B2 (ja) 携帯機器
US20050200335A1 (en) Apparatus
US7437067B2 (en) Stand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and its accessory apparatus
JP4274172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5345576A (ja) 撮像装置
JPH11146245A (ja) 組合わせ可能カメラ
KR20080041007A (ko)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CN100361506C (zh) 支座装置及照相机系统
US20040081422A1 (en) Display-provid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087621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3987951B2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4164574A (ja) 情報処理装置
JP4131364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
JP4467468B2 (ja) 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200417985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