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346A -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 Google Patents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346A
KR20040000346A KR1020030040732A KR20030040732A KR20040000346A KR 20040000346 A KR20040000346 A KR 20040000346A KR 1020030040732 A KR1020030040732 A KR 1020030040732A KR 20030040732 A KR20030040732 A KR 20030040732A KR 20040000346 A KR20040000346 A KR 2004000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oil
attached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ctro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039B1 (ko
Inventor
우수키사와코
사이키슈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4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rrugated, pleated or ribb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코일(103)이 부착된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104)은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는 중심부 상에 리브(202)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브(202)로, 상기 중심부의 높이는 상기 리브(202)의 높이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이 위치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전기 음향 변환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브로, 상기 중심부의 강성(rigidity)은 예를 들어, 중심부상에 돔 형상을 형성하는 종래의 해결책을 사용하지 않고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LOUDSPEAKER DIAPHRAGM}
본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 사용을 위한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전화나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같은 전자장치들은 소형화되고 있으며 보다 큰 스크린을 갖추고 있는데 비해, 여전히 고음질의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전자장치들에 통합된 전기 음향 변환기는 유사하게 소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전히 고음질의 사운드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예상대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형상의 소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나오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소형 전기 음향 변환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는 종래의 소형 전기 음향 변환기의 평면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상기 소형 전기 음향 변환기는 자석(901), 평판(902), 요크(903), 하우징(904), 실린더 형 코일(905), 및 타원형처럼 형성된 다이어프램(906)을 포함하고 있다. 단면에서 반원형처럼 형성된 돔 형상의 부분(911)은 상기 다이어프램(906)(다이어프램(906)에 부착된 코일(905)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분)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게다가, 단면에서 반타원형처럼 형성된 에지부(912)는 다이어프램(906)의 외부림(도 12a의 상기 다이어프램(906) 상에 점선으로 표시된 선의 바깥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다이어프램(906)의 에지부(912)는 상기 하우징(904)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906)은 상기 코일(905)이 상기 평판(902)과 요크(903) 사이의 마크네틱 갭에 삽입되도록 유지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코일(905)은 위에서 볼 때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의 구동력이 상기 다이어프램(906)의 길이의 방향으로(도 12a의 수평방향으로) 전달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곤란함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코일은 상기 다이어프램에서와 같이 타원형처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서, 상기 길이의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이어프램의 강성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의 중심부는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돔과 같은 견고한 형상이거나 또는 종래 소형 전기음향 변환기의 보이스 코일 보빈(voice coil bobbin)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돔과 같은 부분 또는 보이스 코일 보빈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를 견고히 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어프램을 소형화 하기 위해 종래의 구조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보이스 코일 보빈에 의해 전형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을 견고히 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진동 시스템은 매스(mass)에서 증가되고, 그것에 의하여 압력 민감도를 감소시킨다.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처럼 형성된 종래의 상기 다이어프램 구조에서, 다이어프램의 중앙부 부근에서 탄성은 다이어프램의 폭의 양쪽끝 부근에서 탄성과는 다르다. 특히, 상기 중심부의 부근에서 탄성은 작고, 반면에 양쪽 끝 부근의 탄성은 커진다. 결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드럼 형 운동을 수행하고, 커다란 진폭은 중심부(도 8을 참조)에 더욱 가까운 부근에서 관찰된다. 즉, 상기 전체 다이어프램이 피스톤 운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음압 주파수 특성에서 감쇄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음향 변환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어프램이 타원형이거나 직사각형인 경우에도 고음질의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을 사용한 전기 음향 변환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용한 전기 음향 변환기의 음압 주파수 특징들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의 단면도;
도 4는 리브(202)가 다이어프램(104)과 별도로 형성될 때 리브(202)를 포함하는 부재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각 리브(202)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실시예 2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모드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의 평면도;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여 전기 음향 변환기와 결합한 휴대전화의 절단면도;
도 11은 실시예 1 내지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용하여 상기 전기음향 변환기와 결합한 상기 휴대전화의 구성의 개요를 도시하는 블록도; 및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소형 전기 음향 변환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4 : 전기 음향 변환기 503 : 호출 신호 발생 회로
505 : 마이크로폰 905 : 코일
906 : 다이어프램 5021 : 복조부
5022 : 변조부 5023 : 신호 전환부
5024 : 메세지 기록부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대상들을 획득하기 위해 다음의 특징들을 가지고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코일이 부착된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이하, "다이어프램"이라 칭함)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는 한 리브로서 제공된다.
상기에서 진술한 바에 따르면, 코일에 부착된 부분의 내부 부분(중심부) 높이는 리브의 높이로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이어프램이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것으로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를 소형화하게 한다. 게다가, 리브로서, 중심부의 견고성은 종래의 솔루션 형식, 예를들어, 중심부 상에 돔 형상의 부분을 사용하지 않고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이어프램에 따라,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사운드 질을 유지하는 동안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이 제 1 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될 때, 상기 리브가 제공된 방향은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는 것은 상기 코일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예를 들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 1 방향"은 긴 지름 방향(예를 들어, 도 1b에서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하기에 추가되어 기술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방향"은 짧은 지름 방향을 의미하여, 하기에 또한 추가되어 기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상기 리브는 제 1 방향에 관하여 소정의 정해진 각도로 격자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진술한 바에 따르면, 각 리브는 세로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두 번째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두 번째 방향으로 중심부의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위에서 볼 때 상기 코일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면, 사운드 질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소형화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리브는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한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의 한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리브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 상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기 음향 변환기를 설계할 때, 설계자는 오직 상기 코일의 두께와 상기 에지부의 두께를 고려하여 전기 음향 변환기의 높이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리브는 상기 중심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브에 일체로 형성될 때, 상기 요소들의 수는 줄어든다. 또한, 상기 리브를 중심부에 부착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과정의 수는 줄어든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코일이 부착된 다이어프램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와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한다. 중심부는 단면에서 수평이고 에지부보다 두꺼운 부분을 견고히 한다. 여기서, "에지부보다 두꺼운"이라는 것은 중심부를 형성하는 판의 두께가 (에지부상에 제공된 볼록부의 두께가 아닌)에지부를 형성하는 판의 두께보다 높다는 것이다.
상기에 따르면, 제 1 측면에서와 같이, 중심부의 강성은 예를 들어 종래의 중심부의 돔 형상을 형성하는 솔루션을 사용하지 않고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측면의 다이어프램에 따라, 또한 전기 음향 변환기는 사운드 질을 유지하는 동안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은 제 1 방향으로 확장하는 다이어프램에 관련된 것이다. 여기서, 코일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지부은 제 1 방향의 탄성이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탄성에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에 따르면, 위에서 볼 때, 수직 방향에서의 길이와 수평 방향에서의 길이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때,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 진동에 의해 변형의 양은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이 상기에서 기술한 형상을 가질 때, 만약 어떠한 리브도 제공되지 않는다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 부근에서 에지부의 탄성은 세로 방향에서 양 끝 부분의 탄성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로서, 진동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변형의 양은 중심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더 커진다. 그러한 진동은 이상적인 피스톤 운동에서 관찰된 것들과는 전혀 다르다. 대조적으로, 세 번째 측면의 상기 다이어프램에 따르면, 예를 들어, 리브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에 더 가까운 에지부의 부분 상에 제공된다(도 7a에 대한참조는 하기에 더 기술될 것이다). 이것으로, 상기 리브에 존재하는 부분에 에지부의 탄성은 점차 커지며, 그것으로 인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의 부근과 상기 에지부의 양쪽 끝 사이에 에지부의 탄성은 균형을 이룬다. 그 결과로서, 진동은 상기 피스톤 운동에서 관찰된 것들과 유사하게 되며, 그것으로 인해, 상기 사운드 질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상기 에지부는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을 환형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단면에서 형상을 돌출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에, 제 1 방향에 집중된 돌출부 부분의 높이는 제 2 방향에 집중된 돌출부 부분보다 높게 만들어진다. 이것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 부근과 상기 에지부의 양쪽 끝 사이에서 에지부의 탄성 균형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에 있는 상기 코일의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코일의 양쪽에 위치한 에지부상의 부분은 제 2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세 번째 측면에 의한 상기 첫 번째 측면에서, 상기 코일은 상기 다이어프램과 일체로 형성된 프린팅 보이스 코일(printing voice coi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용 다이어프램은 거기에 부착된 상기 코일과 일체로 형성되어진 후 몰드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측면에 의한 상기 첫 번째 측면에서, 상기 에지부 상에 코일의 외부림을 따르는 최소한의 부분은 상기 코일이 부착된 부분의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것으로서, 상기 코일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있다. 더욱이, 상기 코일이 접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될 때, 접착제가 상기 에지부를 향하여 흐르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첫 번째 및 세 번째 측면의 특징을 포함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거나, 두 번째 및 세 번째 측면의 특징을 포함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측면에 따르는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은 전기 음향 변환기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기 음향 변환기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 및 마그네틱 회로를 포함한다. 더욱이, 마그네틱 회로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해 양쪽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화될 수 있도록 놓일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관점 내지 세 번째 관점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에서 기술한 전기 음향 변환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포함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관점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이하, "다이어프램"이라 칭함)은 도 1a 내지 1d 및 도 2를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용한 전기 음향 변환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용한 전기 음향 변환기의 음압 주파수 특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a는 전기 음향 변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1a에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제 1 마그네트(101), 제 2 마그네트(102), 코일(103), 다이어프램(104), 제 1 하우징(105), 제 2 하우징(106), 제 1 요크(109), 및 제 2 요크(110)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하우징(105)은 제 1 공기 구멍(107)을 포함한다. 제 2 요크(110)는 제 2 공기 구멍(108)을 포함한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긴 측면이 짧은 측면보다 3.2배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 표면을 갖는 직사각형 평면 육면체의 외부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 1a에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는 예를 들어, 38MGOe의 에너지를 갖는 네오디뮴에 의해 실행되는 직사각형 평면 육면체처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는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진동 방향에 관하여 서로 정반대인 방향으로 자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마그네트(101)가 위쪽(제 2 마그네트로부터 제 1 마그네트로인 방향으로) 자화된다면, 제 2 마그네트(102)는 아래쪽(제 1 마그네트로부터 제 2 마그네트로인 방향으로)으로 자화된다. 상기 제 1 마그네트(101)와 상기 제 2 마그네트(102)는 대칭축(x)이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의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제 1 요크(109)와 상기 제 2 요크(102)에 부착된다. 제 1 요크(109)는 제 1 하우징(105)의 외부림 부분에 연결되는 반면에 제 2 요크(110)는 제 2 하우징(106)의 외부림 부분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요크(109, 110)는 철과 같은 마그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 제 1 및 제 2 하우징(105 및 106)은 PC(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 물질에 의해 대표되는 비 마그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103)은 상기 코일(103)의 중심부가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의 중심부와 일치할 수 있도록, 즉, 중심축(x)이 상기 코일(103)의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어프램(104) 상에 형성된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코일(103)은 상기 다이어프램(104)에 접착됨으로써 부착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외부림 부분은 상기 코일(103)이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도록 제 1 및 제 2 하우징(105, 106) 사이에 부착된다. 제 2 공기 구멍(108)은 제 2 요크(110)상에 제공된다. 제 1 공기 구멍(107)은 제 1 하우징(105)의 한쪽 측면 상에 제공된다.
도 1b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평면도이며 실시예 1에 기재된 상기 코일(103)이다.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소정의 정해진 방향(예를 들어, 도 1b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후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세로방향은 긴 직경방향으로서 참조되는 반면에 긴 직경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짧은 직경 방향으로서 참조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대로,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04)에서와 같이, 상기 코일(103)은 도 1b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특히, 상기 코일(103)은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부분(이 외부 부분을 이하, "에지부"라 칭함)과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의내부에 위치한 내부 부분(이 내부 부분을 이하, "중심부"라 칭함)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지부은 단면에서 돌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도 1b에서 점선으로써 둘러싸여진 부분에 위치한)볼록부(201)로서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중심부는 상기 코일(103)의 짧은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202)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리브로서, 상기 짧은 직경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에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b에 기술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1c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긴 직경방향으로 서로 별개로 구분되어 자리잡은 1개 이상의 리브(도 1c에서, 13개)는 실시예 1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같은 높이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각 리브는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각 리브가 (실시예 1에서, 짧은 직경 방향을)배향된 방향과 수직인 a-a' 방향으로인 단면에서, 각 리브는 역 V자 형상을 형성하지만, 다른 어떤 형상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에 제공된 부분들 이외에,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는 단면에서 평면일 수 있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된 리브상에 있는 평판에 의해 구조화된다.
도 1d는 도 1b에서 기술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b-b'단면도이다. 도 1d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각 리브(202)는 상기 코일(103)이 부착되고 볼록부(201)가 돌출되는 동일한 표면상에 제공된다(즉, 각 리브(202)는 동일한 표면상에 돌출된다). 각 리브(202)는 돌출부(201)보다 더욱 낮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코일(103)과 높이에서 거의 동등하다. 그러므로, 실시예 1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104)이 전기 음향 변환기를 위해 사용되도록 설계될 때,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의 두께는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상기 중심부가 돔처럼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욱 얇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돌출부(201)는 단면에서 돌출형상을 갖는다. 특히, 실시예 1에서 단면에 반원처럼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볼록부(201)는 물결 형상이거나 타원 형상처럼 또 다른 형상처럼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각 리브가 (실시예 1에서, 짧은 직경 방향을)배향된 b-b'방향으로 단면에서, 각 리브(202)는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각 리브(202)는 반원, 역 V자형, 또는 타원형처럼 또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리브(202)가 제공된 측면은 돌출부(201)가 돌출된(도 1d에서 상부 측면) 측면일 수 있거나 이와 반대 측면(도 1d에서 하부 측면)일 수 있다.
상기에서 구조화된 전기 음향 변환기의 운용과 효과는 하기에 기술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에서, 마그네틱 필드는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 및 제 1 및 제 2 요크(109, 1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코일(103)은 최대 자기속 밀도(magnetic flux density)가 마그네틱 갭(G)(도 1a 참조)에서 획득될 수 있도록 놓여진다. 대안적인 현재 전기 신호는 구동력을 산출하는 상기 코일(103)에 공급된다. 산출된 구동력에서, 그 밖에 첨가된 상기 코일(103)과 상기 다이어그램(104)은 진동되며, 그것으로서 소리를 낸다.
상기 다이어프램(104)이 진동될 때, 긴 직경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강성은 상기 코일(103)에 의해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짧은 직경 방향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강성은 상기 코일(103)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리브(202)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긴 직경 방향으로 강성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짧은 직경 방향으로 제공되는 리브(202)에 있어서, 짧은 직경 방향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강성은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짧은 직경 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 모드는 억제되며, 그것에 의해 상부 제한 주파수를 증가시킨다.
도 2는 상기 리브(202)가 제공된 경우에 있어서 사운드 주파수 특성과 상기 리브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사운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02)가 제공되어질 때, 상부 제한 주파수는 10kHz로 향상되며, 상기 리브(20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2에서 대략 4.5kHz의 경우)에서 상부 제한 주파수보다 높다. 그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상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202)에서, 짧은 직경 방향에서 중심부의 강도는 돔과 같은 형상으로 중심부를 형성하거나 중심부에 보이스 코일 보빈(voice coil bobbin)을 제공하지 않고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의 강도는 상기 리브(20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 주파수에서 사운드 재생성은 확실시 될 수 있다. 더욱이, 리브(202)의 사용으로, 종래의 다이어프램과 비교하여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에 따라, 사운드 질을 유지한 채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과 상기 코일(103)은 위에서 볼 때 각각 직사각형처럼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과 상기코일(103) 각각은 위에서 볼 때, 세로 방향에서 측면과 가로 방향에서 측면이 동일한 정방형처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형상에 있어서, 강성은 하나 이상의 리브를 중심부에 제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이어프램(103)과 상기 코일(103)은 각각 타원형처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104)과 상기 코일(103)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실시예 1에서, 강성은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에 각 리브(202)를 제공함으로서 향상된다. 대안적으로, 강성은 예를들어, 장소에 따라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법 또는 필름을 추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서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또한 중심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예를 들어, 돌출부(201))의 두께 만큼인 2배 두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사운드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배 되어지는 중심부의 두께로, 변하지 않는 두께(상기 리브(20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대략 4.5kHz)와 비교해서, 상부 제한 주파수는 7kHz로 향상된다. 그와 같이, 다른 부분의 두께 이상인 중심부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사운드 질은 또한 어느 정도까지는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소형화될 수 있다. 중심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이러한 기법에서, 상기 두께가 더욱 증가될수록, 강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두께가 더욱 증가될 때, 상기 다이어프램의 무게는 또한 증가됨을 주의해야 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음압 레벨을 감소시킨다.
도 3은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단면도를 도시하고있다. 실시예 1에서, 돌출부(201)의 바닥 평면은 상기 리브(202)(도 1d를 참조)의 바닥 평면과 일치한다. 변형 예에서, 양쪽의 바닥 평면은 서로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에서, 부착 리브(203)는 상기 코일(103)에 부착된 부분의 외부림을 따라 제공된다. 부착 리브(203)는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표면에서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부착 리브(203)로서, 상기 코일(103)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코일(103)이 접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될 때, 상기 부착 리브(203)는 접착물이 돌출부(210)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리브(203)는 상기 코일(103)의 외부림을 따라 에지부상에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부착 리브(203)는 상기 코일(103)이 부착된 부분의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지는한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상기 리브(202) 및 다른 부분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각각의 리브(202)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다이어프램(104)으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 상기 리브(202)를 포함하는 부재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부재(204)는 단면에서 평면인 중심부를 가진 상기 다이어프램(104)에 부착되며, 그것에 의해 중심부 상에 상기 리브(202)를 구비한 상기 다이어프램(104)을 형성한다.
더욱이, 실시예 1에서, 상기 리브(202)는 상기 다이어프램(104) 상에 짧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변형예에서, 상기 리브(202)가 제공된 방향은 상술한 바에 제한적이지 않는다. 위에서 볼 때의 상기 코일의 형상이 세로방향측면과 가로방향 측면이 다를 때, 상기 리브(202)는 짧은 직경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짧은 직경 방향으로 강성을 향상시킨다. 도 5a 및 도 5b는 변형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02)는 짧은 직경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정해진 각도(도 5a에서, 45도)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02)는 짧은 직경 각도에 관하여 소정의 정해진 각도로 격자(lattice) 형상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각 리브(202)의 단면도이다. 각 리브는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가 비워있을 수 있거나 내부가 물질로 채워진 상태(unhollo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은 도 7a 내지 7c 및 도 8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도 7a 내지 7c는 실시예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실시예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은 비록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전기 음향 변환기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더욱이,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에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제공된다.
도 7a는 실시예 2에 기재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평면도이다.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301)은 도 7a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104)에서와 같이, 다이어프램(301)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서 다른 길이를 갖는 형상을 갖는다.
다이어프램(301)은 리브(303)가 볼록부(302)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04)과 다르다.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03)는 긴 직경 방향(도 7a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배향된 볼록부(302)의 부분 상에 제공된다. 또한, 리브(303)는 짧은 직경 방향(도 7a에서 가로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다이어프램(301)의 중심부 및 다른 부분들은 상기 다이어프램(104)의 중심부 및 부분들과 동일하다.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한 상기 다이어프램(301)의 c-c' 단면도이다. 도 7b에, 상기 리브(303)에 제공된 부분만이 도시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직경 방향으로 서로 별개로 달리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도 1b에, 11개)는 실시예 2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단면에서, 각 리브는 V자 형상을 갖으나, 어떠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c는 도 7a에서 도시한 상기 다이어프램(301)의 d-d' 단면도이다. 도 7c에서, 점으로 된 곡선 라인에 의해 표시된 반 타원형 같은 부분은 볼록부(302)의 표면을 나타낸다. 솔리드 라인에 의해 표시된 각 반 타원형의 코드(cord)는 상기 V자 형상의 정점을 형성하는 각 리브(303)의 하부 측면을 나타낸다. 즉, 각 리브(303)는 상기 반 타원형 볼록부(302)의 가상 표면의 꼭대기로부터 소정의 정해진 깊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제공되어지는 상기 리브(303) 이외에, 도 7c는 도 1d와 유사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02)상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303)로서, 돌출부(302)의 탄성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이어프램(301)의 중심에 더욱 가까운 볼록부(302)상의 부분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303)로서, 볼록부(302)의 탄성은 증가될 수 있다.
도 8은 250Hz 사운드 생성의 시간에 긴 직경 방향에 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모드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도 8에 "리브 존재"로서 표현된)볼록부(302)상의 상기 리브(303)로서 제공된 상기 다이어프램(301)의 진동모드와 (도 8에 "리브 부재"로서 표현된) 리브가 없는 다이어프램(301)의 진동모드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상의 리브가 없는 상기 다이어프램에 관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부근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긴 직경 방향으로) 양쪽 끝 사이의 변형의 양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것은 상기 볼록부상에 리브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부근에서 볼록부의 탄성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으로부터 먼 곳의 탄성과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부 탄성에서, 상기 볼록부의 탄성은 작으며, 그것에 의해 변형의 양은 커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양쪽 끝에서, 상기 볼록부의 탄성은 커지며,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양쪽 끝에 변형의 양은 작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다이어프램은 이상적인 피스톤 운동과 전혀 다른 모드에서 진동되며, 그것에 의해 심지어 음압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
대조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301)에 관하여, 다이어프램의 중심 부근과 중심 부근의 양쪽 끝 사이의 변형의 양에서 차이는 적다. 이러한 것은, 볼록부(302)상에 제공되는 상기 리브(303)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부근과 중심 부분으로부터 먼 부분 사이의 볼록부의 탄성에서 균형은 향상된다. 즉,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 부근에서, 볼록부(302)의 탄성은 상기 리브(303)에 의해 증가되며, 그것에 의해 변형을 양을 억제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체 다이어프램(301)은 피슨톤 운동과 유사한 하나의 모드에서 진동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음압 주파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라, 볼록부상에 제공된 상기 리브로서, 상기 전체 볼록부의 탄성은 상기 다이어프램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에서 다른 길이를 갖는 하나의 형상을 가질 때 오히려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것은 사운드 질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의 변형의 양은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a에서 도시된 제 1 및 제 2 마그네트(101, 102)와 같은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의 요소들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더욱 가까이 놓여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는 소형화될 수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에서, 상기 볼록부(302)는 하나 이상의 접선방향에 있는 리브들로서 더욱 제공된다. 도 9는 한 변형예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의 평면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선방향에 있는 리브(304)는 긴 직경 방향에서 볼록부(302)의 양쪽 끝에 위치한 부분 상에 제공된다. 그러한 접선방향의 리브는 서로 다르게 향하도록 연장되어 확장한다. 그것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부분 상에 제공되는 상기 접선방향에 있는 리브(304)로서, 그들 부분들의 탄성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록부(302)의 탄성에서 균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에서, 상기리브와 함께 추가된 접선방향에 있는 리브로서, 전체 볼록부(302)의 탄성은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상기 볼록부(302)의 높이는 어떤 부분에서 일정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높이를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302)의 탄성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볼록부(302)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에 더 가까운 부분의 높이는 더욱 높게 되고, 반면에 상기 다이어프램의 중심으로부터 먼 부분의 높이는 더욱 낮아진다. 이것으로서, 상기 전체 볼록부(302)의 탄성을 조절하기가 또한 가능해진다.
더욱이,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부착 리브(도 3을 참조)는 실시예 2의 상기 다이어프램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공되는 그러한 부착 리브로서, 상기 코일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03)이 접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될 때, 상기 부착 리브(203)는 접착물이 상기 볼록부(201)를 향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에서, 상기 코일(103)은 감긴 코일에 의해 실행된다. 대안적으로, 예로써, 프린트 코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린트 코일은 구리로 된 덮게가 있는 상기 (예를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로 만든)다이어프램을 에칭함으로써 프린팅을 통하여 획득된다. 또한, 상기 코일(103)은 타원형처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리브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다이어프램(104)과 코일(103)은 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04)은 상기 코일(103)을 다이어프램(104)에 부착시킨 후 몰드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상술한 프린트 코일을 사용할때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코일은 다이어프램(104)의 한 측면상에서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두 코일(103)이 다이어프램(104)의 양 측면상에서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 1 또는 2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의 재료는 얻어지는 특징에 따라, 예를 들어, PEI(polyetherimido), 페이퍼, 또는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등 일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부는 실시예 1 및 2의 볼록부에서 제공되지만,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하면, 가장자리부는 단면이 평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실시예 2의 리브(303)는 볼록부가 제공될때 제공되는 것들과 유사한 위치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이어프램에 기술된 내용들은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위치시키는 두 개의 마그네트를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를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에서는 외부-또는 내부 자기형과 같은 또 다른 유형의 자기 회로를 가지는 전기 음향 변환기 또는 구동형 전기 음향 변환기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또 다른 전기 음향 변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다이어프램을 이용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는 쉽게 규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기 음향 변환기는 휴대 전화 또는 PDA등과 같은 전자 장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실시예 1 또는 2의 다이어프램을 이용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와 결합한 전자 장치의 한 예인 휴대 전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 전화(401)의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휴대 전화의 외형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휴대 전화(401)는 하우징(402), 하우징(402)상에 제공되는 사운드 구멍(403), 및 실시예 1 또는 2의 다이어프램을 이용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404)를 포함한다. 전기 음향 변환기(404)의 다이어프램은 하우징(402) 내부의 사운드 구멍(403)에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도 11에서, 휴대 전화(401)는 안테나(501), 전송 및 수신 회로(502), 호출 신호 발생 회로(503), 전기 음향 변환기(404) 및 마이크로폰(505)을 포함한다. 전송 및 수신 회로(502)는 복조부(5021), 변조부(5022), 신호 전환부(5023) 및 메세지 기록부(5024)를 포함한다.
안테나(501)는 가장 가까운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출력되어 변조된 전기 파장을 수신한다. 복조부(5021)는 수신된 신호를 신호 전환부(5023)로 공급하기 위해 안테나(501)에서 공급된 변조파를 복조한다. 신호 전환부(5023)는 수신된 신호에 기재된 신호 처리로 전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다시 말하면, 만일 수신된 신호가 콜 신호이면, 수신된 신호는 호출 신호 재생 회로(503)에 주어진다. 만일 수신된 신호가 음성 신호이면, 수신된 신호는 전기 음향 변환기(404)로 주어진다. 만일 수신된 신호가 기록되어진 메세지를 나타내는 음성 신호이면, 수신된 신호는 메세지 기록부(5024)에 주어진다. 메세지 기록부(5024)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실행된다. 전원이 ON이면, 메세지는 메세지 기록부(5024)에 기록된다. 휴대 전화가 서비스 영역밖에 위치되거나 전원이 OFF이면, 메세지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기록 장치에 저장된다. 호출 신호 발생 회로(503)는 전기 음향 변환기(404)에 공급되도록 호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휴대전화에서는 소형의 마이크로폰(505)이 제공된다. 변조부(5022)는 안테나(501)에 출력하기 위해 마이크로폰(505)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변조시키는 회로이다.
상술한 휴대 전화의 작동을 하기에서 기술한다.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출력된 전기 파장은 안테나(501)에 의해 수신되고나서 복조부(5021)에 의해 베이스밴드 수신 신호로 복조된다. 걸려온 전화 신호에서 호출 신호의 검출에 따라, 신호 전환부(5023)는 휴대 전화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기 위해 걸려온 전화 신호를 호출 신호 발생 회로(503)에서 출력한다.
걸려온 전화 신호를 수신하면, 호출 신호 발생 회로(503)는 청취할 수 있는 주파수 밴드로 단순한 톤이나 복잡한 톤의 호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구멍(403)을 통해 전기 음향 변환기(404)로부터 생성된 호출 소리를 들음으로서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오프-훅 모드를 입력하면, 신호 전환부(5023)는 수신된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 그때 전기 음향 변환기(404)에서 직접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그때 전기 음향 변환기(404)는 음성 신호를 재발생시키기 위해 수신기 또는 전기 음향 변환기로서 작용한다.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로폰(505)에 의해 수집되고 전기 신호로 전환되어, 변조부(5022)로 공급된다. 음성 신호는 안테나(501)에서 출력되도록 소정의 캐리어와 함께 변조된다.
휴대 전화 사용자가 전원을 ON으로 바꾸고 응답 기능을 ON으로 설정하면, 메세지는 메세지 기록부(5024)에 기록된다. 만일 사용자가 전원을 OFF으로 바꾸면, 메세지는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키 작동을 통해 메세지의 재생을 요청하면, 신호 전환부(5023)는 메세지 기록부(5024)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기록된 메세지를 얻도록 이러한 요청에 응답한다. 신호 전환부(5023)는 얻어진 음성 신호를 전기 음향 변환기(404)에서 청취가능한 레벨로 출력하도록 조절한다. 그때 전기 음향 변환기(404)는 수신기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와 같이 작용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기 음향 변환기는 하우징상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음향 변환기는 휴대 전화에 결합된 보드상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음향 변환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기 위해 또 다른 유형의 전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실시예를 설명할 뿐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전기 음향 변환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이 타원형이거나 직사각형인 경우에도 고음질의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었다.

Claims (31)

  1. 코일이 부착된 부분을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단면이 돌출형상을 갖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단면에서 상기 에지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리브가 제공된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5.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격자 형상(lattice shape)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한쪽 측면상에 제공되며, 상기 코일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중심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서의 탄성과 동등한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과 일체로 형성된 프린팅 보이스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은 부착된 상기 코일과 일체로 형성되어진 후에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상의 상기 코일의 외부림을 따르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13.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하우징(105, 106),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103), 및
    마그네틱 회로(101, 102, 109, 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회로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양쪽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15. 제 14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는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화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17. 제 16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3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코일이 부착된 부분을 갖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104)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단면이 평탄하고 상기 에지부보다 두꺼운 강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0.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의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일을 포함)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 에지부, 및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내부에 위치한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탄성이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의 탄성과 거의 동일하도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단면이 돌출 형상이고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을 환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볼록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볼록부의 일부의 높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볼록부의 일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코일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코일의 양쪽에 위치하는 상기 에지부의 부분들은 상기 제 2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과 일체로 형성된 프린팅 보이스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은 부착된 상기 코일과 일체로 형성되어진 후에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상의 상기 코일의 외부림을 따르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코일이 부착된 상기 부분의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26. 제 20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하우징(105, 106),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103), 및
    마그네틱 회로(101, 102, 109, 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회로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양쪽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28. 제 27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마그네트는 상기 전기 음향 변환기 다이어프램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화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30. 제 29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1. 제 26 항에 기재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030040732A 2002-06-24 2003-06-23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KR100997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2492 2002-06-24
JP2002182492 2002-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346A true KR20040000346A (ko) 2004-01-03
KR100997039B1 KR100997039B1 (ko) 2010-11-26

Family

ID=2971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732A KR100997039B1 (ko) 2002-06-24 2003-06-23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20957B2 (ko)
EP (1) EP1377115B1 (ko)
KR (1) KR100997039B1 (ko)
CN (1) CN12971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19106D0 (en) * 2002-08-16 2002-09-25 Kh Technology Corp Improvements in loudspeakers
WO2004047487A1 (en) * 2002-11-21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membrane with a middle area comprising stiffening grooves
EP1662838B1 (en) * 2003-08-19 2008-05-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US7510047B2 (en) * 2004-03-05 2009-03-31 Keiko Muto Speaker edge and resonator panel assembly
US20050194203A1 (en) * 2004-03-05 2005-09-08 Keiko Muto Planar speaker edge
WO2005107315A1 (en) * 2004-04-29 2005-1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aphragm for a loudspeaker with a moving coil
JP4590403B2 (ja) * 2004-05-27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DE602005009227D1 (de) * 2004-09-30 2008-10-02 Pss Belgium Nv Lautsprecher mit akustischer membrane
KR101156366B1 (ko) * 2005-05-25 2012-06-13 놀레스 일렉트로닉스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멤브레인, 이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 및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장치
WO2007055271A1 (ja) * 2005-11-11 2007-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電子機器
JP2008025472A (ja) * 2006-07-21 2008-02-07 Denso Corp 騒音低減装置
CN101137251B (zh) * 2006-08-28 2011-11-23 金大仁 扬声器的发声振动板结构
DE102006058369B4 (de) * 2006-12-08 2014-01-2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Elektroakustischer Wandler
US8259987B2 (en) * 2007-01-11 2012-09-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iaphragm, diaphragm assembly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20080273739A1 (en) * 2007-05-01 2008-11-06 George E. Short Iii Ribbon transducer with improved excurs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7931115B2 (en) * 2007-05-31 2011-04-26 Bose Corporation Diaphragm surrounding
EP2244488B1 (en) * 2008-02-14 2015-07-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EP2348754B1 (en) * 2008-11-19 2017-01-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WO2011004480A1 (ja) * 2009-07-09 2011-0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用磁気回路及びスピーカ装置
EP2458893B1 (en) 2010-11-26 2015-11-25 Knowles Ipc (M) Sdn Bhd Loudspeaker
JP5665194B2 (ja) * 2011-08-19 2015-02-0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電気音響変換器の振動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4477B2 (ja) * 2011-12-19 2015-05-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スピーカ装置
CN102711025A (zh) * 2012-01-11 2012-10-0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磁路系统及其扬声器
US8397861B1 (en) 2012-03-02 2013-03-19 Bose Corporation Diaphragm surround
US9197965B2 (en) 2013-03-15 2015-11-24 James J. Croft, III Planar-magnetic transducer with improved electro-magnetic circuit
WO2014199000A1 (en) * 2013-06-14 2014-12-18 Genelec Oy Suspension element for suspending the diaphragm of a loudspeaker driver to the chassis thereof as well as driver and loudspeaker comprising the same
US9253576B2 (en) 2013-11-21 2016-02-02 Bose Corporation Suspension for acoustic device
US9628917B2 (en) 2014-07-23 2017-04-18 Bose Corporation Sound producing system
US20170318391A1 (en) * 2014-11-08 2017-11-02 Slivice Co., Ltd Diaphragm for speaker apparatus
KR101622156B1 (ko) * 2015-01-30 2016-05-19 주식회사 이엠텍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리시버
CN206923023U (zh) * 2017-06-20 2018-01-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膜、发声器件及电子设备
CN107124685A (zh) * 2017-06-20 2017-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电子设备
CN107820169A (zh) * 2017-10-18 2018-03-20 深圳精拓创新科技有限公司 扬声器及提高扬声器灵敏度的方法
CN107979798A (zh) * 2017-12-22 2018-05-01 奥音精密机械(镇江)有限公司 一种敏感度高使用寿命长的受话器
CN108696808B (zh) * 2018-08-02 2020-11-17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及扬声器装配方法
US11716563B2 (en) * 2020-06-15 2023-08-01 Bose Corporation Portable loudspeaker systems
CN114257933B (zh) * 2021-02-07 2023-08-29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和电子设备
WO2022166373A1 (zh) * 2021-02-07 2022-08-11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和电子设备
WO2024041454A1 (zh) * 2022-08-20 2024-02-2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953A (en) * 1911-03-22 1913-12-09 A F Meisselbach & Brother Diaphragm for sound-boxes.
US1870417A (en) * 1929-01-15 1932-08-09 Rca Corp Diaphragm
BE370732A (ko) * 1929-06-04
DE606086C (de) * 1930-03-29 1934-11-24 Telefunken Gmbh Elektrodynamischer Lautsprecher mit rechteckiger, als Kolben schwingender gewellter Membran
US1990409A (en) * 1932-02-19 1935-02-05 Neville Athol Ernest Acoustical diaphragm
US2439665A (en) * 1944-01-31 1948-04-13 Rca Corp Sound reproducing device
US2531634A (en) * 1945-01-11 1950-11-28 Athol E N Lawrance Acoustical diaphragm with stiffening means
DE1284465B (de) * 1966-07-07 1968-12-05 Siemens Ag Membran fuer elektrodynamische Wandler
FR2137567B1 (ko) * 1971-05-07 1977-08-26 Rank Organisation Ltd
JPS5613897A (en) * 1979-07-13 1981-02-10 Toshiba Corp Supporting device for ring-shaped diaphragm
US4581496A (en) * 1979-09-04 1986-04-08 Emhart Industries, Inc. Diaphragm for attenuating harmonic response in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4353432A (en) * 1980-08-09 1982-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ynamic speaker
JPS5883496A (ja) * 1981-11-12 1983-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用振動板およびその製造法
US4433214A (en) * 1981-12-24 1984-02-21 Motorola, Inc. Acoustical transducer with a slotted piston suspension
JPS58119296A (ja) * 1982-01-06 1983-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用振動板
JPS58137400A (ja) * 1982-02-09 1983-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電型スピ−カ
US4471173A (en) * 1982-03-01 1984-09-11 Magnepan, Inc. Piston-diaphragm speaker
JPS58199000A (ja) * 1982-05-17 198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電型スピ−カ
JPS5994995A (ja) * 1982-11-19 198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電形スピ−カ
JPS59152796A (ja) * 1983-02-18 1984-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用振動板
JPH0732512B2 (ja) * 1984-03-23 1995-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カ用振動板
JPS61123390A (ja) * 1984-11-20 1986-06-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スピ−カの振動板
JPS6248899A (ja) * 1985-08-28 1987-03-03 Sony Corp スピ−カ
JPS63222599A (ja) * 1987-03-12 1988-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カの振動系支持装置
US5003610A (en) * 1988-04-14 1991-03-26 Fostex Corporation Whole surface driven speaker
EP0556786B1 (en) * 1992-02-21 2002-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US5251188A (en) * 1992-04-13 1993-10-05 Recurrent Solutions Limited Partnership Elongated-pattern sonic transducer
US5664024A (en) * 1994-04-25 1997-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JP3893694B2 (ja) 1996-10-30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H10257590A (ja) * 1997-03-17 1998-09-25 Hitachi Ltd スピーカ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avc機器
US6104825A (en) * 1997-08-27 2000-08-15 Eminent Technology Incorporated Planar magnetic transducer with distortion compensating diaphragm
JPH1175291A (ja) * 1997-08-29 1999-03-16 Victor Co Of Japan Ltd 電気音響変換器
JP3501342B2 (ja) * 1997-08-29 2004-03-0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US5901235A (en) * 1997-09-24 1999-05-04 Eminent Technology, Inc. Enhanced efficiency planar transducers
JP3505999B2 (ja) * 1997-09-30 2004-03-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US5847332A (en) * 1997-11-10 1998-12-08 Faraone; Alexander Polycarbonate-based radially arcuated speaker cone
US6097830A (en) * 1997-11-17 2000-08-01 Sonigistix Corporation Transducer diaphragm with thermal strain relief
JP3812150B2 (ja) * 1998-06-18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JP2000032586A (ja) * 1998-07-07 2000-01-28 Victor Co Of Japan Ltd 電気音響変換器
CN2364651Y (zh) * 1998-09-25 2000-02-16 黄新民 扬声器振动膜
US6611604B1 (en) * 1999-10-22 2003-08-26 Stillwater Designs & Audio, Inc. Ultra low frequency transducer and loud speaker comprising same
US6654475B2 (en) * 2000-09-29 2003-11-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Electricity-to-sound transducer
JP3915448B2 (ja) * 2001-07-30 2007-05-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039B1 (ko) 2010-11-26
US20040003960A1 (en) 2004-01-08
EP1377115A2 (en) 2004-01-02
EP1377115B1 (en) 2016-01-06
CN1471336A (zh) 2004-01-28
US6920957B2 (en) 2005-07-26
CN1297176C (zh) 2007-01-24
EP1377115A3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039B1 (ko)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US723105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8379905B2 (en) Micro-speaker
KR100535172B1 (ko)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US718777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0820113B2 (en) Speaker
JP3997133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子機器
JP4361580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JP4034696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
CN1165202C (zh) 电磁换能器和便携式通信装置
CN201114215Y (zh) 来电振动提示器件
KR100932754B1 (ko) 다기능 스피커
JP4536284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662522B2 (ja) 電磁形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10820105B2 (en) Speaker
KR200326984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JP388326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168111Y1 (ko) 다이내믹형 스피커의 다이아프램
KR20050043390A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의 진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