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12Y1 -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12Y1
KR200396812Y1 KR20-2005-0018831U KR20050018831U KR200396812Y1 KR 200396812 Y1 KR200396812 Y1 KR 200396812Y1 KR 20050018831 U KR20050018831 U KR 20050018831U KR 200396812 Y1 KR200396812 Y1 KR 200396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ispenser
button
pump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5-0018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튼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일측의 보조노즐이 외부케이스의 내·외로 출입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의해 완전히 은폐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노즐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버튼본체의 펌프작동이 잠기도록 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회전체; 상기 양측 스토퍼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상단의 구부와 결합 고정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어 펌프작동이 가능한 버튼본체; 상기 버튼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하기 위한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설치되는 보조노즐; 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용 버튼유닛{BUTTON UNIT FOR DISPENSER}
본 고안은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튼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일측의 보조노즐이 외부케이스의 내·외로 출입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의해 완전히 은폐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노즐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버튼본체의 펌프작동이 잠기도록 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충진한 밀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상기 디스펜서를 가압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종래 디스펜서용 버튼은 하면이 개구된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일측으로 연통되어 디스펜서로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노즐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본체가 디스펜서의 배출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가 가압되면서 밀폐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일정량 배출시키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은 버튼본체의 일측으로 연통된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노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노즐에 오염된 이물질이 묻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에 묻은 이물질이 토출되는 내용물과 함께 섞여 사용됨으로서 피부를 상하게 하거나 알레르기 등을 발생시키는 심각한 문제로 확대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이 항상 외부에 노출됨으로서 그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되면서 변질 또는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노즐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변질되면서 단단하게 응고될 경우에는 내용물의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응고된 내용물이 정상적인 내용물과 섞여서 사용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화장품 등을 저장하고 있는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된 버튼본체를 회전시킴으로서 버튼본체 일측에 형성된 보조노즐이 버튼본체를 커버하고 있는 외부케이스의 내·외로 출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케이스에 의해 완전히 은폐되도록 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보조노즐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본체의 원활한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보조노즐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본체의 펌프작동이 잠기도록 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버튼본체와 밀폐용기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버튼본체와 밀폐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완전히 밀폐 차단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회전체; 상기 양측 스토퍼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위치되어지되 상기 수용된 스토퍼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밀폐용기 상단과 결합 고정되는 한편, 그 상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노즐장공이 관통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어지되, 그 상단 중앙에는 소정길이의 노즐이 돌출 형성되고, 그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펌프작동이 가능하도록 펌프가이드가 절개 형성된 버튼본체; 상기 버튼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 전방에는 상기 버튼본체의 절곡된 노즐과 연통되는 노즐홀이 내측으로 돌출 되고, 상기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회전됨에 따라 버튼본체의 눌림이나 걸림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잠금/해제수단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버튼본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곡된 노즐과 일치하면서 전진되거나, 노즐이 이탈하면서 후진되는 일련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보조노즐;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의 상단은 버튼본체의 펌프가이드와 내부케이스의 잠금/해제수단에 대하여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회전체의 외측 선단과 일치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밀폐용기의 구부에 결합 고정되는 내통; 및 상기 외통과 내통을 연결하는 플랜지 상에 양측 스토퍼가 관통하여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호형의 회전장공;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 일측에는 회전하는 버튼본체의 노즐이 출입 가능하도록 노즐출입구가 절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버튼본체의 펌프가이드와 일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대해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홈; 상기 펌프홈으로부터 일정각도 회전된 일측에 상기 스토퍼의 상단이 걸리어 펌프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펌프방지턱; 및 상기 펌프방지턱과 펌프홈 사이에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가이드레일;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노즐은 후진시 내부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 선단에는 보조노즐이 출입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캡의 내부에는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노즐을 후진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결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와 내통의 밀착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와 버튼본체의 밀착면에는 상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의 스냅홈 및 스냅돌기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이 도시된 결합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밀폐용기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체(100),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로 밀폐용기와 결합 고정되는 외부케이스(200),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로 돌출된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본체(300), 상기 버튼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내부케이스(400)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결합되면서 외부케이스 내·외측으로 출입되는 보조노즐(500)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회전체(100)는 상기 밀폐용기(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120)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체(100)는 밀폐용기(1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외면을 잡고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10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20)의 상단은 버튼본체(300)의 펌프가이드(340)와 내부케이스(400)의 잠금/해제수단(460)에 대하여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일정넓이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20)의 돌출된 높이는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본체(300)의 펌프가이드(340)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버튼본체(30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체(100)를 회전시 그 상단이 상기 펌프가이드(340)의 하단과 상호 걸리면서 버튼본체(30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회전체(100)의 양측 스토퍼(120)를 수용한 상태로 그 상부에 위치되어지되, 상기 수용된 스토퍼(120)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밀폐용기(10) 상단의 구부와 결합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회전체(100)의 외측 선단과 일치되면서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외통(220)과 상기 외통(220)의 내부 하측에 소정높이로 형성되면서 상기 밀폐용기(10)의 구부에 결합 고정되는 내통(2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통(220)과 내통(240)을 연결하는 플랜지 상에는 상기 회전체(100)의 양측 스토퍼(120)가 관통하여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호형의 회전장공(28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통(240) 내주면과 상기 밀폐용기(10)의 병목 외주면에는 상호 교차되어 결합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수직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상부 전방에는 상기 버튼본체(300)와 내부케이스(400)를 눌러 펌프작동시 외부로 노출된 보조노즐(500)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노즐장공(260)이 관통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통 외주면 하부에는 환형의 스냅돌기(24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회전체(100)의 내주면 하부에는 환형의 스냅홈(122)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회전체(100)가 외부케이스(200)의 내통(240)에 스냅 결합된 상태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본체(300)는 그 상단 중앙에 소정길이의 노즐(320)이 돌출 형성되고, 그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20)에 대하여 펌프작동이 가능하도록 펌프가이드(340)가 절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상측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디스펜서(20)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본체(30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노즐(320)은 소정 길이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버튼본체(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400)의 노즐홀(420)로 출입하면서 상기 보조노즐(500)의 후단과 일치되거나 이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320)의 회전시 그 외면을 따라 보조노즐(500)이 미끄러지듯이 밀려 전진되거나 후퇴되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끝단에 이르는 외면이 내광외협의 경사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끝단이 둥근 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케이스(400)는 상기 버튼본체(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 전방에는 상기 버튼본체(300)의 절곡된 노즐과 연통되는 노즐홀(420)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20)가 회전됨에 따라 버튼본체(300)의 눌림이나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잠금/해제수단(46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케이스(400)는 버튼본체(300)를 커버함으로서 그 상단을 직접 눌러 상기 버튼본체(300)의 펌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서 버튼본체(300)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후술되는 보조노즐(500)이 출입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400) 자체가 외부케이스(200)로부터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보조노즐(500)이 외부케이스(200) 내부로 완전히 은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400)의 노즐홀(420) 일측에는 회전하는 버튼본체(300)의 노즐(320)이 출입 가능하도록 노즐출입구(440)가 절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홀(420)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해제수단(460)은 상기 버튼본체(300)의 펌프가이드(340)와 일치되어 상기 스토퍼(120)에 대해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홈(462)과 상기 펌프홈(462)으로부터 일정각도 회전된 일측에 상기 스토퍼(120)의 상단이 걸리어 펌프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펌프방지턱(466) 및 상기 펌프방지턱(466)과 펌프홈(462) 사이에 상기 스토퍼(120)가 안내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가이드레일(4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400)와 버튼본체(300)의 밀착면에는 상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의 스냅돌기(360) 및 스냅홈(48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노즐(500)은 상기 내부케이스(400)의 노즐홀(420)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버튼본체(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곡된 노즐(320)과 일치하면서 전진되거나 또는 이탈하면서 후진되는 일련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노즐(500)은 후진시 내부케이스(4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부케이스(400)의 노즐홀(420) 선단에는 보조노즐(500)이 출입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520)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캡(520)의 내부에는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노즐(500)을 후진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540)이 결합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노즐(500)이 버튼본체(300)의 노즐(320)과 일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노즐(320)의 길이만큼 전진함으로서 외부케이스(200)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본체(300)가 회전되어 그 상단의 노즐(320)이 노즐홀(420) 외측으로 이탈될 경우에는 상기 탄성스프링(540)의 작용을 통해 보조노즐(500)이 후퇴됨으로서 외부케이스(200)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상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노출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버튼본체(300)의 노즐(320)과 보조노즐(500)이 일치되어 외부케이스(200)의 노즐장공(260)을 통해 노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00)의 스토퍼(120)와 버튼본체(300)의 펌프가이드(340) 및 내부케이스(400)의 펌프홈(462)이 일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400)를 누르게 되면 그 내부의 버튼본체(300)와 디스펜서(20)를 가압함으로서 상기 디스펜서(20)의 펌프작동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인입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상기 회전체(10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100) 상단의 스토퍼(120)가 버튼본체(30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튼본체(300)의 중앙 상단에 형성된 노즐(320)이 회전되면서 내부케이스(400)의 노즐홀(420)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기 노즐홀(420)의 보조노즐(500)은 그 후단을 지지하고 있는 버튼본체(300)의 노즐(320)이 이탈됨으로서 그 전단의 탄성스프링(540)의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되면서 외부케이스(40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100)의 스토퍼(120)는 버튼본체(300)의 펌프가이드(340) 하단에만 걸린 상태로 내부케이스(400)의 잠금/해제수단(460)인 가이드레일(464)을 따라 회전되어 펌프방지턱(466)에 위치되는 한편, 보조노즐(500)이 외부케이스(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내부케이스(400)는 정지되어 있고 그 내부의 버튼본체(300)만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20)가 버튼본체(300)를 완전히 회전시켜 보조노즐(500)의 인입이 완료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120)가 내부케이스(400)의 잠금/해제수단(460)인 펌프방지턱(466)에 위치됨으로서 펌프작용이 잠겨진다.
마지막으로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은폐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상기 스토퍼(120)가 버튼본체(300)를 완전히 회전시켜 보조노즐(500)의 인입이 완료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120)가 내부케이스(400)의 잠금/해제수단(460)인 펌프방지턱(466)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100)를 끝까지 돌리면 그 상단의 스토퍼(120)가 상기 펌프방지턱(466)의 막힌 단부를 밀어 내부케이스(400)를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외부케이스(20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보조노즐(500)이 회전되면서 외부케이스(200)에 의해 은폐된 상태가 된다.
이때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회전체(100)의 스토퍼(120)가 내부케이스(400)의 펌프방지턱(466)에 위치됨으로서 내부케이스(400)와 버튼본체(300)의 펌프작동이 잠겨진다.
한편, 상기 보조노즐(500)을 외부케이스(200)로 노출시키면서 펌프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작용은 상기 설명과 역순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회전체(100)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보조노즐(500)의 출입과 내용물의 토출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노즐(500)의 은폐를 통해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에 의하면 화장품 등을 저장하고 있는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된 회전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보조노즐이 외부케이스 내부로 출입되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케이스 내부로 완전히 은폐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노즐에 묻은 내용물이 외부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변색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보조노즐의 출입과 동시에 버튼본체의 펌프작용이 잠기거나 해제됨으로서 보다 안전하면서 불필요한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버튼과 밀폐용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외부케이스에 의해 완전히 밀폐 차단됨으로서 밀폐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이 도시된 결합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결합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노출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인입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디스펜서용 버튼유닛의 노즐이 은폐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밀폐용기 20: 디스펜서
100: 회전체 120: 스토퍼
122: 스냅홈
200: 외부케이스 220: 외통
240: 내통 242: 스냅돌기
260: 노즐장공 280:회전장공
300: 버튼본체 320: 노즐
340: 펌프가이드 360: 스냅돌기
400: 내부케이스 420: 노즐홀
440: 노즐출입구 460: 펌프잠금/해제수단
462: 펌프홈 464: 가이드레일
466: 펌프방지턱 480: 스냅홈
500: 보조노즐 520: 결합캡
540: 탄성스프링

Claims (7)

  1. 화장품 등을 저장하기 위한 밀폐용기의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그 상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회전체;
    상기 양측 스토퍼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위치되어지되 상기 수용된 스토퍼가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밀폐용기 상단과 결합 고정되는 한편, 그 상부 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노즐장공이 관통된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디스펜서 상단에 결합되어지되, 그 상단 중앙에는 소정길이의 노즐이 돌출 형성되고, 그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펌프작동이 가능하도록 펌프가이드가 절개 형성된 버튼본체;
    상기 버튼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 전방에는 상기 버튼본체의 절곡된 노즐과 연통되는 노즐홀이 내측으로 돌출 되고, 상기 양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회전됨에 따라 버튼본체의 눌림이나 걸림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잠금/해제수단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버튼본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곡된 노즐과 일치하면서 전진되거나, 노즐이 이탈하면서 후진되는 일련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보조노즐;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의 상단은 버튼본체의 펌프가이드와 내부케이스의 잠금/해제수단에 대하여 동시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회전체의 외측 선단과 일치되는 외통;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밀폐용기의 구부에 결합 고정되는 내통; 및 상기 외통과 내통을 연결하는 플랜지 상에 양측 스토퍼가 관통하여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호형의 회전장공;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 일측에는 회전하는 버튼본체의 노즐이 출입 가능하도록 노즐출입구가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 양측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버튼본체의 펌프가이드와 일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대해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홈; 상기 펌프홈으로부터 일정각도 회전된 일측에 상기 스토퍼의 상단이 걸리어 펌프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펌프방지턱; 및 상기 펌프방지턱과 펌프홈 사이에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가이드레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노즐은 후진시 내부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부케이스의 노즐홀 선단에는 보조노즐이 출입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캡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캡의 내부에는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노즐을 후진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결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내통의 밀착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와 버튼본체의 밀착면에는 상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환형의 스냅홈 및 스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KR20-2005-0018831U 2005-06-29 2005-06-29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KR200396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31U KR200396812Y1 (ko) 2005-06-29 2005-06-29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31U KR200396812Y1 (ko) 2005-06-29 2005-06-29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12Y1 true KR200396812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31U KR200396812Y1 (ko) 2005-06-29 2005-06-29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1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53B1 (ko) 2010-08-19 2011-08-12 (주)연우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WO2012074162A1 (ko) * 2010-12-03 2012-06-07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199766B1 (ko) 2011-04-18 2012-11-09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12108709A3 (ko) * 2011-02-10 2012-12-20 (주)연우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101269409B1 (ko) 2011-04-12 2013-05-30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604779B1 (ko) * 2014-09-15 2016-03-18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879058B1 (ko) * 2016-11-17 2018-07-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용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53B1 (ko) 2010-08-19 2011-08-12 (주)연우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WO2012023664A1 (ko) * 2010-08-19 2012-02-23 (주)연우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US9038863B2 (en) 2010-08-19 2015-05-26 Yonwoo Co. Ltd. Nozzle structure of dispenser pump button
WO2012074162A1 (ko) * 2010-12-03 2012-06-07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12108709A3 (ko) * 2011-02-10 2012-12-20 (주)연우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101269409B1 (ko) 2011-04-12 2013-05-30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199766B1 (ko) 2011-04-18 2012-11-09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604779B1 (ko) * 2014-09-15 2016-03-18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16043438A1 (ko) * 2014-09-15 2016-03-24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879058B1 (ko) * 2016-11-17 2018-07-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812Y1 (ko)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US8418892B2 (en) Lockable spray cap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200483952Y1 (ko) 펌프의 토출구가 출몰되는 화장품 용기
ES2611903T3 (es) Cabezal de pulverización
US8267903B2 (en) Casing
JP4994859B2 (ja) エアゾール噴射器のトリガー式ヘッドキャップ
KR200449781Y1 (ko) 소형 수동식 분사기
BR112018071998B1 (pt) Dispensador de líquido
EP2228319B1 (en) Aerosol cap with lock
MXPA04009923A (es) Aspersor de gatillo a prueba de ninos.
JP2001301853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噴射装置
JP4694360B2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393359Y1 (ko) 용기의 내용물 추출 펌프의 제어구조
JP2607442Y2 (ja) 携帯用噴霧器
JP4153256B2 (ja) 噴出器用ロック機構、および噴出器
KR200358811Y1 (ko) 푸시-업 디스펜서
JP4166542B2 (ja) 双頭液体噴出容器
JP6821273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ロッ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容器
JP200007079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ロック装置
KR200379593Y1 (ko)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KR20030022162A (ko) 캡이 부착된 에어로졸 용기
JP3974006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3939538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肩カバー
JP3958497B2 (ja) トリガ式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