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593Y1 -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593Y1
KR200379593Y1 KR20-2004-0035527U KR20040035527U KR200379593Y1 KR 200379593 Y1 KR200379593 Y1 KR 200379593Y1 KR 20040035527 U KR20040035527 U KR 20040035527U KR 200379593 Y1 KR200379593 Y1 KR 200379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vacuum pump
nozz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방빈
황병준
Original Assignee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임방빈
황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임방빈, 황병준 filed Critical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5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는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용기(10)와, 상기 내부용기(10)의 상단 개구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용기(10)내의 내용물을 진공펌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누름부(22)와 노즐부(24)가 설치된 진공펌프(20)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0)를 수용하는 외부용기(30)와, 상기 외부용기(30)의 상단 개구측에 상기 누름부(22)가 상부 중앙으로 관통되게 커버함과 동시에 노즐부(24)가 측면 일측으로 관통되게 하면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진공펌프(20)의 펌핑동작을 제어하는 뚜껑(40)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40)은, 그 상단 가장자리에 하향되게 돌설되어 상기 외부용기(30)의 상단측 단차부(32)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는 원형상의 플랜지부(42)와, 그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2)를 관통시키는 관통홀(42)과, 상기 관통홀(44)의 하단측 가장자리에 돌설되어 뚜껑(40)이 회전될 때 상기 노즐부(24)에 부딪치거나 또는 떨어지면서 뚜껑(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어부(46)와, 상기 플랜지부(42)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노즐부(24)의 끝단 하부와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림부(48a)를 가진 잠금부(4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비사용시 본 고안을 핸드백 등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보관 및 이동할 때 누름부(22)에 외부 충격이나 또는 기타 피물체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누름부(22)는 전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진공펌프의 오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용기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은 물론, 노즐부(24)의 끝단에 묻어 있는 잔여물(내용물 찌꺼기)이 다른 피물체에 묻지 않은 등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A LOKING STRUCTURE FOR VACUUM PUMP OF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 의약품, 세제류, 구강류 등의 액체 또는 겔(Gel)상태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진공펌핑에 의해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진공펌프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사용시 진공펌프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김기능을 부여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진공펌프를 구비한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용기(1)와, 상기 용기(1)의 개구부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용기뚜껑(3)과, 상기 용기뚜껑(3)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가 누를 때 용기(1)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진공펌프(5)와, 상기 진공펌프(5)가 비사용시 외력에 부딪쳐 눌러지지 않도록 진공펌프(5)의 버튼부(5a)를 감싸면서 상기 용기뚜껑(3)의 상단 외주연에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보호커버(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펌프를 구비한 용기는 비사용시 진공펌프(5)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기뚜껑(3)에 투명캡모양의 보호커버(7)를 걸림방식으로 착탈가능케 결합함으로써 진공펌프(5)의 버튼부(5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방식은 용기(1)를 핸드백 등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보관 및 이동할 때 보호커버(7)가 외부 충격이나 또는 기타 피물체에 의한 마찰에 의해 쉽게 벗거지거나 분실되고, 이로 인하여 진공펌프(5)는 피물체와 충돌되어 오동작을 일으켜 용기(1)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등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사용시 용기를 핸드백 등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보관 및 이동할 때 외부 충격이나 또는 기타 피물체에 의한 마찰에 의해 진공펌프가 오동작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노즐부의 끝단에 묻어 있는 잔여물(내용물 찌꺼기)이 다른 피물체에 묻지 않은 등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는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 개구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용기내의 내용물을 진공펌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누름부와 노즐부가 설치된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 개구측에 상기 누름부가 상부 중앙으로 관통되게 커버함과 동시에 노즐부가 측면 일측으로 관통되게 하면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펌핑동작을 제어하는 뚜껑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은, 그 상단 가장자리에 하향되게 돌설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측 단차부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는 원형상의 플랜지부와, 그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를 관통시키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하단측 가장자리에 돌설되어 뚜껑이 회전될 때 상기 노즐부에 부딪치거나 또는 떨어지면서 뚜껑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어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노즐부의 끝단 하부와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림부를 가진 잠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가 상기 걸림부의 일정위치에 걸려서 수납되거나 또는 걸림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둘레 일측이 절개된 씨(C)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뚜껑이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의 측방향으로 끼워져 수납함과 동시에 노즐부의 하단을 받쳐주어 누름부의 하강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부의 내벽 및 측벽방향으로 개구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또는 겔(Gel)상태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내부용기(10)와, 상기 내부용기(10)의 상단 개구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용기(10)내의 내용물을 누르는 진공펌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누름부(22)와 노즐부(24)가 설치된 진공펌프(20)와, 상기 내부용기(10)를 수용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외부용기(30)와, 상기 외부용기(30)의 상단 개구측에 상기 누름부(22)가 상부 중앙으로 관통되게 커버함과 동시에 노즐부(24)가 측면 일측으로 관통되게 하면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진공펌프(20)의 펌핑동작을 제어하는 뚜껑(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진공펌프(20)는, 그 상단에 상기 뚜껑(40)의 하부를 통해 상면 중앙으로 관통하도록 누름부(22)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22)의 둘레측 하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노즐부(24)가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24)와 누름부(22)가 접하는 직각 경계면에는 누름부(22)의 하단높이보다 낮게 연장되도록 커버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용기(30)는, 그 상단 개구측 외주면에 상기 뚜껑(40)의 둘레측이 외부로 회전자유롭게 걸림방식에 의해 끼워지도록 단차부(32)가 형성되고, 그 상단 둘레에 대하여 일측에는 상기 진공펌프(20)의 노즐부(24)가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짐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동작하도록 상단이 개구된 절개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40)은, 그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외부용기(30)의 단차부(32)에 회전자유롭게 걸림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원형상의 플랜지부(42)가 하향되게 일체로 돌설되고, 그 상부 중앙에 상기 진공펌프(20)의 누름부(22)가 하부를 통해 일정높이로 관통되도록 관통홀(4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4)의 하단측 가장자리에는 뚜껑(40)이 회전될 때 진공펌프(20)의 노즐부(24)에 부딪치거나 또는 떨어지면서 뚜껑(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전제어부(46)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또, 상기 뚜껑(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부(42)의 하단 높이보다 하향되게 수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내측에 상기 노즐부(24)의 끝단 하부와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림부(48a)를 가진 잠금부(48)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부(46)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이 양방향으로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24)가 상기 걸림부(48a)의 일정위치에 걸려서 수납되거나 또는 걸림부(48a)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둘레 일측이 절개된 씨(C)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48a)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24)의 측방향으로 끼워져 수납함과 동시에 노즐부(24)의 하단을 받쳐주어 누름부(22)의 하강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부(48)의 내벽 및 측벽방향으로 개구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잠금부(48)의 내벽과 한쪽 측벽방향만이 개구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3과 같은 제품상태에서 소비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손으로 외부용기(30)를 잡고 다른 손으로 뚜껑(40)을 열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뚜껑(40)의 가장자리측 플랜지부(4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부(48)가 동시 회전되면서 진공펌프(20)의 노즐부(2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다.
이때, 진공펌프(20)는 내부용기(10)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될 때 그 노즐부(24)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용기(30)에 형성된 절개홈(34)의 중간높이에 안착되면서 끝단이 외부용기(3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뚜껑(40)이 회전되더라도 따라 돌지 않게 된다.
그리고, 뚜껑(40)은 도 4b와 같이 열림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하면에 일체로 돌설된 회전제어부(46)의 일측단부가 노즐부(24)의 측면(왼쪽)에 부딪치는 작용에 의해서 소정각도로 정회전 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즐부(24)는 잠금부(48)의 걸림부(48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용기(30)의 절개홈(34)을 통해 바깥으로 노출된다.
이때, 진공펌프(20)의 누름부(22)를 누르더라도 노즐부(24)는 잠금부(48)의 간섭을 받지않고 외부용기(30)의 절개홈(34)을 따라 수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진공펌프(20)는 통상적인 메카니즘에 의해 펌핑동작을 하면서 내부용기(10)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술한 역순동작과 마찬가지로 한손으로 외부용기(30)를 잡고 다른 손으로 뚜껑(40)을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뚜껑(40)의 잠금부(48)가 동시 회전되면서 노즐부(24)를 커버함과 동시에 걸어주게 된다.
즉, 뚜껑(40)을 도 5a에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부(48)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48a)가 노즐부(24)의 측면을 통해 끼워짐과 동시에 노즐부(24)의 하단을 받쳐주도록 상호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고, 이 노즐부(24)는 잠금부(48)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커버된다.
이때, 뚜껑(40)은 도 4a와 같이 잠김방향으로 회전될 때 그 하면에 일체로 돌설된 회전제어부(46)의 타측단부가 노즐부(24)의 측면(오른쪽)에 부딪치는 작용에 의해서 소정각도로 역회전 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즐부(24)는 잠금부(48)의 걸림부(48a) 중앙에 위치하여 커버됨과 동시에 노즐부(24)의 하단이 걸림부(48a)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펌프(20)의 누름부(22)를 누르더라도 노즐부(24)가 뚜껑(40)의 걸림부(48a)에 걸리는 작용때문에 누름부(22)가 하강되지 못하게 된다. 즉, 비사용시 본 고안을 핸드백 등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보관 및 이동할 때 누름부(22)에 외부 충격이나 또는 기타 피물체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누름부(22)는 전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진공펌프의 오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용기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은 물론, 노즐부(24)의 끝단에 묻어 있는 잔여물(내용물 찌꺼기)이 다른 피물체에 묻지 않은 등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는, 뚜껑의 일측에 잠금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부의 내측으로 진공펌프의 노즐부가 수납되어 걸리는 잠김작용에 의해 진공펌프의 오동작을 방지하며, 뚜껑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잠금부가 노즐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열림작용에 의해 진공펌프의 상하 펌핑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사용시 용기를 핸드백 등의 수납공간에 넣어서 보관 및 이동할 때 외부 충격이나 또는 기타 피물체에 의한 마찰에 의해 진공펌프가 오동작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노즐부의 끝단에 묻어 있는 잔여물(내용물 찌꺼기)이 다른 피물체에 묻지 않은 등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를 보호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가 잠금 및 해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진공펌프가 잠금 및 해제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부용기 20 : 진공펌프
22 : 누름부 24 : 노즐부
26 : 커버부 30 : 외부용기
32 : 단차부 34 : 절개홈
40 : 뚜껑 42 : 플랜지부
44 : 관통홀 46 : 회전제어부
48 : 잠금부 48a : 걸림부

Claims (3)

  1.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용기(10)와, 상기 내부용기(10)의 상단 개구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밀폐시킴과 동시에 내부용기(10)내의 내용물을 진공펌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누름부(22)와 노즐부(24)가 설치된 진공펌프(20)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10)를 수용하는 외부용기(30)와, 상기 외부용기(30)의 상단 개구측에 상기 누름부(22)가 상부 중앙으로 관통되게 커버함과 동시에 노즐부(24)가 측면 일측으로 관통되게 하면서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진공펌프(20)의 펌핑동작을 제어하는 뚜껑(40)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40)은,
    그 상단 가장자리에 하향되게 돌설되어 상기 외부용기(30)의 상단측 단차부(32)에 회전자유롭게 결합되는 원형상의 플랜지부(42)와,
    그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22)를 관통시키는 관통홀(42)과,
    상기 관통홀(44)의 하단측 가장자리에 돌설되어 뚜껑(40)이 회전될 때 상기 노즐부(24)에 부딪치거나 또는 떨어지면서 뚜껑(4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어부(46)와,
    상기 플랜지부(42)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노즐부(24)의 끝단 하부와 걸리거나 또는 분리되는 걸림부(48a)를 가진 잠금부(4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46)는 상기 뚜껑(40)이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24)가 상기 걸림부(48a)의 일정위치에 걸려서 수납되거나 또는 걸림부(48a)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둘레 일측이 절개된 씨(C)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8a)는 상기 뚜껑(40)이 회전될 때 정지된 노즐부(24)의 측방향으로 끼워져 수납함과 동시에 노즐부(24)의 하단을 받쳐주어 누름부(22)의 하강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부(48)의 내벽 및 측벽방향으로 개구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KR20-2004-0035527U 2004-12-14 2004-12-14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KR200379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27U KR200379593Y1 (ko) 2004-12-14 2004-12-14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27U KR200379593Y1 (ko) 2004-12-14 2004-12-14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593Y1 true KR200379593Y1 (ko) 2005-03-24

Family

ID=4368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27U KR200379593Y1 (ko) 2004-12-14 2004-12-14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59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126B1 (ko) 2008-09-11 2010-08-23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200451863Y1 (ko) 2008-10-15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펌프의 록킹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265949B1 (ko)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00098797A (ko) * 2019-02-12 2020-08-21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CN113827023A (zh) * 2020-06-23 2021-12-24 株式会社衍宇 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126B1 (ko) 2008-09-11 2010-08-23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200451863Y1 (ko) 2008-10-15 2011-01-17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배출펌프의 록킹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265949B1 (ko)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00098797A (ko) * 2019-02-12 2020-08-21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KR102228993B1 (ko) * 2019-02-12 2021-03-17 선창산업주식회사 펌프 디스펜서
CN113827023A (zh) * 2020-06-23 2021-12-24 株式会社衍宇 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58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회전식 노즐 개폐장치
KR100964822B1 (ko) 밀폐식 뚜껑을 구비한 용기
KR102395999B1 (ko) 리필 용기
CA1275077A (fr) Recipient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et d'au moins un produit additionnel separes pendant le stockage
AU2010212285A1 (en) Child-Resistant Cap
KR200379593Y1 (ko) 용기의 진공펌프 잠금구조
JP5450379B2 (ja) 安全蓋
KR2024004613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20060099794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0396812Y1 (ko) 디스펜서용 버튼유닛
JP4694360B2 (ja) 二成分混合容器
KR200393359Y1 (ko) 용기의 내용물 추출 펌프의 제어구조
KR200348004Y1 (ko) 이종 원료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JP2007176581A (ja) ベースカップを備えた容器
JP3298744B2 (ja) 振り出し容器
BRPI0715535A2 (pt) conjunto para posicionamento em uma abertura de um receptÁculo, e, processo para produzir o conjunto
JP2001097466A (ja) エアーゾール容器の蓋体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JP3270624B2 (ja) 振り出し容器
JP2555612Y2 (ja) 錠剤容器
JP2006089084A (ja) 2剤混合容器
KR200358811Y1 (ko) 푸시-업 디스펜서
KR200417490Y1 (ko) 안전 캔
KR200326459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