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183Y1 - 뚝배기 - Google Patents
뚝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1183Y1 KR200391183Y1 KR20-2005-0013610U KR20050013610U KR200391183Y1 KR 200391183 Y1 KR200391183 Y1 KR 200391183Y1 KR 20050013610 U KR20050013610 U KR 20050013610U KR 200391183 Y1 KR200391183 Y1 KR 2003911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casserole
- lower side
- present
- upper s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 가능한 걸림턱을 경계로 하여 상하 두께가 다른 측벽을 갖는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적층 가능한 걸림턱을 경계로 하여 상하 두께가 다른 측벽을 갖는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유형의 뚝배기로서,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3338호 및 제20-0306601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3338호 공보의 뚝배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의 몸체(1)의 환형측벽부(1a)의 하측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진 내측환형돌부(1aa')와, 상기 내측환형돌부(1aa')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환형측벽부(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환형돌테(1aa")로 구성된 환형걸림턱부(1aa)가 환형측벽부(1a)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뚝배기의 하측에 환형걸림턱부(1a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뚝배기 내의 내용물을 신속하게 끓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가열기구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끓여놓은 음식물을 담아서 사용한 후에는 각 뚝배기들을 상측으로 적절하게 적층시켜 놓을 수 있게 되어 뚝배기들의 점유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면서 뚝배기들이 적층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뚝배기의 환형측벽부(1a)은 그 두께가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걸림턱부(1aa)의 상측부가 두꺼울 경우 그 하측부도 두꺼워서 열의 이동경로가 길어 열저항이 커지고, 이에 따라 열전도율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내측 공간부(1b)에는 내측환형돌부(1aa')라는 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측벽부(1a)의 내주면은 전체적으로 불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불연속면에 의해, 숟가락 등으로 내주면을 긁을 때 내측환형돌부(1aa')에서 붕 뜨는(허공) 느낌을 주어 숟가락이 갑자기 올라와 음식물(탕)이 비산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내측환형돌부(1aa')은 다소 불규칙한 복잡한 면을 부가하기 때문에, 설거지 할 때 세심한 주의를 해서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바닥이 평평하기 때문에 열수용과 흐름이 나쁘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6601호의 공보의 뚝배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는 넓고 바닥부는 좁은 형태의 용기몸체(10)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수용공간부(11)가 형성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부(11)가 형성된 용기몸체(10)의 외측에 걸림돌기(12)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있다.
이것은, 전술한 뚝배기와 마찬가지로, 수용공간부(11)의 내주면에 걸림돌기(12)와 대응하는 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 또한 일정하고, 바닥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적층과 열저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뚝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과, 측벽을 포함하는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두께가 다른 하방측벽과 상방측벽으로 구획되고, 상기 하방측벽과 상기 상방측벽의 내주면 전체는 밋밋한 연속면이고, 상기 하방측벽의 두께는 상기 상방측벽 보다 얇고, 상기 두께가 다른 경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두께를 달리하면서 자연스럽게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파손되지 않는 적층과 열저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하방측벽의 높이는 2/5 ∼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뚝배기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뚝배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바닥(110)과, 측벽(130)과, 이 측벽(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50)으로 이루어진다. 뚝배기는 여러가지 재질로 제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뚝배기(100)은 내열 점토를 주원료하여 입자를 다공질로 만든 내열도기로 한다.
상기 측벽(130)은 두께가 다른 상방측벽(140)과 하방측벽(160)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방측벽(160)의 두께(t)는 상기 상방측벽(140)의 두께(T) 보다 얇다. 따라서, 이 두께의 차이가 나는 경계에는 걸림턱(150)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하방측벽(160)으로의 열전도 경로가 짧아 열전도가 효율적이어서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할 뿐 아니라, 걸림턱(150)에 의해 뚝배기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상방측벽(140)과 상기 하방측벽(160)의 내주면(131) 전체는 밋밋한 연속면(1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밋밋한 연속면(131)으로 인해, 숟가락 등으로 긁을 때 붕 뜨는 느낌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탕 등을 떠먹을 수 있다. 또한, 이 밋밋한 연속면(131)은 단순한 면을 부여하여 설거지 할 때 간단히 닦을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상기 하방측벽(160)의 높이(h)는 전체 높이(H)에 대해 2/5 ∼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100)를 적층할 때 적층 높이를 최소화하고, 직화열의 최적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구간으로 기능하여 불필요한 두께 감소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210)을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한 바닥(210)은 열수용부의 역할을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뚝배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방측벽이 상방측벽 보다 두께가 얇아 이 두께의 차이가 나는 경계에 걸림턱이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하방측벽으로의 열전도 경로가 짧아 열전도가 효율적이어서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할 뿐 아니라, 걸림턱에 의해 뚝배기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방측벽과 하방측벽의 내주면 전체가 밋밋한 연속면(131)으로 구성됨으로써, 숟가락 등으로 긁을 때 붕 뜨는 느낌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탕 등을 떠먹을 수 있다. 또한, 이 밋밋한 연속면(131)은 단순한 면을 부여하여 설거지 할 때 간단히 닦을 수 있다.
둘째, 하방측벽의 높이를 2/5 ∼ 1/2로 함으로써, 뚝배기를 적층할 때 적층 높이를 최소화하고, 직화열의 최적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구간으로 기능하여 불필요한 두께 감소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바닥을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볼록한 바닥은 열수용부의 역할을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뚝배기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뚝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뚝배기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다른 뚝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뚝배기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뚝배기 110,210 : 바닥
130 : 측벽 131 : 내주면(밋밋한 면)
140 : 상방측벽 150 : 걸림턱
160 : 하방측벽
Claims (3)
- 바닥과, 측벽을 포함하는 뚝배기에 있어서,상기 측벽은 두께가 다른 하방측벽과 상방측벽으로 구획되고,상기 하방측벽과 상기 상방측벽의 내주면 전체는 밋밋한 연속면이고,상기 하방측벽의 두께는 상기 상방측벽 보다 얇고,상기 두께가 다른 경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측벽의 높이는 2/5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3610U KR200391183Y1 (ko) | 2005-05-14 | 2005-05-14 | 뚝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3610U KR200391183Y1 (ko) | 2005-05-14 | 2005-05-14 | 뚝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1183Y1 true KR200391183Y1 (ko) | 2005-07-29 |
Family
ID=4369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3610U KR200391183Y1 (ko) | 2005-05-14 | 2005-05-14 | 뚝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1183Y1 (ko) |
-
2005
- 2005-05-14 KR KR20-2005-0013610U patent/KR2003911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36799B2 (ja) | セラミック金属の液体保持容器 | |
JP5618658B2 (ja) | 食材用容器 | |
KR200391183Y1 (ko) | 뚝배기 | |
US20040056036A1 (en) | Utensil set | |
JP3172214U (ja) | 多機能プレート | |
JP4429046B2 (ja) | 椀添附式弁当ケース | |
JP3226254U (ja) | 木製食器 | |
KR101908860B1 (ko) |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 |
JP3134535U (ja) | 電子レンジ用炊飯釜 | |
JPH04319319A (ja) | 調理器具セット | |
JP3204413U (ja) | 食器 | |
JP7356174B2 (ja) | 食器 | |
KR200168892Y1 (ko) | 즉석식품 용기 | |
JP4264680B2 (ja) | 高温飲食物用容器 | |
JP3198204U (ja) | 食品包装用容器 | |
KR200374394Y1 (ko) | 밥그릇 | |
KR102461004B1 (ko) | 가변형 뚜껑 | |
JP3031655U (ja) | カレー皿 | |
TWI723769B (zh) | 食品容器 | |
JP6632489B2 (ja) | 食品包装用容器 | |
KR200426145Y1 (ko) | 적층 가능형 뚝배기 | |
JP3042947U (ja) | 食事用トレー | |
JP7551062B2 (ja) | 木製食器 | |
JP6898005B2 (ja) | コップ | |
JP2004313278A (ja) | 合成樹脂製蓋付き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1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