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590Y1 - 과립기 - Google Patents

과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590Y1
KR200388590Y1 KR20-2005-0009077U KR20050009077U KR200388590Y1 KR 200388590 Y1 KR200388590 Y1 KR 200388590Y1 KR 20050009077 U KR20050009077 U KR 20050009077U KR 200388590 Y1 KR200388590 Y1 KR 200388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tor
stirring
stirring blades
granules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영
Original Assignee
김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영 filed Critical 김화영
Priority to KR20-2005-0009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shaping by moulding, extrusion, pressing, e.g. pellet-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립기에 관한 것으로, 원료투입 호퍼(1)로 투입된 가공재료가 교반수단(100)에 의해 교반되면서 원통형 체틀(10)에 결합된 망체(20)로 과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과립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100)은 과립기 동체(2)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에 한 쌍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이 결합되고, 상기 상,하측 교반익(101),(102)의 날개(120)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익(101)은 각 날개(120)의 전방 곡면(121)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122)이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120)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과립기는 특히 원통형 체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이 회전축에 한 쌍의 교반익을 결합하고, 상측 교반익을 하측 교반익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형태로 결합하여 날개가 이중으로 배가되면서 균일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과립의 배출량이 배가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교반익의 각 날개가 전방 곡면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은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날개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원료가 뭉쳐지고 들어붙는 현상이 없이 과립으로 원활하게 성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립기{APPARATUS MAKING PILL}
본 고안은 과립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형 체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이 회전축에 한 쌍의 교반익을 날개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하고, 상기 교반익의 각 날개가 전방 곡면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은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각 날개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로 형성되어 과립이 뭉쳐지고 들러붙는 현상이 없이 원활하게 성형되고, 과립 생산량이 배가되도록 한 과립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식품, 과자, 차(茶)류 등과 같은 각종 과립형 음식물과 과립형 사료나 의약품 등을 제조하는 과립기는 과립기 동체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원판의 상면에 망체가 구비된 원통형 체틀이 설치되고, 그 체틀 내부에는 교반익이 회전원판 및 체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체틀 상부에 설치된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각종 반죽 상태의 원료를 망체의 각 망목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과립상 제품을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 과립기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투입 호퍼(1)가 원통형 체틀(1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과립기 동체(2)의 상단부에 고정된 집적판(5) 위에는 회전원판(3)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원판(3) 위에 원통형 체틀(10)이 고정되고, 원통형 체틀(10)의 상단부에 원료투입 호퍼(1)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체틀(10)은 상측륜(11)과 하측륜(12)이 수개의 수직지지간(13)으로 연결되고, 하측륜(12)에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륜(12)의 플랜지부(12a)가 상기 회전원판(3)에 고정볼트(4)로 체결 고정되고, 체틀(10)의 내주면에는 망체(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과립기를 가동함과 아울러 상기 원료투입 호퍼(1)를 통하여 반죽상태의 가공재료를 투입하게 되면 상기 회전원판(3)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상부에 원통형 체틀(1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됨과 아울러 그 원통형 체틀(1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익(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투입된 각공재료를 원통형 체틀(10) 내부의 망체(2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반죽상태의 재료가 망체(20)의 망목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면서 과립 형태로 성형 배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과립기는 망체의 파손시 또는 망목 크기를 조정할 경우 체틀과 망체의 분리가 어려워 망체를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원통형 체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익에 의한 과립의 배출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가공재료가 가공되면서 틀체의 내부에 뭉쳐지고 들어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과립으로 원활하게 성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통형 체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이 회전축에 한 쌍의 교반익을 날개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하고, 상기 교반익의 각 날개가 전방 곡면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은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각 날개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로 형성되어 과립이 뭉쳐지고 들러붙는 현상이 없이 원활하게 성형되고, 과립 생산량이 배가 될 수 있게 되는 과립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과립기는 원료투입 호퍼로 투입된 가공재료가 교반수단에 의해 교반되면서 원통형 체틀에 결합된 망체로 과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과립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과립기 동체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한 쌍의 상,하측 교반익이 결합되고, 상기 상,하측 교반익의 날개가 서로 어긋나게, 예를 들어 상기 상측 교반익이 하측 교반익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위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익은 각 날개의 전방 곡면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이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날개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립기에 관한 것으로, 도 2에는 과립기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에는 과립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4에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을 보인 분해 평면도, 도 5에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의 조립상태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교반익의 저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교반익의 부분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은 원료투입 호퍼, 2는 과립기 동체, 3은 회전원판, 10은 원통형 체틀, 20은 망체를 각각 보인 것으로, 원료투입 호퍼(1)가 원통형 체틀(1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과립기 동체(2)의 상단부에 고정된 집적판(5) 위에는 회전원판(3)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원판(3) 위에 원통형 체틀(10)이 고정되고, 원통형 체틀(10)의 상단부에 원료투입 호퍼(1)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체틀(10)은 상측륜(11)과 하측륜(12)이 수개의 수직지지간(13)으로 연결되고, 하측륜(12)에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륜(12)의 플랜지부(12a)가 상기 회전원판(3)에 고정볼트(4)로 체결 고정되고, 체틀(10)의 내주면에는 망체(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체틀(10)의 내부에는 교반수단(100)이 회전원판(3)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수단(100)은 과립기 동체(2)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에 한 쌍의 교반익(101),(102)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예를들어 상기 교반수단(100)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은 동형(同形)으로 형성되고, 상측 교반익(101)이 하측 교반익(102)에 대하여 45도 위상차가 나도록 회전된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상,하측 교반익(101),(102)을 이루는 8개 날개(120)의 후단부가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측 교반익(101),(102)은 축공(110)이 구비된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복수개(도면에는 4개)의 날개(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날개(120)는 전,후방 곡면(121),(122)이 구비됨과 아울러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고 각각 동일방향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날개(120)는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전방 곡면(121)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122)은 수직을 이루어 도 7과 같이 각 날개(120)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날개(120)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123)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날개(120)의 상면에 비해 하면이 25mm 정도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수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원봉형 회전축(5)은 그 상단부에 팔각형상 단면의 축 결합부(6)가 형성되고, 이 축 결합부(6)에 상,하측 교반익(101),(102)이 중간부에 간격링(103)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축(5)의 축 결합부(6)에 하측 교반익(102)과 간격링(103)을 끼우고, 상측 교반익(101)을 45도 회전시켜 끼운 후, 축 결합부(6)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7)에 너트(8)를 체결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교반수단(100)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목재, 플라스틱과 같은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원통형 체틀(10)은 양분되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원호상 원호상 좌,우틀체(10-1)(10-2)로 분리 형성되고, 이들 원호상 좌,우틀체(10-1)(10-2)의 분리부 일측단 외측부 상,하에 힌지볼트(31)가 체결되는 축수편(14)(14')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볼트(31)로 연결되는 좌,우틀체(10-1)(10-2)가 그 힌지볼트(31)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동심원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좌,우틀체(10-1)(10-2)의 타측 분리 단부에는 분리된 좌,우틀체(10-1)(10-2)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체결수단은 좌,우틀체(10-1)(10-2)의 체결부 외측단 상,하에 일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체결편(15)(15')이 상호 대향되게 외향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체결편(15)(15')이 고정볼트(32)로 상호 체결되어 좌,우틀체(10-1)(10-2)가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통형 체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망체(20)는 결합된 원통형 체틀(10)의 내주면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그물망(21)의 양단부에 상기 좌,우틀체(10-1)(10-2)의 분리단부에 끼워지는 일정폭의 압착부(22)(22')를 외향 절곡하여 좌,우틀체(10-1)(10-2)의 결합시 그 압착부(22)(22')를 협지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고정되는 망체(20)의 상단은 결합된 원통형 체틀(10)의 내주면 상단 즉, 그 상측륜(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11a)에 걸려 지지되게 하고 그 하단은 결합된 원통형 체틀(10)이 고정 설치되는 회전원판(3)의 상면에 접촉지지되게 한 것이다.
과립기에 교반수단(100)을 설치 사용시에는 좌,우틀체(10-1)(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의 플랜지부(12a)를 회전원판(3) 상에 수개의 고정볼트(4)로 과립기 동체(2)의 상단에 고정하고. 그 원통형 체틀(10)의 상단에 원료투입 호퍼(1)의 하단부를 끼워 설치한다.
이와 같이 과립기를 조립한 후 과립기를 가동함과 아울러 상기 원료투입 호퍼(1)를 통하여 반죽 상태의 가공재료를 투입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하여 과립기가 가동되면 상기 회전원판(3)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상부에 설치된 원통형 체틀(10)이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그 체틀(10)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익(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공재료를 체틀(10) 내부의 망체(2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게 되므로 반죽 상태의 재료가 망체(20)의 망목을 통해 빠져 나오게 되면서 과립 형태로 성형 배출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립기를 보인 것으로, 도 8에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의 조립상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교반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반수단(100)은 한 쌍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을 중간에 간격링(103)을 개재하고 일체형으로 용접하여, 이 일체형 상,하측 교반익(101),(102)을 상기 회전축(5)의 축 결합부(6)에 체결하여 구성되며, 역시 상측 교반익(101)이 하측 교반익(102)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위치로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교반수단(100)은 몰드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도 8과 같은 형태로 일시에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른 형태의 교반수단(100)은 한 쌍의 교반익(101)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5)에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과립기는 원통형 망체가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체틀(10)을 양분하여 분할된 양 체틀(10)의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그 타단을 볼트 등을 이용한 체결수단으로 결합한 것으로 망체(20)의 파손시 또는 망목 크기를 조정할 경우 분할형 체틀(10)과 망체(20)를 간단히 분리하여 새로운 망체(20)로 간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원통형 체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수단(100)이 회전축(5)에 한 쌍의 교반익(101)을 결합하고, 상측 교반익(101)이 하측 교반익(102)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형태로 결합하여 날개가 이중으로 배가됨과 아울러 균일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구동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과립의 배출량이 배가되었다.
또한 상기 교반익(101)의 각 날개(120)가 전방 곡면(121)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122)은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120)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날개(120)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123)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원료가 뭉쳐지고 들어붙는 현상이 없이 과립으로 원활하게 성형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립기는 망체의 파손시 또는 망목 크기를 조정할 경우 분할형 체틀과 망체를 간단히 분리하여 새로운 망체로 간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원통형 체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수단이 회전축에 한 쌍의 교반익을 결합하고, 상측 교반익을 하측 교반익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형태로 결합하여 날개가 이중으로 배가되면서 균일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과립의 배출량이 배가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교반익의 각 날개가 전방 곡면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은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각 날개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원료가 뭉쳐지고 들어붙는 현상이 없이 과립으로 원활하게 성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과립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립기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과립기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은 과립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을 보인 분해 평면도.
도 5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6은 교반익의 저면도.
도 7은 교반익의 부분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립기를 보인 것으로,
도 8은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원통형 체틀과 교반익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10은 교반익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료투입 호퍼 2 : 과립기 동체
5 : 회전축 6 : 축 결합부
7 : 나사부 10 : 원통형 체틀
20 : 망체 100 : 교반수단
110 : 축공 120 : 날개
121 : 전방 곡면 122 : 후방 곡면
123 : 경사 단부 101,102 : 상,하측 교반익

Claims (6)

  1. 원료투입 호퍼(1)로 투입된 가공재료가 교반수단(100)에 의해 교반되면서 원통형 체틀(10)에 결합된 망체(20)의 외측으로 과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과립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100)은 과립기 동체(2)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에 한 쌍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이 결합되고, 상기 상,하측 교반익(101),(102)의 날개(120)가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익(101)은 각 날개(120)의 전방 곡면(121)이 경사지고 후방 곡면(122)이 수직을 이루어 각 날개(120)의 종단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가면서 폭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100)은 원봉형 회전축(5)의 상단부에 축 결합부(6)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의 축 결합부(6)에 상,하측 교반익(101),(102)이 중간부에 간격링(103)을 개재하고 삽입되어 체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100)은 한 쌍의 상,하측 교반익(101),(102)을 중간에 간격링(103)을 개재하고 일체형으로 용접하여, 이 일체형 상,하측 교반익(101),(102)을 상기 회전축(5)의 축 결합부(6)에 체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120)의 후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 단부(123)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교반익(101)이 하측 교반익(102)에 대하여 45도 회전된 위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기.
KR20-2005-0009077U 2005-04-01 2005-04-01 과립기 KR200388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77U KR200388590Y1 (ko) 2005-04-01 2005-04-01 과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77U KR200388590Y1 (ko) 2005-04-01 2005-04-01 과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590Y1 true KR200388590Y1 (ko) 2005-06-29

Family

ID=4368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77U KR200388590Y1 (ko) 2005-04-01 2005-04-01 과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5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331B1 (ko) 2015-01-29 2016-04-25 강석진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CN107596948A (zh) * 2017-11-08 2018-01-19 佘峰 一种用于外墙腻子粉的混合搅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331B1 (ko) 2015-01-29 2016-04-25 강석진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CN107596948A (zh) * 2017-11-08 2018-01-19 佘峰 一种用于外墙腻子粉的混合搅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1188C (en) Apparatus for alternately sifting and blending powders in the same operation
US11235335B2 (en)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crushing raw materials
US6394374B1 (en) Disintegrating and grain-regulating device for granules
JP2004314066A5 (ko)
KR200388590Y1 (ko) 과립기
CN111655440B (zh) 用于混合捏合机的非对称三叶片螺旋轴
US5419635A (en) Machine for treating chocolate paste and method for producing crumb
JP2009274019A (ja) 解砕整粒機
US8336797B2 (en)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crushing and sizing apparatus
JP6096739B2 (ja) 混練造粒装置
KR20150109794A (ko) 과립기
JP7231174B2 (ja) 押出し成形機
KR200441050Y1 (ko) 파쇄기
CN111938184A (zh) 一种饲料加工制粒装置
CN217065203U (zh) 一种糕点制作装置
WO2016106665A1 (en) Machine for producing granules
US20220097978A1 (en) A feeder device for feeding a powder material
KR200409858Y1 (ko) 가래떡 성형장치
RU2288571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сочных кормов
KR200174241Y1 (ko) 녹즙분쇄장치
RU28809U1 (ru) Тарельчатый гранулятор с активатором
CN214710258U (zh) 一种畜牧饲料加工用颗粒长短可调节的制粒机
CN210477085U (zh) 一种鲑鳟鱼饲料制备过程的颗粒状饲料成型切割装置
KR920004670Y1 (ko) 분말식품 제조용 반죽믹서기
CN116966827B (zh) 旋转式制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