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50Y1 - 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50Y1
KR200441050Y1 KR2020070020295U KR20070020295U KR200441050Y1 KR 200441050 Y1 KR200441050 Y1 KR 200441050Y1 KR 2020070020295 U KR2020070020295 U KR 2020070020295U KR 20070020295 U KR20070020295 U KR 20070020295U KR 200441050 Y1 KR200441050 Y1 KR 200441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rushing
removal member
rotat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30U (ko
Inventor
김의소
Original Assignee
김의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소 filed Critical 김의소
Priority to KR2020070020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5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2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 B02C4/38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milling members in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되는 물품의 크기 및 형태가 변경되거나, 질기고 그 형태가 불특정한 생 칡뿌리 및 고구마 등을 한 쌍의 롤러 간격을 일일이 조정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의 표면을 일일이 관리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을 체결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의 상부에 호퍼가 구비되고, 그 수직부의 중심에 제1제거부재와 제2제거부재가 구비되며, 그 수직부의 전ㆍ후방에 지지부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제1제거부재와 대응하며 회전되도록 제1제거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1제거부재의 돌출면 폭만큼 띄워져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제거부재와 제1롤러와 대응해서 회전되도록 제2제거부재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가 상기 제1롤러의 갯수보다 적게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2제거부재의 돌출면 폭만큼 띄워져 형성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3톱니바퀴와, 상 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4톱니바퀴와, 상기 제3톱니바퀴를 구동시키는 제2톱니바퀴 및 상기 제2톱니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톱니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롤러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성된 파쇄기이다.
파쇄기, 파쇄돌기, 롤러, 제거부재, 곡물

Description

파쇄기 {disintegrator}
본 고안은 생 칡뿌리, 과일, 곡물 등을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파쇄되는 물품의 크기 및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롤러의 거리를 일일이 조정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의 표면을 관리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거부재가 형성된 몸체와 돌기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롤러와 제2롤러와 구동부로 구성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 칡뿌리, 과일, 곡물 등을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말린 고추와 쌀 등의 두께가 얇고, 크기가 작은 것을 파쇄하도록 구성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파쇄기는 도 1과 같이, 상부에 두께가 얇은 말린 고추와 작은 크기의 쌀 등이 특정위치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호퍼(1)가 구비되고, 그 호퍼(1) 하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도 2와 같이 돌출면(2a, 2b)이 형성된 두 개의 롤러(2) 세 쌍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한 쌍의 롤러(2) 사이 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절뭉치(3)가 각각 구비한 파쇄부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최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2)의 사이 간격이 약 3mm로 구성되고, 중심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2) 사이 간격이 약 1mm로 구성되며, 최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2)는 각각의 돌출면(2a, 2b)이 상호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롤러(2)는 그 한 쌍의 롤러(2) 사이로 공급되는 말린 고추 및 쌀 등을 그 중심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압착하여 파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파쇄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한 쌍의 롤러(2)는 모터에 의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항상 회전하고, 상기 호퍼(1) 상부로 쌀이 투여되면, 호퍼(1)에 의해 약 3mm의 간격으로 띄워진 최상단의 롤러(2) 사이에 공급된다.
상기 최상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2) 사이에 공급된 마른고추 및 쌀 등은 그 한 쌍의 롤러(2) 사이에 용이하게 끼이고,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2)에 형성된 돌출면(2a, 2b)에 걸려 압착되어 1차 파쇄된다.
이러한 1차 파쇄는 중단에 구비된 다른 한 쌍의 롤러(2)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 크기로 파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1차 파쇄된 쌀은 다시, 상기 최상단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2)보다 더 좁게 구성되어 중단에 구비된 다른 한 쌍의 롤러(2)에 의해 더욱 작은 크기로 2차 파쇄되고, 롤러(2)의 돌출면(2a, 2b)이 상호 접하도록 구성되어 최하단에 구비된 또 다른 한 쌍의 롤러(2)에 의해 3차 파쇄되어 미세하게 파쇄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뭉치(3)를 조절하여, 그 한 쌍의 롤러(2) 사이 간격을 더 넓게 형성하여, 상기 파쇄되는 쌀보다 크고, 불특정한 형태의 감자 및 고구마 등을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에 기재된 일반적인 파쇄기를 통하여, 미세하게 파쇄를 하기 위해서는 롤러(2)의 돌기(2a, 2b)가 상호 접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롤러(2)를 통과하여야 하는바, 그 형태가 불특정하고, 그 크기가 크고, 질긴 생 칡뿌리와 고구마 및 감자 등을 미세하게 파쇄하기 위해서는 롤러(2)의 사이 간격이 보다 크게 형성한 한 쌍의 롤러(2)를 다수 구비하거나, 한 쌍의 롤러(2)의 사이 간격을 조절뭉치(3)를 통해 매번 조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쇄할 물품의 크기가 조금이라도 커지거나 작아지면, 조절뭉치(3)를 통해 일일이 그 변경된 물품이 파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2)의 간격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파쇄된 쌀 등의 찌꺼기가 롤러(2)의 돌출면 틈에 끼여서 잔류함에 따라, 균일한 파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작업자가 항상 그 롤러(2)의 돌출면 틈에 잔류하는 찌꺼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관리의 불편함이 있다.
프레임을 체결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의 상부에 호퍼가 구비되고, 그 수직부의 중심에 제1제거부재와 제2제거부재가 구비되며, 그 수직부의 전ㆍ 후방에 지지부재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제1제거부재와 대응하며 회전되도록 제1제거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1제거부재의 돌출면 폭만큼 띄워져 형성되는 제1롤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제거부재와 제1롤러와 대응해서 회전되도록 제2제거부재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가 상기 제1롤러의 갯수보다 적게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2제거부재의 돌출면 폭만큼 띄워져 형성된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롤러를 회전시키는 제3톱니바퀴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제4톱니바퀴와, 상기 제3톱니바퀴를 구동시키는 제2톱니바퀴 및 상기 제2톱니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톱니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제1롤러가 상기 제2롤러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로 구성함을 본 고안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파쇄돌기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롤러와 그 제1롤러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제1롤러에 형성된 파쇄돌기의 갯수 보다 적은 수로 형성된 제2롤러가 구동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롤러의 간격을 일일이 조절하지 않고도,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재질의 생 칡뿌리, 과일, 곡물 등을 미세하게 파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와 대응하는 제1제거부재와 제2제거부재가 그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외주 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생 칡뿌리와 과일 및 곡물 등의 찌꺼기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롤러와 제2롤러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균일한 파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파쇄되는 물품의 크기 및 형태가 변경되거나, 질기고 그 형태가 불특정한 생 칡뿌리 및 고구마 등을 한 쌍의 롤러 간격을 일일이 조정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의 표면을 일일이 관리하지 않고도 미세한 파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거부재가 형성된 몸체와 돌기의 형태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제1롤러와 제2롤러와 구동부로 구성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프레임을 체결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의 상부에 호퍼(130)가 구비되고, 그 수직부의 중심에 제1제거부재(110)와 제2제거부재(120)가 구비되며, 그 수직부의 전ㆍ후방에 지지부재(14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고정되어 제1제거부재(110)와 대응하며 회전되도록 제1제거부재(1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210)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 폭만큼 띄워져 형성되는 제1롤러(20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제거부재(120)와 제1롤러(200)와 대응해서 회전되도록 제2제거부재(120)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310)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가 상기 제1롤러(200)의 갯수보다 적게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2제거부재(120)의 돌출면(121) 폭만큼 띄워져 형성된 제2롤러(300)와; 상기 제1롤러(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제1롤러(200)를 회전시키는 제3톱니바퀴(430)와, 상기 제2롤러(300)의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제2롤러(300)를 회전시키는 제4톱니바퀴(440)와, 상기 제3톱니바퀴(430)를 구동시키는 제2톱니바퀴(420) 및 상기 제2톱니바퀴(420)와 체인(450)으로 연결되어 모터(46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톱니바퀴(410)로 구성되어 상기 제1롤러(200)가 상기 제2롤러(300)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4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제거부재(110)는 한쪽 면에 상기 제1롤러(200)와 대응하는 "ㄷ"자 형태의 돌출면(111)이 형성되고, 제2제거부재(120)는 한쪽 면에 상기 제2롤러(300)와 대응하는 "ㄷ"자 형태의 돌출면(211)이 형성된 대략적인 구성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종래의 곡물용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곡물용 파쇄기의 세 쌍으로 구성된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롤러와 제거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롤러와 제거부재의 작동관계의 단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물품을 파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몸체(100), 제1롤러(200), 제2롤러(300) 및 구동부(400)로 구성되는바, 그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첫째, 상기 몸체(10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을 체결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으로 형성된 공간 부의 중심에 평면형태의 제1제거부재(110)가 약 45°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그 측면에 제1제거부재(110)와 대칭되도록 제2제거부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거부재(110, 120)가 구비된 상부에 상부면은 넓고 하부면이 좁은 통로가 형성된 통상의 호퍼(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거부재(110, 120)와 호퍼(130) 사이의 전방과 후방에 2개의 지지구멍(141)이 형성된 평면 형태의 지지면(140)이 각각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그 호퍼(130)가 구비된 수직 부의 최하단에 파쇄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통상의 서랍(150)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대칭 구비된 제1제거부재(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 면에 폭이 2cm인 "ㄷ"자 형태의 돌출면(111)과, 폭이 2cm인 홈(11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이고, 제2제거부재(120)는 한쪽 면에 폭이 2cm인 "ㄷ"자 형태의 돌출면(121)과, 폭이 2cm인 홈(12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과 제2제거부재의 홈(122)이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 것이다.
둘째, 제1롤러(200)는 상기 도 4 내지 도 5과 같이, 상기 제1제거부재(110)와 길이가 동일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고, 양 끝단에 회전축(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파쇄시킬 물품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끝단의 일부가 절개되고 폭이 2cm인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를 반복형성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그 파쇄돌기(10)가 나선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이 그 파쇄돌기(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2cm의 간격으로 연속형성된 것이다.
셋째, 제2롤러(300)는 도 4 내지 도 5과 같이, 상기 제2제거부재(120)와 길 이가 동일한 원기둥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 회전축(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형상의 몸체 원주에 파쇄시킬 물품이 걸릴 수 있도록, 폭이 2cm인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를 상기 제1롤러(200)에 반복형성된 파쇄돌기(10)의 갯수보다 적은 갯수로 반복형성함과 동시에 나선방향으로 연속형성하되, 상기 제2제거부재(120)에 형성된 돌출면(121)이 그 파쇄돌기(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2cm의 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가 상기 제1롤러(200)에 반복형성된 파쇄돌기(10) 보다 적은 개수로 몸체의 원주를 따라서 반복형성됨에 따라,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파쇄돌기(10)의 줄 간격이 상기 제1롤러(2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의 줄 간격보다 2배 넓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기재된 돌출면(111, 121)과 홈(112, 122) 및 파쇄돌기(10)의 폭 길이는 본 고안의 원활한 설명을 위해 한정한 것일 뿐이며, 다양한 크기로 변경실시 하여도 무방하다.
넷째, 구동부(40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제1롤러(200)의 회전축(210)과 제2롤러(300)의 회전축(310)에 구비되어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를 회전시키도록, 체인(450)이 구비된 제1롤러(200)의 원 지름 보다 작은 크기의 제1톱니바퀴(410)가 모터(450)에 구비되고, 상기 제1롤러(200)의 회전축(210)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450)과 연결되되, 제1롤러(2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2톱니바퀴(420)가 제1톱니바퀴(410)의 크기보다 크고 제2톱니바퀴(4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3톱니바퀴(430) 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톱니바퀴(430)보다 크고 제2톱니바퀴(4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4톱니바퀴(440)가 제2롤러(300)의 회전축(310)에 구비되되, 상기 제3톱니바퀴(430)와 맞물려서 반대방향으로 연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구동부(400)는 상기 모터(460)의 구동에 의해, 제3톱니바퀴(430)와 제2톱니바퀴(420)가 구비된 제1롤러(200)가 가장 빨리 회전되고, 제3톱니바퀴(430)에 연동하도록 구성된 제4톱니바퀴(440)가 구비된 제2롤러(300)을 상기 제2톱니바퀴(420)보다 느리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100)와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 및 구동부(400)로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제1제거부재(110) 상부에 제1롤러(200)가 회전하도록, 몸체(100)의 지지면(140)에 고정하되, 도 5와 같이,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이 상기 나선방향으로 연속형성된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 사이에 삽입되어, 그 제1롤러(200)의 외면에 접하여 대응하도록 구비한 다.
그리고 제2롤러(300)를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지지면(140)에 상기 제1롤러(2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제거부재(120)와 대응하도록 구비하되, 도 5와 같이, 나선방향으로 연속형성된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 사이에,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비한다.
즉, 제1롤러(200)의 외주 면에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가 접하고, 제2롤러(300)의 외주 면에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가 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구동부(400)의 제2톱니바퀴(420)와 제3톱니바퀴(430)를 제1롤러(200)의 회전축(210)에 고정하고, 제2롤러(300)의 회전축(210)에 제4톱니바퀴(4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가 구비되지 않은 몸체(100) 한쪽에 상기 제1톱니바퀴(410)가 구비된 모터(450)를 구비하되, 제1톱니바퀴(410)과 제2톱니바퀴(420)에 체인(45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결합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완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동부(400)의 동작으로,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가 연동하 여 회전하되, 제1롤러(200)가 제2롤러(300)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몸체(100)에 구비된 호퍼(130)를 통과한 생 칡뿌리가 상기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 사이에 공급되면, 생 칡뿌리의 한쪽 측면이 회전하는 제2롤러(3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에 완전히 걸리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롤러(300)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에 찍혀서 파쇄된다.
위와 같이,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에 찍혀서 일부 파쇄된 생 칡뿌리는 제2롤러(300)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는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에 의해서, 측면이 찢어짐과 동시에, 제1롤러(2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의 상부 면과 제2롤러(300)의 외주 면이 접하는 중심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에 찍혀서 측면이 찢어짐과 동시에 이동되는 생 칡뿌리가 제1롤러(2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의 상부 면이 제2롤러(300)의 외면과 접하는 중심부로 이동되면, 제1롤러(2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의 상부 면과 제2롤러(300)의 외주 면에 순간적으로 찧어져서 미세하게 파쇄된다.
또한, 제2롤러(300)에 형성된 파쇄돌기(10)가 제1롤러(200)의 외주 면에 순간적으로 찧어져서 미세하게 파쇄된다.
상기와 같이,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 상부 면이 제2롤러(300)의 외주 면에 접하고,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 상부 면이 제1롤러 외주 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롤러(200, 300)에 의해서, 도 7과 같이, 파쇄될 물품의 크기 및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고도 미세하게 파쇄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파쇄돌기(10)와 외주 면에 의해 찧어져서 파쇄되는 생 칡뿌리는 각각의 파쇄돌기(10)와 파쇄돌기(10) 사이에 그 찌꺼기(a)가 잔류하게 되는데, 제1롤러(200)의 파쇄돌기(10)와 파쇄돌기(10) 사이에 잔류하는 찌꺼기(a)는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에 의해 제거되고, 제2롤러(300)의 파쇄돌기(10)와 파쇄돌기(10) 사이에 잔류하는 찌꺼기(a)는 제2제거부재(120)의 돌출면(121)에 의해 제거된다.
위와 같이, 미세하게 파쇄된 생 칡뿌리는 몸체(100) 하단에 구비된 서랍(150)으로 공급되는 것을 작동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관계를 통해, 제1롤러(200)와 제2롤러(300)에 끼인 생 칡뿌리의 찌꺼기(a)를 작업자가 일일이 제거하여야하는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미세한 파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곡물용 파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곡물용 파쇄기의 세 쌍으로 구성된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롤러와 제거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롤러와 제거부재의 작동관계의 단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의 물품을 파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찌꺼기 10 : 파쇄돌기
100 : 몸체 110 : 제1제거부재
120 : 제2제거부재 130 : 호퍼
140 : 지지부재 150 : 서랍
200 : 제1롤러 300 : 제2롤러
400 : 구동부

Claims (2)

  1. 삭제
  2. 파쇄기에 있어서,
    프레임을 체결하여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의 상부에 호퍼(130)가 구비되고, 그 수직부의 중심에 제1롤러(200)와 대응하는 "ㄷ"자 형태의 돌출면(111)이 형성된 제1제거부재(110)와 제2롤러(300)와 대응하는 "ㄷ"자 형태의 돌출면(211)이 형성된 제2제거부재(120)가 구비되며, 그 수직부의 전ㆍ후방에 지지부재(140)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고정되어 제1제거부재(110)와 대응하며 회전되도록 제1제거부재(1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210)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1제거부재(110)의 돌출면(111) 폭만큼 띄워져 형성되는 제1롤러(20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고정되어 상기 제2제거부재(120)와 제1롤러(200)와 대응해서 회전되도록 제2제거부재(120) 상단에 설치되며, 양 끝단에 회전축(310)이 구비되고 원기둥 형상의 몸체 원주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파쇄돌기(10)가 상기 제1롤러(200)의 갯수보다 적게 형성되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는 파쇄돌기(10)가 나선형으로 상기 제2제거부재(120)의 돌출면(121) 폭만큼 띄워져 형성된 제2롤러(300)와;
    상기 제1롤러(200)의 회전축(210)과 연결되어 제1롤러(200)를 회전시키는 제3톱니바퀴(430)와, 상기 제2롤러(300)의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제2롤러(300)를 회전시키는 제4톱니바퀴(440)와, 상기 제3톱니바퀴(430)를 구동시키는 제2톱니바퀴(420) 및 상기 제2톱니바퀴(420)와 체인(450)으로 연결되어 모터(46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톱니바퀴(410)로 구성되어 상기 제1롤러(200)가 상기 제2롤러(300)보다 빠르게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KR2020070020295U 2007-12-18 2007-12-18 파쇄기 KR200441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95U KR200441050Y1 (ko) 2007-12-18 2007-12-18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95U KR200441050Y1 (ko) 2007-12-18 2007-12-18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30U KR20080000030U (ko) 2008-01-07
KR200441050Y1 true KR200441050Y1 (ko) 2008-07-18

Family

ID=4164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95U KR200441050Y1 (ko) 2007-12-18 2007-12-18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68B1 (ko) * 2012-12-26 2014-04-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용 펠릿 제조장치
KR101750880B1 (ko) * 2014-06-27 2017-06-29 (주)대한식품 누룽지 파쇄장치
KR102223400B1 (ko) * 2020-07-27 2021-03-05 농업회사법인 라이스푸드 주식회사 누룽지 파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50B1 (ko) * 2008-03-04 2008-08-13 우해식 칡뿌리를 절단하는 장치
CN104841510A (zh) * 2015-05-13 2015-08-19 孙娟 薯类组合粉碎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68B1 (ko) * 2012-12-26 2014-04-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용 펠릿 제조장치
KR101750880B1 (ko) * 2014-06-27 2017-06-29 (주)대한식품 누룽지 파쇄장치
KR102223400B1 (ko) * 2020-07-27 2021-03-05 농업회사법인 라이스푸드 주식회사 누룽지 파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30U (ko)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050Y1 (ko) 파쇄기
US7896275B2 (en) Comminution plant
US20050242221A1 (en) Two-shaft industrial shredder
CA1119574A (en) Comminuting unit
EP3705183B1 (en) Crusher for grinding and crushing materials
KR100940047B1 (ko) 고추씨 분리장치가 있는 고추씨 분쇄장치
US4519550A (en) Material guide and cleaner for comminuting apparatus
US3151645A (en) Breaker and shredding cylinder for ear corn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KR100574063B1 (ko) 음식물 파쇄기
US779625A (en) Corn-chopping machine.
JP6656863B2 (ja) 回転刃体及び粉砕機
KR20150054537A (ko) 두유 제조 장치
KR200204228Y1 (ko) 고추 분쇄기
US1131230A (en) Grinding-mill.
KR960003077Y1 (ko) 슬러지 배출압력 조절용 디스크를 가진 착즙기
KR200219303Y1 (ko) 고추 분쇄기
KR101861760B1 (ko) 고추분쇄기
US260226A (en) Crushing-roll
KR200391652Y1 (ko) 고추분쇄기
US1091654A (en) Attrition-mill.
AU673008B2 (en) Machine for removing the coatings from produce
KR20130051557A (ko) 수평형 고추분쇄기
KR102641213B1 (ko) 파쇄기
US5470023A (en) Crushing apparatus for was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