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331B1 -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 Google Patents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331B1
KR101615331B1 KR1020150013951A KR20150013951A KR101615331B1 KR 101615331 B1 KR101615331 B1 KR 101615331B1 KR 1020150013951 A KR1020150013951 A KR 1020150013951A KR 20150013951 A KR20150013951 A KR 20150013951A KR 101615331 B1 KR101615331 B1 KR 10161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sh
mesh basket
plate
n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진
강수민
Original Assignee
강석진
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진, 강수민 filed Critical 강석진
Priority to KR102015001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P1/02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식품이나 약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망통(網筒)의 배출구멍으로 배출시켜서 국수가닥처럼 뽑아내는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3~4mm로 두께가 두꺼운 스텐레스판에 접시머리나사형태의 배출구멍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망판을 형성한 뒤에, 이 망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서로 맞닿는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망통을 형성하되 접시형홈 테이퍼홀이 망통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망통의 상하부에 상하부지지틀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함으로써,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망통 내측에서 교반날개로서 배출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킬 때, 망통과 망통을 포함한 망통유닛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식용물반죽을 외측으로 밀어낼 때 발생하는 압력에도 망통이 충분히 견디어서 망통이 불룩하게 변형되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케이싱(4)의 상면에 설치된 상판(19)에는 모터(6)와 연결 설치되는 감속기(7)의 감속기축(7a)이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축(7a)에는 교반날개(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날개(3) 외측의 상판(19)에는 원주 전체면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4)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측에 원료투입호퍼(9)가 설치되는 망통유닛(10)이 설치되고, 상판(19)의 외주에는 과립받침구(8)가 설치된 식용물과립기(20)에 있어서,
상기 망통유닛(10)은 3~4mm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원통관형태의 망통(15)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4)을 형성하되, 이 배출구멍(14)은 망통(15)의 내부면에 내경이 작은 쪽의 테이퍼홀(12)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테이퍼홀(12)의 외측단부에는 수평홀(13)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며,
상기 망통(15)의 하단부에는 망통유닛(10)을 상판(19) 상에 볼트로 결합하는 하부지지틀(17)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망통(15)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상부지지틀(16)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Discharge drum unit of edible granulator}
본 발명은 건강식품이나 약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망통(網筒)의 배출구멍으로 배출시켜서 국수가닥처럼 뽑아내는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3~4mm로 두께가 두꺼운 스텐레스판에 접시머리나사형태의 배출구멍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망판을 형성한 뒤에, 이 망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서로 맞닿는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망통을 형성하되 접시형홈 테이퍼홀이 망통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망통의 상하부에 상하부지지틀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함으로써,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망통 내측에서 교반날개로서 배출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킬 때, 망통과 망통을 포함한 망통유닛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식용물반죽을 외측으로 밀어낼 때 발생하는 압력에도 망통이 충분히 견디어서 망통이 불룩하게 변형되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종래의 과립기는 실용신안등록 제20-388590호(고안의 명칭 : 과립기)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서 그 구조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고안에 포함되는 망통(종래고안에는 망체로 칭하였음)은 그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1mm 내외의 얇은 두께로 된 금속판(스텐레스판)에 내경이 1~1.5mm의 배출구멍을 촘촘히 타공한 타공망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하였다.
이렇게 종래의 과립기에 포함되는 망통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틀(1)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가 얇으며, 그렇게 얇은 두께로 된 금속판에 무수히 많은 배출구멍을 촘촘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가진 실용물반죽을 교반날개(3:종래고안에는 교반수단이라고 칭하였음)로 밀어낼 때, 얇은 두께로 된 망틀(1)에는 망통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커다란 압력이 작용하여 망틀(1)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늘어나면서 배출구멍과 배출구멍 사이의 금속부분이 터지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고안은 위와 같은 일반적인 타공망 형태로 형성된 망틀(1)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망틀(1)의 외부에 얇은 망틀(1)이 외부로 불룩하게 늘어나는 것을 저지하는 망틀지지체(2)를 창살형태로 설치하였으며, 이 창살형태로 형성되는 망틀지지체(2)는 반원형으로 분리 형성되고 이들을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망틀(1)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하였다.
위와 같이 창살형태의 망틀지지체(2)를 망틀(1)의 외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식용물반죽을 교반날개(3)로 밀어낼 때, 교반날개(3)는 90~100rpm으로 회전하면서 식용물반죽을 망틀(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마찰열과 저항력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열기에 의해 식용물반죽에 포함된 당분이 끈적하게 점성이 생기게 되어 얇은 금속판으로 된 망틀(1)에 커다란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 창살형태의 망틀지지체(2)가 위치한 부분은 망틀지지체(2)의 창살부분에 의해 망틀(1)가 외부로 늘어나지 않으나, 망틀지지체(2)의 창살부분이 감싸지 않은 부분으로 압력이 집중되면서 그 부분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늘어나게 되고, 점차적으로 작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룩하게 늘어나는 부분이 터지게 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또한, 망틀(1)의 외부를 창살형태의 망틀지지체(2)가 막고 있음에 따라 망틀지지체(2)의 면적만큼 식용물반죽이 망틀(1)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빠져나가는 양이 감축되어 생산량이 감축되게 되는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88590호(고안의 명칭 : 과립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통을 구성할 때, 3~4mm로 두께가 두꺼운 스텐레스판에 접시머리나사형태의 배출구멍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망판을 형성한 뒤에, 이 망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서로 맞닿는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망통을 형성하되 접시형 테이퍼홀이 망통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망통의 상하부에 상하부지지틀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함으로써,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망통 내측에서 교반날개로서 배출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킬 때, 망통과 망통을 포함한 망통유닛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식용물반죽을 외측으로 밀어낼 때 발생하는 압력에도 망통이 충분히 견디어서 망통이 불룩하게 변형되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된 상판의 저면에는 모터가 구비된 감속기를 설치하되, 감속기축이 상판의 상측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판 상측의 감속기축에는 교반날개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날개 외측의 상판에는 원주 전체면에 다수개의 배출구멍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측에 원료투입호퍼가 설치되는 망통유닛이 설치되고, 상판의 외주에는 일측에 배출구를 구비한 과립받침구가 설치된 식용물과립기에 있어서, 상기 망통유닛은 3~4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텐레스 원통관형태의 망통에 다수개의 배출구멍을 형성하되, 이 배출구멍은 망통의 내면에 내경이 작은 쪽의 테이퍼홀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테이퍼홀의 외측단부에는 수평홀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며, 상기 망통의 하단부에는 망통유닛을 상판 상에 볼트로 결합하는 하부지지틀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망통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원료투입호퍼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상부지지틀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용물과립기의 망통유닛은, 망통을 구성할 때, 3~4mm로 두께가 두꺼운 스텐레스판에 접시머리나사형태의 배출구멍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망판을 형성한 뒤에, 이 망판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서로 맞닿는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망통을 형성하되 접시형 테이퍼홀이 망통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망통의 상하부에 상하부지지틀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함으로써, 고약과 같이 끈적한 점성을 띠는 식용물반죽을 망통 내측에서 교반날개로서 배출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시킬 때, 망통과 망통을 포함한 망통유닛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식용물반죽을 외측으로 밀어낼 때 발생하는 압력에도 망통이 충분히 견디어서 망통이 불룩하게 변형되거나 터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망통의 내면에 수평홀과 연통되는 접시형홈이 형성되어 식용물반죽이 접시형홈과 수평홈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구멍으로 배출될 때, 배출저항이 감쇄되어 식용물반죽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고, 종래의 망통과 같이 망통의 외부를 막는 창살과 같은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종래고안 보다는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식용물과립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망통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망통유닛을 구성하는 망통을 전개한 망판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용물과립기의 망통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포함되는 식용물과립기(2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4)의 내부에는 모터(6)와, 모터(6)의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7)가 설치되고, 본체케이싱(4)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19)에 상기 감속기(7)가 상향 설치되어 감속기축(7a)이 상판(19)의 상측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판(19)의 상측으로 상향 돌출된 감속기축(7a)에는 교반날개(3)가 결합 설치되며, 교반날개(3) 외측의 상판(19) 상에는 망통유닛(10)의 하부지지틀(17)이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망통유닛(10)의 상부에는 원료투입호퍼(9)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판(19)의 외주연에는 일측에 배출구(8a)를 구비한 과립받침구(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8a)측의 본체케이싱(4) 전방에는 배출구(8a)를 통하여 낙하되는 과립성형물(미도시)이 담겨지는 용기(미도시)가 놓여지는 용기받침판(5)이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용기받침판(5)는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용기받침판(5)를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과립성형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과립성형물은 식용물반죽이 망통유닛(10)의 배출구멍(14)을 통하여 외부로 국수가닥처럼 나오는 것을 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부가 되는 상기 망통유닛(10)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3~4mm로 두께가 두꺼운 스텐레스판에 접시머리나사형태의 배출구멍(14)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망판(11)을 형성한 뒤에, 이 망판(11)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서로 맞닿는 단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원통관 형태의 망통(1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출구멍(14)은 망통(15)의 안쪽면에 테이퍼홀(12)이 형성되고, 테이퍼홀(12)의 작은 내경부와 동일한 내경으로 수평홀(13)이 망통(15)의 외측을 향하여 관통 형성되어 배출구멍(14)은 접시머리나사형태로 내외부가 통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망통(15)의 상하부 외주연에는 링형태로 형성되는 상하부지지틀(16,17)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의 연결부가 용접에 의헤 결합 설치된다. 이때, 용접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용접부(18)라고 칭한다.
상부지지틀(16)은 도 2,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지지틀(16)이 망통(15)의 상단부 외주연에 절반 정도만 끼워진 상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망통(15)이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상부지지틀(16) 내측과 망통(15)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분에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지지틀(17)의 경우는 망통(15)의 하단부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망통(15)의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하며, 이 하부지지틀(17)이 플랜지형태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볼트구멍(17a)이 형성되어 하부지지틀(17)을 포함한 망통(15)을 교반날개(3) 외측의 상판(19) 상에 볼트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망통유닛(10)은 상기 망통유닛(10)은 3~4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텐레스 원통관형태의 망통(15)에는 다수개의 배출구멍(14)을 형성하되, 이 배출구멍(14)은 망통(15)의 내면에 내경이 작은 쪽의 테이퍼홀(12)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테이퍼홀(12)의 외측단부에는 수평홀(13)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망통(15)의 하단부에는 망통유닛(10)을 상판(19) 상에 볼트로 결합하는 하부지지틀(17)이 용접으로 의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망통(15)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상부지지틀(16)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며, 망통(15)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상부지지틀(16)과 하부지지틀(17)이 망통(15)의 외주연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통유닛(10)의 하측 하부지지틀(17)이 본체케이싱(4)의 상측에 수평 설치된 상판(19)에 볼트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망통유닛(10)의 내측에는 교반날개(3)가 감속기축(7a)에 설치되어 있으며, 망통유닛(10)의 상측 상부지지틀(16) 내측에는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끼움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망통(15)의 상단부 외측에 상부지지틀(16)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부지지틀(16)의 내면과 망통(15)의 상단부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걸림식으로 끼움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식용물반죽을 원료투입호퍼(9)를 통하여 교반날개(3)의 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한 뒤에 본체케이싱(4)의 내측에 설치된 모터(6)를 가동시키게 되면, 그 모터의 회전력이 감속기(7)에서 감속된 상태에서 감속기축(7a)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감속기축(7a)에는 교반날개(3)가 설치되어서 감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작하는 식용물과립기(20)에서는 교반날개(3)의 회전속도를 90~1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위의 회전속도로 교반날개(3)가 회전할 때, 교반날개(3)의 날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식용물반죽은 날개부의 곡선 형상에 의해 교반날개(3)의 중심부분과 근접한 방향에서 망통(15)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회전한다.
이렇게 망통(15)의 내측부분에서 망통(15)의 내주면측으로 식용물반죽을 밀어내면서 회전함에 따라 망통(15)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하는 식용반죽의 접촉면에서는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식용물반죽에 포함된 당성분이 녹으면서 식용물반죽이 엿이나 고약처럼 끈적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엿이나 고약처럼 끈적한 상태가 된 식용물반죽은 점성을 띠고 있음에 따라 스텐레스판으로 된 망통(15)의 내주면에 부착하게 되고, 그렇게 망통(15)의 내주면에 부착하는 식용물반죽을 망통(15)의 내부면에서 강제적으로 밀어내면서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곡선형성으로 형성된 교반날개(3)의 날개부에 의해 식용물반죽이 붙으면서 지나가는 망통(15)의 내면은 외측으로 늘어나게 하는 압력(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래의 망판은 두께가 1mm 내외로 얇으면서 배출구멍의 내경이 내외측이 동일하게 형성되어서 종래의 망판은 식용물반죽이 붙으면서 지나가는 망판의 내부면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께가 3~4mm 내외의 두께만큼 두꺼우면서 배출구멍(14)의 형상이 접시머리나사형태로 형성되되, 접시머리모양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홀(12)이 망통(15)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내경이 넓은 부분이 망통(15)의 내부면과 접하여 형성되고, 수평홀(13)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끈적한 식용물반죽이 망통(15)의 내부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접시머리형의 테이퍼홀(12)을 지나갈 때 테이퍼홀(12)의 대응하는 위치의 식용물반죽이 테이퍼홀(12)로 쉽게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테이퍼홀(12)로 유입되는 식용물반죽은 테이퍼홀(12)의 후단부와 통하게 연결 형성된 수평홀(13)을 통하여 망통(15)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되며, 이렇게 배출되는 반죽은 국수가닥처럼 망통(15) 외측의 공간, 즉 커다란 용기형태로 형성된 과립받침구(8)에 노출되며 모여지게 된다.
이렇게 국수형태로 과립받침구(8)에 모여진 식용물가닥은 건조과정을 거친 후 알갱이 형태로 파쇄되어 약제나 건강식품으로 복용할 수 있는 과립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망통(15)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3~4mm 내외의 두께만큼 두꺼운 스텐레스판으로 원통관 형태로 제작하면서 그 망통(15)의 상하부 외측에 상하부지지틀(16,17)을 끼운 뒤에 그들의 결합 부분을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였기 때문에, 망통(15)의 내부에서 교반날개(3)에 의해 압력적으로 망통(15)의 내부면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상하부지지틀(16,17)이 망통(15)의 외측 상하부를 오므리듯 감싸고 있기 때문에 망통(15)이 벌어지려고 하는 것을 막아주어 원통관형태의 망통(15)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망틀 2 : 망틀지지체 3 : 교반날개
4 : 본체케이싱 5 : 용기받침판 6 : 모터
7 : 감속기 8 : 과립받침구 9 : 원료투입호퍼
10 : 망통유닛 11 : 망판 12 : 테이퍼홀
13 : 수평홀 14 : 배출구멍 15 : 망통
16 : 상부지지틀 17 : 하부지지틀 18 : 용접부
19 : 상판 20 : 식용물과립기

Claims (2)

  1. 본체케이싱(4)의 상면에 설치된 상판(19)에는 모터(6)와 연결 설치되는 감속기(7)의 감속기축(7a)이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축(7a)에는 교반날개(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교반날개(3) 외측의 상판(19)에는 원주 전체면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4)이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측에 원료투입호퍼(9)가 설치되는 망통유닛(10)이 설치되고, 상판(19)의 외주에는 과립받침구(8)가 설치된 식용물과립기(20)에 있어서,
    상기 망통유닛(10)은 3~4mm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원통관형태의 망통(15)에 다수개의 배출구멍(14)을 형성하되, 이 배출구멍(14)은 망통(15)의 내부면에 내경이 작은 쪽의 테이퍼홀(12)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고, 테이퍼홀(12)의 외측단부에는 수평홀(13)이 외측을 향하게 형성되며,
    상기 망통(15)의 하단부에는 망통유닛(10)을 상판(19) 상에 볼트로 결합하는 하부지지틀(17)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망통(15)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원료투입호퍼(9)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상부지지틀(16)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물과립기의 망통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틀(16)과 하부지지틀(17)이 망통(15)의 외주연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물과립기의 망통유닛.
KR1020150013951A 2015-01-29 2015-01-29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KR10161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51A KR101615331B1 (ko) 2015-01-29 2015-01-29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51A KR101615331B1 (ko) 2015-01-29 2015-01-29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331B1 true KR101615331B1 (ko) 2016-04-25

Family

ID=5591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951A KR101615331B1 (ko) 2015-01-29 2015-01-29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90Y1 (ko) 2005-04-01 2005-06-29 김화영 과립기
KR101343599B1 (ko)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590Y1 (ko) 2005-04-01 2005-06-29 김화영 과립기
KR101343599B1 (ko) 2013-05-27 2013-12-20 김재원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8794A1 (en) Auger for vertical mixer
RU2391808C1 (ru) Прямоточный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CN207769876U (zh) 一种食品加工用带有研磨功能的粉碎装置
CN211510495U (zh) 棕榈核破碎筛分机
KR101615331B1 (ko) 식용물 과립기의 망통유닛
CN209234785U (zh) 一种魔芋面条加工设备
CN220310923U (zh) 一种防堵塞的花椒籽壳分筛装置
CN205848540U (zh) 一种香肠灌装机
CN219009928U (zh) 一种工业污水化学处理加药装置
CN218795550U (zh) 一种糕点生产用原料搅拌装置
CN108576097A (zh) 基于茶多酚排毒功效的魔芋保健面条加工设备
CN217313730U (zh) 一种农业碎土机
CN209030970U (zh) 长生菜面条装置
CN213792711U (zh) 一种农药生产用粉末振筛装置
CN210545435U (zh) 一种营养保健食品生产用碎料装置
CN210675095U (zh) 一种农业生产用造粒机
CN110839905A (zh) 一种农产品加工用榨汁设备
CN114225746A (zh) 一种肉鸡养殖用饲料混合投喂装置
JP5838518B2 (ja) 生地混練用縦型ミキサ
CN205925563U (zh) 易于清理的膨化食品巧克力类调料添加搅拌罐
US20150208670A1 (en) Device for mixing and/or kneading food products
CN218418193U (zh) 一种糕点生产加工用自动拌料装置
CN210542475U (zh) 一种包衣机滚筒装置
EP111392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food products
CN216247887U (zh) 一种农药生产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