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708Y1 - 납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납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708Y1
KR200386708Y1 KR20-2005-0008416U KR20050008416U KR200386708Y1 KR 200386708 Y1 KR200386708 Y1 KR 200386708Y1 KR 20050008416 U KR20050008416 U KR 20050008416U KR 200386708 Y1 KR200386708 Y1 KR 200386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ank
dross
regeneration
regene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모
Original Assignee
(주)유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엠텍 filed Critical (주)유엠텍
Priority to KR20-2005-0008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3/00Obtaining lead
    • C22B13/04Obtaining lead by wet processes
    • C22B13/045Recovery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6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6/00Metallurgical apparatus
    • Y10S266/901Scrap metal preheating or me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납산화물로부터 납과 드로스를 분리한 후 분리된 납과 드로스의 취급이 편리하고, 납산화물을 휘젓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작업자의 화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며 납산화물이 투입되고 하부에 드레인부(22a)가 구비된 납재생탱크(20)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납재생용기에 투입된 납산화물을 용융하여 액상의 납과 고체의 드로스로 분리하는 히터(30)와; 상기 납재생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용융된 납과 드로스를 분리하기 위한 임펠러(40)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를 개폐하는 밸브(60)와; 그리고, 상기 납재생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납을 저장하는 납저장탱크(50)를 포함하고, 상하부 플레이트(51a,51b) 및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바(51c)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납저장탱크가 삽입되며 상기 납재생탱크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지지파이프(23f)를 통해 상기 납재생탱크가 결합되는 프레임(51)과;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가 지지되는 인출플레이트(71)와;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를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삽입하는 인출실린더(70)와; 그리고,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납저장탱크가 결합된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실린더(73)가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납 재생장치{A solder reproducible machine}
본 고안은 납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산화물을 납과 드로스를 분리한 후 분리된 납과 드로스를 넓은 공간에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납의 재생시 용이한 작업으로 납산화물을 휘젓을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화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한 납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품에는 각종 소자를 납땜으로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하 '기판'이라 약칭함)이 내장된다.
기판의 납땜은 통상적으로 납땜 공정 전에 별도의 선공정에서 납땜할 부위에 용제를 도포한 다음, 후속하는 납땜 공정에서 그 부위에 납땜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납땜 장치는 예컨대, 액상의 납이 저장되는 납땜조와, 상기 납땜조 내부에 기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납을 기판측으로 용출함으로써 소자를 납땜하는 노즐과(기판에 부착된 칩을 납땜하기 위한 노즐, 기판에 부착된 일반적인 부품을 납땜하기 위한 노즐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납땜조의 내부에 저장된 납을 상기 노즐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임펠러와, 상기 납땜조에 저장된 납을 용융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납땜 장치에 의하면, 상기 노즐을 통해 납땜조에 저장된 액상의 납이 기판측으로 용출되어 납땜이 이루어지며, 기판측으로 용출된 모든 납이 납땜되지 않고 일부 납은 다시 납땜조로 낙하된다. 이때, 납땜조로 낙하된 납은 공기와 접촉되어 자연적인 산화가 발생하고, 특히, 용융된 납이 상기 노즐을 통해 일정 높이로 용출된 후 다시 낙하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납땜되지 않고 낙하하는 많은 양의 산화물이 발생된다.
납땜시 자연발생되는 산화물은 납땜조 내의 용융된 납의 액상면에 부유하고 있으므로 산화물을 제거시 많은 양의 납과 불순물이 혼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기판의 납땜시 발생되는 납산화물으로부터 납을 추출하여 재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납산화물에서 납을 재생하는 납 재생장치는 예컨대,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내장되며 고체의 납산화물이 저장되며 하측에 납산화물에서 분리된 액상의 납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를 갖는 납재생탱크와, 상기 납재생탱크에 저장된 고체의 납산화물을 액상으로 용융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납재생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납산화물을 교반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를 개페하는 밸브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에서 배출되는 납(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납)을 저장하는 납저장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납 재생장치에 따르면, 고체의 납산화물을 납재생탱크에 투입한 후, 기기를 작동하면 히터의 열에 의해 납산화물이 용융되어 액상의 납과 고체의 불순물로 분리되고, 이 과정에서 임펠러를 수작업으로 조작하여 납재생탱크 내의 납산화물을 골로구 섞게 된다. 분리된 액상의 납은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를 통해 납저장용기로 모이게 되고, 불순물은 납재생탱크에 남게 된다. 이때, 납재생탱크 내의 모든 납산화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임펠러를 수작업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납 재생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납재생탱크가 캐비넷 내부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납의 재생이 완료된 후 재생된 납과 드로스를 외부로 빼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몸이나 손을 캐비넷의 내부로 넣어 납재생탱크, 납저장용기를 직접 잡고 상기 캐비넷 밖으로 인출하여야 하는데, 상기 캐비넷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재생된 납과 드로스의 제거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납재생탱크 내의 모든 납산화물을 납과 불순물로 분리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임펠러를 회전 및 승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수작업에 의해 임펠러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임펠러의 승강속도가 달라져 납재생탱크 내의 모든 납산화물을 납과 불순물로 분리함에 있어 납과 불순물로 분리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된다.
또한, 납 재생시 불순물이 납재생탱크에 남게 되어 오랜시간 납재생작업을 실시하면,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가 불순물에 의해 막혀 납을 배출할 수 없으므로 수시로 불순물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드로스탱크를 상기 캐비넷에서 인출 운반하기 위한 마땅한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고리를 걸어 운반한 후, 손으로 납재생탱크를 잡고 뒤집어 불순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납산화물을 납과 드로스를 분리하여 납의 재생작업이 완료된 후, 납과 드로스를 넓은 공간에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한 납 재생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납재생탱크에 투입된 납산화물을 골고루 휘저을 때 작업자가 임펠러를 승강시키지 않아도 임펠러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고온의 납재생탱크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는, 납산화물이 투입되는 납재생탱크와 재생된 납이 저장되는 납저장탱크가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납재생탱크 내부에 투입된 납산화물을 휘젓기 위하여 임펠러를 돌리는 작업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 및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납재생탱크를 잡지 않고 안정된 자세로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드로스호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납 재생장치는, 캐비넷(10)과,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납산화물이 투입되어 재생되는 공간인 납재생탱크(20)와, 납재생탱크(20)에 투입되는 납산화물을 액상의 납과 분말의 드로스로 분리하는 히터(30)와, 납재생탱크(20)에서 재생되는 납산화물을 교반하는 임펠러(40)와, 납재생탱크(20)에서 재생된 액상의 납을 저장하는 납저장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넷(10)은 상부 커버(11), 하부 프레임(12), 상부 커버(11)와 하부 프레임(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측벽(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13)은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커버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 도어(14)(도 1에 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넷(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 프레임(12)의 저부에 다수의 바퀴(15)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납재생탱크(20)는 드로스탱크(21), 외부탱크(22) 및 서포트 탱크(23)로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드로스탱크(21)는 납산화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납산화물이 히터(30)에 의해 액상의 납과 분말의 드로스로 분리된 상태에서 액상의 납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부에 드로스만 남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부에는 액상의 납이 배출되는 납배출공(21a)이 형성되고, 개구부측 둘레부에는 외향 플랜지(21b)가 구비된다. 바닥부는 납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외부탱크(22)는 드로스탱크(21)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그 형상은 드로스탱크(21)와 동일할 수 있고, 하부 중앙에는 납이 배출되는 드레인부(22a)가 구비되고, 개구부측 둘레부에는 외향 플랜지(22b)가 형성된다.
도 3과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서포트탱크(23)는 상하가 개구된 통 구조이며, 주벽(23a)과 바닥부(23b)에는 다수의 구멍(23c)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각각 외향 플랜지(23d,23e)이 형성된다. 하부 플랜지(23e)의 저부에는 지지파이프(23f)가 형성된다. 지지파이프(23f)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이와 같은 구조의 납재생탱크(20)는 서포트탱크(23), 외부탱크(22), 드로스탱크(21)가 차례로 결합된 후, 접하는 플랜지(23d,22b,21b)에 체결핀(24)에 맞추어져서 일체화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히터(30)는 납재생탱크(20)의 외부에 배치되어 납재생탱크(20)의 드로스탱크(21)에 투입된 납산화물을 가열함으로써 액상의 납과 분말의 드로스로 분리하는 것이며, 납산화물을 액상의 납과 분말의 드로스로 분리할 수 있는 모든 히터가 가능하고, 예컨대, 제1밴드히터(31)와 제2밴드히터(32)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밴드히터(31)는 서포트탱크(23)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제2밴드히터(32)는 서포트탱크(23)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밴드히터(31)는 하부의 제1밴드히터(32)보다 발열량이 크게 하여 상부의 납이 먼저 녹아 하부의 납으로 열이 전도되도록 한다.
히터(30)에 의해 발생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히터(30)의 외부에는 단열재(33)가 설치된다.
그리고, 드레인부(22a)의 외부에는 용융된 납이 드레인부(22a)의 안에서 굳지 않도록 하기 위한 코일히터(34)가 더 설치된다.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이, 임펠러(40)는 캐비넷(10)의 상부 커버(11)에 고정되며 나사부를 갖는 홀더(16)에 나사 체결되어 승강하는 스크류샤프트(41), 스크류샤프트(41)의 하부에 다수의 스포크(42)를 통해 연결되는 제1림(43), 제1림(43)의 하부에 다수의 스포크(44)와 수직 연결부(45)를 통해 스크류샤프트(41)와 제1림(43)에 각각 연결되는 제2림(46), 제2림(46)의 하부에 형성되며 납재생탱크(20)의 드로스탱크(21)의 바닥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선부(47) 및 스크류샤프트(4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핸들(48)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납저장탱크(50)는 납재생탱크(20)의 드레인부(22a) 하부에 배치되어 드레인부(22a)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납을 저장하고, 손잡이(50a)를 갖는다.
납저장탱크(50)는 상하부 플레이트(51a,51b) 및 이들(51a,51b)을 연결하는 수직바(51c)로 이루어진 프레임(51)을 매개로 하여 납재생탱크(20)와 연결된다. 납재생탱크(20)의 서포트탱크(23)의 지지파이프(23f)는 프레임(51)의 상부 플레이트(51a)에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납재생탱크(20)의 드레인부(22a)에는 밸브(60)가 더 갖추어진다. 밸브(60)는 드레인부(22)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볼(61), 일측이 프레임(51)의 상부 플레이트(51a)에 힌지(62a)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볼(61)이 결합되어 볼(61)을 개폐 작동하는 볼작동로드(62) 및 프레임(51)의 상부 플레이트(51a)에 볼트 체결되면서 일측 단부가 볼작동로드(62)의 하부를 지지하여 전후진하면서 볼작동로드(62)의 회전을 안내하는 개폐로드(63)로 이루어진다. 개폐로드(63)의 단부에는 볼작동로드(62)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64)이 결합되어져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는 캐비넷(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는 수작업에 의해 인출/삽입될 수도 있고, 구동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인출/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예컨대, 로드(70a)의 단부가 납저장탱크(50)의 프레임(51)과 연결된 인출플레이트(71)에 고정되는 인출실린더(70)일 수 있다. 여기서,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7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72)는 인출플레이트(71)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인출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의 인출시 임펠러(4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프레임(51)은 인출플레이트(71)에 대해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예컨대, 프레임(51)과 인출플레이트(71)의 사이에는 프레임(5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실린더(73)가 설치된다.
한편, 납재생이 완료된 후 드로스를 제거할 때 드로스탱크(21)와 외부탱크(22)를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드로스를 버릴 수 있도록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별도의 드로스 호퍼(80)가 더 포함된다. 드로스 호퍼(80)는 드로스탱크(21)와 외부탱크(22)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구조의 호퍼부(81) 및 호퍼부(8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로스 호퍼(80)의 호퍼부(81)는 드로스탱크(21)와 외부탱크(22)에 각각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드로스 호퍼(80)를 먼저 드로스탱크(21)에 결합하여 드로스탱크(21)를 먼저 분리하여 드로스를 제거하고, 그 다음에 드로스 호퍼(80)를 외부탱크(22)에 결합하여 외부탱크(22)에 잔류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것이다.
드로스호퍼(80)는 드로스의 제거시에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드로스호퍼(80)를 보관하기 위하여 드로스호퍼(80)의 손잡이측 단부에는 링(83)이 형성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캐비넷(10)의 일측에는 드로스호퍼(80)의 링(83)이 걸려 보관되는 고리(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납 재생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의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를 캐비넷(10)의 외부로 인출하며, 그 작업은 다음과 같다. 납재생탱크(20)의 인출시 임펠러(40)가 간섭될 수 있으므로 높이조절실린더(73)를 가동하여 로드(73a)를 삽입시킴으로써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를 하강시킨 후, 인출실린더(70)를 통해 캐비넷(10)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어서, 납재생탱크(20)의 드로스탱크(21) 내부에 납산화물(인쇄회로기판의 납땜시 발생된 납산화물)을 투입하고, 인출실린더(70)를 통해 납재생탱크(20)를 캐비넷(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높이조절실린더(73)를 가동하여 납재생탱크(20)를 도 1의 상태로 셋팅한다. 이로써, 납재생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며, 이 상태에서 납산화물을 납으로 재생한다.
히터(30)를 가동하면 히터(30)의 밴드히터(31)와 코일히터(3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납재생탱크(20)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열에 의해 고체의 납산화물이 서서히 녹게 된다.
납산화물은 납과 드로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납과 드로스는 액화되기 위한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히터(30)에 의한 납재생탱크(20) 내부는 납은 액화되지만 드로스는 액화되지 못하고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로 셋팅된다.
히터(30)에 의해 납산화물이 용융되어 납과 드로스로 분리되는 중에 액상의 납은 드로스탱크(21)의 납배출공(21a)을 통해 드로스탱크(21)에서 배출되고, 드로스탱크(21)의 내부에는 납배출공(21a)을 통과하지 못한 드로스가 남게 된다.
투입된 모든 납산화물이 납과 드로스로 분리되어 납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임펠러(40)를 회전시켜 납산화물을 골고루 휘젓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핸들(48)을 잡고 임펠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임펠러(40)가 스크류샤프트(41)를 통해 회전함과 동시에 홀더(16)의 안내를 받아 하강하여 드로스탱크(21)에 있는 납산화물을 휘젓을 수 있고, 임펠러(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임펠러(40)가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납산화물을 골고루 휘젓을 수 있다.
납 재생작업이 완료되면 납을 납저장탱크(50)로 옮기고 드로스는 드로스탱크(21)에 남도록 함으로써 납산화물을 납과 드로스로 분리하며, 이를 위하여 개폐로드(63)를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 볼작동로드(62)가 볼(61)가 함께 힌지(62a)의 안내를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레인부(22a)가 개방됨으로써 납이 납저장탱크(50)로 낙하 저장된다.
이어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캐비넷(10)의 외부로 납재생탱크(20)와 납저장탱크(50)를 외부로 인출한 후 손잡이(50a)를 잡고 납저장용기(50)를 이동하여 재생된 납을 별도의 저장고 등에 담아 보관한다.
그리고, 드로스의 제거를 위하여 보관중인 드로스호퍼(80)를 드로스탱크(21)에 볼트 체결하여 결합한 후, 손잡이(82)를 잡고 드로스탱크(21)를 일정 장소로 운반하고, 드로스탱크(21)를 뒤집게 되면 드로스탱크(21) 내의 드로스가 드로스호퍼(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이어서, 외부탱크(22)에 드로스호퍼(80)를 드로스탱크(21)와 동일방법으로 연결한 후, 외부탱크(22)에 남은 드로스를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재생장치에 의하면, 납산화물을 납재생탱크에 투입한 후 히터를 통해 납과 드로스로 분리한 후,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를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하여 넓은 공간에서 납재생탱크에 잔류하는 드로스와 납저장탱크에 저장된 납을 별도의 저장고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임펠러를 승강시키지 않아도 임펠러가 회전 및 승강되어 납산화물을 휘젓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고, 납재생탱크의 모든 부분의 납산화물을 휘젓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납재생탱크를 잡지 않고 드로스호퍼를 이용하여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화상을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히터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드로스탱크의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외부탱크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서포트탱크의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임펠러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납 재생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납 재생장치에 적용된 드로스호퍼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캐비넷, 20 : 납재생탱크
21 : 드로스탱크, 22 : 외부탱크
23 : 서포트탱크, 30 : 히터
31 : 제1밴드히터, 32 : 제2밴드히터
40 : 임펠러, 50 : 납저장탱크
60 : 밸브, 70 : 인출실린더
71 : 인출플레이트, 72 : 가이드
73 : 높이조절실린더,

Claims (6)

  1.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며 납산화물이 투입되고 하부에 드레인부가 구비된 납재생탱크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둘레부에 설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에 투입된 납산화물을 용융하여 액상의 납과 고체의 드로스로 분리하는 히터와; 상기 납재생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에 의해 용융된 납과 드로스를 분리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를 개폐하는 밸브와; 그리고, 상기 납재생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납을 저장하는 납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하부 플레이트(51a,51b) 및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바(51c)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납저장탱크가 삽입되며 상기 납재생탱크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지지파이프(23f)를 통해 상기 납재생탱크가 결합되는 프레임(51)과;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가 지지되는 인출플레이트(71)와;
    상기 인출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를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인출/삽입하는 인출실린더(72)와; 그리고,
    상기 인출플레이트와 상기 납저장탱크가 결합된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납재생탱크와 납저장탱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실린더(7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재생탱크는, 서포트탱크(23)는 상부가 개구된 통 구조이며 주벽(23a)과 바닥부(23b)에 다수의 구멍(23c)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각각 외향 플랜지(23d,23e)가 형성된 서포트탱크(23),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부에는 드레인부(22a)가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탱크 내부에 결합되는 외부탱크(22) 및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부에는 액상의 납이 배출되는 납배출공(21a)이 형성되고 개구부측 둘레부에는 외향 플랜지(21b)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일정 간극을 두고 결합되는 드로스탱크(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40)는 상기 캐비넷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샤프트(41),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하부에 다수의 스포크(42)를 통해 연결되는 제1림(43), 상기 제1림의 하부에 다수의 스포크(44)와 수직 연결부(45)를 통해 상기 스크류샤프트와 제1림에 각각 연결되는 제2림(46), 상기 제2림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납재생탱크의 바닥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형성되는 곡선부(47) 및 상기 스크류샤프트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핸들(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60)는 상기 드레인부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볼(61), 상기 납저장용기를 고정하는 프레임(51)의 하부 플레이트(51b)에 힌지(62a) 결합되며 자유단부에 상기 볼이 결합되어 상기 볼을 개폐 작동하는 개폐로드(62), 상기 프레임의 하부 플레이트에 볼트 체결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를 지지하여 전후진하면서 상기 개폐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는 작동로드(63) 및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로드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납재생탱크의 드로스탱크와 외부탱크에 각각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며 상기 각 탱크에 잔류하는 드로스를 제거하기 위한 상광하협구조의 호퍼부(81),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82) 및 상기 손잡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17)에 걸려 고정되는 링(8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서포트탱크의 둘레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밴드히터(31), 제2밴드히터(32) 및 상기 서포트탱크의 바닥의 드레인부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코일히터(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재생장치.
KR20-2005-0008416U 2005-03-28 2005-03-28 납 재생장치 KR200386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416U KR200386708Y1 (ko) 2005-03-28 2005-03-28 납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416U KR200386708Y1 (ko) 2005-03-28 2005-03-28 납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08Y1 true KR200386708Y1 (ko) 2005-06-16

Family

ID=4368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416U KR200386708Y1 (ko) 2005-03-28 2005-03-28 납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44B1 (ko) * 2006-05-19 2007-05-25 김진업 납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44B1 (ko) * 2006-05-19 2007-05-25 김진업 납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6603B2 (ja) 液体金属を移送するための取瓶シュラウドの輸送貯蔵装置。
KR200386708Y1 (ko) 납 재생장치
US3380511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ling a receptacle
US5567378A (en) Molten metal holding furnace and method of holding molten metal within the same
CN210522438U (zh) 一种钨铁合金加工用原料混合装置
CN201261800Y (zh) 铝液分离装置
CN218561558U (zh) 一种铝灰分离设备
US65444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 formed product
JP5953958B2 (ja) プリント回路板の電子部品分離装置
TWI294937B (en) Machine for dyeing textiles
US20020162780A1 (en) Solder dross removal apparatus
US4059251A (en) Agitator for melting furnace
JPH0620621B2 (ja) タンデイツシユの再使用方法および再使用用装置
JPS5918437A (ja) 分析用分析試料溶液の自動連続製造装置
CN215217152U (zh) 具有残料入料装置的金属熔融炉
CN108907080A (zh) 一种用于熔模铸造的注蜡装置
CN215917114U (zh) 一种油脂暂存罐
JPS59187824A (ja) 射出成形機
JPH05179337A (ja) 溶鋼鍋中への保温材投入方法および装置
CN218307893U (zh) 一种8-羟基喹啉制备反应用搅拌混合装置
RU209849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редких металлов из их фторидов
US60198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raw material into a quartz crucible
KR100397146B1 (ko)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성형장치
JP2005211904A (ja) 金属溶湯供給装置
JPH04468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