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35Y1 -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 Google Patents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35Y1
KR200386235Y1 KR20-2005-0005767U KR20050005767U KR200386235Y1 KR 200386235 Y1 KR200386235 Y1 KR 200386235Y1 KR 20050005767 U KR20050005767 U KR 20050005767U KR 200386235 Y1 KR200386235 Y1 KR 200386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icrocomputer
pupil
motors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권
Original Assignee
박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권 filed Critical 박해권
Priority to KR20-2005-0005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38Figures or parts thereof moved by the clockwork
    • G04B45/0061Moving parts of the clockwork, e.g. pendulum, hands in special form, mostly constructed as a fig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69Cases and fixed parts with a special shap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4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ornaments or amusement apparatus
    • G04B47/044Movable decorations and parts thereof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4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ornaments or amusement apparatus
    • G04B47/048Clockwork combined with t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부가 형성된 몸체와, 눈동자가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어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눈동자와 인접한 헤드부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눈동자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의 감지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조절되는 제 1 및 제 2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축과, 상기 마이컴과 제 1 및 제 2 모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마이컴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에는 제 1 및 제 2 회전판이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에는 눈동자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캐릭터 시계의 특정부위를 회전하게 하여 캐릭터 시계의 생동감을 살리고, 고객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여 구매욕구를 촉진하며, 캐릭터 시계 자체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CHARACTER CLOCK ROTATING PUPIL}
본 고안은 캐릭터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릭터 시계의 특정부위, 즉 눈동자를 회전하게 하여 캐릭터 시계에 생동감을 부여함으로써 고객의 관심 및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변화됨에 따라, 효율적인 시간관리를 위해 각종 시계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시계에는 손목시계, 전자시계, 탁상시계 및 벽시계 등 수 많은 종류가 있다.
이중에서도, 탁상시계는 각종 동물 모형을 갖는 인형에 시계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다른 일반적인 탁상시계와는 디자인에 차별화를 두어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계는 단순히 시간만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이며, 고정된 시계의 특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싫증이 나기 쉽고, 장식성이나 새로운 기능이 부족한 부분이 많아 고객의 구매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식성과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시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현재 기능성이 개선된 다양한 캐릭터 형상의 시계가 판매되고 있으나, 고정적인 캐릭터의 모양으로 정형화되어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캐릭터 시계의 특정부위 즉, 눈동자를 회전하게 하여 캐릭터 시계에 생동감을 부여함으로써 고객의 관심 및 흥미를 유발시켜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는, 시계부(220)가 형성된 몸체(210)와, 눈동자(235a, 235b)가 형성된 헤드부(230)로 구성되어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로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223)와, 상기 모터(2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224)과, 상기 마이컴(222)과 모터(223)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5)와, 상기 마이컴(222)을 제어하여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조작하는 모터 조작부(226)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224)에는 제 1 구동기어(234)가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제 1 구동기어(234)의 양측에는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가 각각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에는 눈동자(235a, 2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는, 시계부(320)가 형성된 몸체(310)와, 눈동자(335a, 335b)가 형성된 헤드부(330)로 구성되어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로서, 상기 눈동자(335a, 335b)와 인접한 헤드부(33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눈동자(335a, 335b)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의 감지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22)과, 상기 마이컴(322)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조절되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과, 상기 마이컴(322)과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5)와, 상기 마이컴(322)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조작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에는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이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에는 눈동자(335a, 3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모터 조작부(326)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조절하는 모터 회전방향 조작부(326a)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리터 시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외형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내부구성도이며, 도 1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눈동자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200)는 몸체(210) 및 헤드부(230)로 구성되며, 몸체(210)에는 시계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230)의 양측에는 회전하는 눈동자(235a, 2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200)의 내부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마이컴(222),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223), 상기 모터(2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224), 상기 마이컴(222)과 모터(223)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5) 및 상기 마이컴(222)을 제어하여 모터(223)를 2배속 및 3배속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조작부(226)로 구성된다.
또, 상기 회전축(224)에는 제 1 구동기어(234)가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제 1 구동기어(234)의 양측에는 제 1 구동기어(23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가 각각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에는 눈동자(235a, 2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200)의 눈동자(235a, 235b)가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부(225)를 통해 캐릭터 시계(2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컴(222)은 사용자의 모터 조작부(226)를 통한 조작에 따라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모터(223)는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223)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22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회전축(22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24)과 일체로 외접된 제 1 구동기어(234)가 회전하게 되며, 제 1 구동기어(2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기어(234)의 양측에 각각 맞물림되어 있는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에 부착되어 있는 눈동자(235a, 235b)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23)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 조작부(226)를 통해 마이컴(222)을 제어하여,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2배속 또는 3배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모터 조작부(226)를 통해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눈동자(235a, 235b)를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더욱 생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외형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내부구성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눈동자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캐릭터 시계(300)의 헤드부(330)의 눈동자(335a, 335b)의 각각에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를 설치하여, 눈동자(335a, 335b)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 즉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상술한 일실시예와는 다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300)는 몸체(310) 및 헤드부(330)로 구성되며, 몸체(310)에는 시계부(320)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330)의 양측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눈동자(335a, 3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300)는 헤드부(330)의 일측 및 타측, 즉 눈동자(335a, 335b)와 각각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눈동자(335a, 335b)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의 감지신호와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제 1 모터(323a) 및 제 2 모터(323b)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마이컴(322), 상기 마이컴(3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 상기 마이컴(322) 및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5), 및 상기 마이컴(322)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모터 회전방향 조작부(326a)와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를 포함하는 모터 조작부(326)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 1 회전축(324a)에는 제 1 회전판(334a)이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제 2 회전축(324b)에는 제 2 회전판(334b)이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에는 눈동자(335a, 3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300)의 눈동자(335a, 335b)가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를 각각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제 1 모터(323a)는 정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 2 모터(323b)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전원부(325)를 통해 캐릭터 시계(30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컴(322)은 사용자의 모터 조작부(326)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410).
이후,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는 마이컴(322)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한다(S420).
다음에, 마이컴(322)은 모터 회전방향 조작부(326a)로부터 제 2 모터(323b)의 역방향 제어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30).
판단 결과(S430), 제 2 모터(323b)의 역방향 제어신호가 없으면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는 정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한다(S435).
또한,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가 정방향 회전시, 마이컴(322)은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로부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속도(예컨대, 2배속 및 3배속)를 제어하는 조작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40).
판단 결과(S440), 회전속도 조작신호가 없으면,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는 캐릭터 시계(300)의 초기 설정과 같이, 정방향 및 정상속도(예컨대, 시계부(320)의 초침의 회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과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이 회전하게 된다(S441).
따라서, 눈동자(335a, 335b)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S443).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440),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로부터 회전속도 조작신호가 있으면,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는 정방향 및 예컨대, 시계부(320)의 초침의 회전속도보다 2배 및 3배의 속도로 고속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과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S445).
따라서, 눈동자(335a, 335b)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소정시간 회전한 후, 단계 S410으로 리턴한다(S447).
한편, 상기 판단 결과(S430), 제 2 모터(323b)의 역방향 제어신호가 있으면 제 1 모터(323a)는 정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고, 제 2 모터(323b)는 역방향,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2 모터(323b)의 역방향 회전은 제 1 모터(323a)가 소정의 회전 수 만큼 회전(예컨대, 1회, …, n회), 즉 제 1 센서(321a)를 통해 눈동자(335a)가 소정 회수 만큼 회전하여 제 1 센서(321a)의 기준점에 도달하면, 마이컴(322)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모터(323b)를 정지시킨다(S450).
이후, 제 1 모터(323a)가 정방향으로 재회전하면 마이컴(322)은 제 2 모터(323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S460).
그 다음, 제 1 모터(323a)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모터(323b)가 역방향으로 회전시, 마이컴(322)은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로부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조작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70).
판단 결과(S470), 회전속도 조작신호가 없으면, 제 1 모터(323a)는 정방향, 제 2 모터(323b)는 역방향으로 정상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회전축(324a) 및 제 1 회전판(334a)이 정방향, 제 2 회전축(324b) 및 제 2 회전판(334b)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S471).
따라서, 눈동자(335a)는 제 1 모터(323a)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회전하고, 눈동자(335b)는 제 2 모터(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소정시간 회전한 후, 단계 S410으로 리턴한다.(S473).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S470),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로부터 회전속도 조작신호가 있으면, 제 1 모터(323a)는 정방향, 제 2 모터(323b)는 역방향으로 예컨대, 시계부(320)의 초침의 회전속도보다 2배 및 3배의 속도로 고속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 1 회전축(324a)과 제 1 회전판(334a)이 정방향, 제 2 회전축(324b)과 제 2 회전판(334b)이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하게 된다(S475).
따라서, 눈동자(335a)는 제 1 모터(323a)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회전하고, 눈동자(335b)는 제 2 모터(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와 같이 소정시간 회전한 후, 단계 S410으로 리턴한다.(S477).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모터(323a) 및 제 2 모터(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눈동자(335a, 335b)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더욱 생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릭터 시계의 생동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눈동자를 형광물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판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 시계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각종 인형이나 완구 등에 개별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는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에 따르면, 캐릭터 시계의 특정부위를 회전하게 하여 캐릭터 시계의 생동감을 살리고, 고객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여 구매욕구를 촉진하며, 캐릭터 시계 자체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외형도.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내부구성도.
도 1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눈동자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외형도.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내부구성도.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눈동자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d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310 : 몸체 230, 330 : 헤드부
220, 320 : 시계부 234, 234a, 234b : 구동기어
235a, 235b, 335a, 335b : 눈동자 222, 322 : 마이컴
223, 323a, 323b : 모터 224, 324a, 324b : 회전축
225, 325 : 전원부 226, 326 : 모터 조작부
321a, 321b : 센서

Claims (3)

  1. 시계부(220)가 형성된 몸체(210)와, 눈동자(235a, 235b)가 형성된 헤드부(230)로 구성되어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로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223)와,
    상기 모터(2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224)과,
    상기 마이컴(222)과 모터(223)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5)와,
    상기 마이컴(222)을 제어하여 모터(223)의 회전속도를 조작하는 모터 조작부(226)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224)에는 제 1 구동기어(234)가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제 1 구동기어(234)의 양측에는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가 각각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및 제 3 구동기어(234a, 234b)에는 눈동자(235a, 2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2. 시계부(320)가 형성된 몸체(310)와, 눈동자(335a, 335b)가 형성된 헤드부(330)로 구성되어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로서,
    상기 눈동자(335a, 335b)와 인접한 헤드부(33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어 눈동자(335a, 335b)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와,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321a, 321b)의 감지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22)과,
    상기 마이컴(322)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조절되는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과,
    상기 마이컴(322)과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가 작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5)와,
    상기 마이컴(322)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조작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324a, 324b)에는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이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판(334a, 334b)에는 눈동자(335a, 335b)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작부(326)는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조절하는 모터 회전방향 조작부(326a)와, 상기 제 1 및 제 2 모터(323a, 323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모터 회전속도 조작부(32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KR20-2005-0005767U 2004-12-20 2005-03-04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KR200386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767U KR200386235Y1 (ko) 2004-12-20 2005-03-04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55 2004-12-20
KR20-2005-0005767U KR200386235Y1 (ko) 2004-12-20 2005-03-04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35Y1 true KR200386235Y1 (ko) 2005-06-08

Family

ID=4368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767U KR200386235Y1 (ko) 2004-12-20 2005-03-04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26B1 (ko) * 2010-03-02 2012-10-16 신재호 애니메트로닉스 캐릭터 안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426B1 (ko) * 2010-03-02 2012-10-16 신재호 애니메트로닉스 캐릭터 안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5536B (zh) 玩具滑板
US20050243655A1 (en) Programmable analog display timer system
JP2022022381A5 (ko)
JP2009034217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8200305A (ja) 遊技台
JP2001113023A (ja) 遊技機
JP5565911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200386235Y1 (ko) 눈동자가 회전하는 캐릭터 시계
JP2011103942A (ja) 遊技機
JP6253124B2 (ja) 遊技機
US5047998A (en) Timepiece with mobile decorations
JP2002346064A (ja) 電飾装置を備えた遊技機
WO2009012172A2 (en) Portable programmable massage device
JP5804816B2 (ja) 遊技機
JP2003325779A (ja) 遊技機
JP2020044448A (ja) 遊技機
JP6395400B2 (ja) 遊技機
JP2014012046A (ja) 遊技機
JP4362623B2 (ja) 遊技機の演出装置と、それを備えた遊技機
JP6253123B2 (ja) 遊技機
JP2004166905A (ja) 遊技機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プログラム
JP3808519B2 (ja) 回転式表示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3489190B2 (ja) アラーム時計
JP4782730B2 (ja) 遊技台
CN212467131U (zh) 一种红外遥控翻转机器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